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908A -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908A
KR20080030908A KR1020070011436A KR20070011436A KR20080030908A KR 20080030908 A KR20080030908 A KR 20080030908A KR 1020070011436 A KR1020070011436 A KR 1020070011436A KR 20070011436 A KR20070011436 A KR 20070011436A KR 20080030908 A KR20080030908 A KR 20080030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mage
recognized
camera
removabl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270B1 (ko
Inventor
안현상
김도형
이재연
김계경
이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3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4Vie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호출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카메라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사진 보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자동 사진 촬영, 로봇, Robot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graphing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왼 손 흔들림 인식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인물 중에서 호출자를 판단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작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카메라 제어부 203 : 카메라부
205 : 호출자 인식부 207 : 입력부
209 : 송수신부 211 : 메모리
210 : 이미지 보정부 215 : 사진 출력부
217 : 이동부 219 : 제어부
221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봇 기술이 발전하면서 로봇의 활용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동이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즉, 로봇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 또한 로봇 기술의 한 분야로서 종래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로봇 사진사 기술 및 연구는 사용자의 요청에 관계없이 촬영을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이동 단말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통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 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적당한 때에 자동으로 사진을 찍거나,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사진을 찍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자신이 원하는 구도로 사진을 찍지 못하거나, 그러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사진을 찍고 난 경우에도 그 사진의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즉시 수정할 방법이 없어서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자동으로 사진을 찍는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결과가 사용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경우 즉석해서 사진의 변경이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 자를 인식하는 호출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카메라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사진 보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자 인식부는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 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이미지의 초점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초점 조정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인식은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 계 산이 가능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자의 인식은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 조절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 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체적으로 인간형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 사진 촬영 장치로서, 일반적인 사진사를 대신하여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에게 혐오감을 주지 않고, 사진을 찍는데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인간형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는 카메라(101), 안내 스피커(103), 터치스크린(105) 및 이동 장치(107)를 포함한다.
카메라(101)는 본 발명에서 피사체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카메라(101)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피사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과 유사한 형상을 취하기 위해서 2대의 카메라(101)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101)는 광학 줌 기능, 초점 조절 기능, 노출 조절 기능, 화이트 밸런스 조절 기능 등 피사체를 찍어내기 위한 카메라로서의 일련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안내 스피커(103)는 사진을 찍을 사람에게 사진에 관한 안내 멘트를 방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안내 스피커(103)는 사진을 찍을 각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조작이나 위치 선정을 지정하고, 자동 촬영을 할 것인지 수동 촬영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터치스크린(105)은 카메라(101)의 화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되는 화상을 보고 카메라(101)의 초점이나 노출 등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05)은 사용자가 화상을 확인하기에 편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표시되는 화상을 통하여 사용자가 촬영될 화면을 확인하고, 그 화명을 조정하며,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동 장치(107)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이동 시키는 장치이다. 이는 구동 기기와 모터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식된 사용자에게 사진 촬영에 적합한 거리로 이동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이동 장치(107)에 의해서 사용자는 사진 촬영을 위해서 기기에 다가갈 필요 없이 특정한 동작이나 몸짓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부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 장치(107)의 이동은 카메라(101)에서 인식된 외부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존에 알려진 길 찾기 기능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는 카메라 제어부(201), 카메라부(203), 호출자 인식부(205), 입력부(207), 송수신부(209), 메모리(211), 이미지 보정부(210), 사진 출력부(215), 이동부(217) 제어부(219) 및 디스플레이(221)를 포함한다.
카메라 제어부(201)는 카메라부(203)에서 인식하는 피사체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카메라 제어부(201)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자동 노출 및 초점 조절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입력부(207)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초점 및 노출을 변경할 수 있다.
카메라부(203)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피사체를 인식하고,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호출하는 호출자를 인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카메라부(203)는 2대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03)는 호출자의 위치 및 거리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호출자 인식부(205)는 카메라부(203)에서 인식한 피사체를 호출자로 판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호출자 인식부(205)는 카메라에서 인식된 피사체가 특정한 동작을 하는지를 판단하여 그러한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그 피사체를 호출자로 인식하도록 한다. 자세한 호출자 인식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입력부(207)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할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사진 촬영 구도나, 초점, 노출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조절하는 입력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입력부(207)는 카메라의 조절뿐만 아니라, 출력 사진의 저장 방법, 배경 변환 등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장치이다.
