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432A -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432A
KR20080030432A KR1020060102434A KR20060102434A KR20080030432A KR 20080030432 A KR20080030432 A KR 20080030432A KR 1020060102434 A KR1020060102434 A KR 1020060102434A KR 20060102434 A KR20060102434 A KR 20060102434A KR 20080030432 A KR20080030432 A KR 20080030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bag
implant
cohesive gel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493B1 (ko
Inventor
배은현
이병호
Original Assignee
배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은현 filed Critical 배은현
Priority to US11/848,12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215149A1/en
Publication of KR2008003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 내부에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 및/또는 속이 빈(vacant) 실리콘 캡슐을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한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 보형물은 인체의 부분 손상이나 기형의 교정 또는 미용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료용 실리콘 보형물로서 이물반응에 의한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드러운 착용감과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유동이 거의 없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나고 경량화되므로, 엉덩이, 가슴, 이마, 종아리와 같은 부피가 큰 부위에 대한 수술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보형물, 실리콘, 경량화

Description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Lightweight Silicon Implant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is}
도 1a 내지 1c는 공지의 여러 가지 보형물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1d는 인체의 엉덩이 내에 보형물을 삽입 시술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e는 보형물을 시술하기 전(좌측)과 후(우측)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1f는 공지의 유방용 보형물 사진이고, 도 1g는 공지의 엉덩이용 보형물 사진이고, 도 1h는 본 발명자들이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 및 그 탄력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i는 코헤시브 겔 및 코헤시브 겔 백 사진이고,
도 2는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 및 실리콘 백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 및 코헤시브 겔 백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빈 실리콘 캡슐 및 실리콘 백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일부에 대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빈 실리콘 캡슐 및 코헤시브 겔 백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일부에 대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좌측은 스폰지 고무 재료를 압축ㆍ발포시키 는 1차 가류과정이고 우측은 발포된 스폰지를 2차 건조시키는 2차 가류과정을 나타낸 실리콘 스폰지의 제조과정을 나탄내 도식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에서 제작된 발포된 실리콘을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한 성형된 실리콘 백 내부에 주사시켜 제조되는 경량 실리콘 보형물 제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포된 실리콘 수지(스폰지) 2 : 실리콘 백
3 : 코헤시브 겔 4 : 실리콘 백
5 : 실리콘 캡슐 6 : 공기
7: 각각의 실리콘 캡슐
본 발명은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그 보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백(Silicon-bag) 또는 코헤시브 겔 백(Cohesive-gel bag) 내부에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 및/또는 속이 빈(vacant) 실리콘 캡슐을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한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양화 및 다변화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과 가치기준이 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생활의 자신감을 회복하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외과적 수술을 통해 외모를 변화시키고 보완하는 성형수술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성형 수술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뼈의 모양에 잘 맞도록 세밀한 조각이 가능하고, 수술 후에도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는 실리콘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성형수술에 사용되는 실리콘 보형물은 크게 4가지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생리식염수 백으로 실리콘 주머니 안에 생리식염수가 들어가는 형태이다. 이러한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보형물은 가격이 저렴하여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도중 백이 터지거나 균열이 생겨 식염수가 새어나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실리콘 겔 백으로 실리콘 주머니 안에 유동 실리콘 겔이 들어가는 형태이다. 이러한 실리콘 겔은 감촉이 비교적 부드러운 장점이 있으나, 백이 터져 겔이 밖으로 나오는 경우 그 겔 덩어리들이 분산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과거 미국 다우코닝사에서 제조한 실리콘 겔 백이 터져 인체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
세 번째는 코헤시브 겔(cohesive gel) 백으로서, 실리콘 주머니 안에 코헤시 브 겔이 들어가는 형태이다. 이러한 코헤시브 겔은 상기 실리콘 겔 백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감촉과 인체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FDA에서 정식 승인이 아닌 조건부 승인을 얻은 상태이며, 우리나라를 제외한 몇 나라에서는 아직 허가가 나지 않은 상태이며 가격도 상당히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코헤시브 겔은 상기에서 언급한 미국 다우코닝사에서 제조한 실리콘 겔 백 사건 때문에 허가가 나기도 용이하지 않다.
