KR20080037271A -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 Google Patents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271A
KR20080037271A KR1020060104122A KR20060104122A KR20080037271A KR 20080037271 A KR20080037271 A KR 20080037271A KR 1020060104122 A KR1020060104122 A KR 1020060104122A KR 20060104122 A KR20060104122 A KR 20060104122A KR 20080037271 A KR20080037271 A KR 20080037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ubstrate
decorative
fixing bracket
substr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히카이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10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7271A/ko
Publication of KR2008003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면을 구축할 수 있는 고정 금구(金具) 및 외벽 시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건물의 구조 구체(3)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下地)용 판재(5)의 전면에 장식용 외장재(6)를 하지용 판재(5)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금구(1)를 가지며, 상기 고정 금구(1)는 기판부(11)와 지지부(13)와 상판 결합부(131)와 하판 결합부(132)를 갖는다. 기판부(10)는 지지부(13)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110) 및 제 2 비스 구멍(12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기판부(10) 중 지지부(13)로부터 먼쪽의 제 1 비스 구멍(110)이 형성된 제 1 기판부(11)와, 지지부(13)에 가까운쪽의 제 2 비스 구멍(120)이 형성된 제 2 기판부(12)는 서로 둔각을 이룬다. 제 1 기판부(11)는 제 2 기판부(12)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진다.
구조 구체, 하지용 판재, 장식용 외장재, 고정 금구, 기판부, 지지부, 결합부

Description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A fastening clamper and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outer wall}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단면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사시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의 정면도.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의 상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의 측면도.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토대부에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단면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토대부에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사시 설명도.
도 8a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이 하지용 판재의 단부와 이격되어 있는 경우의 비스의 고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8b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 1 비스 구멍이 하지용 판재의 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의 비스의 고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8c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 2 비스 구멍이 하지용 판재의 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의 비스의 고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8d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가 하지용 판재의 좌우 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의 비스의 고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2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단면 설명도.
도 13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의 단면 설명도.
도 14는 종래 예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단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 금구 5: 하지용 판재
6: 장식용 외장재 10: 기판부
11: 제 1 기판부 12: 제 2 기판부
13: 지지부 110: 제 1 비스 구멍
120: 제 2 비스 구멍 131: 상판 결합부
132: 하판 결합부
본 발명은, 건물의 구조 구체(軀體)의 전면에 배치된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장식용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금구, 및 이것을 사용하여 구축하는 외벽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하지재에 고정 금구를 고정시 키는 동시에,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 복수의 외벽판을 걸어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조 구체(93)의 전면에 배치된 하지용 판재(95)의 전면에 장식용 외장재(96)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97)가 있다.
상기 외벽 시공 구조(97)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조 구체(93)의 전면에 배치된 하지용 판재(95)와, 상기 하지용 판재(95)의 전면에 고정된 고정 금구(91)와, 상기 고정 금구(91)에 걸어 고정된 장식용 외장재(9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금구(91)는 기판부(910)와 지지부(913)를 가지며, 기판부(910)에 형성된 비스 구멍(920)에 비스(92)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9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 시공 구조(97)에 있어서는, 하지용 판재(95)에 방수 성능 등의 외벽 시공 구조로서의 여러가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용 외장재(96)의 기능을 장식 기능만으로 특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식용 외장재(96)를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정 금구(91)는 박형화된 저렴한 비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지용 판재(95)의 단부(950)의 상하 위치와 거의 동등한 상하 위치에 있는 고정 금구(91)에 비스(92)가 삽입된 경우에는, 하지용 판재(95)에 있어서 강도가 비교적 작은 부분인 단부(950)에 비스(92)를 비틀어 넣기 때문에, 단부(950)에 균열 또는 파손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충분한 강도를 갖는 외벽 시공 구조(97)를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단부(950)와 비스 구멍(920)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의 비스 구멍(920)을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단부(950)로부터 먼쪽의 비스 구멍(920)에 비스(92)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 금구(91)를 구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기판부(910)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지지부(913)로부터 먼쪽의 비스 구멍(920)에 있어서 비스(92)를 고정하면, 지점이 되는 비스 구멍(920) 부분과 작용점이 되는 지지부(913)와의 거리가 길어져 버린다. 이로써, 기판부(910)에 굴곡 응력이 가해졌을 때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고정 금구(9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부(910)의 굴곡 강도가 작아지고, 장식용 외장재(96)를 지지한 경우, 기판부(910)의 하단(912)이 전방으로 굴곡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장식용 외장재(96)도 하지용 판재(95)에 대하여 경사져 버리기 때문에, 상기 장식용 외장재(96)의 의장면(960)이 가지런하지 않아서 외관 의장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3350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면을 구축할 수 있는 고정 금구 및 외벽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은,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를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금구로서,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기 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하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부 중 상기 지지부로부터 먼쪽의 상기 제 1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1 기판부와 상기 지지부에 가까운쪽의 상기 제 2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2 기판부는 서로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제 2 기판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금구에 있다(청구항 1).