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470A - 점도 및 미세도가 증가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도 및 미세도가 증가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470A
KR20080034470A KR1020087003706A KR20087003706A KR20080034470A KR 20080034470 A KR20080034470 A KR 20080034470A KR 1020087003706 A KR1020087003706 A KR 1020087003706A KR 20087003706 A KR20087003706 A KR 20087003706A KR 20080034470 A KR20080034470 A KR 2008003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ether
weight
sap
partially
m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459B1 (ko
Inventor
하르트비크 쉴레지게르
롤란트 바이엘
다니엘 아우리얼
쥐르겐 엥겔하르트
프란크 횔
에릭-안드레아스 클로르
아르네 헤닝 쿨
죄른-베른트 판네크
마르크 올리버 쉬미트
Original Assignee
다우 볼프 첼룰로직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볼프 첼룰로직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다우 볼프 첼룰로직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3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2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49Water-swell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1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26Cellulose ethers
    • C08J230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흡수성 중합체(SAP)를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와 함께 건조시키고 밀링시키거나 또는 밀링-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초흡수성 중합체,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 밀링, 건조

Description

점도 및 미세도가 증가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ETHER PRODUCTS WITH INCREASED VISCOSITY AND FINENESS}
본 발명은 초흡수성 중합체(SAP)를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와 함께 건조시키고 밀링시키거나 또는 밀링-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스 에테르는 우수한 성질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증점제, 접착제, 결합제, 분산제, 수분 보유제, 보호 콜로이드, 안정화제 뿐 아니라, 현탁화제, 에멀젼화제 및 필름화제로서 널리 사용된다.
셀룰로스 에테르는 셀룰로스를 알칼리성 분해시킨 후, 메틸 클로라이드,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와 같은 에테르화 시약으로 에테르화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합성된 조 셀룰로스 유도체가 산업적 용도에 유용하기 위해서는, 이는 세척되고, 치밀화되고, 밀링된 후 건조되어야만 한다.
수용액에서의 이의 점도는 셀룰로스 에테르의 가능한 산업적 용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수용액에서의 이의 점도는 이의 셀룰로스 분자의 쇄 길이에 의해 주로 결정되므로, 사용되는 원료에 의존한다.
임의의 주어진 원료에 있어서, 조성물의 점도 증가를 유발하는 제조 방법을 계속해서 요구해 왔다.
예를 들어, EP 0 384 046에는 선택된 밀의 유형이 수득되는 셀룰로스 에테르의 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셀룰로스 에테르와 다른 첨가제 또는 충전제를 조합함으로써 산업적 제제를 위한 특별한 성질을 달성할 수 있음이 주지되어 있다.
US 4487864는 폴리아크릴아미드-기재 SAP 및 셀룰로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를 사용함으로써 셀룰로스 에테르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타일 접착제 또는 석고와 같은 다양한 건축 구조 용품에서의 수분 보유도가 개선된다. 사용된 조성물은 개별 성분 분말의 블렌드이다. 이들은 0.05% 내지 50%의 SAP를 함유한다.
셀룰로스 에테르 및 SAP의 유사한 분말 브렌드와 벽지 접착제에서의 이의 용도가 DE 39 29 400에 기술되어 있다.
EP 0327351은 SAP가 폴리아크릴산에 기재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스 에테르 대 SAP의 비율은 3:1 내지 1:3 중량부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한 비율은 1:1이다. 사용되는 조성물은 개별 성분 분말의 블렌드이다.
논문 ["Highly effective thickening systems with cellulose ether combinations" Cellulosics: Chem., Biochem Mater. Aspects (1993), 325-330]은 MHEC와 SAP를 1:1 중량부의 비율로 동시에 사용시의 물의 점도에 대한 상승작용적 효과를 기술한다.