네 번째는 실리콘 블록(Silicon block)이라 불리우는 것으로서, 통상의 실리콘 덩어리를 성형외과의사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각(carving)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시술자가 조각하기가 대단히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감촉이 딱딱하여 인체속에서 이질감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 사용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한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4가지 타입의 보형물을 코, 이마, 턱, 팔자주름, 가슴, 엉덩이, 종아리 등 다양한 인체부위에 대하여 수술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생리 식염수와 실리콘 겔의 장점을 살린 더블류멘 백(생리식염수 백 안에 실리콘 겔이 들어가는 형태 또는 반대로 실리콘 겔 백 안에 생리식염수가 들어가는 형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4가지 타입의 실리콘 보형물은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코, 팔자주름. 턱과 같이 부피가 얇고 작은 보형물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별다른 불편한 사항이 없으나, 엉덩이, 가슴, 유방, 이마, 종아리와 같은 부 피가 큰 부위에 대한 시술시에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크게 증가함으로 인하여 환자의 느낌(이물감)이나 특히, 거동에 불편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코 성형과 같이 작은 보형물이 삽입되는 경우는 근육사이에 삽입하기 보다는 코뼈와 골막 사이에 보형물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성형후에도 보형물의 위치가 고정되어 시술후 보형물의 본래의 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방이나 엉덩이 등의 부피가 큰 부위에서는 상기와 같은 뼈와 골막 사이에 보형물의 삽입이 불가능하므로, 근육 사이에 삽입될 수밖에 없다.(도1D참조) 이 경우, 비중이 큰 공지의 보형물들은 부피가 큰 경우, 무게가 크게 증가하여 시술시 본래의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이탈할 수 있다. 특히, 엉덩이용 보향물의 경우, 피 시술자가 의자에 앉거나 누워 있을 때는, 인체의 체중에 의한 하중을 받게 마련인데, 이때, 보형물의 주머니가 터져서, 주머니 내에 든 물질이 흘러나오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및/또는 수술시의 초기 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엉덩이용 보형물들은 탄성이 부족하여, 피시술자의 자세변경이나, 운동 시, 임의의 어느 방향에서 보형물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힘을 받는 부분이 수축되면, 그 반대방향의 다른 부위로 부피가 증가되어 시술 부위에 압력을 증가시켜 피시술자로 하여금 압박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감촉이 좋으면서도 경량화 및 탄력성이 뛰어나 성형 시술 후에도,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부에서 힘을 가해도 힘을 받은 부분만 변형될 뿐 반대방향으로의 부피가 증가되지 않는 실리 콘 보형물을 찾고자 노력하던 중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 및/또는 속이 빈 실리콘 캡슐을 이용하여 실리콘 보형물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인체에 느껴지는 감촉을 현저하게 개선한 보형물과 그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 후 외력에 의한 유동이 거의 없고 생체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면서 피부와 같은 쿠션감이나 탄력성이 높으면서도 중량이 현저하게 가벼운 보형물로서, 시술하고자 하는 부피가 큰 신체 부위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한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 백(Silicon-bag) 또는 코헤시브 겔 백(Cohesive-gel bag) 내부에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를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된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 내부에 속이 빈(vacant) 실리콘 캡슐을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된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백(Silicon-bag) 또는 코헤시브 겔 백(Cohesive-gel bag) 내부에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를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된 경량 실리콘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량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방법은, ⅰ) 실리콘 발포 수지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를 성형하는 단계; ⅱ) 상기 제조된 실리콘 수지 표면에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실리콘 스폰지 표면에 적당한 두께의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고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리콘 수지의 발포는 원하는 형상의 예비성형물(pre-form)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ⅲ) 단계의 두께는 0.3-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 내부에 속이 빈(vacant) 실리콘 캡슐을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된 경량 실리콘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량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방법은, ⅰ) 고온에서 다수의 작은 실리콘 캡슐과 작은 크기의 실리콘을 결합시켜 원하는 형상의 속이 빈 실리콘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제조된 실리콘 캡슐 위에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실리콘 