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493A - 통신 시스템의 접근시도 처리를 위한 방법 및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접근시도 처리를 위한 방법 및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493A
KR20080031493A KR1020087004965A KR20087004965A KR20080031493A KR 20080031493 A KR20080031493 A KR 20080031493A KR 1020087004965 A KR1020087004965 A KR 1020087004965A KR 20087004965 A KR20087004965 A KR 20087004965A KR 20080031493 A KR20080031493 A KR 2008003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random access
random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051B1 (ko
Inventor
드라강 뷔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3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호 설정을 위한 향상된 접근 시도 절차는 접근 시도를 위한 우선순위 레벨과 임의 접속 근거에 대한 함수관계로서 접근 전송의 확률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것을 근거로 링크 설정 인증과 보안 제어 호 설정을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접근시도 처리를 위한 방법 및 프로토콜{METHOD AND PROTOCOL FOR HANDLING ACCESS ATTEMPTS FOR COMMUNICATIONS SYSTEMS}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의 접근 시도 관리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와 복수개의 액세스 단말들로 이루어 진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노드 B, 기지국 등의 접근점(access point)들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접근점들은 액세스 단말이 다양한 타입의 채널들을 통해 상향(uplink (UL): 단말 대 네트워크) 통신 및 하향(downlink (DL): 네트워크 대 단말) 통신을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액세스 단말들은 사용자 장치(UE), 이동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개념들은 서로 다른 타입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그 일 예로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가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UMTS는 적어도 하나의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핵심망(Core Network; CN)을 갖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TRAN은 다수의 UE에 대해 접근점 역할을 하는 노드 B들을 갖는다.
도 1은 3GPP 무선접속 네트워크 표준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 를 도시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및 네트워크 계층으로 구성되고, 수직적으로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평면(U-plane)과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평면(C-plane)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평면은 음성이나 IP(Internet Protocol) 패킷 등 사용자의 트래픽 정보를 관리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제어 평면은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호 유지 및 관리 등에 대한 제어정보를 관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1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에 근거하여, 제 1 계층(L1), 제 2 계층(L2) 및 제 3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계층(L1), 즉, 물리계층(Physical Layer; PHY)은 다양한 무선송신기술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전송 채널을 통해 상위 계층인 매체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계층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MAC 계층과 PHY 계층은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제 2계층(L2)은 MAC 계층, 무선링크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방송/멀티캐스트 제어(Broadcast/Multicast Control; BMC)계층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계층을 포함한다. 상기 MAC 계층은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매핑을 담당하고, 무선 자원의 할당 및 재할당을 위해 MAC 파라미터의 할당을 제공한다. 상기 MAC 계층은 논리 채널을 통해 상위 계층인 RLC 계층과 연결된다.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논리채널이 제공된다.
MAC 계층은 전송 채널들에 의해 물리계층과 연결되고, 관리되는 전송채널의 타입에 따라 MAC-b 부계층, MAC-d 부계층, MAC-c/sh 부계층, MAC-hs 부계층 및 MAC-m 부계층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MAC-b 부계층은 시스템 정보의 방송을 담당하는 전송 채널인 BCH (Broadcast Channel)을 관리한다. 상기 MAC-c/sh 부계층은 복수 개의 단말들이 공유하는 FACH (Forward Access Channel) 이나 DSCH (Downlink Shared Channel) 혹은 상향링크에서는 RACH (Radio Access Channel)와 같은 공통 전송 채널을 관리한다. MAC-m 부계층은 MBMS 데이터를 담당할 수 있다. 상기 MAC-d 부계층은 특정 단말을 위한 전용 전송 채널인 DCH (Dedicated Channel)을 관리한다. MAC-d 부계층은 해당 단말을 관리하는 서빙 RNC (SRNC;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에 위치하며, 하나의 MAC-d 부계층은 각 단말에 존재한다.
상기 RLC 계층은, RLC 동작 모드에 따라,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고,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복수 개의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 (RLC SDUs)에 대한 분할 및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RLC계층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상기 RLC SDU들을 수신하면, 처리용량을 근거로 적당한 방식으로 각 RLC SDU의 크기를 조절하여 헤더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유닛들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 유닛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s)이라 하고, 상기 PDU들은 논리채널을 통해 MAC 계층으로 전달된다. 상기 RLC계층은 상기 RLC SDU들 및/또는 RLC PDU들을 저장하기 위한 RLC 버퍼를 포함한다.
BMC 계층은 핵심망으로부터 전달된 셀 방송 메시지(Cell Broadcast Message, ‘CB’메시지)를 스케줄링하며, 상기 CB메시지를 특정 셀(들)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방송한다.
RLC계층의 상위계층인 PDCP계층은 IPv4 또는 IPv6과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작은 대역폭을 가진 무선 인터페이스로 효과적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PDCP계층은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된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데, 이러한 기능을 헤더압축이라고 부른다.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계층은 제 3계층(L3)의 가장 하위에 위치한 계층으로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상기 RRC계층은 무선 베어러들(RBs)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 또는 취소에 관하여 전송채널 및 물리 채널들을 제어한다. 상기 무선베어러 서비스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 2계층(L2)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무선베어러를 설정한다는 것은 특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세부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각각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RRC 계층은 RAN 내에서 사용자 이동성과, 위치 서비스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들을 담당한다.
UMTS 등의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와 무선 네트워크간의 호 설정은 적절한 절차에 따라 RACH (임의 접속 채널, Random Access Channel)에서 수행된다. 상기 UE가 임의 접속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시작할 수 있는 타이밍은 접근시도를 위해 우선순위 레벨을 부여하는 접근 서비스 등급 (Access Service Class; ASC)을 근거로 얻어진다. 상기 임의 접속 절차는 두 단계(phase)로 나뉘어 진다; 접근 시도 단계 및 상기 접근이 성공적인 경우, 설정 근거(establishment cause)를 나타내는 메시지 전송 단계. 상기 네트워크가 설정 근거를 해독하면, 상기 요청과 무선자원 이용가능성에 따라, 네트워크는 호 설정을 수락할 것인지 혹은 거절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UE가 제 1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절차를 초기 접근(initial access)이라 한다. 이를 위해, 공통 상향링크 채널인 RACH (Random Access Channel)가 사용된다. 모든 경우에(GSM 및 UMTS 시스템), 상기 초기 접근은 상기 요청의 이유(동기, reason)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요청이유에 대한 무선 자원의 할당을 나타내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응답과 함께 UE로부터 시작한다.