하지만, 상기 기술된 방법들은 일부 용도에서 요구되는 점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없다. 나아가, 상기 기술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미세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놀랍게도,
(a) 25 중량% 내지 75 중량% 범위의 수분 함량을 갖는 함수(water-moist) 셀룰로스 에테르를 건조 셀룰로스 에테르를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4 중량%의 미세분말 SAP와 혼합시켜 밀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밀베이스를 건조시키고 밀링시키거나 또는 밀링-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다음의 성질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을 제공함을 발견하였다.
● 종래 기술(분말 배합물)과 비교하여 물에서 보다 고점도이고/이거나
● 종래 기술(분말 배합물)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미세도를 가짐.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a) 셀룰로스 에테르,
(b) 건조 셀룰로스 에테르를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4 중량%의 SAP 및
(c) 선택적으로 추가 첨가제
를 포함하며, 이 때 첨가제 (b)는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내지 75 중량% 범위의 수분 함량을 갖는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 내로 분말의 형태로서 계량첨가되고 혼합되고 적절하게는 추가로 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조 셀룰로스 에테르의 세척 후에 존재하는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를 SAP와 혼합시키는데, 이 때 적절하게는 물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혼합을 통해 후속 작업 단계에 대한 이상적인 수분 함량으로 조정한다. 이 경우 SAP는 미세분말 형태로 첨가된다. 그 후 이처럼 첨가된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시키고 밀링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단일 단계(소위 밀링-건조 작업)로 행해진다.
사용되는 셀룰로스 에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의 메틸셀룰로스는 임의의 메틸-함유 셀룰로스 에테르, 예컨대 메틸셀룰로스 (MC),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MHEC),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 메틸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메틸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를 지칭한다.
셀룰로스 에테르의 알킬 치환도는 일반적으로 치환도(DS)로 기술되며, DS는 무수글루코스 단위(AGU) 당 치환된 OH 기의 평균수이다. 예를 들어, 메틸 치환도는 DS(메틸) 또는 DS(M)으로 보고된다.
히드록시알킬 치환도는 관례적으로 몰 치환도(MS)로 기술된다. MS는 무수글루코스 단위 몰 당 에테르 구조에 부착된 에테르화 시약의 몰의 평균수이다. 예를 들어, 에테르화 시약인 에틸렌 옥시드로의 에테르화는 MS(히드록시에틸) 또는 MS(HE)로 보고된다. 에테르화 시약인 프로필렌 옥시드의 에테르화는 상응하게 MS(히드록시프로필) 또는 MS(HP)로 보고된다.
측쇄 기는 자이젤 법(Zeisel method, 문헌 [G. Bartelmus and R. Ketterer, Z. Anal. Chem. 286 (1977) 161-190])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메틸 셀룰로스 또는 메틸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또는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가 가장 바람직한 메틸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이다.
메틸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의 경우에, DS(메틸)은 0.9 내지 3의 범위이고, MS(히드록시알킬)은 0.05 내지 1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DS(메틸)은 1.1 내지 1.8의 범위이고, MS(히드록시알킬)은 0.10 내지 0.7의 범위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DS(메틸)은 1.3 내지 1.6의 범위이고, MS(히드록시알킬)은 0.25 내지 0.50의 범위이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가 특히 사용된다.
세척 및 여과한 후, 셀룰로스 에테르의 제조에서 통상적으로 수득되는 함수 여과 케이크는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내지 75 중량%의 범위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45 중량% 내지 65 중량%의 범위의 수분 함량을 보유하는 함수 필터 케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건조 SAP 분말과 혼합시키며, 가능하다면, 블렌드 과립의 수분 함량을 조절할 수 있기 위해서 이러한 혼합 작업 전, 동안 또는 후에 추가적인 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물은 SAP가 혼합된 후에 첨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블렌드의 수분 함량(과립 수분 함량)은 통상적으로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내지 80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내지 75 중량%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내지 75 중량%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 초흡수성 중합체(SAP)는 물에서 팽윤성이지만 수불용성인 가교된 유기 중합체이다. 이들은 물에 의해 자신의 중량보다 수배로, 몇몇 경우에는, 자신의 중량의 수백배로 팽윤된다. SAP는 중합성 단량체의 소량의 가교제로의 유리 라디칼 공중합 과정에서 형성된 격자 구조를 갖는다.
