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121A -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121A
KR20080031121A KR1020070098957A KR20070098957A KR20080031121A KR 20080031121 A KR20080031121 A KR 20080031121A KR 1020070098957 A KR1020070098957 A KR 1020070098957A KR 20070098957 A KR20070098957 A KR 20070098957A KR 20080031121 A KR20080031121 A KR 20080031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transmission output
line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383B1 (ko
Inventor
유사꾸 오까무라
에이이찌 마쯔다
스스무 사사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2Reducing cross-talk, e.g. by compens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04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6Requirements on out-of-channel emi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제1 통신 장치는,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대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부에 기억한다. 그리고, 제1 통신 장치는, 그 기억부에 기억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한다.
Figure P1020070098957
통신 장치, 주파수 대역, 전송 속도, 인접 회선, 송신 출력의 억제

Description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TRANSMISSION OUTPUT CONTROL APPARATUS,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OUTPUT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OUTPUT CONTROL PROGRAM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6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70883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전화선 등의 메탈릭 케이블을 통하여 수 M 비트/초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x는, A, H, S, V 등의 총칭)에 적용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xDSL은, 전화선 등의 메탈릭 케이블을 사용하여, 수 M 비트/초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xDSL로서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SDSL(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HDSL(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이 있고, 전송 속도, 속도의 대칭/비대칭 등의 차이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DSL들을 총칭하여 xDSL이라고 칭한다.
또한, xDSL은, 베스트 에포트형 서비스라고 불린다. 그 전송 속도는, 통신 회선의 전송 거리나 잡음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통신 회선의 전송 거리가 짧고 잡음도 적은 환경 조건에서는 전송 속도가 커지고, 통신 회선의 전송 거리가 길고 잡음이 큰 환경 조건에서는 전송 속도가 작아진다.
또한, xDSL은, 변조 방식으로서 DMT(Discrete Multi Tone)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모뎀이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초기화 트레이닝을 행하여, 통신 회선의 전송 거리나 각 캐리어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측정하고, 그 측정한 각 캐리어의 SNR에 기초하여 각 캐리어에 배치하는 비트 레이트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 넘버: i(i는, 임의의 정수)의 SNR을 SNRi로 하고, 캐리어 넘버: i가 m번째∼n번째까지의 각 캐리어에 배치하는 비트 레이트의 총합: Totalrate를, 이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고, 그 산출한 비트 레이트의 총합: Totalrate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전송 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Figure 112007070817677-PAT00001
단, S는 심볼 레이트를 나타내며, G.992.1 준거의 ADSL의 경우에는 4㎑로 된 다. 또한, Γ는 실효 SNR 갭이고, 에러 레이트를 10-7로 한 경우에는, Γ=9.75㏈로 된다.
또한, xDSL에서의 잡음으로서 가장 지배적인 것은 타회선으로부터의 누화이다. 누화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근단 누화 『NEXT』(누화원과 피누화원이 역방향)와, 원단 누화 『FEXT』(누화원과 피누화원이 동일 방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원단 누화 『FEXT』의 쪽이 근단 누화 『NEXT』보다도 누화의 영향이 적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근단 누화 『NEXT』와, 원단 누화 『FEXT』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회선(1)을 측정 대상이라고 가정한 경우, 측정 대상으로서 주목하는 통신 회선(1)과 동일 방향으로 신호가 흐르는 통신 회선(2)을 『누화원』으로 하는 것이 원단 누화 『FEXT』로 된다. 본래 전송할 신호는 전송 거리와 함께 감쇠하므로, 전송 거리에 따라서 이 원단 누화 『FEXT』의 누화량도 상대적으로 감쇠하게 된다.
또한, 측정 대상으로서 주목하는 통신 회선(1)과 역방향으로 신호가 흐르는 통신 회선(3)을 『누화원』으로 하는 것이 것이 근단 누화 『NEXT』로 된다. 본래 전송할 신호는 전송 거리에 따라 감쇠하는 것에 대해, 근단 누화 『NEXT』는, 본래 전송할 신호의 전송처에서 누화량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근단 누화 『NEXT』 쪽이 원단 누화 『FEXT』보다도 누화의 영향이 현저해진다.
