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196A -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196A
KR20080035196A KR1020060101529A KR20060101529A KR20080035196A KR 20080035196 A KR20080035196 A KR 20080035196A KR 1020060101529 A KR1020060101529 A KR 1020060101529A KR 20060101529 A KR20060101529 A KR 20060101529A KR 20080035196 A KR20080035196 A KR 2008003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multimedia
unit
service
multimedia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523B1 (ko
Inventor
김종부
김근도
Original Assignee
김종부
김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부, 김근도 filed Critical 김종부
Priority to KR102006010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523B1/ko
Priority to PCT/KR2007/005100 priority patent/WO2008048051A1/en
Publication of KR2008003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중에 서비스 주파수대 권역이 변경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하는 권역 주파수대로 변경됨으로써, 현재 위치하는 권역에서 서비스되는 방송이나 채널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대를 선국하고 필터링을 수행하여 수신하는 튜너와,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 주파수대에 의한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서비스 불 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키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MB, 주파수, 권역

Description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DMB reciever changeable service frequency}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주파수 전국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안테나 10 : 제1 저장부
20 : 튜너 30 : 디코딩부
40 : 오디오처리부 50 : 비디오프로세싱/그래픽처리부
60 : 주제어부 70 : 표시부(LCD)
80 : 제2 저장부 90 : 수신신호 감지부
95 : GPS 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중에 서비스 주파수대 권역이 변경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하는 권역 주파수대로 변경됨으로써, 현재 위치하는 권역에서 서비스되는 방송이나 채널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는 고품질의 음성(라디오)과 영상서비스(TV)를 이동하면서도 즐길 수 있는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이다. 라디오의 디지털화를 위해서 추진되다가 오디오용으로 380kbps정도의 속도의 처리까지 기능했지만 그 이상의 부가 데이터 처리도 가능했기 때문에 동영상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의 일부 자동차에 TV수신기를 설치할 수 있었지만 전파수신율이 좋지 않아 지지직 거린다던가 끊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현재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이동 티브이(TV)의 일종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상업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DMB는 끊기지 않으면서도 고화질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휴대폰으로도 DMB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크게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일 반 TV처럼 송신소에서 발사한 전파를 잡아 시청하는 것이고,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위성을 통해 전국에 전파를 뿌려주는 방법이다.
상기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뛰어난 이동수신 특성으로 음악, 문자, 동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소형 TV, PDA 등 휴대용 단말을 통해 전달하는 것으로, 디지털 지상파 TV 방송과 보완적 관계를 구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결합된 서비스를 통해 획기적인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위성을 통해 고정, 이동, 휴대용 수신기에 오디오와 부가 데이터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품질의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저비용으로 제공하고, 위성을 이용함으로써 넓은 지역을 커버해서 기존 방송의 가청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상기 지상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차이는 일반 TV방송과 위성 TV방송의 차이점과 동일하다. 즉, 지상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돈을 내지 않고 볼 수 있지만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위성 사용료 때문에 어느 정도의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채널이 수십 개인 반면 지상파는 채널수가 위성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보다는 현재 작은 채널의 수가 방송되고 있지만 점차 채널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현재 기술 진행에 따르면 집에서는 HD TV로 고화질의 방송을 즐기고, 이동중 다시말해 차를 타고 갈때나 핸드폰 또는 PDA로 방송을 볼때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방송은 방송국에서 제작된 영상 및 음성 신호 등을 송신 지구국을 통하여 발사하고 정지궤도 위성인 인공위성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먼곳에 있는 수신 지구국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지상 디지털 방송 지국에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위성으로 신호가 전송되고 전송된 신호는 위성에서 수신되어 2GHz~4GHz의 S-밴드를 통해 다운스트림된다. 한편, 지상파 방송은 방송국에서 제작된 영상 및 음성 신호 등을 중계기로 전달하고, 이 전달된 영상 신호 등은 UHF 또는 VHF 또는 L-밴드를 통하여 다운스트림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신호는 이동 및 고정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또는 향후 한국에서의 DMB 방송은 권역별로 주파수가 다르게 배치된다. 즉, 한국에서 서비스되는 지상파 DMB의 주파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파수 배치 계획은 도 2에 첨부된 바와 같이 구분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될 예정이다.
