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591A -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591A
KR20080034591A KR1020060100736A KR20060100736A KR20080034591A KR 20080034591 A KR20080034591 A KR 20080034591A KR 1020060100736 A KR1020060100736 A KR 1020060100736A KR 20060100736 A KR20060100736 A KR 20060100736A KR 20080034591 A KR20080034591 A KR 2008003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ata
broadcast
command signal
quick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4591A/ko
Publication of KR2008003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급증하는 현실에서, 수많은 데이터 방송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없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채널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source)를 표시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맵핑(mapping) 시켜서 저장하는 단계와,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quick search)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을 용이하게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60100736
데이터 방송, 퀵 서치(quick search)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The broadcasting receiver for searching a certain data broadcasting quickly,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리모컨을 예시한 도면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특정 데이터 방송에 대한 북마크를 설정하는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특정 데이터 방송에 대한 북마크를 설정하는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 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 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다른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특정 데이터 방송으로 이동하는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방송 수신기 201:튜너부
202:역다중화부 203:오디오 버퍼
204:비디오 버퍼 205:데이터 버퍼
206:MPEG 디코더부 207:신호 합성부
208:시스템 제어부 209:OSD 생성부
210:메모리부 211:사용자 입력부
212:데이터 방송의 소스 맵핑부 213: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TV 방송 환경은, 오디오와 비디오 정보로 구성된 형태였으나, 최근 디지털 TV 환경에서는 오디오와 비디오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거나, 또는 독자적으로 데이터 방송 서비스만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이러한 데이터 정보가 실린 방송에 대하여, 전세계적으로 몇몇 데이터 방송 규격들이 제정되었고, 상기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TV 및 셋탑박스(Set Top Box) 등이 상용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중 하나인 BML을 이용하여, BS, CS 위성 및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 데이터 방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컨텐트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채널에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 준비 중에 있으며, 점점 더 다양한 뎁스(depth)의 콘텐츠가 서비스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 째, 종래에는 사용자가 과거 시청하던 데이터 방송의 특정 뎁스(depth)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이 출력되던 채널 및 뎁스를 모두 기억하여, 직접 검색해야 하는 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이 증가하고, 다양한 데이터 방송이 제공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사용자가 어떤 채널에서, 어떤 데이터 방송이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모두 기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둘 째, 종래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의 채널과 정확한 뎁스(depth)까지 메모리 하였다가, 상기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경우 상기 메모리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없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 검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과거 시청하던 데이터 방송의 페이지(page)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 목록을 메모리 하였다가, 추후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의 검색 및 선택이 용이한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채널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source)를 표시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맵핑(mapping) 시켜서 저장하는 단계와,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quick search)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채널 로 튜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를 표시하는 URL 주소와, 그리고 상기 URL 주소에 링크(link)된 제목 정보를 맵핑 시켜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된 한개 이상의 제목 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리스트에서, 특정 제목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목 정보에 맵핑된 채널로 튜닝하고,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된 한개 이상의 제목 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을 장르별로 그룹핑(grouping)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서, 특정 제목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목 정보에 맵핑된 채널로 튜닝하고,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튜닝하는 시점에,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상위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느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의 수신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임의의 채널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부와,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source)를 표시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맵핑(mapping) 시켜서 저장하는 저장부와, 그리고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quick search)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채널로 튜닝시키고, 상기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를 표시하는 URL 주소와, 그리고 상기 URL 주소에 링크된 제목 정보를 맵핑 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한개 이상의 제목 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리스트에서, 특정 제목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목 정보에 맵핑된 채널로 튜닝하고,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이 장르별로 그룹핑(grouping)된 리 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TV, DTV(Digital TV),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핸드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을 용이하게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은, XML, HTML, BML 등과 같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통해 표현된 데이터 방송의 페이지(page)를 데이터 또는 옵젝트 캐러셀(data or object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만들고, 이를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 받은 방송 수신기는, 이를 디코딩하여 다시 마크업 언어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렇게 표현된 데이터 방송 페이지를 통해 각종 컨텐츠 및 정보를 획득하고, 서브(sub) 기기 등과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방송 규격 작업은, 미국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와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외에 미국 컴퓨터 회사를 중심으로 설립된 ATVEF(Advanced TV Enhancement Forum), 일본의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에서도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현재 상용화 되어 서비스 되는 데이터 방송 규격 으로는 Canal+의 MediaHighway와, OpenTV사의 OpenTV 방식 등이 있다.