적합한 SAP는 화학적인 용어로 가교되고 부분적 중화된 폴리아크릴산,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부분적) 가수분해물, (부분적) 중화된 전분-아크릴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부분적) 가수분해된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부분적)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이러한 가수분해물의 가교 생성물 및 가교된 양이온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교된 초흡수성 중합체는 다음의 단량체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함유할 수 있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술폰산, 스티렌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메트)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트)아크랄로일프로판술폰산 및 이들의 염. 추가로 (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4급염 및 비닐피롤리돈. 유용한 가교제에는 예를 들어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아민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초흡수성제에 대한 추가적 정보에 대해서는 책 ["Modern Superabsorbent Polymer Technology", edited by Fredric L. Buchholz and Andrew T. Graham, Verlag Wiley-VCH (1998)]에서 확인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상응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SAP 분말의 입도 분포는 레이저 회절 방법 (예를 들어, Sympatec로부터의 RODOS 분말 분산액을 사용하는 HELOS 기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레이저 빔의 통로에서 입자 시스템에 의해 나타난 회절상은 프라운호퍼(Fraunhofer) 이론에 따라 분석된다.
입도 분포는 흔히 X10, X50 및 X90 값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들 각각은 10%, 50% 및 90%의 누적 분포에 상응하는 입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250 ㎛ 미만의 X50 값, 400 ㎛ 미만의 X90 값을 갖는 SAP 분말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X50 값은 150 ㎛ 미만이고 X90 값은 300 ㎛ 미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X50 값은 100 ㎛ 미만이고 X90 값은 200 ㎛ 미만이다.
사용되는 SAP의 양은 건조 셀룰로스 에테르를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4 중량%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2 중량%가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중량% 내지 1.2 중량%가 사용된다. SAP는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로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에 혼합된다.
SAP의 첨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에 해당하지 않는 미세분말 블렌드와 비교하여, 생성된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킨다(통상적으로 약 1.5% 수용액으로 측정됨).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3%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초과만큼 상승된다. 특히 12% 초과만큼 상승된다.
본 발명 방법의 조성물의 V2 점도는 통상적으로 40 000 mPas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000 mPas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000 mPas 초과이다.
V2 점도는 회전 점도계(예를 들어 Haake VT 550)를 사용하여 측정시 2.55 s-1 전단 기울기 및 20℃에서의 2 중량% 수용액의 점도이다.
또한, SAP가 0.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에 속하는 바람직한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미세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본원 발명에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미세도는 0.063 mm 체를 통과하는 분획(체를 통과한 부분)을 지칭한다.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미세도는 통상적으로 SAP의 혼입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15% 초과만큼, 바람직하게는 25% 초과만큼 증가한다. 증가된 미세도는 특히 미세 입도의 SAP에서 관찰된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글리옥살 및/또는 완충 조성물과 같은 추가 첨가제를 예를 들어 수용액의 형태로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에 첨가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용해가 지연된 생성물이 얻어진다. 용해가 지연된 셀룰로스 유도체의 제조는 오래전부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었다.
SAP-함유 밀베이스를 건조시키고 밀링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한번의 작업(밀링-건조)으로 행해진다. 건조 및 밀링, 또는 밀링-건조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링 및 건조는 한번의 작업으로 합해져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생성물의 추가적 분쇄를 달성할 수 있기 위해 추가로 공지된 밀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별법으로, 밀링 및 건조, 또는 밀링-건조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 조건을 변화시켜 조성물의 미세도는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생성물의 분쇄를 위한 에너지 유입은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건축 구조재 시스템에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타일 접착제, 시멘트 석고 또는 깁스 석고와 같은 석고, 충전 화합물, 압출되는 시멘트성 물질 및 다른 건축 구조재에서의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특별한 건축 구조재 시스템에서의 용도에 맞게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US-A 4 654 085에 기술된 바와 같은 미세분말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11에서 사용된 밀링-건조 유닛과 밀링-건조 작업을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밀링 유닛은 7개의 밀링 트랙으로 구성된 체가 없는 고속 기체 유동 회전 밀로 이루어진다. 밀은 이의 하부 스트림 측면에서 사이클론 분리기와 백 필트(bag filter)에 연결되어 있다. 이의 세정 기체 측면에는, 먼지가 없는 기체 흐름을 열 교환기로 이송시키는 팬이 있는데, 여기서 전달 기체를 요구되는 건조 온도로 과열시킨다.