캡슐 표면에 적당한 두께의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고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체의 부분 손상이나 기형의 교정 또는 미용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료용 실리콘 보형물로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면서 사람의 피부와 같거나 거의 동일한 쿠션감 또는 탄력성을 제고하는 감촉이 좋은 실리콘 보형물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경량 실리콘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코헤시브 겔 백은 실리콘 백 안에 코헤시브 겔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실리콘 성형물(백 형태의 성형물)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의 두께는 0.3-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두께는 필요에 따라, 부위별로 두께를 달리 할 수도있다. 예컨대, 시술시에 인체의 피부(표피)측으로 향하는 (보형물의) 부위의 두께를 다른 부위의 두께의 십분의 일(1/10) 내지 십분의 삼(3/10)이내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인체의 피부측에서 느껴지는 촉감이 더 부드러워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경량 실리콘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성형물 또는 코헤시브 겔 백과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 및/또는 실리콘 캡슐과의 결합은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실리콘 보형물은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무게가 증가하고, 특히 이물감 등 감촉성이 좋지 않아 이러한 중량의 실리콘 보형물은 시술받은 자의 활동에 불편을 주고 신체 내부적으로 느껴지는 느낌이 불괘한 어려움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경량화된 실리콘 스폰지 및/또는 실리콘 캡슐로써 상기 실리콘 보형물을 대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스폰지 및/또는 실리콘 캡슐은 지나치게 약하여 안전하지 못하고 표면이 거칠어서 이를 위한 커버가 필요하므로, 실리콘 스폰지 및/또는 실리콘 캡슐의 표면에 보다 단단한 실리콘 성형물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경량 실리콘 보형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발포된 실리콘 수지(스폰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실리콘 갭슐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
1 단계 : 실리콘 수지(스폰지)를 발포ㆍ성형하는 단계
실리콘 수지의 형성은 금형을 이용한 통상의 주조 공정에 의한다. 원하는 형상의 금형에 다공성의 실리콘 발포 수지를 사출 방식으로 주입하고 고온에서 압축하여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수지를 고온에서 발포하여 성형시킨다. 상기 실리콘 수지의 발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비성형물(pre-form)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단계 :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발포된 실리콘 수지는 비중이 낮아 가볍고 인체에 무해하지만, 다공성 재질이므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입증된 통상의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으로 씌운다. 실리콘 백과 실리콘 수지(스폰지)가 잘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인체에 무해한 액상 스프레이 접착제를 상기 실리콘 수지 위에 도포한다.
3 단계 :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실리콘 수지 위에 적절한 두께의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고 고온에서 압축시켜 본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경량화된 실리콘 보형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코헤시브 겔 백은, 코헤시브 겔을 별도의 실리콘 소재로 코팅한 것으로서, 이를 주머니 형태로 만든 백(bag)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은 타원 형상의 상단과 하단 부위로 나누어 제조할 수 있다.
< 속이 빈 실리콘 캡슐을 이용하는 경우 >
1 단계 : 속이 빈 실리콘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캡슐의 형상은 금형을 이용한 통상의 주조 공정에 의한다. 원하는 형상의 금형에 다수의 작은 실리콘 캡슐 및 작은 크기의 실리콘을 사출 방식으로 주입하고 고온에서 압축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캡슐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것인데 인체의 체중에 의해 또는 의도적이지 않은 외력에 의해 터지지 않는다.
2 단계 :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상기 발포된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단계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3 단계 :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는 단계