설정 근거로 불리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유들이 존재하는데, 다음의 리스트는 UMTS에서 구체화된 예들을 나타낸다.
대화형 호 발신(originating conversational call)
스트리밍 호 발신
인터액티브 호 발신
백그라운드 호 발신
가입 트래픽 호 발신(originating subscribed traffic call)
대화형 호 종료 (terminating conversational call)
스트리밍 호 종료
인터액티브 호 종료
백그라운드 호 종료
긴급 호출
인터-RAT 셀 재선택
인터-RAT 셀 변경 순서(inter-RAT cell change order)
등록, 분리(detach)
높은 우선순위 시그널링 발신(originating high priority signalling)
낮은 우선순위 시그널링 발신
호 재설정
높은 우선순위 시그널링 종료(terminating high priority signalling)
낮은 우선순위 시그널링 종료
상기에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에 관해서, 호 발신(originating call)이란 UE가 연결을 설정(예를 들어, 담화 연결(speech connection))하기 원하는 것을 의미하고, 호 종료(terminating call)는 상기 UE가 페이징(paging)에 응답하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등록(registation)은 사용자가 단지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를 수행하기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인터페이스상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임의 접속 절차를 이용한다. 상기 물리적 임의 접속 전송은 우선순위와 로드 제어에 관련된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이러한 절차들은 GSM와 UMTS 무선 시스템간에 서로 다르다. GSM 임의 접속 절차에 대한 설명은 1992년 M. Mouly와 M. B. Pautet에 의해 출판된 이동 통신에서의 GSM 시스템(The GSM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서 찾을 수 있다. 본 혁신분 야(innovation)는 UMTS 향상/진화와 관련되기 때문에, W-CDMA 임의 접속 절차가 아래에 좀더 세부적으로 묘사될 것이다.
UMTS 물리계층 임의 접속 절차에서, UE는 임의로 접근 자원을 선택하여, 임의 접속 절차의 RACH 프리앰블 부분(RACH preamble part)을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상기 프리앰블은 RACH 연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전에 보내지는 짧은 신호이다. 상기 UE는 네트워크가 상기 프리앰블을 감지했음을 나타내는 AICH (획득 지시자 채널, Acquisition Indicator Channel)상에서의 AI (획득 지시자, Acquisition Indicator)를 수신할 때까지 프리앰블이 전송될 때마다 전송력을 증가시켜 상기 프리앰블을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UE는 일단 AI를 수신하면 프리앰블의 전송을 중단하고, 그 시점에 프리앰블 전송력(transmission power)과 동일한 전력 레벨에서의 메시지 부분(message part) 및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 오프셋(offset)을 추가하여 보낸다. 이러한 임의 접속 절차는 전체 메시지에 대해 전력 램핑 절차(power ramping procedure)를 피한다. 그러한 전력 램핑 절차는 전송이 실패한 메시지들로 인해 더 많은 간섭을 유발하고,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응답(acknowledgement)이 주어지기 전에 상기 메시지를 해독할 시간을 훨씬 더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큰 지연으로 인해 효율적이지 못하다.
RACH의 주요 특징인 경쟁 기반 채널(contention based channel)이란 여러 사용자들의 동시 접근으로 인해 충돌이 발생하여 초기 접근 메시지가 네트워크에 의해 해독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UE는 접근 슬롯(access slot)의 초기에만 임의접근전송(프리앰블과 메시지 모두)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접 근 방식은 빠른 획득지시(fast acquisition indication)를 갖는 슬롯 ALOHA 접근의 한 타입이다.
도 2는 임의 접속 전송에 관련된 타이밍(예를 들어, 접근 슬롯)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은 UE에 의한 하향링크 AICH 접근 슬롯의 수신 및 UE에 의한 상향링크 PRACH 접근 슬롯의 수신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RACH와 AICH의 시간 축(time axis)은 시간 간격인 접근 슬롯으로 나뉜다. 두 개의 프레임 당 15개의 접근 슬롯(한 프레임의 길이가 10ms 또는 38400칩)이 있고, 서로 1.33ms(5120칩)로 떨어져 있다. 임의 접속 전송을 위해 이용 가능한 접근 슬롯들에 관한 정보 및 RACH와 AICH간에, 두 개의 연속적인 프리앰블간에 그리고 마지막 프리앰블과 메시지간에 사용할 타이밍 오프셋에 관한 정보가 네트워크에 의해 신호로 알려진다. 만일 상기 AICH 전송 타이밍이 0과 1인 경우, 마지막으로 전송된 프리앰블 접근 슬롯에 대하여 3 및 4 접근 슬롯들 후에 각각 전송된다.
상기 프리앰블의 포맷에 관해서, 각 프리앰블은 4096칩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길이가 16인 하다마드 코드(Hadamard code)의 256회 반복된 일련(시퀀스: sequence)이다. 상기 하다마드 코드는 프리앰블의 시그니처(signature)로 불린다. 16개의 서로 다른 시그니처가 있고, (ASC를 근거로 이용 가능한 시그니처 세트로부터) 하나의 시그니처가 임의로 선택되어 프리앰블 부분의 매 전송마다 256번 반복된다.
도 4는 AICH의 구조(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다. 상기 AICH는 15개의 연속적인 접근 슬롯들의 반복되는 시퀀스로 구성되고, 각각은 40비트 간격(5120칩)의 길 이를 갖는다. 각 접근 슬롯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 지는데, 하나는 32개의 실제 값(real-valued) 신호들(a0, …, a31)로 이루어진 획득 지시자(Acquisition Indicator; AI)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전송이 꺼진(switched off) 1024칩의 지속(duration)부분이다.