계량첨가 스크류를 사용하여 과립을 제1 및 제2 밀링 트랙의 수준의 밀에 계량첨가한다. 계량첨가 스크류의 천공된 플레이트 상부 스트림은 공급되는 물질을 직경 약 10 mm의 개별 스트랜드로 분리시킨다.
유입되는 전달 기체는 표준 압력에서 150 내지 190℃ 범위의 온도를 갖는다. 밀 이후, 전달 기체의 온도는 120 내지 130℃ 범위이다. 순환되는 기체의 양은 시간 당 (밀링의 하부 스트림) 1500 내지 1700 m3 (작업 조건 하에 측정됨)의 범위이다. 과량 전달 기체는 계로부터 제거된다.
약 20 kg/h의 건조 조성물 처리량이 얻어지도록 과립의 처리량을 설정하였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의 보고된 점도는 20℃ 및 2.55 s-1 전단 기울기의 건조 셀룰로스 에테르의 수용액에서 측정한 것이다(기기: Haake Rotovisko VT 550)
실시예 1 내지 8
뢰디게(Loedige)의 300 l 플로우쉐어(ploughshare) 혼합기에서, 33 kg의 함수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의 배치(고체 함량 62 중량%, DS(M) 1.42 및 MS(HE) 0.31)를 30-20℃에서 건조 MHEC 기재의 1 중량%의 SAP 분말(표 1 참조)과 격렬하게 혼합시키고, 생성된 과립의 과립 수분 함량이 (총 질량을 기준으로) 72 중량% 내지 73 중량%가 되도록 물을 분무시켰다. 그 후 과립을 상기 기술된 밀링-건조 기기에서 분쇄함과 동시에 건조시켰다. 각각의 작업은 두번 행해졌으며, 수득된 조성물을 분석하였는데; 표 1은 각각의 경우의 평균 값은 나타낸다(실시예 2, 4, 6 및 8).
비교를 위해 SAP를 첨가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득된 MHEC 분말을 밀링-건조 후에 적절한 양의 SAP 분말과 함께 미세분말 화합물로 블렌딩시켰다(비교 실시예 1, 3, 5 및 7).
실시예 SAP X50 X90 점도 1.5 중량% 점도 변화 비교(C)/ 본 발명(I)
1 데포소르브(Defosorb) CL 200 AD 93 169 34,760 C
2 데포소르브 CL 200 AD 93 169 39,980 실시예 1에 비해 + 15.0% I
3 데포소르브 CL 350 178 290 34,330 C
4 데포소르브 CL 350 178 290 39,435 실시예 3에 비해 + 14.9% I
5 루콰소르브(Luquasorb) 1010 40 93 37,450 C
6 루콰소르브 1010 40 93 39,030 실시예 5에 비해 + 4.2% I
7 루콰소르브 1030 216 365 33,840 C
8 루콰소르브 1030 216 365 38,135 실시예 7에 비해 + 12.7% I
데포소르브®은 데포텍(Defotec)의 상품명이다. 루콰소르브®은 BASF의 상품명이다. 데포소르브® 및 루콰소르브® 제품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기재의 SAP이다.