우리나라도 잠정표준 규격으로서 지상파 방송에서는 ATSC-DASE, 위성방송에서는 DVB-MHP 방식을 채택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기수신한 데이터 방송의 URL 주소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페이지를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설계함에 일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200)는, 튜너부(201), 역다중화부(202), 오디오 버퍼(203), 비디오 버퍼(204), 데이터 버퍼(205), MPEG 디코더부(206), 신호 합성부(207), 시스템 제어부(208), OSD 생성부(209), 메모리부(210), 사용자 입력부(211), 데이터 방송의 소스 맵핑부(212), 그리고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맵핑부(212)와,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 및 상기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209)를 부가함에 일특징이 존재한다.
상기 방송 수신기(200)는, 예를 들어 TV, DTV 등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은, A/V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 방송 전용 채널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튜너부(201)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동조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경우에 따라 복수개의 튜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부(202)는,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다중화된 각 서비스들을 통해 수신되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로 파싱(parsing)한다.
상기 오디오 버퍼(203), 비디오 버퍼(204), 그리고 데이터 버퍼(205)는, 상기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를 각각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MPEG 디코더부(206)는, 상기 임시 저장된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복원 출력시킨다.
상기 OSD 생성부(209)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방송 정보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OSD 영상을 생성, 출력한다.
상기 신호 합성부(207)는, 상기 MPEG 디코더부(206)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OSD 영상을 신호 합성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208)는, 상기 방송 수신기(200)의 각 구성 블록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210)는, 상기 제어 등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211)는, 사용자 측으로부터 인가 받은 명령 신 호를 상기 방송 수신기(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예를 들어 리모컨 이나 상기 방송 수신기(200)에 부착된 로컬키 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맵핑부(212),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 및 OSD 생성부(209) 등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시청중이던 데이터 방송이 맘에 드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211)의 특정 버튼을 눌러서, 북마크(book mark)를 설정한다.
이 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208) 등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맵핑부(212)는, 현재 출력 중이던 데이터 방송의 채널 번호와, URL 주소를 맵핑시켜서,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에 저장시킨다.
물론,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는, 상기 메모리부(210)에 함께 구현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HD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추후에 다른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과거 북마크를 설정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특정 버튼(예를 들어, 데이터 방송 퀵 서치 버튼 등등)을 누르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208)는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에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채널 번호와, URL 주소를 불러 와서 상기 튜너부(201) 등을 제어하는 바, 직전 북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의 페이지를 완벽하게 시청할 수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북마크를 설정한 데이터 방송이 한개인 경우, 적용될 수 있는 문제인 바, 북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이 1개 이상인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특정 데이터 방송에 대한 북마크를 설정하는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특정 데이터 방송에 대한 북마크를 설정하는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 방송에 대한 북마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너부(201) 등을 통해, 데이터 방송이 수신된다(S401).
상기 시스템 제어부(208)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에 대하여, 북마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
다만, 상기 S402 단계는, 도 4b와 같은 UI(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 등을 통해 인가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특정 데이터 방송에 대하여 북마크를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S402), 현재 출력되는 데이터 방송에 대하여 북마크가 설정된 경우, 현재 채널 정보를 저장한다(S403).
상기 현재 채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방송의 페이지의 소스를 표시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저장한다(S404).
상기 URL 주소는, 인터넷 등에서 파일, 뉴스그룹과 같은 각종 자원을 표시하기 위한 표준화된 논리 주소를 의미한다. 사용할 프로토콜(http, ftp 등), 주 컴퓨터의 이름과 주소,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 위치, 파일 이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RL 주소에 링크된 제목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S405).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당해 실시예에서는 제목 정보도 함께 저장하여 복수개의 데이터 방송을 저장시, 이들을 구별할 수 있는 인덱스로 사용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다른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 방송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208)는, 북마크 등록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
다만, 상기 명령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11) 등을 통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S501),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시스템 제어부(S208)는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에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리스트를 검색한다(S502).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208)는, 상기 OSD 생성부(209) 등을 제어하여, 검색된 데이터 방송의 제목 정보 등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S503). 이 때, 도 5b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방송의 경우에도, 게임, 날씨, 증권, 뉴스 등의 장르가 구별되어 있고, 데이터 방송 수신시 이와 같은 장르 정보도 전송되는 바,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맵핑부(212)는, 채널 번호, URL 주소, 제목 정보 뿐만 아니라, 장르 정보도 함께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에 저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S503 단계를 실행함에 있어서, 도 5b와 같이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을 물론이거니와, 도 5c와 같이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들을 장르별로 구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특정 데이터 방송으로 이동하는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측에서, 북마크가 설정된 특정 데이터 방송의 페이지(page)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b 또는 도 5c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방송 리스트에서, 특정 데이터 방송을 선택한다(S601).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 저장부(213) 등에 저장된 DB(DataBase)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 방송의 채널로 튜닝(tuning)된다(S602).