상기 네트워크가 소정 시그니처를 가지고 RACH 접근 슬롯에서 RACH 프리앰블의 전송을 감지하는 경우, 관련 AICH 접근 슬롯에서 그 시그니처를 반복한다. 이는 상기 RACH 프리앰블에서 시그니처로 사용된 하다마드 코드가 AICH의 AI 부분으로 변조(modulate)된 것을 의미한다. 이 시그니처에 대응하는 획득 지시자는, 긍정적 응답(positive acknowledgement), 부정적 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혹은 무응답이 특정 시그니처에 주어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1, -1 그리고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시그니처의 양 극성(positive polarity)은 프리앰블이 획득되었고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음 극성(negative polarity)은 상기 프리앰블이 획득되었고 전력 램핑 절차가 중단되어야 하고 상기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아야 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부정적 응답은 네트워크에서 정체 현상(congestion situation)이 발생하여 전송된 메시지가 현재 시간에 처리될 수 없는 경우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접근 시도는 UE에 의해 나중에 반복되어야 한다.
임의 접속 전송의 제어에 관해, 상기 네트워크는 주로 UE가 속한 접근 등급을 근거로 이동국이 무선 접근 자원을 사용하도록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화된 우선순위 레벨은 UE SIM 카드에 저장된 접근 등급에 포함된다.
이하, 접근 제어의 한 양태를 설명한다. 접근 제어의 목적에 관해, 특정 환경하에서, UE 사용자들이 (긴급호출 시도를 포함한) 접근 시도를 하거나 혹은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지정된 지역에서 페이징(page)에 대해 응답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한 상황은 긴급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거나 혹은 2 또는 그 이상의 함께 배치된(co-located) PLMN들 중 하나가 실패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방송 메시지들은 네트워크 접근에서 금지된 가입자들의 등급(들)을 나타내는 셀 별 방식(cell-by-cell basis)으로 이용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중대한 상황에서 접근 채널의 과부하(overload)를 방지할 수 있다. 접근 제어는 정상적인 운영 조건하에서는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접근 등급(AC)의 타입 및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포함하는 각각의 관련된 접근 서비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할당 시, 모든 UE들은 0에서 9의 접근 등급(access class)으로 정의된 10개의 임의로 할당된 이동 집단(mobile populations)들 중 하나의 멤버들이다. 상기 집단 수는 UE를 위해 SIM/USIM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E들은 SIM/USIM에 저장될 수 있는 5개의 특별한 카테고리(접근 등급 11 - 15)들 중 하나 이상의 멤버일 수 있다. 이들은 우선 순위가 높은 특정 사용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아래 목록은 우선순위 순서가 아님.)
등급 15 - PLMN 스태프;
등급 14 - 긴급 서비스;
등급 13 - 공공사업(예를 들어, 수도/가스 공급자들);
등급 12 - 보안 서비스;
등급 11 - PLMN 사용
동작 시, 만일 UE가 무선 인터페이스 상으로 신호된 바와 같이 허가된 등급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등급의 멤버이고 상기 접근 등급이 서빙 네트워크(serving network) 내에서 적용 가능한 경우, 접근 시도들이 가능하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접근 시도들은 가능하지 않다.
접근 등급들은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등급 0 - 9: 홈(home) 및 방문(visited) PLMN;
등급 11 및 15 - 홈 PLMN 만(only);
등급 12, 13, 14 - 국내의 홈 PLMN 및 방문 PLMN 만(only).
상기 등급들은 그 개수에 관계없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금지(bar)될 수 있다.
긴급호출(emergency call)의 경우, 추가 제어 비트(additional control bit)인 접근 등급 10이 무선 인터페이스 상으로 상기 UE에게 또한 시그널링 된다. 이는 UE가 접근 등급 0 내지 9를 이용하여 긴급호출을 위해 네트워크 접근이 가능한지 혹은 IMSI 없이도 네트워크 접근이 가능한지를 나타낸다. 접근 등급 11 내지 15를 이용하는 UE들의 경우, 만일 접근 등급 10 및 관련 접근 등급 (11 내지 15) 모두 금지되는 경우, 긴급호출은 가능하지 않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긴급호출은 가능할 수 있다.
UMTS에서, 상기 AC는 접근 서비스 등급(Access Service Class; ASC)으로 맵 핑된다. 레벨 0을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하여, ASC0 내지 ASC7로 정의되는 8개의 서로 다른 우선순위 레벨이 있다.
접근 등급의 접근 서비스 등급으로 매핑의 경우, 상기 접근 등급들은 RRC 연결 요청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때 등의 초기 접근(initial access)에만 적용된다. 접근 등급(AC)과 접근서비스 등급(ASC)간의 매핑은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5에서 정보 요소 AC 대 ASC 매핑에 의해 보여진다. 도 5는 AC와 ASC간의 상응(correspondence)을 도시한다.
도 5의 테이블에서, n번째 IE는 0 ? 7까지의 범위에서 ASC 넘버 i를 AC로 지정한다. 만일 상기 n번째 IE로 지시된 ASC가 정의되지 않은 경우, 상기 UE 행동(behavior)은 특정하지 않다.
임의 접속 시, 각 해당 ASC가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이 이용된다. UE가 다수의 AC 멤버인 경우, 가장 높은 AC 수에 대한 ASC를 선택한다. 연결 모드에서, AC는 적용되지 않는다.
하나의 ASC는 이러한 접근 시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RACH 프리앰블 시그니처(preamble signature)와 접근 슬롯의 서브세트 및, 전송을 시도하기 위해 확률 Pv ≤ 1에 해당하는 지속 값 (persistence value)으로 구성된다. 임의 접속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인 로드 제어 메커니즘(load control mechanism)은, 충돌 확률이 높거나 무선 자원이 낮을 경우 인커밍 트래픽(incoming traffic)의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및 7은 제어 접근 절차의 흐름도이다.
1. 기존 명세서는 네트워크에 의해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근거로 UE가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많은 RACH 전송 제어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상기 RACH 전송 제어 파라미터들에는, Physical RACH (PRACH), 접근 서비스 등급(ASC), 최대 프리앰블 램핑 사이클(preamble ramping cycles)의 수(Mmax) 및 AICH에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이 수신되었을 때(S201) 10ms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NBO1max 과 NBO1min)의 개수로 표현된 타이머(TBO1)에 대한 백오프 간격 범위(range of backoff interval)가 포함된다.