입력부(207)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221)와 결합하여 입력 및 출력이 같은 화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209)는 무선 및 유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제어해야하는 경우 입력부(209)에서 제어할 수도 있으나, 입력부(209)는 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뉴의 입력을 받을 수 있을 뿐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송수신부(209)를 통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메모리(211)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 프로그래미나 촬영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메모리(211)는 하드 디스크나, RAM 및 ROM 등 디지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이미지 보정부(210)는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원하는 명도나 채도가 나오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없다. 특히 배경이 너무 밝거나 피사체가 너무 어두운 경우 이러한 결과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미지 보정부(210)는 촬영된 이미지가 적당하지 않은 경우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보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다.
사진 출력부(215)는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현장에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으나, 특히 촬영된 이미지를 바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된 이미지를 그 자리에서 출력하는 사진 출력부(215)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동부(217)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동부(217)는 본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부는 모터나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확립된 길 찾기 알고리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촬영을 위한 구도나 거리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제어부(2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동부에서 사용자를 찾아서 이동하는 방법의 계산, 카메라의 최적 구도의 계산, 입력 장치의 명령의 전달 및 출력화면의 디스플 레이 재생 명령 등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동작하는데 적절한 제어 명령을 내리고 장치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1)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카메라에서 촬영하는 화상을 그대로 나타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본 디스플레이(221)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21)와 입력부(207)가 통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카메라에 촬영할 이미지가 입력된다(단계 301). 그러면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호출자를 인식한다(단계 305). 이러한 호출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그 후,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하여 호출자의 사진을 찍기에 적합한 장소로 위치한다.(단계 306). 그 후 호출자가 손을 흔드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07), 왼손을 흔든다면(단계 309), 화면에 잡히는 인물이 1명인지 아니면 여러 명인지를 판단하여(단계 311), 1명인 경우에는 중심 금지 규칙(No Middle Rule) 및 1/3 규칙(Rule of Third)을 이용하여 사진 구도를 설정하고, 1명이 아니라면 1/3 규칙(Rule of Third)을 이용하여 사진 구도를 설정한다.
한편 호출자가 오른손을 흔든다면(단계 319), 단순 배경 규칙(Simple Background Rule) 및 1/3 규칙(Rule of Third)을 이용하여 사진 구도를 설정한다(단계 317).
각 방식에 의해서 사진 구도가 설정이 되면 그 구도에 알맞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노출 및 초점을 보정한다(단계 321). 이러한 보정이 완료되면 사진을 촬영한다(단계 323).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카메라에 촬영할 이미지가 입력된다(단계 401). 그러면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단계 403). 그 후 얼굴의 위치를 추적하고(단계 405), 추적된 위치에 상응하여 손이 흔들릴 위치를 계산하여 손 흔들림 인식 영역을 설정한다(단계 407). 이후 인식된 이미지를 계속 갱신하여(단계 409), 지정된 위치에서 손 흔들림이 일어났는지를 판단한다(단계 411). 손 흔들림이 일어나지 않으면 계속 이미지를 갱신하면서 화면을 분석하고, 손 흔들림이 일어나면 손 흔들림이 일어난 위치에 상응하는 얼굴을 호출자로 인식하여(단계 413), 호출자의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415).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왼 손 흔들림 인식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화면을 일정 공간으로 분할하여 나눈다. 본 도에서는 화면의 가로축의 경우에는 8 칸으로 나눠져 있고, 세로축의 경우에는 6칸으로 나눠져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얼굴 인식 영역(510)은 f1(511) 지점에서 f2(513) 지점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손 흔들림 위치를 판단하는 영역(520)은 h1(521) 및 h2(523)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f1 위치의 좌표가 (x1,y1) 이고 f2 의 좌표가 (x2,y2)라 하면
h1의 좌표는 (x1-(x2-x1), y1+(y2-y1)/2) 로 하며,
h2의 좌표는 (x1, y1+(y2-y1)*2) 로 지정한다.
이러한 지정은 일반적인 손 흔들림 위치를 얼굴의 위치와 관련하여 설정한 것이다. 즉 얼굴의 가로 길이 정도의 위치를 왼쪽으로 옮기고 얼굴의 세로 길이의 1.5배 정도의 높이를 얼굴의 중간 높이 정도부터 설정한 것이다.
이렇게 설정하면 일반적으로 손을 흔들 때 손의 흔들림을 측정할 수 있다.