실질적으로 상기 발포된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단계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1i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관련 기술 및 본 발명의 일부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a 내지 1c는 공지의 여러 가지 보형물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형물은 통상적으로 타원 내지는 원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장축은 B로, 단축은 A로 나타냈고, 높이는 C로 표시하였다. 또한, 도 1d는 인체의 엉덩이 내에 보형물을 삽입 시술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보형물은 하근육 포겟(submuscular pocket), 즉 하둔근 세포공간이라는 중간 둔근, 주요 둔근 및 좌골신경 사이에 이식된다. 또한, 도 1e는 보형물을 시술하기 전(좌측)과 후(우측)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도면은 양측면 엉덩이 확대 수술을 받은 24세 환자의 사진으로서, 시술하기 전과 둥근 고체-실리콘 보형물이 근육사이의 위치에 이식되고 6개월 경과 후의 시술후 사진이다. 도 1f는 공지의 유방용 보형물 사진을, 도 1g는 공지의 엉덩이용 보형물 사진이고, 도 1h는 본 발명자들이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 및 그 탄력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i는 코헤시브 겔 및 코헤시브 겔의 표면을 별도의 실리콘소재로 코팅한 소재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 코팅-소재로써, 본발명의 일실시예인 실리콘 백과 같은 주머니 형태의 코헤시브겔 백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도 1H에서 본 발명자들이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는 다공성 재질이고 비중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탄성이 대단히 뛰어나 촉감이 인체와 거의 비슷하고, 특히, 일정 부위에 힘을 받아도 다른 부위에서는 부피의 변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들이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는, 공지의 재질과는 달리 일정 부위에 힘을 받을 때, 다른 부위에서 그 만큼의 부피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 가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평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형물의 표면은 통상의 의료용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 백(Nagor사, 영국)이고, 내부는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로 채워진다. 이와 같은 경량화된 실리콘 보형물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서, 시술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형상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반응에 의한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술 후 오랜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높이가 낮아지지 않으므로 형태적 측면에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의료용 실리콘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여 사람의 피부와 동일 내지는 비슷한 쿠션감이나 탄성있는 감촉을 제공하므로 인해 시술받은 자에게 충분한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단면도로서, 표면은 코헤시브 겔 백(상표명"CoGel", Nagor사, 영국)으로 내부는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로 채워진다. 상기 코헤시브 겔 백은 코헤시브 겔이 실리콘 백 내에 포함된 형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분에 대한 평단면도로서, 표면은 의료용 실리콘 백(2)이고, 내부에는 속이 빈 실리콘 캡슐(6)로 채워진다. 이때, 실리콘 백(2)은 원하는 형상으로 미리 성형한 다음, 다수의 상기 실리콘 캡슐(6)로써 실리콘 백(2)의 내부를 충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분에 대한 평단면도로서, 표면은 코헤시브 겔 백으로 내부는 상기 실리콘 캡슐로 채워진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상기 도 2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을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시한 경량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과정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리콘 스폰지를 제조한다. 이를 위하여 원하는 형상의 금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금형틀 내부에 발포되기 전의 배합된 실리콘 고무 재료를 사출방식으로 주입한 후, 금형의 상부에 프레스 상판을, 하부에 프레스 하판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압축 및 발포시킨다(1차 가류). 상기 압축 및 발포를 고온에서 실시하기 위하여 프레스 상판 하부 및 프레스 하판 상부에 각각 금형용 히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고무가 충분히 발포된 후, 열풍 건조 로 등에서 상기 발포된 스폰지를 2차 건조시킨다(2차 가류)(도 6 참조).
상기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성형시킨 상단 및 하단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백 내부에 상기 실리콘 스폰지를 주입시킨다(도 7 참조). 이때, 인체에 무해한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백의 외주면을 결합시켜 실리콘 스폰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이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가 경량 실리콘 보형물로의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다(표 1 물성표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리콘 스폰지는 발포 전보다 부피가 크게 증가함으로써 비중은 감소되면서도 경도 및 인장강도의 특성을 고무 물성을 그대로 유지되므로, 실리콘 보형물에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의 실리콘 백의 질량이 175 g인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동일 부피의 실리콘 스폰지는 약 95 g 정도에 불과하므로, 중량이 절반 이상 크게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경량화된 실리콘 보형물은 엉덩이, 가슴, 이마, 종아리 등에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경량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실리콘 백 내부에 속이 빈 실리콘 스폰지를 넣어서 제조되는 경량 실리콘 보형물을 제조하였다.