따라서, 이동 환경 중에 주파수가 다른 타 권역으로 이동할 경우, 수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가 변경되므로 주파수가 달라진 타지역에서는 현재 주파수로서는 서비스가 되지 않게 된다.
결국, 이동 환경 중에 주파수가 다른 타 지역으로 넘어갈 경우 지상파 DMB 수신기는 그 지역에서 서비스되는 방송이나 채널로 자동적으로 넘어가거나 수동적 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이에 대하여 구체적인 제안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이동 중에 서비스 주파수대 권역이 변경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하는 권역 주파수대로 변경됨으로써, 현재 위치하는 권역에서 서비스되는 방송이나 채널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대를 선국하고 필터링을 수행하여 수신하는 튜너와,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 주파수대에 의한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키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는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보다 더 작은 경우에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서비스 지역 이탈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대를 선국하고 필터링을 수행하여 수신하는 튜너와, 상기 선국된 주 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산출해 내고, 상기 산출된 위치 값을 출력하는 GPS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GPS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인지 판단하여,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이 아닌 경우에는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GPS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인지 판단하여,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서비스 주파수 권역 이탈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GPS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인지 판단하여,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이 아닌 경우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에 따라 지도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디코딩하여 내부에 구비된 스피커,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연결되는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를 듣거나,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후술되는 주제어부(60)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전체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 1 저장부(1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5)와, 상기 주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선국신호에 응하여 선국된 주파수를 수신하는 튜너(20)와, 상기 주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포맷 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30)와, 상기 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40)와, 상기 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와, 상기 주 제어부(6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70)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에 의해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80)와, 상기 안테나(5)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 주파수대에 의한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90)와, 주파수 선국신호를 상기 튜너(20)로 출력하고, 상기 튜너(20)에 의해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저장부(10)에 저장된 운용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로부터 출력되는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키는 주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에 의해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포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는 USB port로서, 상기 DMB 수신기는 USB port를 통해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USB port 이외에 고속 으로 디지털 동영상 처리를 위해 출력하는 제 2 포트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제 2 포트는 RS1394 port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부(80)는 하드디스크, 플래시메모리, 외부저장매체 및 각종 저장매체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저장부(80)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저장장치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갖고 있는 사용자는 원하는 주파수대 또는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주파수대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주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키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선국신호를 상기 튜너(20)로 출력한다. 상기 주파수 선국신호는 상기 주파수대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때, 상기 신호는 DAB 방식에 따라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MPEG4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가 소정 방식에 따라 합성, 처리된 신호이다.
그러면 상기 튜너(20)는 안테나(5)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상기 주제어부(60)의 주파수 선국신호에 해당되는 채널의 신호만 수신받아 디코딩부(30)로 출력한다. 한편, 안테나(5)를 통해 상기 튜너(20)로 입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수신신호 감지부(90)에 의하여 수신신호의 크기가 감지된다.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는 상기 안테나(5)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에 의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크기가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이유 는 최초 사용자에 의하여 선국된 현 서비스 주파수대가 현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적용되는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즉, 권역별로 서비스 주파수대가 다르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이동 중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선국된 주파수대가 현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는 권역에서는 서비스되지 못하는 주파수대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최초 선국된 주파수대로 서비스할 수 있는 지역에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이탈하는지를 감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는 최초 선국된 현 주파수대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서비스할 수 없다고 판단이 되면, 현 주파수대에 의한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부(60)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가 현 주파수대로 서비스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방법은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크기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보다 더 작은 경우에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판단하고, 그렇치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판단한다. 상기 사전에 설정된 크기는 권역 이동에 따라 수신 신호의 감쇄 추이를 실험에 의하여 살펴보고 결정될 수 있는 데이터이다.