상기 튜닝된 데이터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파싱한다(S603).
기저장되어 있던, URL 주소를 자동으로 검색해 나간다(S604).
상기 검색된 URL 주소가, 현시점에도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5).
이와 같이 판단하는 이유는, URL 주소가 변경되었거나, 폐쇄되었거나, 서비스를 중지한 경우를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URL 주소가 변경 등이 되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일특징이다.
상기 판단 결과(S605), 상기 검색된 URL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URL 주소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구성한다(S606).
상기 구성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607).
상기 판단 결과(S605), 상기 검색된 URL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상위 주소의 콘텐츠로 이동한다(S608). 물론, 차상위 주소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다음 차상위 주소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된 콘텐츠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609).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과거 시청하던 데이터 방송의 페이지(page)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 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 목록을 메모리 하였다가, 추후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의 검색 및 선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에는 어떤 특정 채널에서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었다고 가정해 보겠다. 상기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무심코 TV를 오프(off)시키거나, 다른 채널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그 채널을 기억하지 못한다면, 수많은 데이터 방송과, 수많은 뎁스(depth)의 페이 지(page)들을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채널 기준의 동작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방송의 URL 주소를 기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의 뎁스(depth)로 바로 이동 가능한 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방송의 채널 및 구체적인 페이지를 찾기 위해 하나하나씩 뎁스(depth)를 찾아 다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유의 장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도 대폭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채널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source)를 표시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맵핑(mapping) 시켜서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quick search)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를 표시하는 URL 주소와, 그리고 상기 URL 주소에 링크(link)된 제목 정보를 맵핑 시켜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된 한개 이상의 제목 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리스트에서, 특정 제목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목 정보에 맵핑된 채널로 튜닝하고,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된 한개 이상의 제목 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을 장르별로 그룹핑(grouping)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서, 특정 제목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목 정보에 맵핑된 채널로 튜닝하고,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튜닝하는 시점에,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상위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느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5. 데이터 방송의 수신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임의의 채널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부;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source)를 표시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맵핑(mapping) 시켜서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quick search)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방송의 채널로 튜닝시키고, 상기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과 상기 데이터 방송의 소스를 표시하는 URL 주소와, 그리고 상기 URL 주소에 링크된 제목 정보를 맵핑 시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한개 이상의 제목 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리스트에서, 특정 제목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목 정보에 맵핑된 채널로 튜닝하고, 상기 튜닝된 채널에 맵핑된 URL 주소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이 장르별로 그룹핑(grouping)된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TV, DTV(Digital TV),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핸드폰 중 적 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KR1020060100736A 2006-10-17 2006-10-17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KR20080034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36A KR20080034591A (ko) 2006-10-17 2006-10-17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36A KR20080034591A (ko) 2006-10-17 2006-10-17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591A true KR20080034591A (ko) 2008-04-22

Family

ID=3957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36A KR20080034591A (ko) 2006-10-17 2006-10-17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45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35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604572B1 (ko) 텔레비젼 수신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EP15035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on digital tv
KR20070028652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40074342A (ko) 디지털 티브이용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에서이티티정보 존재여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171872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수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070013788A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정렬 방법
JP200408074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これを含んだシステム
EP1874049A2 (en) Method of controlling a television receiver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EP195403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PG
JP515650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569441B2 (ja) 類似番組検索装置、類似番組検索方法および類似番組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1422010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KR20070074246A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88701B1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080034591A (ko) 데이터 방송의 퀵 서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JP2007116223A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20010045353A (ko) 폴더형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KR10042610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보조 모자이크 이피지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KR10042610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및디지털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
KR10061719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프로그램 방송 예정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100786430B1 (ko) 방송신호 녹화물의 방송국별 관리방법 및 그 방송수신장치
KR20070069282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20220164954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