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상기 제 1 비스 구멍 및 상기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고정 금구가 상기 하지용 판재의 상하 접합부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비스 구멍 또는 상기 제 2 비스 구멍 중 상기 하지용 판재의 단부로부터 먼쪽의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하면, 상기 하지용 판재의 단부에 비스를 비틀어 넣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지용 판재에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고정 금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제 2 기판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비스 구멍 또는 상기 제 2 비스 구멍의 어느 한쪽에 비스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 금구를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하였을 때,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단과 상기 제 2 기판부의 하단을 상기 하지용 판재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2 기판부에 형성된 상기 상판 결합부 및 상기 하판 결합부는 확실하게 상기 하지용 판재의 전면 부근에 보유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상판 결합부 또는 상기 하판 결합부에 걸어 고정된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 및 상변을 확실하게 상기 하지용 판재의 전면 부근에 보유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로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에 상기 고정 금구를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금구에 걸어 고정된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 또는 하변에 의해서 상기 제 2 기판부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 기판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판부가 상기 제 2 기판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 2 기판부가 상기 제 1 기판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기판부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 2 기판부의 하단이 전방으로 떠오르는 형으로 굴곡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상기 제 1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에 상기 고정 금구를 고정한 경우라도,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면을 구축할 수 있는 고정 금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를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금구로서,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기 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하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기판부의 상단 및 하단이 다른 부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금구에 있다(청구항 2).
이 경우에도, 상기 제 1 발명(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제 1 비스 구멍과 상기 제 2 비스 구멍을 갖기 때문에, 상기 하지용 판재에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고정 금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가 상기와 같이 만곡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로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에 상기 고정 금구를 고정한 경우라도,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면을 구축할 수 있는 고정 금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와, 상기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고정한 복수의 고정 금구와,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서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된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는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는 하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부 중 상기 지지부로부터 먼쪽의 상기 제 1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1 기판부와 상기 지지부에 가까운쪽의 상기 제 2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2 기판부는 서로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제 2 기판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고,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제 1 비스 구멍과 상기 제 2 비스 구멍의 어느 하나에 비스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비스를 상기 하지용 판재에 비틀어 넣는 것에 의해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에 있다(청구항 5).
상기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금구의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상기 제 1 비스 구멍 및 상기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지용 판재의 단부에 비스를 비틀어 넣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하지용 판재에 균열 또는 파 손이 생기는 일이 없고,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상기 외벽 시공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제 2 기판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단과 상기 제 2 기판부의 하단을 상기 하지용 판재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상판 결합부 또는 상기 하판 결합부에 걸어 고정된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 및 상변을 확실하게 상기 하지용 판재의 전면 부근에 보유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로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상기 외벽 시공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부가 상기 제 1 기판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에 상기 고정 금구를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부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 2 기판부의 하단이 전방으로 떠오르는 형으로 굴곡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상기 제 1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에 상기 고정 금구를 고정한 경우라도,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와, 상기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고정한 복수의 고정 금구와,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서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된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는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는 하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기판부의 상단 및 하단이 다른 부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에 있다(청구항 6).
이 경우에도, 상기 제 3 발명(청구항 5)과 마찬가지로, 상기 하지용 판재에 균열 또는 파손이 생기는 일이 없고,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상기 외벽 시공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로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상기 외벽 시공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에 상기 고정 금구를 고정한 경우라도, 복수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 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상기 제 1 발명(청구항 1) 및 상기 제 3 발명(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부와 상기 제 2 기판부는,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단이 상기 제 2 기판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0.5 내지 1.5mm 정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서로 경사시킬 수 있다.