한편, 디코딩부(30)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채널, 동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부(40)로 출력하고, 동영상 데이터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MPEG 1 Layer 2 혹은 MPEG 2 Layer 2나 AC(Advanced Audio Coding)에 의해 엔코딩되며, WMA(Widow Media Audio)에 의해 엔코딩되며, 상기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디코딩부(30)는 상기 튜너(2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로부터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분리시켜 상기 오디오처리부(40), 비디오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로 출력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디코딩부(30)는 DAB 규격에 부응하여 먹싱(Muxing)된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 디지털 동영상신호 및 디지털 부가데이터 신호등으로 분리시킨 후 각각의 처리블록으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오디오 처리부(4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의 L, R port로 각각 출력시킨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는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표시부(70), 즉 LCD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한다. 물론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에 구비된 USB port 또는 RS1394 port로 동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USB port는 컴퓨터 시스템이 연결되어 수신된 동영상을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시켜 둔 후, 추후에 다시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는 오디오 처리부(40)는 별도로 오디오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USB port, RS1394 port 및 제 2 저장부(80)로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RS1394 port는 USB port로는 지원할 수 없는 고속의 디지털 동영 상 처리를 수행하고자 할 때 그에 해당되는 처리시스템이 연결되는 포트이다.
한편, 상기 주제어부(6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입력되는 저장 키신호에 응하여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를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는 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제 2 저장부(80)에 저장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디코딩부(30) 및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는 MEPG-4에 의해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나, 상기 MEPG-4 이외에 다른 종류의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오디오 데이터는 MEPG-4 동영상과 맞물리는 AAC(Advanced Audio Coding)에 의해 엔코딩된 상태이거나 BSAC(Bit Slice Arithmethic)코딩으로 엔코딩된 상태이다. 즉 상기 AAC 혹은 BSAC는 현존하는 오디오 코딩 중에 압축 및 음질이 가장 좋다.
한편, 상기 주제어부(60)는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로부터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현 위치에서는 최초 선국된 주파수대로 서비스받을 수 없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비디오프로세싱/그래픽처리부(50)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LCD)(70)로 서비스 지역 이탈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이와 같은 메시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후술할 주파수 검색 모드가 수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주제어부(60)가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권역의 서비스 주파수를 찾아 상기 튜너(20)를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주제어부(6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킨다. 상기 자동 또는 수동 검색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사전에 구비되는 키 입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전 키 입력에 따라 사전에 자동 검색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로부터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입력받은 주제어부(60)는 별도의 키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자동으로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킨다. 반면, 사전 키 입력에 따라 사전에 수동 검색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90)로부터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입력받은 주제어부(60)는 별도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킨다.
상기와 같은 주제어부(6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현재 위치하는 권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대의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대부분 유 사하다. 다만, 도 3의 수신신호 감지부(90)가 없고 GPS 처리부(95)가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라 주제어부(60)의 동작 기능도 달라진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네비게이션 기능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체 구성에 GPS 처리부(95)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 중, 상기 GPS 처리부(95)를 제외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사항 또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기능과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후술되는 주제어부(60)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전체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 1 저장부(1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5)와, 상기 주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선국신호에 응하여 선국된 주파수를 수신하는 튜너(20)와, 상기 주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30)와, 상기 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40)와, 상기 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와, 상기 주 제어부(6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70)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50)에 의해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80)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위치 값을 상기 주제어부(60)로 출력하는 GPS 처리부(95)와, 주파수 선국신호를 상기 튜너(20)로 출력하고, 상기 튜너(20)에 의해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저장부(10)에 저장된 운용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GPS 처리부(95)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위치가 최초 세팅된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인지를 판단하여,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이 아닌 경우에는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키는 주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요소 중, 안테나, 튜너, 디코딩부, 오디오 처리부, 비디오프로세싱/그래픽처리부 등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GPS 처리부(95)와 주제어부(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GPS 처리부(95)는 GPS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GPS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위치 값을 산출하여 상기 주제어부(60)에 출력한다.
상기 GPS 처리부(95)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위치 값을 입력받은 상기 주제어부(60)는 상기 제1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맵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위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안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대로 서비스를 유지하고, 상기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권역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현 위치에서는 최초 선국된 주파수대로 서비스받을 수 없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비디오프로세싱/그래픽처리부(50)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LCD)(70)로 서비스 주파수 권역 이탈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이와 같은 메시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후술할 주파수 검색 모드가 수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주제어부(60)가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권역의 서비스 주파수를 찾아 상기 튜너(20)를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주제어부(6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킨다. 상기 자동 또는 수동 검색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사전에 구비되는 키 입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전 키 입력에 따라 사전에 자동 검색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주제어부(60)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권역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제어부(60)는 별도의 키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자동으로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킨다. 반면, 사전 키 입력에 따라 사전에 수동 검색 모 드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권역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상기 주제어부(60)는 별도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저장수단(제1 저장부(10))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들을 검색하여 상기 튜너(20)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킨다.