다른 필적할만한 조건하에서도,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상당히 높은 점도를 갖는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 내지 11
뢰디게의 300 l 플로우쉐어 혼합기에서, 33 kg의 함수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의 배치(고체 함량 62 중량%, DS(M) 1.33 및 MS(HE) 0.33)를 30-20℃에서 건조 MHEC 기재의 SAP 분말(표 2 참조)과 격렬하게 혼합시키고, 생성된 과립의 과립 수분 함량이 (총 질량을 기준으로) 72 중량% 내지 73 중량%가 되도록 물을 분무시켰다. 그 후 과립을 상기 기술된 밀링-건조 기기(단, 7개의 밀링 트랙 대신 5개만 가짐)에서 분쇄함과 동시에 건조시켰다. 단지 5개의 밀링 트랙의 사용을 통해 에너지의 기계적 유입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기체 순환율을 시간 당 (밀링의 하부 스트림) 950 내지 1050 m3 (작업 조건 하에 측정)으로 설정하였다. 유입된 전달 기체의 온도는 표준 압력에서 200 내지 230℃ 범위에 있었다. 밀 이후, 전달 기체의 온도는 120 내지 130℃의 범위에 있었다.
실시예 SAP 사용량 (중량%) 점도, 1.0 중량% 0.125 mm 미만의 체를 통과한 분획 (중량%) 0.063 mm 미만의 체를 통과한 분획 (중량%) 비교(C)/ 본 발명(I)
9 --- 0 11,450 68.4 33.3 C
10 데포소르브 CL 200 AD 1.0 12,540 73.7 43.8 I
11 데포소르브 CL 200 AD 2.0 11,690 74.1 40.8 I
본 발명의 방법은 비교 실시예에 비해 상당히 높은 점도(실시예 10)와 미세도의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2 및 13
과립기에서, DS(M) 1.60 및 MS(HP) 0.16을 갖는 MHPC를 총 질량을 기준으로 약 55%의 물을 함유하는 필터 케이크 형태로, 건조 질량을 기준으로 0.0 중량% 또는 0.8 중량%의 데포소르브 CL 200 AD와 혼합시킨 후, 물을 사용하여 총 질량을 기준으로 약 62 중량%의 수분 함량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생성된 과립을 유동 건조기에서 약 35 중량%의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킨 후, 팔만(Pallmann)의 콘트라 셀렉터 스크린 바스켓 밀(Contra Selector screen basket mill)에서 밀링-건조시켰다.
SAP-함유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점도 및 미세도는 증가하였다. 각각을 두번 수행하였다. 표 3은 평균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SAP 사용량 (중량%) 점도 2.0 중량% 0.063 mm 미만의 체를 통과한 분획 (중량%) 비교(C)/ 본 발명(I)
12 --- 0 57,300 44.5 C
13 데포소르브 CL 200 AD 0.8 68,400 50.1 I

Claims (10)

  1. (a) 25 중량% 내지 75 중량% 범위의 수분 함량을 갖는 함수(water-moist) 셀룰로스 에테르를 건조 셀룰로스 에테르를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4 중량%의 미세분말 초흡수성 중합체(SAP)와 혼합시켜 밀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밀베이스를 건조시키고 밀링시키거나 또는 밀링-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도 및 미세도가 증가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함수 셀룰로스 에테르의 수분 함량이 45 중량% 내지 65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셀룰로스 에테르를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미세분말 SAP를 단계 (a)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첨가제를 단계 (a)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베이스의 수분 함량이 밀베이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내지 80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 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룰로스 에테르가 메틸 셀룰로스 또는 메틸히드록시알킬 셀룰로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AP가 가교되고 부분적 중화된 폴리아크릴산,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부분적) 가수분해물, (부분적) 중화된 전분-아크릴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부분적) 가수분해된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부분적)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이러한 가수분해물의 가교 생성물 및 가교된 양이온 단량체의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통해 수득가능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2.55 s-1 전단 기울기 및 20℃의 2 중량% 수용액에서 40 000 mPas 초과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건축 구조재 시스템의 첨가제로서의 용도.