2. 상기 UE는 할당된 AC를 ASC로 매핑하고, 카운트 값 M은 0으로 설정된다 (S203, S205, S207).
3. 상기 카운트 값 M은 1씩 증분(increment)한다(S209). 다음, UE는 전송 시도 회수를 나타내는 상기 카운트 값(M)이 최대 RACH 전송시도 허용회수 (Mmax)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다(S211). 만일 초과하면, UE는 전송 실패로 간주한다(S212).
4. 그러나, 만일 M이 최대 RACH 전송시도 허용회수(Mmax)보다 작거나 같으면, UE는 RACH 전송 제어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한다(S213). 다음 단계에서, 타이머 T2를 10ms로 설정한다(S215). 상기 UE는 자신이 선택한 ASC와 관련된 지속값 (Pi)을 근거로 전송 시도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임의 수(Ri)는 0에서 1 사이에 생성된다(S217). 만일 상기 임의 수 Ri가 상기 지속값 Pi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UE는 상기 할당된 RACH 자원을 통해 전송을 시도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UE는 10ms 타이머 T2가 만료되어 단계 4의 절차를 다시 수행할 때까지 대기한다(S219, S220, S221).
5. 하나의 접근 시도가 전송된 경우, UE는 상기 네트워크가 ACK(acknowledgement), NACK(non-acknowledgement), 또는 무응답(no response)으로 반응하는지를 판단한다(S223). 만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무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타이머 T2가 만료 후 상기 과정은 단계 3부터 다시 수행된다(S224). 만일 (종종 충돌로 인해) 전송 수신의 실패를 나타내는 NACK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UE는 상기 타이머 T2의 만료를 기다려서, 상기 UE에 할당된 PRACH와 관련된 최대 및 최소 백오프 값(NBO1max 과 NBO1min) 사이에 임의로 선택된 백오프 값 (NBO1)을 생성한다(S225). 그 후, UE는 다시 상기 단계의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10ms * 백오프 값(NBO1)에 동등한 백오프 간격(TBO1)을 기다린다(S226). 만일 네트워크에 의한 UE 전송의 수신을 나타내는 ACK가 수신되는 경우, UE는 메시지 전송을 시작한다(S227).
도 8은 시그널링 설정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다. PRACH 전력 제어 프리앰블(PRACH power control preamble)이 응답되면, RRC 연결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고(S81), 연결이 요청된 이유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 이유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는 보유(reserve)할 자원의 종류를 결정하고, 소정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노드 B와 서빙 RNC) 간에 동기화 및 시그널링 설정을 수행한다(S82).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준비되면, 사용할 무선 자원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convey) 연결 셋업 메시지를 UE로 전송한다(S83). 상기 UE는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연결 설정을 확인한다(S84). 연결이 설정되면, UE는 UE 식별자, 현재 위치, 요청된 트랜잭션(transaction) 종류 등 많은 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직접전달메시지(Initial Direct Transfer Message)를 전송한다(S85). 그러면, UE와 네트워크는 서로 인증하여 보안 모드 통신(security mode communication)을 설정한다(S86). 실제 셋업 정보는 호 제어 셋업메시지(Call Control Setup message)를 통해 전달된다(S87). 이는 상기 트랜잭션을 식별하고 서비스 품질(QoS) 요구사항을 나타낸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는 요청된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이 충분한지를 확인하여 무선 베어러 할당을 위한 활동을 시작한다. 만일 충분한 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베어러는 요청에 따라 할당된다. 만일 그렇지 못한 경우, 네트워크는 더 낮은 서비스 품질 값으로 할당을 계속하거나, 혹은 무선 자원이 이용 가능하게 될 때까지 상기 요청을 대기(queue)시키거나 상기 호 요청을 거절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S88, S89).
그러나, 본 발명자는 종래 배경 기술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인지했다. 즉, 해결되어야 할 한 가지 문제는 호 설정과 함께 네트워크 시그널링으로 인한 임의 접속 절차 및 간섭 레벨과 관련된 지연이다.
예를 들어, 접근 시도가 네트워크에 의해 응답(acknowledge)되면, 연결 요청에 대한 이유를 포함하는 데이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만일 UE가 열악한 상향링크 범위(coverage)의 지역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따라서 응답을 보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상기 UE는 이 메시지를 여러 번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호 설정 지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간섭 레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의 접근 시도 관리 방식은 접근 시도를 위한 우선순위 레벨 및 RACH에 대한 목적(들) (예를 들어, 임의 접속 근거(원인, cause), RACH 근거, 임의 접속 이유 등)에 대한 함수 관계로써 접근 전송의 확률(probability)을 구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포함되었으며 이 명세서와 공조하며 또한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 표준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임의 접속 전송에 관한 타이밍(예를 들어, 접근 슬롯)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UE에 의한 하향링크 AICH 접근 슬롯의 수신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PRACH 접근 슬롯의 수신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AICH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접근 등급(AC)의 타입 및 정보 요소(IE)를 갖는 각각의 관련 접근 서비스 등급(ASC)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7은 제어 접근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시그널링 설정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호 설정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상기 묘사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결점에 관한 본 발명자의 인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근거로, 본 발명의 특징들이 전개되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UMTS의 최적화된 RACH 절차가 설명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특징들은 이들을 이용하여 이롭게 되는 다른 여러 타입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접근 등급과 RACH의 목적(들)을 근거로 하여 허용된 접근 시도에 대한 우선순위 레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RACH의 목적(들)은 또한 임의접근 근거(이유, reason), RACH 근거, 설정 근거, 임의 접속의 이유 등 다른 유사한 용어나 어구로 나타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라벨 및 다른 용어는 단지 예시적이며 표준화에 있어서 진행 중이거나 앞으로의 논의의 결과로서 명백(수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에서, 코드 도메인에서, 혹은 이들의 혼합에서 접근 자원 할당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접근 시도의 제 1 단계(phase)로부터 RACH의 목적(들)을 얻는데 있다. 허용된 접근 시도에 대한 할당 자원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어플리케이션 혹은 RACH의 목적(들) 및 전달된 데이터 타입 혹은 특정 필요사항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임의 접속 지연을 최적화하고 관련 시그널링의 간섭 레벨을 감소하기 위해서 고정(fixed) 네트워크 또는 무선(wirelses)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유사하게, 모든 UE들은 접근 등급(Access Classes; AC)으로 정의되어 임의로 할당된 이동 집단의 멤버들이다. 상기 집단 수는 UE(예를 들어, SIM/USIM에 저장)에 저장될 수 있다. 만일 UE가 네트워크에 의해 신호된 바와 같이 허가된 등급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AC 멤버인 경우, 접근 시도들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접근 시도들은 가능하지 않다.