<1-1> 실리콘 스폰지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실리콘 스폰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원하는 형상의 금형틀을 제작하였다. 상기 금형틀 내부에 발포되기 전의 배합된 실리콘 고무 재료를 사출방식으로 주입한 후, 금형의 상부에 프레스 상판을, 하부에 프레스 하판을 이용하여 165℃에서 압축 및 발포시켰다(1차 가류). 상기 압축 및 발포를 165℃와 같은 고온에서 실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프레스 상판 하부 및 프레스 하판 상부에 각각 금형용 히타를 이용하였다. 이때, 상기 실리콘 고무는 원하는 형상으로 preform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리콘 고무가 충분히 발포되어 실리콘 스폰지를 형성하도록 한 후, 약 10분 정도를 열풍 건조로에서 상기 발포된 스폰지를 2차 건조시켰다(2차 가류)(도 6). 또한, 상기 실리콘 스폰지의 표면이 거치므로, 도 1H와 같이 보다 부드러운 형태로 다듬었다. 이것은 하기 실시예 <1-2>의 경량 실리콘의 보형물의 제조를 위해서 실리콘 스폰지의 표면이 부드러울수록 실리콘 스폰지와 실리콘 백의 접착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1-2>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성형시킨 상단 및 하단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백 내부에 상기 실리콘 스폰지를 주입시켰다(도 7). 이때, 상기 실리콘 백은 두께가 일정한 경우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도7에서 볼 때, 하단 실리콘 백의 밑부분의 두께를 0.3 ㎜ 정도로 유지하고, 상단 실리콘 백과 결합하는 상단 부위는 3 ㎜ 정도로 두껍게 제조하였다. 그리고, 인체에 무해한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백의 외주면을 결합시켜 실리콘 스폰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리콘 스폰지의 물성 조사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실리콘 스폰지가 경량 실리콘 보형물로의 사용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물성을 조사하였다(표 1).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이용된 실리콘 스폰지는 발포 전 4배 부피가 증가함으로써 비중이 크게 감소되면서도 경도 및 인장강도의 특성을 고무 물성 그대로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 스폰지는 실리콘 보형물에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음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의 실리콘 백의 질량이 175 g인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동일 부피의 실리콘 스폰지는 약 95 g 정도에 불과하여 비중이 크게 감소되므로 그 효용성이 높다. 아울러, 상기 실리콘 스폰지는 비중이 매우 작으므로 운동 등과 같은 과격한 힘을 받아도 그 보형물이 위치가 고정되어 이동변화가 없다. 또한, 탄력성이 뛰어나 일정 부위에 힘을 받아도, 그 분만 수축이 될 뿐, 다른 부위에서는 부피가 늘어나는 등의 형태 변화가 전혀 없다.
Figure 112006075950400-PAT00001
본 발명의 경량화된 실리콘 보형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엉덩이, 가슴, 이마, 종아리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엉덩이에 삽입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근막밑 또는 근육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리콘 보형물을 근막밑에 삽입하여도 무방하나 염증 또는 근육내에 물이 차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근육사이, 즉 대둔근과 중등근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량 실리콘 보형물은 보형물의 유동이 거의 없으며 부드러운 착용감과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람의 피부와 같은 쿠션력이나 탄력성 등의 조건을 갖게 되므로 시술자에게 충분한 만족도를 부여할 수 있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이물반응에 의한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되도록 경량화되므로, 엉덩이, 가슴, 이마, 종아리와 같은 부피가 큰 부위에 대한 수술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실리콘 백(Silicon-bag) 또는 코헤시브 겔 백(Cohesive-gel bag) 내부에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를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된 경량 실리콘 보형물.
  2.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 내부에 속이 빈(vacant) 실리콘 캡슐을 넣은 후 백의 외주면을 접착시켜 제조된 경량 실리콘 보형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헤시브 겔 백은 실리콘 백 내부에 코헤시브 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실리콘 보형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의 두께는 0.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실리콘 보형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의 두께는 0.3-5.0 ㎜ 이고,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두께를 달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실리콘 보형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과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 또는 실리콘 캡슐과의 결합은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실리콘 보형물.
  7. ⅰ) 실리콘 발포 수지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발포된 실리콘 스폰지를 성형하는 단계;
    ⅱ) 상기 제조된 실리콘 수지 표면에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실리콘 스폰지 표면에 적당한 두께의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고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 기재의 경량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방법.
  8. ⅰ) 고온에서 다수의 작은 실리콘 캡슐과 작은 크기의 실리콘을 결합시켜 원하는 형상의 속이 빈 실리콘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제조된 실리콘 캡슐 위에 스프레이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실리콘 캡슐 표면에 적당한 두께의 실리콘 백 또는 코헤시브 겔 백을 접착시키고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2항 기재의 경량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방법.
KR1020060102434A 2006-09-30 2006-10-20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48,120 US20080215149A1 (en) 2006-09-30 2007-08-30 Lightweight Silicone Im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656 2006-09-30
KR1020060096656 200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432A true KR20080030432A (ko) 2008-04-04
KR100825493B1 KR100825493B1 (ko) 2008-04-25

Family

ID=3923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434A KR100825493B1 (ko) 2006-09-30 2006-10-20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15149A1 (ko)
KR (1) KR100825493B1 (ko)
WO (1) WO2008038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31B1 (ko) 2007-01-03 2015-01-19 임플라이트 리미티드 인체 이식가능한 조직 확장장치
US20090149953A1 (en) * 2007-12-10 2009-06-11 Schuessler David J Form stable breast implant sizer and method of use
EP2361062B1 (en) * 2008-10-28 2016-08-10 Implite Ltd Reconstructive breast prostheses
AU2011267923A1 (en) * 2010-06-16 2013-01-31 Allergan, Inc. Open-cell surface foam materials
BR112015018008A2 (pt) 2013-01-30 2017-07-11 Implite Ltd extensor de tecido implantável humano.