상기 기판부는, 예를 들면, 상기 제 1 기판부와 상기 제 2 기판부의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굴곡시키고 있어도 좋고, 원호형상으로 만곡시키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발명(청구항 2) 및 상기 제 4 발명(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기판부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기판부에 있어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예를 들면, 0.5mm 내지 1.5mm 정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발명(청구항 1), 상기 제 2 발명(청구항 2), 상기 제 3 발명(청구항 5) 및 상기 제 4 발명(청구항 6)에서, 상기 제 1 비스 구멍과 상기 제 2 비스 구멍은 상하 방향에서, 예를 들면, 30 내지 50mm 정도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금구의 재료에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기판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판 결합부와 상기 하판 결합부와 상기 제 1 비스 구멍과 상기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상기 기판부를 굴곡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용 외장재는, 예를 들면, 요업계 재료, 시멘트계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 시공 구조는 신축용, 리폼용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건물의 외측을 전방,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각 부재에 대해서도, 건물의 구조 구체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서, 전, 후, 좌, 우, 상, 하로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발명(청구항 1) 및 상기 제 2 발명(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스프링부를 갖고,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장식용 외장재에 두께 불균일함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의 전후 위치를 일정한 위치에 가지런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한층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는 상하 방향에 형성된 리브(ri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이 경우에는, 상기 리브에 의해서, 상기 기판부의 상하 방향의 굴곡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발명(청구항 1)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기판부와 상기 제 2 기판부가 이루는 각이 변화하거나, 상기 제 2 발명(청구항 2)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부의 만곡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기판부의 하단이 전방으로 들뜨는 형으로 굴곡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고, 보다 한층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발명의 상기 고정 금구에 있어서는 상기 리브를 상기 제 1 기판부와 상기 제 2 기판부의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발명(청구항 5) 및 상기 제 4 발명(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외장재는, 그 상변 및 하변에 있어서, 상기 하판 결합부 및 상기 상판 결합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갖고,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과 상기 결합홈의 후면의 사이의 전후 위치 관계는 인접하는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사이에서 동일하고,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스프링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부는 전방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이면측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7).
이 경우에는,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의 전후 위치를 일정한 위치에 가지런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한층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서 상기 장식용 외장재가 전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결합홈의 후면이 상기 고정 금구의 상기 상판 결합부 또는 상기 하판 결합부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과 상기 결합홈의 후면의 사이 의 전후 위치 관계는, 인접하는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사이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장식용 외장재끼리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의 전후 위치가 갖추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홈의 형성 위치나 상기 의장면의 형성 위치는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이면측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휘어짐 변형이나 두께 불균일함 등에 의해, 인접하는 장식용 외장재끼리의 사이에서 의장면의 전후 위치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서 결합홈의 후면이 기준이 되도록 함으로써 의장면의 전후 위치를 가지런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가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확실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금구 및 이것을 사용하여 구축한 외벽 시공 구조(7)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예의 외벽 시공 구조(7)는, 신축용으로서 구축한 것이지만, 리폼용으로서 구축할 수도 있다.
본 예의 외벽 시공 구조(7)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구조 구체(3)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5)와, 상기 하지용 판재(5)의 전면에 고정한 복수의 고정 금구(1)와, 상기 고정 금구(1)에 의해서 하지용 판재(5) 에 고정된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6)를 갖는다.
또한, 고정 금구(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용 판재(5)에 후면을 접촉하는 기판부(10)와, 상기 기판부(10)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장식용 외장재(6)의 하변을 지지하는 지지부(13)와, 상기 지지부(13)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장식용 외장재(6)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는 상판 결합부(131)와, 지지부(13)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장식용 외장재(6)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는 하판 결합부(132)를 갖는다.
