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871A -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871A
KR20080032871A KR1020060098939A KR20060098939A KR20080032871A KR 20080032871 A KR20080032871 A KR 20080032871A KR 1020060098939 A KR1020060098939 A KR 1020060098939A KR 20060098939 A KR20060098939 A KR 20060098939A KR 20080032871 A KR20080032871 A KR 20080032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terminal
input
names
phone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925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소를 입력받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들의 명칭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음소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상에 구비된 데이터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므로써, 데이터를 검색 시 해당 메뉴를 찾아 반복적인 진입 과정이 필요없고, 보다 빠르고 손 쉽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 단말기, 메뉴, 데이터, 검색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Method for seaching data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는 천지인 한글입력방식용 키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카메라 메뉴를 나타낸 화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이지아이 한글입력방식용 키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 또는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10 : 무선부 220 : 입력부
230 : 메모리 240 : 음향부
241 : 스피커 242 : 마이크로폰
250 : 표시부 260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내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를 검색 방식은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는 메뉴에 진입하고, 상기 진입된 메뉴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을 도 1a 내지 도 1d의 화면 설명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촬영 이미지데이터 중에 특정 이미지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전체 메뉴상에서 카메라 메뉴(1)에 1차 진입하고[도 1a], 상기 진입된 카메라 메뉴(1)상에서 다시 사진 앨범 메뉴(2)에 2차 진입한다[도 1b].
이후, 사용자는 상기 2차 진입된 사진 앨범 메뉴(2)상에 촬영 이미지데이터 목록에서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데이터(3)를 선택하면[도 1c],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이미지데이터(3)가 표시된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d에서는 촬영 이미지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만 설명하 였으나, 폰북상에서 전화번호 검색이나 문자메시지 검색등의 이동 단말기 메뉴상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은 메뉴상에서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는 해당 메뉴를 찾아 반복적인 진입 과정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측면에서 매우 번거로운 검색동작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데이터가 어떤 메뉴상에 존재하는지를 알지 못하면, 전체 메뉴상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검색하여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소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상에 구비된 데이터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은, 데이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소를 입력받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들의 명칭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소는 영문 철자와, 한글의 단자음 및 복자음 중 적어도 하나인 점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 메뉴 기능상에 포함된 텍스 트, 음향 및 정지/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점이다.
또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데이터 명칭의 각 글자에 대한 음소들을 입력받는 점이다.
또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과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입력순으로 순차적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은 상기 표시된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수의 문자가 할당된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을 통해 데이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소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메뉴 기능 관련 데이터들을 구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구비된 데이터들의 명칭 중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소들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검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검색을 위한 데이터 명칭의 각 글자에 대한 음소들을 입력받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과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입력순으로 순차적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표시된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실행하는 점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PMP와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부(210)는, 듀플렉서(Duplexer)(미도시), 수신기(미도시) 및 송신기(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신호가 상기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하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가 상기 수신기로 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수신기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입력받아,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송신기는, 제어부(260)에 의해 생성된 소정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한다.
입력부(22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다수의 문자가 할당된 키들을 구비하 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 신호를 제어부(260)로 출력한다.
메모리(23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메뉴 기능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음향부(240)는, 스피커(241)와 마이크로폰(2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크로폰(242)으로부터 입력된 외부 음향데이터를 메모리(230) 및 제어부(260)로 출력하거나 또는 스피커(241)를 통해 메모리(230)에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
표시부(25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220)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 형태로 표시한다.
제어부(26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에 대한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메뉴 기능 명칭 및 상기 메뉴 기능상에 포함된 데이터들 명칭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S301). 즉, 상기 메뉴 기능 명칭 및 상기 메뉴 기능상에 포함된 데이터들 명칭의 각 글자에 따른 초성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초성이 할당된 숫자키를 단축키로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 메뉴 기능상에 포함된 텍스 트, 음향 및 정지/동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과정을 천지인 한글입력방식과 이지아이 한글입력방식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천지인 한글입력방식.
도 4는 천지인 한글입력방식용 키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카메라 메뉴를 나타낸 화면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메뉴상의 1번 서브메뉴인 "촬영"의 각 글자들의 초성은 'ㅊ'과 'ㅇ'이다. 도 4의 키패드에서 상기 'ㅊ'이 할당된 숫자키는 9번 숫자키이고, 상기 'ㅇ'이 할당된 숫자키는 0번 숫자키이다.