KR1020087003706A 2005-08-16 2006-08-03 점도 및 미세도가 증가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32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8584.2 2005-08-16
DE102005038584 2005-08-16
PCT/EP2006/007679 WO2007019963A2 (de) 2005-08-16 2006-08-0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etherprodukten mit erhöhter viskosität und f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470A true KR20080034470A (ko) 2008-04-21
KR101332459B1 KR101332459B1 (ko) 2013-11-25

Family

ID=3743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706A KR101332459B1 (ko) 2005-08-16 2006-08-03 점도 및 미세도가 증가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683110B2 (ko)
EP (1) EP1915425B1 (ko)
JP (1) JP5069237B2 (ko)
KR (1) KR101332459B1 (ko)
CN (1) CN101243131B (ko)
AT (1) ATE422524T1 (ko)
AU (1) AU2006281730A1 (ko)
BR (1) BRPI0616503A2 (ko)
CA (1) CA2617393A1 (ko)
DE (1) DE502006002836D1 (ko)
MX (1) MX2008002164A (ko)
PL (1) PL1915425T3 (ko)
RU (1) RU2008110055A (ko)
TW (1) TW200720343A (ko)
WO (1) WO200701996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02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194203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1194201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18295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제조용 모노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6783A1 (de) * 2007-04-05 2008-10-09 Dow Wolff Cellulosics Gmbh Methylhydroxypropylcellulose (MHPC) für mineralisch gebundene Baustoffsysteme
DE102007016726A1 (de) * 2007-04-07 2008-10-09 Dow Wolff Cellulosics Gmbh Methylhydroxyethylhydroxypropylcellulose (MHEHPC) in mineralisch gebundenen Baustoffsystemen
EP2058336A1 (de) * 2007-11-06 2009-05-13 Dow Wolff Cellulosics GmbH Ternäre Mischether
GB0810404D0 (en) * 2008-06-06 2008-07-09 Manuka Medical Ltd Compositions
EP2177538A1 (en) 2008-10-16 2010-04-2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ellulose ethers having little swelling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EP2177561B1 (de) * 2008-10-16 2017-11-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Verweilen und Verteilen eines Aufgabegutes
JP5575728B2 (ja) * 2010-12-22 2014-08-2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改良された特性を有するセメント結合物品の押出しに好適なセルロースエーテル
MX343509B (es) * 2011-04-06 2016-11-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o para producir derivados de celulosa de alta densidad aparente y buena fluidez.
US8932678B2 (en) * 2012-06-18 2015-01-13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superabsorbent polymer
ES2688532T3 (es) 2013-01-18 2018-11-05 Basf Se Composiciones de recubrimiento a base de dispersión acrílica
EP3303406B1 (en) * 2015-06-05 2019-06-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ellulose ether powders
BR102016021339A2 (pt) * 2016-09-15 2016-11-29 Ambitec S A processo de tratamento e recuperação de lodo primário contaminado com cargas minerais gerado na indústria de celulosee papel e produto assim obtido
WO2020223037A1 (en) * 2019-05-01 2020-1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producing a crosslinked cellulose eth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3927A (en) * 1974-11-28 1976-06-02 Shinetsu Chemical Co Ketsugoseiryokonajozaihokaizaino seizohoho
US4487864A (en) * 1983-04-28 1984-12-11 The Dow Chemical Company Modified carbohydrate polymers
US4654085A (en) * 1984-10-11 1987-03-31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Additive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US4820813A (en) * 1986-05-01 1989-04-11 The Dow Chemical Company Grinding process for high viscosity cellulose ethers
US4846889A (en) 1988-02-02 1989-07-11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ic blend useful in thin-bed mortar compositions comprising a water-soluble cellulose ether and a water-insoluble, but water-dispersible polymer
DE3839831A1 (de) * 1988-11-25 1990-05-31 Hoech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oduktschonenden mahlung und gleichzeitigen trocknung von feuchten celluloseethern