또한, 기판부(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3)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110) 및 제 2 비스 구멍(1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 1 비스 구멍(110)과 제 2 비스 구멍(120)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30 내지 50mm 정도 이격하여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부(10) 중 지지부(13)로부터 먼쪽의 제 1 비스 구멍(110)이 형성된 제 1 기판부(11)와 지지부(13)에 가까운쪽의 제 2 비스 구멍(120)이 형성된 제 2 기판부(12)는 서로 176 내지 178° 정도의 둔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 1 기판부(11)와 제 2 기판부(12)는, 도 1, 도 5,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부(11)가 제 2 기판부(12)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서로 경사지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부(11)의 상단(111)이 제 2 기판부(12)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후퇴하고 있는 거리 d는 0.5 내지 2mm이다.
또한, 고정 금구(1)는 제 1 비스 구멍(110) 또는 제 2 비스 구멍(120)의 어느 하나에 비스(2)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비스(2)를 하지용 판재(5)에 비틀어 넣는 것에 의해 하지용 판재(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비스 구멍(110) 및 제 2 비스 구멍(120)은 각각 좌우에 3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판부(12)의 일부에는,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2)의 비스 머리의 두께분 이상으로 전방으로 융기한 전방 융기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융기부(122)에는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스프링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14)는, 전방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 장식용 외장재(6)의 이면측(61)에 접촉함으로써, 장식용 외장재(6)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기판부(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부(11)와 제 2 기판부(12)의 사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15)를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는, 4개의 리브(15)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 고정 금구(1)의 재료에는 0.8mm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리스강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하지용 판재(5)는 요업계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세로 455mm, 가로 3030mm, 두께 16mm의 치수를 갖는다.
또한, 장식용 외장재(6)는 요업계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장식용 외장 재(6)는 하지용 판재(5)보다도 가로 세로의 치수는 작고, 예를 들면, 세로 220mm, 가로 455mm, 두께 35mm의 치수를 갖는다.
또한, 장식용 외장재(6)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변부, 하변부, 좌변부 및 우변부를 제외한 중앙부에 있어서 이면측(61)에 오목부(6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식용 외장재(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 결합부(131) 및 하판 결합부(13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600)을 갖는다. 그리고,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과 결합홈(600)의 후면(601) 사이의 전후 위치 관계는 인접하는 장식용 외장재(6)의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외벽 시공 구조(7)의 시공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 도 7,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대부(土臺部; 72)에 있어서, C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3)에 토대 물빠짐부(722)와 방수지(防水紙; 4)를 끼우도록 하고, 하지용 고정 금구(500)를 전방으로부터 고정한다. 그리고, 하지용 고정 금구(500)의 상판 결합부(501)에 하지용 판재(5)의 좌우 단부의 하변을 결합시킨다. 그 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지용 판재(5)의 상변에 하지용 고정 금구(500)를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시켜 배치하는 동시에, 하판 결합부(502)를 하지용 판재(5)의 상변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하지용 고정 금구(500)의 비스 구멍 (503)에 비스(2)를 삽입하여 구조 구체(3)에 하지용 판재(5)를 고정시킨다.
또한, 도 1, 도 2,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용 고정 금구(500)의 상판 결합부(501)에 배치하는 하지용 판재(5)의 하변을 결합시킨다. 그 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지용 판재(5)의 상변에 하지용 고정 금구(500)를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시켜 배치하는 동시에, 하판 결합부(502)를 하지용 판재(5)의 상변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하지용 고정 금구(500)의 비스 구멍(503)에 비스(2)를 삽입하여, 구조 구체(3)에 하지용 판재(5)를 고정시킨다. 상기 작업을 순차 반복함으로써, 중간부(71)에 있어서 하지용 판재(5)를 구조 구체(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하지용 판재(5)의 전면에 장식용 외장재(6)를 고정시킨다. 즉, 우선, 도 6, 도 7,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하단의 하지용 판재(5)의 하단(51)의 전면에 스타터 금구(721)를 고정하고, 장식용 외장재(6)의 좌우 단부의 하변의 결합홈(600)을 스타터 금구(721)의 결합부(720)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식용 외장재(6)의 상변의 이면측(61)의 중앙부에 고정 금구(1)를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시켜 배치하고, 고정 금구(1)의 하판 결합부(132)를 장식용 외장재(6)의 상변의 결합홈(600)에 결합시킨다. 또한, 고정 금구(1)의 제 1 비스 구멍(110) 또는 제 2 비스 구멍(120)의 어느 하나에 비스(2)를 삽입하고, 하지용 판재(5)에 장식용 외장재(6)를 고정시킨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하단의 장식용 외장재(6)의 하단부(62)는 하지용 판재(5)의 하단부(51)보다도 5mm 정도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장식용 외장재(6)의 하단부(62)에 물빠짐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방의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을 타고 흘러온 빗물이 장 식용 외장재(6)의 후방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의 장식용 외장재(6)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 금구(1)의 상판 결합부(131)에 장식용 외장재(6)의 좌우 단부의 하변의 결합홈(600)을 결합시킨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식용 외장재(6)의 상변의 이면측(61)의 중앙부에 고정 금구(1)를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시켜 배치하고, 고정 금구(1)의 하판 결합부(132)를 장식용 외장재(6)의 상변의 결합홈(60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고정 금구(1)의 제 1 비스 구멍(110) 또는 제 2 비스 구멍(120)의 어느 하나에 비스(2)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5)에 장식용 외장재(6)를 고정시킨다.
