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049A - 석쇠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석쇠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049A
KR20080029049A KR1020060094524A KR20060094524A KR20080029049A KR 20080029049 A KR20080029049 A KR 20080029049A KR 1020060094524 A KR1020060094524 A KR 1020060094524A KR 20060094524 A KR20060094524 A KR 20060094524A KR 20080029049 A KR20080029049 A KR 2008002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grill
fixing
hous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자
Original Assignee
지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춘자 filed Critical 지춘자
Priority to KR102006009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049A/ko
Publication of KR2008002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상,하단에는 조립식 상,하부캡으로 마감되며 전방 측단에는 일정 폭의 개구부가 상하 높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형의 승강 하우징과; 상기 승강 하우징을 식탁 또는 숯불 화로의 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승강 하우징의 내부 중심 선상에 수선상으로 배치되어 그 상하부 저어널이 하우징의 상,하부캡에 각각 베어링부재로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외접형으로 나사결합되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전방 측단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지지되어 그 선단은 통형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양 측단은 개구부의 좌우 측단과 접면하는 승강지지대와; 상기 승강지지대의 선단에 고정 부착되고 전방측으로는 석쇠 또는 석쇠 받침구를 탈착식으로 지지시킬 수 있는 걸이구조를 갖는 석쇠고정대와; 상기 승강 하우징의 상부캡 상방 측에서 상기 나사축의 상부저어널에 결합되어 나사축을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숯불구이장치에서 모든 식탁에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과, 설치의 간편성과, 외관상의 미려함을 가지며, 승강높이 조절의 용이성과 미세성을 가지며, 숯불구이장치의 효용성을 높여주는 석쇠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석쇠,승강장치,하우징,슬라이더,고정대,핸들,전동모터,나사축,회동편,끼움관

Description

석쇠 승강장치{device of ascend and descend for the gridir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장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용 탈착식 석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와 탈착식 석쇠 결합 초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와 탈착식 석쇠 결합 완료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장착 다른 예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의 승강 하우징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A-A 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의 착지대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B-B 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의 결합 초기상태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의 결합 초기상태 결합부 평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의 결합 완료상태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의 결합 완료상태 결합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110: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120: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130: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140: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
10:고정판 11: 고정공 12:고정피스
20:승강하우징 21:개구부 23, 25:상,하부캡
24,26:상, 하부 베어링 25a:고정플랜지 25b:원형 나사관
25c:끼움관 25d:결합관 25e,25f:좌우 회동편
28:워셔 29:정지핀
30:나사축 32,33:상, 하부저어널
40;승강핸들 42:핸들 바 45.45a:전동 모터
46,46a:작동스위치 47,47a:모터브라켓 48,48a:고정볼트
50:승강슬라이더 52:승강지지대 60:석쇠고정대
61:석쇠받침대 62:결합대 63:걸고리공
70:일 실시예 탈착식 석쇠 71:석쇠테두리 72:석쇠살
75a,75b,75c75d:좌우측 지지부재 76a,76b,76c,76d:좌우측 걸침부재
77a,77b,77c,77d:좌우측 걸고리부재 78:하단 고정부재
79:상단 고정부재 80:숯불 화로 82:공기조절구
83:숯통 84:숯 85:식탁 85a,85b,85d:고정공
90:착지대 91:고정용 플랜지 92:삽입구
94a,94b:좌,우 결합편 94c,94d:전,후 결합공
국내 실용공고번호 실1990-5835호 "숯불구이용 높낮이 조절 석쇠"
국내 실용신안등록 20-344046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을 이용한 석쇠 승강구조"
본 발명은 숯불 화로가 설치된 구이장치에서 숯불 화로에 얹어 사용하는 석쇠의 사용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석쇠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육류나 생선류 등의 고기를 직화로 요리할 수 있는 숯불구이장치는 가스렌지나 전기히터 등에 비해 화력조절이 어렵고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나, 숯불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숯불 향 등에 의하여 육질이 개선되고, 직화열에 의하여 고기의 맛이 담백해지는 등의 구이 맛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고기구이장치로서 많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숯불구이장치에 의하여 고기를 구울 때에는 숯불의 직화열에 의하여 쉽게 타는 경향이 있어서 숯불의 화력을 화로의 공기구멍 열림이나 또는 통풍팬의 통풍력에 의하여 조절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숯불은 즉각적인 화력 조절이 어렵고 석쇠가 화로의 바로 위에 얹어 사용하는 구성이어서, 화력을 공기구멍으로 최소로 조절하여도 고기가 타지 않도록 구이속도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고, 고기의 종 류에 따라서 굽는 속도의 완급을 조절할 수도 없었다.