또한, 종래의 xDSL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측에 설치되는 국 설 치 xTU-C(XDSL Termination Unit-Center side)(1O, 11)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었지만, 현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터미널(RT) 설치의 xDSL에 관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RT) 설치의 xDSL의 경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측에 설치되는 xTU-C(10, 11)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RT 설치 xDSL의 xTU-C(11)의 원단 누화 『FEXT』는, 기존의 국 설치 xDSL의 xTU-C(10)의 통신 회선(30)의 도중으로부터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RT 설치 xDSL의 xTU-C(11)로부터 발생하는 원단 누화 『FEXT』가, RT 설치의 xDSL(11, 21)과 인접하는 기존의 국 설치 xDSL(10, 20)의 xTU-R(XDSL Termination Unit-Remote side)(20)에 대하여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국 설치 xDSL의 xTU-C(1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통신 회선(30)의 전송 거리에 따라서 감쇠하고 있는 조건 하에서, RT 설치 xDSL의 xTU-C(11)로부터 높은 송신 출력 레벨의 신호가 송신되었을 때에, 매우 큰 원단 누화 『FEXT』로서의 역할을 하는 누화가 기존의 국 설치 xDSL의 xTU-R(20)에 방해를 주게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RT 설치 xDSL의 xTU-C(11)로부터의 원단 누화 『FEXT』에 의한 영향을 경감하여, 인접하는 국 설치 xDSL의 전송 속도의 저하를 회피하는 것이 필요시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RT 설치 xDSL의 원단 누화 『FEXT』에 의한 영향을 경감하는 방법으로서, RT 설치 xDSL의 xTU-C(11)로부터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 레벨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VDSL의 권고인 ITU-T 권고 C.993.1에는, 인접하는 국 설치 ADSL과의 간섭 저감을 위해, 국 설치 VDSL의 1.1㎒ 이하의 송신 출력을 저하시키는 기능에 대하여 규정되어 있다.
또한, 국 설치 VDSL의 사용 대역과 국 설치 ADSL의 사용 대역에서 중복하는 주파수 대역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국 설치 ADSL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국설치 VDSL의 사용 대역과 국 설치 ADSL의 사용 대역에서 중복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도, 국 설치 ADSL의 사용 대역보다도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 잡음이 발생한 경우에는, 국 설치 ADSL에 대하여 폴딩 잡음 등이 발생하여, 국 설치 ADSL의 ADSL 신호의 SNR을 열화시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국 설치 ADSL의 전송 속도를 저감시키게 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때문에, 국 설치 ADSL의 사용 대역보다도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국 설치 ADSL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고 싶은 것이 현상이다.
또한, 본 발명보다 앞서 출원된 기술 문헌으로서, 인접 회선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전력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된 문헌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또한, 인접하는 다른 통신 방식(예를 들면, ADSL)에서 사용하는 사용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송신 전력을 억제하여, 다른 통신 방식에 대한 간섭을 억제 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된 문헌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2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6-14040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개 2006-11532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1, 2에는,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 고려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장치는, 통신 회선에 출력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로서,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또한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은, 제1 통 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가 통신 회선을 통해 서로 접속하여 구성되는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으로서, 제1 통신 장치는,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통신 회선에 출력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서 행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단계를, 송신 출력 제어 장치가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은, 통신 회선에 출력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억 처리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점은,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신호를 통신 회선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감소가 회피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개시한 실시예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
우선,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신 장치(xTU-C : 100에 해당)와, 제2 통신 장치(xTU-R : 200에 해당)가 통신 회선(300)을 통해 접속하여 구성되는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이다.
그리고, 제1 통신 장치(100)는, 통신 회선(300)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 수단(기억부 : 104에 해당)에 기억한다. 저장되는 주파수 대역은 통신 장치(500)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대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통신 장치(100)는, 그 기억 수단(104)에 기억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제1 통신 장치(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500)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그 통신 장치(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제1 통신 장치(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500)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통신 장치(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우선,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은, 국측 장치인 xTU-C(XDSL Termination Unit-Center side)(1OO)와, 옥내측 장치인 xTU-R(XDSL Termination Unit-Remote side)(200)이 통신 회선(300)을 통해 접속하여 구성된다.