이때, 상기 9번 숫자키를 입력할 경우 상기 9번 숫자키에 할당된 자음중에 'ㅈ'이 우선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번 숫자키에 할당된 'ㆍ'문자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ㆍ'를 이용하는 이유는 천지인 방식은 이지아이 방식과는 틀리게 하나의 키를 입력횟수에 따라 자음이 변하기 때문에 상기 'ㅈ'과 'ㅊ'을 구분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ㆍ'문자뿐만 아니라 모음이 할당된 키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ㅊ'의 단축키는 9.2.9번 숫자키 입력으로 설정한다. 물론, 'ㅈ'의 단축키를 설정할때는 9번 숫자키만 입력하여 설정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촬영"은 9.2.9('ㅊ').0('ㅇ')번 숫자키로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9.2.9('ㅊ').0('ㅇ')을 입력한 후 이를 검색하면, 상기 "촬영" 명칭이 포함된 메뉴 및 데이터들이 전부 검색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촬영 메뉴상의 2번 서브메뉴인 "사진앨범"의 각 글자들의 초성은 'ㅅ', 'ㅈ', 'ㅇ', 'ㅂ'이고, 상기 'ㅅ', 'ㅈ', 'ㅇ', 'ㅂ'이 할당된 숫자키는 각각 8('ㅅ').9('ㅈ').0('ㅇ').7('ㅂ')번 숫자키이므로, 상기 "사진앨범"은 상기 8.9.0.7번 숫자키로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8.9.0.7번 숫자키를 입력한 후 이를 검색하면, 상기 "사진앨범" 명칭이 포함된 메뉴 및 데이터들이 전부 검색되어 표시된다.
2. 이지아이 한글입력방식.
도 6은 이지아이 한글입력방식용 키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메뉴상의 1번 서브메뉴인 "촬영"의 각 글자들의 초성은 'ㅊ'과 'ㅇ'이다. 도 6의 키패드에서 상기 'ㅊ'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7.*.* 키를 입력해야 한다. 또한, 상기 도 6의 키패드에서 'ㅇ'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8번 숫자키를 입력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촬영"은 7.*.*('ㅊ').8('ㅇ')번 숫자키로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7.*.*.8번 숫자키를 입력한 후 이를 검색하면, 상기 "촬영" 명칭이 포함된 메뉴 및 데이터들이 전부 검색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촬영 메뉴상의 2번 서브메뉴인 "사진앨범"의 각 글자들의 초성은 'ㅅ', 'ㅈ', 'ㅇ', 'ㅂ'이고, 상기 'ㅅ', 'ㅈ', 'ㅇ', 'ㅂ'이 할당된 숫자키는 각각 7('ㅅ').7.*('ㅈ').8('ㅇ').5.*('ㅂ')번 숫자키이므로, 상기 "사진앨범"은 상기 7.7.*.8.5.*번 숫자키로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7.7.*.8.5.*번 숫자키를 입력한 후 이를 검색하면, 상기 "사진앨범" 명칭이 포함된 메뉴 및 데이터 들이 전부 검색되어 표시된다.
상기 S301 단계(도 4 내지 도 6의 과정)에 의해 이동 단말기 메뉴 기능 명칭 및 상기 메뉴 기능상에 포함된 데이터들 명칭을 데이터베이스화된 상태에서, 제어부(260)는 입력부(220)로부터 검색을 위한 데이터 명칭의 각 글자에 대한 음소들에 따른 키신호가 입력받는다(S302). 바람직하게, 상기 음소는, 영문 철자와, 한글의 단자음 및 복자음을 뜻한다.
제어부(2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과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입력순으로 순차적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S303).
제어부(260)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하고(S304), 상기 표시된 데이터가 선택되면(S305),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유형을 파악한다(S306).
제어부(260)는, 상기 파악된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상기 메모리(230)에 기 구비된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데이터를 실행시킨다(S307).
즉, 제어부(260)는, 상기 데이터의 유형이 문자메시지이면, 상기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데이터의 유형이 음향데이터이면, 상기 음향부(240)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데이터의 유형이 동영상/정지영상 데이터이면 상기 음향부(240) 및 표시부(250)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데이터의 유형이 전화번호이면 상기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할 수 있다.