USD790702S1 (en) * 2015-02-16 2017-06-27 Shawhan Biomedical Co., Ltd. Paranasal implant
KR101913195B1 (ko) 2016-12-12 2018-10-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주입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RU2671587C1 (ru) * 2017-12-04 2018-11-02 Ирина Геннадьевна Мариничева Имплантат для контурной пластики голени
CN108888385B (zh) * 2018-05-10 2020-08-07 北京工业大学 基于皮肤软组织形变的修复体再修复方法
KR102199481B1 (ko) * 2018-05-17 2021-01-07 백정환 코 보형물 제작방법
US11123903B2 (en) 2018-10-25 2021-09-21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ontrolling bubble formation in silicone foam filler of breast implan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6975A (en) * 1965-06-04 1968-02-06 William J. Pangman Compound prosthesis
US3559214A (en) * 1968-10-17 1971-02-02 William J Pangman Compound prosthesis
US5141581A (en) * 1972-10-08 1992-08-25 Markham Harold A Implants with a cover which resists formation of firm spherical encapsulation
US4840628A (en) * 1980-11-21 1989-06-20 Cavon Joseph F Non-enveloped gel prosthesis
US5282856A (en) * 1987-12-22 1994-02-01 Ledergerber Walter J Implantable prosthetic device
JPH03140155A (ja) * 1989-10-20 1991-06-14 Dow Corning Wright Corp 補形物
US5437824A (en) 1993-12-23 1995-08-01 Moghan Medical Corp. Method of forming a molded silicone foam implant having open-celled interstices
US5549671A (en) * 1994-12-28 1996-08-27 Mcghan Medical Corporation Adjunctive filler material for fluid-filled prosthesis
US5824081A (en) * 1996-09-13 1998-10-20 Lipomatrix Incorporated Hydraulic foam tissue implant
US5961552A (en) * 1997-08-02 1999-10-05 Pmt Corporation Internally configured prosthesis
US6605116B2 (en) * 2001-04-03 2003-08-12 Mentor Corporation Reinforced radius mammary prostheses and soft tissue expan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493B1 (ko) 2008-04-25
US20080215149A1 (en) 2008-09-04
WO2008038851A1 (en)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93B1 (ko) 경량 실리콘 보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3911503A (en) Breast prosthesis
US5480430A (en) Shape-retaining shell for a fluid filled prosthesis
JP5033536B2 (ja) 注文生産可能な密封材、注文生産可能な密封材を有するマスク及び密封材の使用法
US4790848A (en) Breast prosthesis with multiple lumens
US1190407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acting living tissue
US20090299472A1 (en) Lightweight breast prosthesis
WO2011022235A3 (en) Reinforced prosthetic implant with flexible shell
US20120165934A1 (en) Collapsible, form-stable, fillable breast prosthesis
JP2009112380A (ja) 保形バッグ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補装具および身体採型具
US9427310B2 (en) Body part shaped mould and a method for using such a mould
CN102949251B (zh) 可植入式医学假体
KR200433447Y1 (ko) 경량 실리콘 보형물
US20150094824A1 (en) Prosthesis socket, method for making such a socket
CN205814605U (zh) 一种眼科手术后俯卧位顺畅呼吸枕头
CN203001184U (zh) 多层义乳
US202201842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acting living tissue
CN215019714U (zh) 一种具有混合表面的乳房植入体
JP4469517B2 (ja) 人工乳房
CN211156524U (zh) 硅胶直腿套
WO2019164390A1 (es) Prótesis mamaria externa personalizada
CN101331983A (zh) 一种多功能按摩抑菌除臭胸罩
CN220046188U (zh) 臀部硅凝胶假体
Vashisht et al. Finger prosthesis using silicone elastomer: A novel methodology
Panettiere et al. Augmentation Mammaplasty of Teardrop-Shaped Breasts Using Round Prosthe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