또한,국측 장치인 xTU-C(100)는, 모뎀의 종별을 관리하는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와, 모뎀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 대역을 관리하는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에 접속하고 있다.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의 종별』마다,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국 정보』라고 함은,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국측의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단말기 정보』라고 함은,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옥내측의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회선 신호 정보』라고 함은,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 및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의 종별』마다,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대응지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주파수 대역』이라 함은,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신호 전력』이라 함은,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모뎀의 종별』 로서 『모뎀A』를, 인접 회선(400)의 xTU-C(500)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 a11∼a1n(n은, 임의의 정수), a21∼a2n, a31∼a3n, …에서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는,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 a11∼a1n, a21∼a2n, a31∼a3n, …과, 그 각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 a1, a2, a3, …을 『모뎀A』에 대응지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는, 『모뎀의 종별』마다,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 』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xTU-C:100의 내부 구성>
다음에,국측 장치인 xTU-C(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xTU-C(100)는 송신부(101)와, 수신부(102)와, 송신 출력 제어부(103)와, 기억부(l04)와, 모뎀 식별부(105)를 포함한다.
송신부(101)는, xTU-R(200)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수신부(102)는, xTU-R(2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xTU-C(100)로부터 통신 회선(300)에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억부(104)는, xTU-C(100)와의 통신시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모뎀 식별부(105)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다른 xDSL이 사용하고 있는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모뎀 식별부(105)는,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를 xTU-C(100)의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그 취득한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에 따른 『모뎀의 종별』을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로부터 취득하여,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DSL이 사용하고 있는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구성에서는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는, 『모뎀A』에 대해, 『국 정보A』, 『단말기 정보A』, 『회선 신호 정보A』를 대응지어 데이터베이 스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모뎀 식별부(105)는 『국 정보A』, 『단말기 정보A』, 『회선 신호 정보A』를 취득한 경우에, 그 취득한 『국 정보A』, 『단말기 정보A』, 『회선 신호 정보A』에 대응하는 『모뎀A』를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게 된다. 이에 의해, 모뎀 식별부(105)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DSL이 사용하고 있는 『모뎀A 』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도 5에 도시한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모뎀 식별부(105)가 xTU-C(100)의 외부으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모든 정보를 『모뎀의 종별』과 대응지어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것은 가능하며, 『모뎀의 종별』에 대응지어 관리하는 『정보』가 많으면 많을수록, 고정밀도로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의 경우에서는,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는, 『모뎀의 종별』에 대해,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를 대응지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모뎀의 종별』에 대해,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대응지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여, 모뎀 식별부(105)가 xTU-C(100)의 외부로부터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중 적어도 1개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도록 구축하는 것도 가능 하다.
<xTU-R : 200의 내부 구성>
다음에, 옥내측 장치인 xTU-R(2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xTU-R(200)은, 송신부(201)와, 수신부(202)와, 송신 출력 제어부(203)와, 기억부(204)와, 모뎀 식별부(205)를 포함한다.
송신부(201)는, xTU-C(100)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수신부(202)는, xTU-C(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송신 출력 제어부(203)는, xTU-R(200)로부터 통신 회선(300)에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억부(204)는, xTU-R(200)과의 통신시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모뎀 식별부(205)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다른 xDSL이 사용하고 있는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는 것이다.
<처리 동작>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서, xTU-C(100)가 행하는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모뎀 식별부(105)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한다(스텝 S1).
예를 들면, 모뎀 식별부(105)는,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 호 정보』를 xTU-C(100)의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모뎀 식별부(105)는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에 액세스하여,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도 5에 도시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xTU-C(100)의 외부로부터 취득한 『국 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에 대응하는 『모뎀의 종별』을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로부터 취득하고,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한다.
다음에,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에 액세스하여,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도 6에 도시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스텝 S1에서 모뎀 식별부(105)가 특정한 『모뎀의 종별』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로부터 취득하고(스텝 S2), 그 취득한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기억부(104)에 기억하게 된다.