상기 작업을 순차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6)를 하지용 판재(5)에 고정시킬 수 있고, 외벽 시공 구조(7)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 금구(1)를 사용하여 하지용 판재(5)에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6)를 고정시키면, 고정 금구(1)는 하지용 판재(5)의 여러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것에 동반하여, 고정 금구(1)를 하지용 판재(5)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용 판재(5)에 대한 고정 금구(1)의 위치에 따라서 이용하는 비스 구멍이 다르다.
즉,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금구(1)의 상하 위치와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의 상하 위치가 충분히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비즈구멍(110)에 비스(2)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고정 강도의 관점에서 제 2 비스 구멍(120)에 삽입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비스 구멍(110)이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에 배치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제 1 비스 구멍(110)으로부터 비스(2)를 비틀어 넣으면,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에 균열이나 파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비스 구멍(120)으로부터 비스(2)를 비틀어 넣는 것에 의해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에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는 불량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비스 구멍(120)이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에 배치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제 1 비스 구멍(110)으로부터 비스(2)를 비틀어 넣으면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에 균열이나 파손이 생긴다는 불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용 판재(5)의 좌우 단부 부근에 고정 금구(1)를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쉬운 하지용 판재(5)의 좌우 단부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있는 제 1 비스 구멍(110) 또는 제 2 비스 구멍(120)에 비스(2)를 삽입하면 좋다. 본 예에서는, 우단의 제 2 비스 구멍(120)에 비스(2)를 삽입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빗금 부분은,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로서,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쉬운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단부(50)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범위로서 규정된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하에 인접하는 하지용 판재(5)의 상하 접합부(52)를 기준으로서, 하방 10mm의 위치로부터 상방 30mm의 위치까지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판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3)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110) 및 제 2 비스 구멍(12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고정 금구(1)가 하지용 판재(5)의 상하 접합부(52)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에, 제 1 비스 구멍(110) 또는 제 2 비스 구멍(120) 중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로부터 먼쪽의 비스 구멍에 비스를 삽입할 수 있다. 즉, 고정 금구(1)에 의하면, 하지용 판재(5)의 단부(50)에 비스(2)를 비틀어 넣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하지용 판재(5)에 균열 또는 파손이 생기는 일이 없고, 장식용 외장재(6)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7)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부(1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부(12)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비스 구멍(110) 또는 제 2 비스 구멍(120)의 어느 한쪽에 비스를 삽입하여 고정 금구(1)를 하지용 판재(5)에 고정하였을 때, 제 1 기판부(11)의 상단(111)과 제 2 기판부(12)의 하단(121)을 하지용 판재(5)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 2 기판부(12)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31) 및 하판 결합부(132)는 확실하게 하지용 판재(5)의 전면 부근에 보유된다.