등식 (1):
허용 접근 시도(Allowed access attempt) = f(접근서비스등급(access service class)).
본 발명에서, UE는 접근 서비스 등급 및 네트워크에 의해 신호된 바와 같이 RACH의 해당 목적(들)에 할당된 접근 자원을 기초로 한 전송 확률을 근거로, 언제 접근 시도를 시작할 것인지를 구한다.
등식 (2):
접근 전송 확률(Probability of access transmission) = f(접근 서비스 등급, RACH 목적들(access service class, purposes for RACH)).
UE가 접근을 원하는 RACH의 특정 목적(들)은 UE가 접근 자원을 언제 사용가 능한지 판단한다. 접근 자원의 할당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에서, 코드 도메인에서 혹은 이들의 혼합에서 무선 자원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이루어 져야 한다.
등식 (3):
무선 접근 자원 할당(Radio access resource allocation) = f(시간 및/또는 주파수 및/또는 코드 및/또는…(time and/or frequency and/or code and/or…)).
등식 (4):
허용 접근 자원(Allowed access resource) = f(RACH 목적들(Purposes for RACH)).
접근 자원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로 다수의 RACH 목적들 사이에 나뉘어야 한다. RACH의 목적들은 트래픽 등급(대화형, 백그라운드, 인터액티브, 스트리밍) 등 전송되는 데이터 타입, 이동성 관리(위치 지역 업데이트 등), 측정 리포트 등에 따라 RACH 그룹들의 서로 다른 목적으로 나뉠 수 있다.
RACH의 각 목적은 접근 시도의 전송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그 결과, 특정 유형의 근거가 다른 유형의 근거보다 접근을 얻을 수 있는 더 높은 확률을 가질 수 있다. 접근 자원의 할당은 고정되거나 혹은 가능한 설정 근거를 통한 로드 균형(balancing)을 근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 균형은 여러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 할당(random allocation)
임의 할당에서, 접근 자원은 RACH의 어느 목적에 임의로 할당된다. 그러한 경우, 다른 목적들로 할당되어 있으면서 RACH의 한 목적을 위한 접근 자원에 과중한 부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RACH의 한 목적으로 어느 특정한 시간 기간 동안 보다 많은 접근 자원들이 할당될 수 있고 RACH의 다른 목적을 위하여 할당된 접근 자원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개, RACH의 각 목적은 임의 선택으로 인해 로드에서 각자의 할당 몫(share)을 얻게 된다.
균일 할당(uniform allocation)
균일 할당에서, 접근 자원은 순서대로 RACH의 이용 가능한 목적들 중에 동등하게 나뉜다. 상기 접근 자원은 회전 방식(rotating basis)으로 할당된다. RACH의 제 1 목적을 위한 자원 할당이 RACH의 목적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된다. 다음 할당 시, 상기 선택은 순환 순서(circular order)를 따른다. RACH의 한 목적이 접근 자원에 할당되면, RACH의 이러한 목적은 상기 리스트의 끝으로 이동한다.
가중 할당(weighted allocation)
가중 할당은 균일 할당의 변형이다. 가중 할당의 경우, 리스트에서 RACH의 각 목적에 가중치(weight)를 할당할 수 있는데, 만일 네트워크/오퍼레이터가 다른 것에 비해 RACH의 한 목적에 두 배나 많은 접근 자원을 할당하기 원하는 경우, RACH의 이 목적은 2의 가중치를 얻는다. 그러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오퍼레이터는 네트워크 수용 능력 및 RACH의 어떤 목적에 대한 접근 자원 용량을 처리할 수 있다.
로드 균형의 구성은 특정 요구사항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중 할당은 다음의 경우 사용되어야 한다:
- RACH의 일부 목적들이 다른 목적들보다 처리하는데 더 오래 걸리는 경우;
- RACH의 일부 목적들을 위한 접근은 허용하고 다른 목적에는 접근을 거부하고자 할 경우; 및/또는
- 특정 서비스 전용 무선 자원의 이용 가능성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
그러나, 만일 수용 능력이 RACH의 모든 목적에 똑같이 요구되는 경우, 동일 할당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UE가 접근을 시도하는 접근 자원은 RACH의 목적(들)을 나타낸다. 그러한 경우,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RACH의 목적을 전달하는 메시지를 전송 혹은 재전송할 필요가 없다. 즉, 메시지를 시그널링하는 회수가 감소되고, 재전송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 레벨도 감소된다.
또한, 충돌 확률도 RACH 목적의 1/number로 감소된다. 왜냐하면, UE가 접근을 원하는 RACH의 목적들이 UE가 접근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때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반적인 접근 지연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소한다.
도 9는 종래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호 설정 절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종래 호 설정 절차는 이동 단말(UE)과 무선 네트워크간에 여러 개의 메시지들의 교환을 필요로 했다. 상기 호 설정 절차는 두 단계로 나뉜다.
제 1 단계에서, UE는 접근 서비스 등급을 근거로 하여 임의 접속 확률을 구한다(S91). 그렇게 함으로서, 접근 시도 절차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네트워크로 보내진다(S92). 상기 접근 시도가 성공적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는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UE로 전송하여 응답한다(S94). 다중 접근 시도는 성공적일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다중 접근 시도에서, 새로운 임의 접속 확률은 각 반복 시 얻어진다(S93).
제 2 단계에서, UE는 상기 접근 시도가 성공적이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면, RACH의 목적(들)(예를 들어, 호 설정의 이유나 목적)을 포함하는 다른 메시지를 전송한다(S95). 이를 적절히 수신한 네트워크는 상기 UE로 응답을 다시 보낸다(S97). 이때, RACH의 목적(들)을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적절한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되어야 한다(S96).