이에 의해,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기억부(104)에 기억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기억부(104)에 기억한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 전력을 억제한 비트 게인 테이블을 생성하고(스텝 S3), 그 생성한 비트 게인 테이블에 기초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4).
예를 들면,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가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 시에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 전력을 억제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호 전력에서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도 9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가 『ADSL 통신』을 행하고, xTU-C(100)가 『VDSL 통신』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SL』은, 『VDSL』보다도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가 통신을 행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기억부(104)에 기억한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 전력을 억제한 비트 게인 테이블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비트 게인 테이블을 기초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모뎀의 종별이 모뎀A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주파수 대역 a11∼a1n, a21∼a2n, a31∼a3n, …에서 모뎀A에 대해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xTU-C(100)는 도 7에 도시한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모뎀의 종별』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기억부(104)에 기억한다. 그리고, xTU-C(100)는, 기억부(104)에 기억한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기초로,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대역 중에서, 그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은, 인접 회선(400)에 1개의 모뎀이 존재하는 것을 상정하고, 모뎀 식별부(105)는, 1개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인접 회선(400)에 복수의 모뎀이 존재하는 경우도 상정한다.
이 때문에, 제2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은, 인접 회선(400)에 복수의 모뎀이 존재하는 경우에, 모뎀 식별부(105)는, 복수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복수의 모뎀의 종별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기억부(104)에 기억하고, 그 기억부(104)에 기억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복수의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인접 회선(400)에 복수의 모뎀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복수의 모뎀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11~도 13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시스템 구성으로 구축하는 것으로 된다.
우선, 도 11을 참조하면서, xTU-C(100)가 행하는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1은,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모뎀 식별부(105)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복수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한다(스텝 S11).
예를 들면, 모델 식별부(105)는, 『국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를 xTU-C(100)의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모뎀 식별부(105)는,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에 액세스하여,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고 있는 도 5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국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뎀의 종별』을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로부터 취득하고,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복수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에 액세스하여,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스텝 S11에서 모뎀 식별부(105)가 특정한 복수의 『모뎀의 종별』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로부터 취득하고(스텝 S12), 그 취득한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기억부(104)에 기억하게 된다.
이에 의해,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기억부(104)에 기억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기억부(104)에 기억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각 모뎀의 종별을 포함한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결정한다(스텝 S13).
예를 들면,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스텝 S12에서 모뎀A와 모뎀B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취득한 경우에는, 도 12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뎀A에 대하여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과, 모뎀B에 대하여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2의 (a)는, 모뎀A에 대하여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도 12의 (b)는, 모뎀B에 대하여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A의 『주파수 대역』과 모뎀B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인접 회선(400)에 복수의 모뎀의 종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모뎀의 종별을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신호 전력』은, 모뎀A와 모뎀B에서 최소의 값의 신호 전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2의 (c)에 있어서 모뎀A와 모뎀B를 포함한 주파수 대역으로 되는 『a21∼b2n』에서의 『신호 전력』은, 『b2>a2』이기 때문에, 『a2』를 선정한다.
또한, 모뎀A와 모뎀B를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때의 모뎀A의 『주파수 대역』과 모뎀B의 『주파수 대역』의 비율에 따라서, 그 모뎀A와 모뎀B를 포함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뎀A의 『주파수 대역』과 모뎀B의 『주파수 대역』의 비율이, 모뎀A:모뎀B=7:3인 경우에는, 모뎀A와 모뎀B를 포함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x는, x=(7a+3b)÷10으로 산출한 신호 전력으로 한다.
다음으로, 송신 출력 제어부(103))는,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복수의 모뎀의 종별을 포함한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 전력을 억제한 비트 게인 테이블을 생성하고(스텝 S14), 그 생성한 비트 게인 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스텝 S15).