그 때문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 결합부(131) 또는 하판 결합부(132)에 걸어 고정된 장식용 외장재(6)의 하변 및 상변을 확실하게 하지용 팬재(5)의 전면 부근에 보유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6)로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7)의 의장면(60)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 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7)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비스 구멍(110)에 비스(2)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5)에 고정 금구(1)를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금구(1)에 걸어 고정된 장식용 외장재(6)의 상변 또는 하변에 의해서 제 2 기판부(12)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기판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기판부(11)가 제 2 기판부(12)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기판부(12)가 제 1 기판부(11)에 대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기판부(12)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제 2 기판부(12)의 하단(121)이 전방으로 떠오르는 형으로 굴곡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제 1 비스 구멍(110)에 비스(2)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5)에 고정 금구(1)를 고정한 경우라도,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기판부(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부(11)와 제 2 기판부(12)의 사이에 걸쳐 상하 방향에 형성된 리브(15)를 갖기 때문에, 보다 한층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7)를 얻을 수 있다. 즉, 리브(15)에 의해서 기판부(10)의 상하 방향의 굴곡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고정 금구(1)에 의해서 장식용 외장재(6)를 지지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기판부(11)와 제 2 기판부(12)가 이루는 각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2 기판부(12)의 하단(121)이 전방으로 들뜨는 형으로 굴곡하는 것을 충 분히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한층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7)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 금구(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부(10)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스프링부(14)를 갖고, 상기 스프링부(14)는 전방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 장식용 외장재(6)의 이면측(61)에 접촉함으로써 장식용 외장재(6)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로써,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의 전후 위치를 일정한 위치에 가지런하게 맞출 수 있고, 보다 한층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7)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14)에 의해서 장식용 외장재(6)가 전방으로 가압됨으로써, 결합홈(600)의 후면(601)이 고정 금구(1)의 상판 결합부(131) 또는 하판 결합부(132)에 접촉한다. 그리고,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과 결합홈(600)의 후면(601) 사이의 전후 위치 관계는 인접하는 장식용 외장재(6)의 사이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장식용 외장재(6)끼리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의 전후 위치가 가지런하게 맞추어진다.
여기에서, 결합홈(600)의 형성 위치나 의장면(60)의 형성 위치는 장식용 외장재(6)의 이면측(61)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장식용 외장재(6)의 휘어짐 변형이나 두께 불균일함 등에 의해 인접하는 장식용 외장재(6)끼리의 사이에서 의장면(60)의 전후 위치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14)에 의해서 결합홈(600)의 후면(601)이 기준이 되도록 함으로써 의장면(60)의 전후 위치를 가지런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4)가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고정 금구(1)에 장식용 외장재(6)를 보다 확실히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예에 의하면,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면을 구축할 수 있는 고정 금구, 및 이것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본 예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부(10)의 상단(111) 및 하단(121)이 기판부(10)의 다른 부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기판부(10)가 상하 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는 고정 금구(1)의 예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기판부(10)의 상단(111) 및 하단(121)은 기판부(10)에 있어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보다도 0.5 내지 1.5 mm 정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예의 경우에는, 기판부(10)가, 상기와 같은 만곡하고 있는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6)로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7)의 의장면(60)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7)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비스 구멍(110)에 비스(2)를 삽입하여 하지용 판재(5)에 고정 금구(1)를 고정한 경우라도,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에 불균일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비교예)
본 비교예는,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비스 구멍(810)을 설치한 제 1 기판부(81)와 제 2 비스 구멍(820)을 설치한 제 2 기판부(82)가 서로 경사지지 않고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고정 금구(80)의 예이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예의 고정 금구(80)를 사용하여 장식용 외장재(6)를 하지용 판재(5)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시공의 방법이나 하지용 판재(5)의 상태에 따라서는 고정 금구(80)의 상단 및 하단을 하지용 판재(5)의 전면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판 결합부(831) 또는 하판 결합부(832)에 걸어 고정된 장식용 외장재(6)의 하변 또는 상변이 하지용 판재(5)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들뜨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83)로부터 먼쪽의 제 1 비스 구멍(810)에 비스(2)를 삽입하여 고정 금구(80)를 하지용 판재(5)에 고정하는 경우, 고정 금구(80)의 상판 결합부(831) 및 하판 결합부(832)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면, 제 2 기판부(82)의 하단(821)이 전방으로 떠오르는 상태가 되는 것도 생각된다. 그 결과, 장식용 외장재(6)의 상변이나 하변이 전방으로 떠올라 버릴 우려가 있다.