또한 익은 고기는 바로 먹지 않고 석쇠에 놓여 있으면 계속하여 직화열을 받아 딱딱해지고 그을려서 고기 맛이 없어지며 결국에는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기가 타거나 굽는 속도가 빨라지면 고기를 뒤집으면서 굽기도 하고, 어느 정도 익은 고기는 식탁이나 그릇에 내려놓는 것이 일반적인 대처 방법인 데, 이 경우에는 고기가 식게 되어 고기 맛이 없어진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고기가 타게 되면 석쇠에도 탄재가 눌러 붙어서 연기가 나며, 석쇠를 자주 갈아야 하는 바, 식당 업주 측에서는 석쇠를 갈아주고 세척하는 일은 매우 고된 작업이다.
이러한 숯불구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공된 것으로서 석쇠를 화로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는 석쇠 승강장치들이 여러 건 제공되고 있는 바, 대표적인 선 고안으로는 국내 실용공고번호 실1990-5835호의 "숯불구이용 높낮이 조절 석쇠"와 국내 실용신안등록 20-344046호의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을 이용한 석쇠 승강구조"가 있다.
상기 선 고안 중에서 "숯불구이용 높낮이 조절 석쇠"의 구성은, 화로의 상단둘에 걸쳐지는 링형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상단 일 측 대향위치에서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승강지지봉과, 석쇠의 양 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지지봉에 끼어져 상하로 승강되고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승강관과, 상기 승강지지봉의 걸림홈에 출몰식으로 끼워져 승강관을 임의의 높이로 지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숯불구이용 높낮이 조절 석쇠"에 의하면, 고기를 처음 구을 때에는 석쇠 상면에 올려 놓고 사용하다가, 고기가 어느 정도 익으면 석쇠를 승강지지봉을 타고 알맞은 높이로 올려 고정한 후에 사용함으로서, 숯불로 부터 석쇠의 거리를 임의의 높이로 조절하여 고기 익히는 속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고기를 맛있게 굽고 타지도 않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장치는 석쇠의 승강작동이 승강지지봉과 석쇠 측단에 부착한 승강관으로 실시되는 바, 고기를 굽는 중에 사용자가 승강 조작하기가 불편하고 어려우며, 화력이 변하는 숯불에 맞추어 적정의 높이로 수시로 교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쇠 승강장치가 전반적으로 화로의 주변에 적어도 승강지지봉 2개를 입설하여야 하므로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거추장스럽다.
한편 선 고안 중에서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을 이용한 석쇠 승강구조"는 통상적으로 숯불 구이장치의 상방에 설치된 승강식 후드를 이용하여 석쇠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바, 이 구성은 승강식 후드가 없는 식탁에서는 실시할 수 없는 실시 범용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드의 내면에 설치된 고리핀으로 석쇠를 걸어 들어 올리기 위한 긴 길이의 행거가 노출되어 거추장스럽고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석쇠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된 후드의 승강스위치를 일어서서 조작하여야되는 블편함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석쇠 승강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좋고, 대부분의 화로가 설치되는 식탁에 범용성을 갖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작은 부피로 노출이 적어서 구이장치의 사용 중에 걸리적 거리지 않으며, 석쇠의 탈착이 용이하고, 승강 작동이 원활하고, 높이 조절을 누구나가 단순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고, 앉아서 용이하고 간편하며 미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석쇠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에는 고정부재와 조립하여 식탁의 상면에 설치하고, 미 사용시에는 석쇠 승강장치 본체를 고정부재와 분리하여 별도로 수용함으로서 미 사용시에 식탁 사용의 편리성을 갖는 탈착식 석쇠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쇠 승강장치용 탈착식 석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석쇠 승강장치의 구성은,
상,하단에는 조립식 상,하부캡으로 마감되며 전방 측단에는 일정 폭의 개구부가 상하 높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형의 승강 하우징과;