이에 의해, xTU-C(100)는, 도 12의 (c)에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은, 인접 회선(400)에 복수의 모델이 존재하는 경우에, 모뎀 식별부(105)는, 복수의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복수의 모뎀의 종별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기억부(104)에 기억하고, 그 기억부(104)에 기억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기초로,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통신 회선(300)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인접 회선(400)에 복수의 모뎀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복수의 모뎀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A의 『주파수 대역』과 모뎀B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모뎀의 종별이 많은 경우에는, 그 모뎀의 종별 중에서 소정의 비율만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모뎀의 종류가 모뎀A, 모뎀, B, 모뎀C, 모뎀D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각 모뎀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 대역이 모뎀A: 2∼5㎒, …, 모뎀B: 3∼4㎒, …, 모뎀C: 2∼6㎒, …, 모뎀D: 3∼8㎒, …인 경우에는, 모뎀A∼D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은, 2∼8㎒로 되지만, 모뎀A∼D 중에서, 50% 이상으로 공통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되는 2∼5㎒로 하도록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소정의 비율은, 임의로 설정 변경하도록 구축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실시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출력의 억제 제어를 행할 것인지 여부의 판단 방법으로서는, 인접 회선(400)에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xTU-C(100)는, 인접 회선(400)의 누화 잡음을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등을 이용하여 측정한다(스텝 S21).
다음으로,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잡음이 발생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2).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잡음이 발생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2/아니오), 송신 출력 제어 불필요로 판단하고, 디폴트의 도 9에 도시하는 소정의 송신 출력값으로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3). 또한, 소정의 송신 출력값으로서는, ITU-T 권고 G.993.2, ITU-T 권고 G.993.3 등에 개시되어 있는 최대 송신 출력값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xTU-C(100)는, 인접 회선(400)에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잡음이 발생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3/예), xTU-C(100)는, 송신 출력의 억제 제어 를 행하여, 통신 회선(300)에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인접 회선(400)에서의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잡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통신 회선(300)에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 제어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접 회선(400)의 누화 잡음의 측정 방법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등의 측정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방법을 적용하여 인접 회선(400)의 누화 잡음을 측정하는 것은 가능하며, 모뎀을 이용하는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인접 회선(400)에 존재하는 모뎀의 종별을 특정할 때의 특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화 교환국에 있는 모뎀 관리 소프트웨어 등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거나, 또는,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를 직접 이용하여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거나, 혹은, 회선의 신호나 누화 잡음 등에 기초하여 모뎀의 종별을 특정하거나 하도록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5, 도 6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뎀의 종별』마다 정보를 관리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모뎀의 종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모든 것이 적용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 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억제값은, 임의로 조정하는 것은 가능하고, 예를 들면, 모뎀의 종별에 따라서 송신 출력의 억제값을 임의로 조정하거나,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완전하게 제로로 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억제 값은, 인접 회선(400)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따라서 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의 종별』마다, 『국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고, 또한, 간섭 정보 관리 서버(60)가,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의 종별』마다, 『주파수 대역』과 『신호 전력』을 대응지어 관리하도록 했지만, 회선 정보 관리 서버(50)와 주파수 대역 관리 서버(60)가 관리하는 전술한 정보를 xTU-C(100)가 관리하도록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시스템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은, ADSL 국내 장치(500)와 ADSL 옥내 장치(600)가 통신 회선(400)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0LT(Optical Line Terminal)(700)와 원격 복합 장치(100)가 통신 회선(800)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고, 원격 복합 장치(100)와 VDSL 옥내 장치(200)가 통신 회선(300)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원격 복합 장치(100)는, ONU(Optical Network Unit)와 VDSL 국측 장치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xTU-C(100)와 xTU-R(200)의 통신 장치에서의 제어 동작은, 하드웨어 구성이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기의 프로그램은, 광 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광 자기 기록 매체, 또는 반도체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통신 장치에 로드함으로써, 전술한 제어 동작을 통신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통신 장치에 로드함으로써, 전술한 제어 동작을 통신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은, 전화선 등의 메탈릭 케이블을 통해 수 M 비트/초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x는 A, H, S, V 등의 총칭)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통신 장치의 종별마다 주파수 대역을 관리하는 간섭 관리부와,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종별을 특정하는 특정부와,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간섭 관리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를 갖고, 기억 수단은,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취득부는, 특정부에 의해 특정한 통신 장치의 종별이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대역 을 간섭 관리부로부터 취득하고, 기억부는, 각각의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고, 