상기 제 1 및 2 단계들을 완료하면, 링크 설정 인증 및 호 설정을 위한 보안 제어가 수행된다(S98).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 설정 절차는 UE와 네트워크간에 최소의 메시지 교환을 필요로 한다. 이때, 종래 제 2 단계 절차는 본 발명에서 필요하지 않다.
UE는 접근 서비스 등급과 RACH의 목적들을 근거로 하여 임의 접속 확률을 구한다(S101). 그렇게 하여, 접근 시도 절차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네트워크로 보내진다(S102). 상기 접근 시도가 성공적인 경우, 네트워크는 UE에게 그러한 내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응답한다(S104). 다중 접근 시도는 성공적일 때까지 반복 해서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다중 접근 시도에서, 새로운 임의 접속 확률은 각 반복 시 얻어진다(S103).
이하, 호 설정을 위한 링크 설정 인증 및 보안 제어가 수행된다(S104, S105).
지금까지, 향상된 접근 시도를 위한 예시적인 방식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묘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과 특징들은 무선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자원을 위한 접근 프로토콜을 갖는 어느 통신 시스템에나 적용 가능하다.
접근 전송의 확률은 RACH 목적(예를 들어, 임의 접속 근거, RACH 근거 등)뿐만 아니라 접근 서비스 등급을 근거로 한다. 호 설정의 근거는 접근 자원 할당의 다양한 조합들을 통해 접근 시도의 제 1 단계로부터 구해진다. UE가 접근을 원하는 RACH의 특정 목적은 상기 UE가 접근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때를 판단한다.
본 발명은 임의 접속 지연에서의 감소, 충돌 확률에서의 감소, 메시지 시그널링에서의 감소, 종래 설정 근거 메시지 전송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 레벨에서의 감소 등의 결과를 갖는다.
또한, 네트워크상에서 호 셋업 지연의 최소화는 적용범위를 향상시키고 재전송 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근 서비스 등급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의 접속 근거에 따라 접근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접근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할당된 접근 자원을 이용하여 접근 시도를 수행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접근 버스트(burst)에 있는 프리앰블로부터 상기 임의 접속 근거를 구하는(deriving) 단계를 더 포함 한다. 상기 구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갖는 여러 개의 임의 접속 근거들 혹은 임의 접속 근거들의 그룹들 중에 나뉜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고정된 방식 또는 동적인 방식으로 접근 자원의 할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자원의 동적 할당은 로드 균형(load balancing)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로드 균형은 임의 접속 근거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로드 균형은 임의 할당, 균일 할당 및 가중 할당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임의 접속 근거에 따라 트래픽 채널을 위한 적절한 자원을 보유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상기 임의 접속 근거는 주파수 도메인, 시간 도메인 혹은 이 두 도메인에서 접근 자원 할당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접근 시도의 제 1 단계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자원 할당은 전달되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또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부터 접근 시도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임의 접속 근거에 대한 무선 접근 자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접근 서비스 등급과 임의 접속 근거를 기초로 하여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도하는 단계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이 사용되는 경우 소정 윈도우 기간(window period)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도하 는 단계는 상기 임의 접속 근거에 관련된 접근 버스트(burst)에 있는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서비스 등급은 임의 접속 시도를 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임의 접속 근거는 어떤 접근 자원이 사용될 것인지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 시도에 대한 우선순위 레벨 및 임의 접속 근거에 대한 함수관계로서 접근 전송의 확률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것을 근거로 링크 설정 인증 및 보안 제어 호 설정을 수행하도록 적용된 프로토콜 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을 제공한다.
상기 우선순위 레벨은 임의로 할당된 이동 집단 수를 나타내는 접근 서비스 등급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임의 접속 근거는 RACH의 목적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스택의 특징들은 이동 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로부터 접근 시도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임의 접속 근거에 대한 무선 접근 자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개체는 네트워크 개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하는 단계는 접근 서비스 등급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의 접속 근거에 따라 접근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접근 자원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적어도 3GPP 스탠더드와 관련된다. 3GPP 사양 (specification)의 소정 관련된 부분들, 예를 들어 MAC (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 사양 V6.5.0에 관련된 22.011 (=GSM 02.11), 25.321, 25.331 및 이들의 관련 부분이나 일부, 또한 이들의 다양한 개발 향상이 본 발명에 관련된다. 그러한 스탠더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일부이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어 이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묘사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예시적인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형 및 동등 구조를 포괄한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정신 및 범위와 일관된 변형, 동등 구조물 및 특징들을 포괄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접근 서비스 등급(access service classes)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의 접속 근거(random access cause)에 따라 접근 자원(access resources)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접근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할당된 접근 자원을 이용하여 접근 시도(access attempts)를 수행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접근 버스트(access burst)에 있는 프리앰블(preamble)로부터 상기 임의 접속 근거를 구하는(deriv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갖는 여러 개의 임의 접속 근거들 혹은 임의 접속 근거들의 그룹들 중에 나뉜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고정된(fixed) 방식 또는 동적인(dynamic) 방식으로 접근 자원의 할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자원의 동적 할당은
    로드 균형(load balancing)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균형은 임의 접속 근거들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균형은
    임의 할당(random allocation), 균일 할당(uniform allocation) 및 가중 할당(weighted allocatio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임의 접속 근거에 따라 트래픽 채널을 위한 적절한 자원을 보유하는 방법을 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 접속 근거는
    주파수 도메인, 시간 도메인 혹은 이 두 도메인에서 접근 자원 할당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접근 시도의 제 1 단계(a first phase)로부터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자원 할당은
    전달되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또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11. 네트워크로부터 접근 시도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임의 접속 근거에 대한 무선 접근 자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접근 서비스 등급(access service class)과 임의 접속 근거(random access cause)를 기초로 하여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도하는 단계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이 사용되는 경우 소정 윈도우 기간(window period)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 접속 근거에 관련된 접근 버스트(access burst)에 있는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서비스 등급은 임의 접속 시도를 구하는데(derive) 사용되고, 상기 임의 접속 근거는 어떤 접근 자원이 사용될 것인지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의한 접근 시도 처리 방법.