상기와 같은 주제어부(6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현재 위치하는 권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대의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의하면, 이동 중에 서비스 주파수대 권역이 변경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하는 권역 주파수대로 변경되기 때문에, 현재 위치하는 권역에서 서비스되는 방송이나 채널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대를 선국하고 필터링을 수행하여 수신하는 튜너와;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 주파수대에 의한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시키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대를 선국하고 필터링을 수행하여 수신하는 튜너와;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동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그래픽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산출해 내고, 상기 산출된 위치 값을 출력하는 GPS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GPS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신기의 위치 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인지 판단하여,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이 아닌 경우에는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는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보다 더 작은 경우에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불가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서비스 지역 이탈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 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GPS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인지 판단하여,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서비스 주파수 권역 이탈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GPS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신기의 위치가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인지 판단하여, 현재 서비스 주파수 권역이 아닌 경우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서비스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튜너의 선국 주파수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에 따라 지도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1020060101529A 2006-10-18 2006-10-18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10084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29A KR100845523B1 (ko) 2006-10-18 2006-10-18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PCT/KR2007/005100 WO2008048051A1 (en) 2006-10-18 2007-10-18 Dmb receiver for changing service frequ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29A KR100845523B1 (ko) 2006-10-18 2006-10-18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196A true KR20080035196A (ko) 2008-04-23
KR100845523B1 KR100845523B1 (ko) 2008-07-10

Family

ID=3931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529A KR100845523B1 (ko) 2006-10-18 2006-10-18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5523B1 (ko)
WO (1) WO20080480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83B1 (ko) * 2012-02-28 2014-03-27 주식회사 텔레칩스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78155A (zh) * 2009-12-29 2010-07-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在移动终端中开启及关闭电视的方法、系统和移动终端
CN104768041A (zh) * 2015-04-23 2015-07-08 成都中兢伟奇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民用生活的车载电视转播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1717A (ja) 1998-05-15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受信装置
JP3899675B2 (ja) * 1998-05-20 2007-03-28 ソニー株式会社 放送信号受信装置
EP1071221B1 (en) * 1999-07-23 2006-08-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radio receiver
JP2005026769A (ja)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地上波デ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及び地上波デジタル放送の受信方法
KR100595208B1 (ko) * 2004-03-1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수신기 및 소비 전력 절감 방법
JP3852706B2 (ja) * 2004-06-25 2006-12-06 船井電機株式会社 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83B1 (ko) * 2012-02-28 2014-03-27 주식회사 텔레칩스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48051A1 (en) 2008-04-24
KR100845523B1 (ko)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5716A2 (en) Multichannel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DMB-enabled mobile phone
KR100744332B1 (ko) 약전계 구간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및 방법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JP5398998B2 (ja) 放送波受信端末装置及び放送番組選定方法
KR100770457B1 (ko) 교통정보 수신/출력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 및 그처리방법
KR100845523B1 (ko) 서비스 주파수 변경 기능을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100810238B1 (ko)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듀얼 튜너를 이용하여수신기능을 향상시키는 dmb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77684B1 (ko) 방송신호와 교통정보를 함께 방송하는 dmb 수신기 및 그처리방법
KR100698753B1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및 예약 저장 방법
KR100857520B1 (ko) 복합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50052859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JP2009159212A (ja) 携帯型放送受信装置
KR20070006518A (ko) 무선 단말의 복수채널신호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KR10070646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100602497B1 (ko) Dmb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수신처리 방법
KR20060105186A (ko)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US20060269059A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channel managing method of the same
KR100718417B1 (ko) Dmb 수신기에서 gps 위치정보와 ti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자동채널 설정방법
KR100921010B1 (ko)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 채널 검색 방법및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 수신기,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50057B1 (ko) 디엠비 채널 자동변경되는 이동형 영상기기 및 그의 디엠비채널 자동변경방법
KR101378783B1 (ko)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77065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휴대기기 및 그 수신 방법
KR100811056B1 (ko) Mp3 방송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dmb 수신기 및그 처리방법
KR100739738B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