제어부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그 결정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제어부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어부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소정의 비율로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가, 소정의 비율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가, 인접 회선의 상태와 통신 장치의 종별을 대응지어 관리하는 회선 관리부와, 인접 회선의 상태를 특정하는 상태 취득부를 포함하고, 특정부는, 상태 취득부에 의해 특정한 인접 회선의 상태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의 종별을, 회선 관리부로부터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인접 회선의 상태가,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국측의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관한 정보와,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옥내측의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와,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 및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간섭 관리부가, 송신 출력 제어 장치와 분리 독립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는, 회선 관리부가, 송신 출력 제어 장치와 분리 독립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억제 값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적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근단 누화 『NEXT』와 원단 누화 『FEX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국측에 설치되는 xTU-C(XDSL Termination Unit-Center side)(10, 11)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여 구성되는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국측에 설치되는 xTU-C(XDSL Termination Unit-Center side)(10, 11)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여 구성되는 리모트 터미널(RT) 설치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RT 설치 xDSL의 xTU-C(11)의 원단 누화 『FEX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모뎀의 종별』마다, 『국정보』, 『단말기 정보』, 『회선 신호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테이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모뎀의 종별』마다, 『주파수 대역』, 『신호 전력』을 대응지어 관리하는 테이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인접 회선(400)의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과, 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신호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의 xTU-C(100)가 행하는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xTU-C(100)가 송신 출력 제어를 행하지 않고, 디폴트의 소정의 송신 출력값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xTU-C(100)가 송신 출력 제어를 행하고,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예의 xTU-C(100)가 행하는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제2 실시예의 xTU-C(100)가 행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xTU-C(100)가 송신 출력 제어를 행하여, xTU-C(500)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송신 출력의 억제 제어를 행할지 여부의 판단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실시예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통신 회선
10 : 국설치 xDSL의 xTU-C(XDSL Termination Unit-Center side)
11 : 국설치 또는 RT 설치의 xDSL의 TU-C
20 : 국설치 xDSL의 xTU-R(XDSL Termination Unit-Remote side)
21 : 국설치 또는 RT 설치의 xDSL의 xTU-R
30, 31 : 통신 회선
50 : 회선 정보 관리 서버(회선 관리 수단)
60 : 간섭 정보 관리 서버(간섭 관리 수단)
100 : xTU-C(원격 복합 장치, 송신 출력 제어 장치)
101 : 송신부
102 : 수신부
103 : 송신 출력 제어부
104 : 기억부
105 : 모뎀 식별부
200 : xTU-R(VDSL 옥내 장치)
201 : 송신부
202 : 수신부
203 : 송신 출력 제어부
204 : 기억부
205 : 모뎀 식별부
300 : 통신 회선
400 : 인접 회선(통신 회선)
500 : xTU-C(ADSL 국내 장치)
600 : xTU-R(ADSL 옥내 장치)
700 : OLT(Optical Line Terminal)
800 : 통신 회선

Claims (14)

  1. 통신 회선에 출력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상기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상기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종별마다 상기 주파수 대역을 관리하는 간섭 관리 수단과,
    상기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종별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간섭 관리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상기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한 통신 장치의 종별이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간섭 관리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각각의 통신 장치의 종별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그 결정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소정의 비율로 포함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비율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회선의 상태와, 상기 통신 장치의 종별을 대응지어서 관리하는 회선 관리 수단과,
    상기 인접 회선의 상태를 특정하는 상태 취득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상태 취득 수단에 의해 특정한 인접 회선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종별을, 상기 회선 관리 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회선의 상태는, 상기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국측의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옥내측의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 및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관리 수단은,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와 분리 독립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관리 수단은,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와 분리 독립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는 억제값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
  12.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하여 구성되는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상기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상기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13. 통신 회선에 출력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서 행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상기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상기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단계