상기 승강 하우징을 식탁 또는 숯불 화로의 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승강 하우징의 내부 중심 선상에 수선상으로 배치되어 그 상하부 저어널이 하우징의 상,하부캡에 각각 베어링부재로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외접형으로 나사결합되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전방 측단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지지되어 그 선단은 통형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양 측단은 개구부의 좌우 측단과 접면하는 승강지지대와;
상기 승강지지대의 선단에 고정 부착되고 전방측으로는 석쇠 또는 석쇠 받침구를 탈착식으로 지지시킬 수 있는 걸이구조를 갖는 석쇠고정대와;
상기 승강 하우징의 상부캡 상방 측에서 상기 나사축의 상부저어널에 결합되어 나사축을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승강하우징을 식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는, 승강 하우징의 상하단 또는 측단에 대하여 고정형으로 결합되는 사각 또는 원형 판재나 통체로 구성되어 식탁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하여 고정피스로 고정하는 피스고정형 고정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석쇠 승강장치를 식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는, 승강 하우징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측단의 어느 일 측에 고정형으로 결합되는 원형 나사관체로 구성되어 식탁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하여 너트부재로 고정하는 너트고정형 고정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석쇠 승강장치를 식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는, 승강 하우징의 상,하부캡을 연장하여 일체의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승강구동수단은 링형의 승강 핸들 또는 절찹식 핸 들바로 각각 구성하거나 또는 이들을 병합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승강구동수단은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고 회전방향을 전환 제어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를 구비하며, 나사축의 상부저어널 또는 하부 저어널과 연동 결합되며, 승강 하우징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는 전동(電動) 모터로 구성되는 전동식 승강구동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제공되는 석쇠 승강장치용 탈착식 석쇠의 구성은, 사각 또는 링형의 석쇠테두리에 일정 간격으로 석쇠살이 부착되고, 석쇠 테두리의 일 측단에 경사진 지지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는 석쇠 승강장치의 석쇠고정대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탈착식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는 식탁(85)의 상면에 고정피스(12)로 고정되는 고정판(10)을 기재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에는 상,하단에 각각 상,하부캡(23)(25)으로 마감 고정되는 원통형 승강 하우징(20)이, 고정판(10)의 상면에 하부캡(25)을 고정나사로 결합시키는 구성에 의하여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승강 하우징(20)의 전방 측단에는 수직면상의 좌우측단(21a)(21b)이 형 성된 일정 폭의 개구부(21)가 상하 높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승강 하우징(20)의 내부 중심 선상에는 수선상으로 나사축(30)이 배치되어 그 상,하부 저어널(32)(33)이 하우징의 상,하부캡(23)(25)에 각각 상,하부 베어링(24)(26)으로 회전 자유롭게 축설된다.
상기 나사축(30)의 외면에는 나사결합되는 링형 승강슬라이더(50)가 설치되고, 그 전방 측단에는 사각재의 승강지지대(52)가 외팔보 형태로 고정부착된다.
상기 승강지지대(52)의 선단은 승강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그 양 측단은 개구부(21)의 좌,우측단(21a)(21b)과 미끄럼 접촉 상태로 접면된다.
상기 승강지지대(52)의 전방단에는 이 후에 설명되는 탈착식 석쇠(70)를 받쳐 지지하는 석쇠고정대(60)가 부착된다.
상기 석쇠고정대(60)는 상기 승강지지대(52)와의 결합부재이면서 탈착식 석쇠(70)의 좌우측 걸고리부재(77a~77d))들을 끼워 거는 걸고리공(63)이 양측단에 형성된 수직부재형의 결합대(62)와,
상기 결합대(62)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된 수평부재로 되어, 그 상면에 탈착식 석쇠(70)의 좌우측 걸침부재(76a~76d))들을 받쳐 지지하는 석쇠받침대(61)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하우징(20)의 상부캡(23) 상방 측에는 상기 나사축(30)의 상부저어널(32)에 결합되어 나사축(30)을 회전 구동시키는 승강핸들(40)이 절첩식 핸들바(42)를 구비하여 설치된다.