이로써,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장식용 외장재(6)끼리의 의장면(60)의 전후 위치가 가지런하지 않아서 불균일함이 생기기 때문에, 외벽 시공 구조(8)의 외관 의장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외벽 시공 구조(7)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용 외장재(6)의 의장면(60)의 전후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면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용 외장재의 고정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외벽면을 구축할 수 있는 고정 금구 및 외벽면 구조가 제공된다.

Claims (7)

  1.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를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금구로서,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기 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하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부 중 상기 지지부로부터 먼쪽의 상기 제 1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1 기판부와 상기 지지부에 가까운쪽의 상기 제 2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2 기판부는 서로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제 2 기판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금구.
  2.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복수의 장 식용 외장재를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를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금구로서,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기 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하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기판부의 상단 및 하단이 다른 부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금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금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하 방향에 형성된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금구.
  5.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와, 상기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고정한 복수의 고정 금구와,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시켜진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서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는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는 하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부 중 상기 지지부로부터 먼쪽의 상기 제 1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1 기판부와 상기 지지부에 가까운쪽의 상기 제 2 비스 구멍이 형성된 제 2 기판부는 서로 둔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제 2 기판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제 1 비스 구멍과 상기 제 2 비스 구멍의 어느 하나에 비스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비스를 상기 하지용 판재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6.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지용 판재와, 상기 하지용 판재의 전면에 고정한 복수의 고정 금구와,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서 상기 하지용 판재에 고정된 복수의 장식용 외장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하지용 판재에 후면을 접촉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져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여 상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하변을 걸어 고정하는 상판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하측의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상변을 걸어 고정하는 하판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비스 구멍 및 제 2 비스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기판부의 상단 및 하단이 다른 부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외장재는 그의 상변 및 하변에 상기 상판 결합부 및 상기 하판 결합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의장면과 상기 결합홈의 후면 사이의 전후 위치 관계는 인접하는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사이에서 동일하며,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기판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부는 전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장식용 외장재의 이면측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장식용 외장재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KR1020060104122A 2006-10-25 2006-10-25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KR20080037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122A KR20080037271A (ko) 2006-10-25 2006-10-25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122A KR20080037271A (ko) 2006-10-25 2006-10-25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71A true KR20080037271A (ko) 2008-04-30

Family

ID=3957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122A KR20080037271A (ko) 2006-10-25 2006-10-25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72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13Y1 (ko) * 2010-04-09 2010-08-31 주식회사 아이앤맥스 석재 외장재용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651409B1 (ko) * 2015-05-19 2016-08-26 이남희 벽체용 판넬 조립체, 벽체용 판넬 고정클립, 및 벽체용 판넬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13Y1 (ko) * 2010-04-09 2010-08-31 주식회사 아이앤맥스 석재 외장재용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651409B1 (ko) * 2015-05-19 2016-08-26 이남희 벽체용 판넬 조립체, 벽체용 판넬 고정클립, 및 벽체용 판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881B1 (ko) 베이스 금속구 및 외벽 시공 구조
KR100738829B1 (ko)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KR20130002261A (ko) 외벽판의 가로 어긋남 방지 금구 및 이것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
CA2597186A1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80037271A (ko)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CN107338931B (zh) 墙板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101058169B1 (ko) 돔커버 지지대
CN102466209B (zh) 一种支架及照明装置的侧壁式安装结构
CN210507848U (zh) 变形缝预埋组装式盖板结构
KR20041407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US6883886B2 (en) Drawer guide
CA2579852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CN219298561U (zh) 一种吊顶装饰型材
JP2003147937A (ja) 壁用パネル状材の取付金具
CN110259048B (zh) 一种金属板装饰线条结构
KR200395082Y1 (ko) 진열장의 받침대 구조
WO2018135022A1 (ja) 据付板
JP4619678B2 (ja) 配線・配管材の支持具
CN217998709U (zh) 一种实心易安装长城板
EP4183293B1 (en) Support device for furniture shelves and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KR102538764B1 (ko) 철재가구용 연결구 제조방법
CN216007597U (zh) 一种骨架
CN219446901U (zh) 集成式内饰连接件及车辆
CN207597764U (zh) 一种可横向和纵向弯曲的卡扣装饰条
JP4881713B2 (ja) 桟材の取付け具、及び床用断熱材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15

Effective date: 2008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