오른손의 흔들림의 지정은 얼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계산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인물 중에서 호출자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식된 화면에 두 인물이 있는 경우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얼굴 인식을 통하여 두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다(601, 611). 이렇게 얼굴이 인식되었다면, 도 5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얼굴을 기준으로 하여 손 흔들림을 인식하는 위치를 지정한다(603, 613). 그 후 화면을 갱신하면서 두 인물을 관찰하면, 가운데 위치한 인물은 왼 손을 흔들고, 오른쪽에 위치한 인물은 손을 흔들지 않는다. 그러한 경우 참조 번호 603 구역에서는 손 흔들림이 감지될 것이나, 참조 번호 613 구역에서는 손 흔들림이 감지되지 않을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참조 번호 601의 얼굴을 호출자로 판단하고 그쪽으로 이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이미지를 촬영하면(단계 701), 촬영된 이미지의 피사체와 배경의 명암비를 측정한다(단계 703). 그 후, 피사체의 명암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낮은지를 판단하여(단계 705), 낮은 경우에는 피사체 부분의 명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향상시킨다(단계 707). 이러한 명도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배경에 비해 너무 어둡거나 피사체의 색감이 제대로 살아나지 않을 정도로 그림자가 크게 진 정도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이미지 전체의 명도를 올리면 배경의 명암이 너무 밝아질 수 있으므로, 배경의 명암은 그대로 두고 피사체의 명암만 변경시킨다.
그 후 변경된 이미지를 확정한다(단계 709). 물론 피사체의 명도가 낮지 않다면 이러한 명도 보정 작업은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작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참조 번호 810의 화면은 이미지를 보정하기 전의 화면이다. 참조 번호 810의 사진에서 피사체 부분(811)은 너무 어두워서 좋은 사진이 라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피사체의 명도를 보정하면 참조 번호 820과 같은 화면이 생성된다. 참조 번호 820의 화면을 살펴보면 피사체 부분(821)의 명도가 이전 피사체 부분(811)에 비해서 매우 밝아졌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자동으로 사진을 찍는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촬영 결과가 사용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경우 즉석해서 사진의 변경이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호출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카메라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사진 보정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자 인식부는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7.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이미지의 초점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초점 조정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인식은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 계산이 가능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자의 인식은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 조절을 변화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KR1020070011436A 2006-10-02 2007-02-05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0833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48 2006-10-02
KR20060096948 2006-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908A true KR20080030908A (ko) 2008-04-07
KR100833270B1 KR100833270B1 (ko) 2008-05-29

Family

ID=3953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436A KR100833270B1 (ko) 2006-10-02 2007-02-05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2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23B1 (ko) * 2010-10-20 2012-01-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로봇 및 카메라 로봇을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KR20140080789A (ko) * 2012-12-18 2014-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1325260B2 (en) 2018-06-14 2022-05-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moving robot
CN115134506A (zh) * 2021-03-26 2022-09-30 阿里巴巴新加坡控股有限公司 摄像画面调整方法、视频画面处理方法以及装置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48B1 (ko) * 2009-08-10 2011-1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구도결정을 하는 사진사 로봇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305B1 (ko) * 1999-03-23 2001-07-12 구자홍 홍채인식 시스템의 자동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03205483A (ja) * 2001-11-07 2003-07-22 Sony Corp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装置の制御方法
JP2003333438A (ja) 2002-05-14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動き補正装置
KR20050019794A (ko) * 2002-06-26 2005-03-03 브이케이비 인코포레이티드 다기능 통합 화상 센서 및 가상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응용 장치
KR20040060374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휴대폰 카메라의 초점 조절방법 및 장치
JP2004298988A (ja) 2003-03-31 2004-10-28 Honda Motor Co Ltd 移動ロボットの画像送信装置
KR100749033B1 (ko) * 2004-03-03 2007-08-13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두 눈에서 반사되는 빛을 추적하여 단말기를 조작하는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70280A (ko)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23B1 (ko) * 2010-10-20 2012-01-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로봇 및 카메라 로봇을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KR20140080789A (ko) * 2012-12-18 2014-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1325260B2 (en) 2018-06-14 2022-05-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moving robot
US11787061B2 (en) 2018-06-14 2023-10-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moving robot
CN115134506A (zh) * 2021-03-26 2022-09-30 阿里巴巴新加坡控股有限公司 摄像画面调整方法、视频画面处理方法以及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270B1 (ko)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3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811717B1 (ko)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US9210324B2 (en) Image processing
JP4884417B2 (ja) 携帯型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259785B2 (en) Digital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ye-tracking control
JP5538865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81765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219967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40712A (ja) 撮像装置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3945494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447919B2 (en) Imaging device, external device,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opera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833270B1 (ko)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JP2015103852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926133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및 촬영 장치
JP2010268019A (ja) 撮影装置
JP537055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22387A (ja) 撮像装置
KR102497526B1 (ko) 검출 장치, 검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544886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475118B2 (ja) カメラ装置、ホワイトバランスブラケティング撮影方法
JP2018195938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888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자동 구도 인식 및 최적구도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42290A (ko)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카메라 장치
JP477152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