  15. 접근 시도에 대한 우선순위 레벨(priority level) 및 임의 접속 근거에 대한 함수관계로서 접근 전송의 확률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것을 근거로 링크 설정 인증(link establishment authentication) 및 보안 제어 호 설정(security control call establishment)을 수행하도록 적용된 프로토콜 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레벨은
    임의로 할당된 이동 집단 수(mobile population number)를 나타내는 접근 서비스 등급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 접속 근거는 RACH의 목적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들은 이동 단말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구하는(deriving) 단계는
    네트워크로부터 접근 시도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임의 접속 근거에 대한 무선 접근 자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개체는 네트워크 개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하는 단계는
    접근 서비스 등급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의 접속 근거에 따라 접근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접근 자원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KR1020087004965A 2005-09-08 2006-09-07 통신 시스템의 접근시도 처리를 위한 방법 및 프로토콜 KR100932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570405P 2005-09-08 2005-09-08
US60/715,704 2005-09-08
PCT/KR2006/003563 WO2007029977A1 (en) 2005-09-08 2006-09-07 Method and protocol for handling access attempts for communications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493A true KR20080031493A (ko) 2008-04-08
KR100932051B1 KR100932051B1 (ko) 2009-12-15

Family

ID=3783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65A KR100932051B1 (ko) 2005-09-08 2006-09-07 통신 시스템의 접근시도 처리를 위한 방법 및 프로토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51804B2 (ko)
EP (1) EP1929743B1 (ko)
JP (1) JP4738485B2 (ko)
KR (1) KR100932051B1 (ko)
CN (1) CN101258726B (ko)
BR (1) BRPI0615235A2 (ko)
MX (1) MX2008002446A (ko)
RU (1) RU2426261C2 (ko)
TW (1) TWI316807B (ko)
WO (1) WO2007029977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57B1 (ko) * 2008-07-08 2013-02-20 주식회사 케이티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354064B1 (ko) * 2009-03-05 2014-0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Umts를 위한 asc 0에 대한 액세스 프로시저의 변경들
WO2017039089A1 (ko) * 2015-08-28 2017-03-09 한국과학기술원 임의접속 과정을 통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80105255A (ko) * 2013-03-15 2018-09-27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Iii-v/아연 칼코겐 화합물로 합금된 반도체 양자점
KR20190038783A (ko) * 2011-08-10 201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접속 차단 적용 방법 및 장치
US10993265B2 (en) 2010-02-12 2021-04-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US11064397B2 (en) 2011-10-05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a cell in heterogeneous networ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53047B2 (en) 2011-08-10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223455B2 (en) 2011-08-10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388583B2 (en) 2011-08-10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porting capability information and dual mode user equipment adapted thereto
US11832229B2 (en) 2011-08-22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0757B (zh) * 2005-11-04 2017-08-11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及用于其的发送功率控制方法
KR101010581B1 (ko) * 2006-08-09 201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액세스 프로시져를 이용한 정보의 송수신방법 및 장치
EP2068574B1 (en) 2006-09-26 2015-03-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KR101319872B1 (ko) * 2006-10-04 2013-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자원 할당 방법
TW200833134A (en) * 2007-01-30 2008-08-01 Interdigital Tech Corp Cell access restriction and WTRU access class optimization in LTE system information
US8483174B2 (en) 2007-04-20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ateway relocation
US8072953B2 (en) * 2007-04-24 2011-12-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ome Node-B identification and access restriction
EP2169971B1 (en) * 2007-06-19 2018-03-07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278642B2 (ja) 2007-10-02 2013-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共通チャネルのリソース割当方法および装置
KR100917923B1 (ko) 2007-10-29 2009-09-16 주식회사 케이티 Wcdma 시스템에서의 fa간 부하 분산 방법
KR101461939B1 (ko) 2007-11-14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선순위 기반의 랜덤 액세스 방법
WO2009075485A1 (en) * 2007-12-13 200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based on call prior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74982B2 (en) * 2008-02-04 2011-07-05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profiling using cascaded databases
US11272449B2 (en) 2008-06-18 2022-03-08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KR100968020B1 (ko) * 2008-06-18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20100096347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에서의 랜덤 억세스 처리 방법
US8351951B2 (en) * 2009-03-24 2013-01-08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channel access and related mobile device
CN101951643B (zh) 2009-09-03 2014-04-23 开曼群岛威睿电通股份有限公司 通信接入程序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498710B (zh) * 2009-09-18 2014-12-17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终端以及紧急通知接收方法
EP2323436A1 (en) * 2009-11-16 2011-05-18 Nokia Siemens Networks Oy Load re-distribution with communications network control
US8462722B2 (en) * 2010-03-26 2013-06-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ccess control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devices
JP5108066B2 (ja) * 2010-08-11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機、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2064076A2 (ko) * 2010-11-08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rrc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20281530A1 (en) * 2010-11-08 2012-11-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dio access network overload control
JP5536617B2 (ja) * 2010-11-12 2014-07-02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9491735B2 (en) * 2010-12-19 2016-11-08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 network of dynamically assigning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bearer to a multicast channel
CN102740403B (zh) * 2011-04-02 2015-03-1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在通信网络的终端中用于接入的方法及装置
JP5234377B2 (ja) * 2011-04-22 2013-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移動局および基地局
US9036548B2 (en) * 2011-08-15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adio access network
US8873420B2 (en) * 2011-12-01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Detecting extended acquisition indicators
US20130142057A1 (en) 2011-12-01 2013-06-06 Broadcom Corporation Control Channel Acquisition
US9048990B2 (en) 2011-12-01 2015-06-02 Broadcom Corporation Power efficient paging channel decoding
JP6071276B2 (ja) * 2012-05-14 2017-02-01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US20140064207A1 (en) * 2012-08-07 2014-03-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on of Random Access Channel
US8661484B1 (en) * 2012-08-16 2014-02-25 King Saud University Dynamic probability-based admission control scheme for distributed video on demand system
US9307447B2 (en) * 2012-10-31 2016-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extended access class barring
WO2014199978A1 (ja) * 2013-06-10 2014-12-18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JP5852292B2 (ja) 2013-06-17 2016-02-03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改良された衝突回避技術