    를,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가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4. 통신 회선에 출력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통신 회선과 인접하는 인접 회선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의 전송 속도의 저감에 영향이 있고, 상기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보다도 높은 범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억 처리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신 출력을 억제하여, 상기 통신 회선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처리
    를,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
KR1020070098957A 2006-10-02 2007-10-01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940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0883A JP4869853B2 (ja) 2006-10-02 2006-10-02 送信出力制御装置、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送信出力制御方法及び送信出力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6-00270883 2006-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121A true KR20080031121A (ko) 2008-04-08
KR100940383B1 KR100940383B1 (ko) 2010-02-02

Family

ID=3887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957A KR100940383B1 (ko) 2006-10-02 2007-10-01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081650A1 (ko)
EP (1) EP1909405B1 (ko)
JP (1) JP4869853B2 (ko)
KR (1) KR100940383B1 (ko)
AU (1) AU2007219342A1 (ko)
DE (1) DE602007003420D1 (ko)
SG (1) SG141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2945B2 (ja) * 2010-03-29 2014-01-08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7099391B2 (ja) * 2019-04-02 2022-07-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特性評価方法および無線通信特性評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493B1 (ko) * 1997-08-30 1999-11-01 윤종용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에서 송출 전력제어방법
US6359906B1 (en) * 1998-02-24 2002-03-19 Nortel Networks Limited Providing digital services to telephone subscribers
SG123553A1 (en) * 1998-04-01 2006-07-26 Matsushita Graphic Communic Communication apparatus selectively connectable toa communication device
JP3380851B2 (ja) * 1998-05-06 2003-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リートマルチトーン通信システム、その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ィスクリートマルチトーン通信方法
EP1276249A1 (de) * 2001-07-13 2003-01-15 Reinhard Hecht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Übertragungseigenschaften eines Bündels elektrischer Datenleitungen und Anordnung zur Datenübertragung
US7394752B2 (en) * 2001-11-06 2008-07-01 The Board Of Trust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Joint reduction of NEXT and FEXT in xDSL systems
EP1575219B1 (en) * 2004-03-12 2007-05-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collisions in data-transmiss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JP2006014040A (ja) * 2004-06-28 2006-01-12 Sumitomo Electric Networks Inc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7573943B2 (en) * 2004-08-20 2009-08-11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JP2006115326A (ja) * 2004-10-15 2006-04-27 Sumitomo Electric Networks Inc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EP1672809B1 (en) * 2004-12-20 2010-03-03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ransmit PSD at a remote location
JP4413768B2 (ja) * 2004-12-24 2010-02-10 富士通テレコ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ディジタル加入者線信号の漏話低減装置
JP2007067527A (ja) * 2005-08-29 2007-03-15 Sumitomo Electric Ind Ltd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4835293B2 (ja) * 2006-07-13 2011-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出力制御装置、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送信出力制御方法及び送信出力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383B1 (ko) 2010-02-02
JP4869853B2 (ja) 2012-02-08
DE602007003420D1 (de) 2010-01-07
EP1909405A1 (en) 2008-04-09
US20080081650A1 (en) 2008-04-03
AU2007219342A1 (en) 2008-04-17
SG141408A1 (en) 2008-04-28
JP2008092275A (ja) 2008-04-17
EP1909405B1 (en)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7438B2 (en) Training optimization of multiple lines in a vectored system using a prepared-to-join group
US9083785B2 (en) Systems and methods selectively excluding tones from vectoring
US82705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post-compensation using a bandwidth-adaptive postcoder interface
US8750353B2 (en) Performance stabilization for multi-carrier DSL
US201402547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transmission lines using broadband signals in a multi-carrier dsl environment
US20110206101A1 (en) Technique for noise mitigation in xdsl lines
EP19958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crosstalk information
JP4835293B2 (ja) 送信出力制御装置、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送信出力制御方法及び送信出力制御プログラム
US8270393B2 (en) Method for shaping spectrum of output signal, and a remote access device
US8406416B2 (en) Configuring virtual noise parameters of very 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KR100940383B1 (ko)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394106B1 (ko) 대역폭 적응형 프리코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크로스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6464460A (zh) 非线性预编码的比特加载方法、发送端、接收端及系统
WO2010111952A1 (en) Optimizing the transmit power spectrum density (psd) of a remotely deployed line to ensure spectral compatibility
Lindqvist et al. Impact of crosstalk estimation on the dynamic spectrum management performance
CN102100048A (zh) 用于数据处理的方法和设备以及包括该设备的通信系统
JP2009071719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