US5258429A (en) * 1989-09-05 1993-11-02 Wolff Walsrode Ag Cellulose ether compositions for aqueous media
DE3929400A1 (de) * 1989-09-05 1991-03-07 Wolff Walsrode Ag Neue celluloseether-zusammensetzungen fuer waessrige medien
TW207987B (ko) 1991-03-20 1993-06-21 Hoechst Ag
DE4206850C2 (de) * 1992-03-05 1996-08-29 Stockhausen Chem Fab Gmbh Polymerzusammensetzungen, Herstellgung von Polymerzusammensetzungen, insbesondere Absorptionsmaterialien und deren Verwendung
JP4245247B2 (ja) * 2000-02-07 2009-03-2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セメント混和剤、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硬化体
DE10041311A1 (de) * 2000-08-23 2002-03-07 Clariant Gmbh Verfahren zur Modifizierung von Celluseethern
EP1247829A1 (fr) * 2001-04-06 2002-10-09 University of Liege Méthode de préparation de polyester nanocomposite
DE10304816A1 (de) * 2003-02-06 2004-08-19 Wolff Cellulosics Gmbh & Co. Kg Celluloseether enthaltende Abmischungen mit erhöhtem Schüttgewicht, deren Verwendung in Baustoffsystemen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ether enthaltenden Abmischungen mit erhöhtem Schüttgewicht
DE10337012A1 (de) * 2003-08-12 2005-03-10 Wolff Cellulosics Gmbh & Co Kg Celluloseetherzusammensetzung für die Extrusion mineralischer Formkörper sowie ein Verfahren zur Extrusion mineralischer Formkörper unter Verwendung dieser Celluloseetherzusammensetzung
DE10352081A1 (de) * 2003-11-07 2005-06-23 Wolff Cellulosics Gmbh & Co. Kg Lagerstabile Teilchenzusammensetzung aus Polysacchariden und/oder Polysaccharidderivaten und zumindestens einem synthetischen Polymerisat,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 Verwendung in Baustoffgemisch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02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194203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1194201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18295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제조용 모노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5425A2 (de) 2008-04-30
PL1915425T3 (pl) 2009-04-30
US20070088106A1 (en) 2007-04-19
AU2006281730A1 (en) 2007-02-22
CA2617393A1 (en) 2007-02-22
CN101243131B (zh) 2012-03-21
DE502006002836D1 (de) 2009-03-26
MX2008002164A (es) 2008-04-22
CN101243131A (zh) 2008-08-13
TW200720343A (en) 2007-06-01
BRPI0616503A2 (pt) 2011-06-21
WO2007019963A2 (de) 2007-02-22
RU2008110055A (ru) 2009-09-27
US7683110B2 (en) 2010-03-23
EP1915425B1 (de) 2009-02-11
WO2007019963A3 (de) 2007-05-31
JP2009504853A (ja) 2009-02-05
JP5069237B2 (ja) 2012-11-07
ATE422524T1 (de) 2009-02-15
KR101332459B1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459B1 (ko) 점도 및 미세도가 증가된 셀룰로스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735383B (zh) 用于具有增强的凝胶强度的灰浆的含有交联纤维素醚的水泥瓦粘合组合物
US20050241541A1 (en) Gypsum-based mortars using water retention agents prepared from raw cotton linters
US20050241540A1 (en) Cement-based plasters using water retention agents prepared from raw cotton linters
US20050241539A1 (en) Tile cement mortars using water retention agents
US20050241543A1 (en) Cement-based systems using plastification/extrusion auxiliaries prepared from raw cotton linters
KR101486739B1 (ko) 광물-결합된 건축 재료 시스템을 위한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mhpc)
KR20040071649A (ko) 증가된 벌크 밀도의 셀룰로오스 에테르 블렌드, 그의 건축재료 시스템에서의 용도 및 증가된 벌크 밀도의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US7491755B2 (en) Cellulose ether composition for the extrusion of mineral shaped bodies and also a process for the extrusion of mineral shaped bodies using this cellulose ether composition
US7425589B2 (en) Method for modifying cellulose ethers
WO2008122344A1 (en) Methylhydroxyethylhydroxypropylcellulose (mhehpc) in mineral-bound building material systems
EP3380443B1 (en) Cellulose eth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workability for use in gypsum smoothing mortar and joint fille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