US9351217B2 (en) * 2014-01-29 2016-05-24 Acer Incorporated Method of performing traffic steering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and related wireless network system
US9544815B2 (en) 2014-01-29 2017-01-10 Acer Incorporated Method of performing traffic steering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and related wireless network system
US9788318B2 (en) * 2014-08-18 2017-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capacity on collision based channels
US10143015B2 (en) 2016-03-18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in unlicensed spectrum
US11134297B2 (en) * 2017-12-13 2021-09-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input port
EP3791650B1 (en) * 2018-05-08 2023-03-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abling management of random access attemp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327581B (zh) * 2019-08-08 2022-03-22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设备接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8788A (en) * 1997-10-15 2000-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lanced media access methods for wireless networks
JP3641128B2 (ja) * 1998-02-20 2005-04-20 株式会社東芝 移動計算機装置、移動計算機管理装置、移動計算機管理方法及び通信制御方法
US6594240B1 (en) 1998-05-22 2003-07-1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 backoff based access priority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6400695B1 (en) * 1998-05-22 2002-06-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ansmission based access priority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0993214B2 (en) 1998-10-05 2014-02-12 Sony Deutschland GmbH Random access channel prioritization scheme
ATE353492T1 (de) 1999-07-07 2007-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rät und verfahren zur kanalzuteilung für einen gemeinsamen paketkanal in einem mobilen wcdma kommunikationssystem
RU2168278C2 (ru) 1999-07-16 2001-05-27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Способ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абонентов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EP1232575B1 (en) 1999-11-29 2009-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ssigning a common packet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778835B2 (en) * 2000-03-18 2004-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physical channel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GB0007337D0 (en) 2000-03-28 2000-05-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ATE454022T1 (de) 2000-04-04 2010-01-15 Sony Deutschland Gmbh Ereignisgesteuerte änderung der zugriffsdienstklasse in einem zufallzugriffskanal
EP1143755B1 (en) * 2000-04-04 2007-12-19 Sony Deutschland GmbH Prioritisation method for users randomly accessing a common communication channel
JP3801983B2 (ja) * 2000-06-02 2006-07-2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符号分割多元接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ンネルを選択する方法
EP1338125A2 (en) * 2000-11-03 2003-08-27 AT & T Corp. Tiered contention multiple access (tcma): a method for priority-based shared channel access
WO2002067619A2 (en) 2001-02-21 2002-08-29 Genist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ceptual quality of service based call admission control and callback
WO2003003643A1 (en) * 2001-06-27 2003-01-09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adaptively sett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a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uplink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17602B2 (en) * 2002-05-29 2005-07-1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channel capture with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KR100438183B1 (ko) * 2002-07-26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과부하 제어 방법
US7733896B2 (en) * 2002-08-19 2010-06-08 Alcatel-Lucent Usa Inc. Dynamic access priority scheme
KR20040064867A (ko) * 2003-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메시지의 전송 구간을제공하는 방법
US7212809B2 (en) * 2003-02-06 2007-05-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negotiation acceleration
KR100947741B1 (ko) * 2003-05-09 201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rrc연결설정 방법
FR2856876B1 (fr) * 2003-06-24 2005-09-30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 controle d'acces a des ressources d'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 et de station de base pour la mise en oeuvre de procede
FI20031414A (fi) 2003-09-30 2005-03-31 Nokia Corp Datan siirtäminen langattoman pakettivälitteisen datajärjestelmän matkaviestimessä
KR100626668B1 (ko) 2004-12-13 2006-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양한 접속 서비스 등급을 지원하는 랜덤 접속 장치 및 그방법
US7471654B2 (en) * 2004-12-29 2008-12-30 Alcatel-Lucent Usa Inc. Channel assignment based on service type and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57B1 (ko) * 2008-07-08 2013-02-20 주식회사 케이티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354064B1 (ko) * 2009-03-05 2014-0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Umts를 위한 asc 0에 대한 액세스 프로시저의 변경들
US10993265B2 (en) 2010-02-12 2021-04-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KR20190038783A (ko) * 2011-08-10 201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접속 차단 적용 방법 및 장치
US11153047B2 (en) 2011-08-10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223455B2 (en) 2011-08-10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RE49136E1 (en) 2011-08-10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extended accessing bar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88583B2 (en) 2011-08-10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porting capability information and dual mode user equipment adapted thereto
US11832229B2 (en) 2011-08-22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064397B2 (en) 2011-10-05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a cell in heterogeneous networ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05255A (ko) * 2013-03-15 2018-09-27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Iii-v/아연 칼코겐 화합물로 합금된 반도체 양자점
WO2017039089A1 (ko) * 2015-08-28 2017-03-09 한국과학기술원 임의접속 과정을 통한 통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26261C2 (ru) 2011-08-10
CN101258726B (zh) 2013-01-16
TW200719652A (en) 2007-05-16
BRPI0615235A2 (pt) 2011-05-10
KR100932051B1 (ko) 2009-12-15
EP1929743A4 (en) 2011-04-27
US8451804B2 (en) 2013-05-28
EP1929743B1 (en) 2017-03-15
TWI316807B (en) 2009-11-01
JP2009506709A (ja) 2009-02-12
EP1929743A1 (en) 2008-06-11
WO2007029977A1 (en) 2007-03-15
US20080298325A1 (en) 2008-12-04
JP4738485B2 (ja) 2011-08-03
MX2008002446A (es) 2008-04-03
CN101258726A (zh) 2008-09-03
RU2008107084A (ru)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051B1 (ko) 통신 시스템의 접근시도 처리를 위한 방법 및 프로토콜
USRE44283E1 (en) Method and procedures for unsynchronized, synchronized, and synchronization stand by communications in E-UTRA systems
USRE49136E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extended accessing bar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26986B2 (en) Optimized random access channel (RACH) access
US891769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resource information
US8081974B2 (en) Method and procedures for prioritized transmission on contention channels
US8406201B2 (en) Methods and procedures to allocate UE dedicated signatures
KR10131987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9627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