도 7a 또는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을 나타 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7a 또는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는 이지아이 한글입력방식용 키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 명칭을 가지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촬영"의 초성인 "ㅊ"과 "ㅇ"을 입력하기 위해 7.*.* 키를 입력한 후 검색을 위한 키(710)를 누르면[도 7a],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상기 "촬영" 명칭이 포함된 메뉴 및 데이터들이 전부 검색되어 표시된다[도 7b].
상기 표시된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이미지(720)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화면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720)를 전체 표시하거나 또는 대기화면상에 상기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촬영 메뉴(730)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촬영 메뉴(730)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전화번호(740)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서는 한글 데이터의 검색 과정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영문 데이터일 경우 영문 각 단어의 첫 철자(스펠링) 또는 마지막 철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다.
즉 영문 단어가 "BOY"일 경우 첫 철자인 "B" 또는 마지막 철자인 "Y"이 할당된 키를 단축키로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후 상기 "B" 또는 "Y" 문자가 할당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BOY" 명칭이 포함된 영문 메뉴 및 영문 데이터들 이 전부 검색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메뉴 목록상에서 각 메뉴의 인덱스 번호와 대응되는 숫자키를 단축키로 설정하고, 이후 특정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메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도 1a에는 "1.전화번호부" 메뉴와, "2.카메라" 메뉴 및, "3.문자메시지" 메뉴가 존재한다. 상기 "1.전화번호부" 메뉴에 1번 숫자키를 단축키로 설정한 후,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1번 숫자키를 검색어로 입력하면 상기 "1.전화번호부" 메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데이터에 숫자키를 단축키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숫자키를 입력시 상기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에 1번 숫자키를 단축키로 설정한 후, 대기화면의 배경사진으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 상기 설정된 1번 숫자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상기 특정 이미지가 이동 단말기 대기 화면의 배경사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음소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상에 구비된 데이터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므로써, 데이터를 검색 시 해당 메뉴를 찾아 반복적인 진입 과정이 필요없고, 보다 빠르고 손 쉽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데이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소를 입력받는 단계;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들의 명칭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는, 영문 철자와, 한글의 단자음 및 복자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 메뉴 기능상에 포함된 텍스트, 음향 및 정지/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데이터 명칭의 각 글자에 대한 음소들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과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입력순으로 순차적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7. 다수의 문자가 할당된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을 통해 데이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소를 입력받는 입력부;
    메뉴 기능 관련 데이터들을 구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구비된 데이터들의 명칭 중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소들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는, 영문 철자와, 한글의 단자음 및 복자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메뉴 기능상에 포함된 텍스트, 음향 및 정지/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검색을 위한 데이터 명칭의 각 글자에 대한 음소들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과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입력순으로 순차적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들 명칭의 초성 중에 상기 입력된 음소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표시된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60098939A 2006-10-11 2006-10-11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328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939A KR101328925B1 (ko) 2006-10-11 2006-10-11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939A KR101328925B1 (ko) 2006-10-11 2006-10-11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871A true KR20080032871A (ko) 2008-04-16
KR101328925B1 KR101328925B1 (ko) 2013-11-14

Family

ID=3957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939A KR101328925B1 (ko) 2006-10-11 2006-10-11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9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794A (ko) * 1998-10-02 2000-05-06 옥치담 한글데이터검색방법
KR100286897B1 (ko) * 1998-12-31 2001-04-16 옥치담 무선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1016509B1 (ko) * 2004-05-24 201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방법
KR20060002452A (ko) * 2004-07-02 2006-01-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925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8029A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40505B1 (ko) 검색된 전화번호에 대한 전화번호 연계 기능을 수행하는방법
KR10069096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079017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EP1610533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a 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49741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相手選択発信方法
KR101248165B1 (ko) 휴대전화 및 그 데이터 검색방법
US2005006911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untry codes
KR101328925B1 (ko)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1373206B1 (ko) 음성인식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에서의 문서작성방법
KR1008103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833278B1 (ko) 이동 통신 장치 및 조작 방법
KR1006789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6298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KR1007134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JP2002297580A (ja) 携帯電話機
JP2005005812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KR20060033226A (ko) 휴대폰에서 폰북 자동 완성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430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전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561809B2 (ja) 端末装置
KR100504386B1 (ko) 다중 검색어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5080139A (ja) 携帯端末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79690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