미 설명부호 11은 고정판(10)의 고정공이고, 부호 22는 상,하부캡의 고정나사이고, 부호 43은 핸들고정용 볼트이고, 부호 64는 석쇠고정대(60)를 승강 지지대(52)의 선단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표시한다.
상기한 구성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에는 상기 석쇠고정대(60)에 탈착식으로 받쳐 지지되는 일 실시예의 탈착식 석쇠(70)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 탈착식 석쇠(70)의 구성은, 링형의 석쇠테두리(71)에 일정 간격으로 석쇠살(72)이 부착된 일반적인 석쇠 구성에 대하여, 석쇠테두리(71)의 일 측단에서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다소 경사지게 세워진 좌우 각각 2개씩의 좌측 지지부재(75a)(75b)들과 우측 지지부재(75c)(75d)들로 구성된 4개의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4개의 좌우측 지지부재(75a)(75b)(75c)(75d)들의 상단은 다시 후방으로 일정 길이 수평 절곡되어 좌측 걸침부재(76a)(76b)들과 우측 걸침부재(76c)(76d)들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걸침부재(76a~76d)들의 좌우 폭과 전후 폭은 상기 석쇠 승강장치(100)의 석쇠받침대(61)의 상면에 얹혀지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이 좌,우측 걸침부재(76a~76d)들의 끝단에는 각각 낮은 높이로 수직 절곡된 좌측 걸고리부재(77a)(77b)들과 우측 걸고리부재(77c)(77d)들이 구비된다.
상기 좌측 걸고리부재(77a)(77b)들에서 두 부재 간의 간격과 우측 걸고리부재(77c)(77d)들에서 두 부재 간의 간격과 높이는, 상기 석쇠 승강장치(100)의 걸고리공(63)에 끼워져 걸리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4개의 좌우측 걸침부재(76a~76d)들의 하단 전, 후방에는 직교방향으로 각각 하단 고정부재(78)들이 고정 부착되고, 상단 후방에는 좌우측 걸고리부재(77a~77b)들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단 고정부재(79)가 고정 부착된다.
상기 좌우측 걸고리부재(77a~77b)들과 상단 고정부재(79) 간에 형성되는 일정 간격은, 상기 석쇠 승강장치(100)의 결합대(62)에 구비된 걸고리공(63)에 끼워져 압박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 구성과 일 실시예 탈착식 석쇠(7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1~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는 식탁(85)의 상면에 대하여 숯불 화로(87)의 일 측에 고정판(10)을 고정피스(12)로 밖아 고정 설치한다.
상기 일 실시예 탈착식 석쇠(70)는 그 석쇠테두리(71)가 숯불 화로(80)의 숯통(83) 상방에 사용 높이로 위치한 상태에서, 석쇠의 좌,우측 걸고리부재(77a~77d)들을 후방으로 눕혀서 석쇠고정대(60)의 걸고리공(63)에 끼워 걸은 후에 좌우측 걸침부재(76a~76d)들의 하단 고정부재(78)들을 석쇠받침대(61)의 상면에 얹어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에 의하면, 석쇠 승강장치(100)의 핸들바(42)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나사축(30)도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자전하게되어 승강슬라이더(50)와 승강지지대(52)가 나사축(30)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나사회전 이송량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서 나사축(30)의 자전 회전력에 의하여 승강슬라이더(50)와 승강지지대(52)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승강지지대(52)의 양 측단면이 승강 하우징 개구부(21)의 수직면상 좌우측단(21a)(21b)과 미끄럼 접촉상태로 접면된 구성에 의하여 회전력은 제어되면서 승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승강지지대(52)의 승강작동에 의하면 그 선단에 고정 부착된 석쇠고정대(60)도 동일한 행정으로 승강작동되면서 탈착식으로 결합되어 얹혀져 있는 석쇠(70)도 함께 승강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 구성을 갖는 설치상태에서 숯통(83)에 불 붙은 숯(84)을 넣고 고기를 굽기 시작할 때는 공기조절구(82)를 조절하여 숯(84)의 화력을 적정히 조절하여 사용하다가, 고기가 어느 정도 익으면 사용자가 핸들바(42)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석쇠(70)의 높이를 올려줄 수 있는 바, 석쇠(70)의 상승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숯불로부터의 거리가 조절되어 고기 익히는 속도를 임의적으로 느리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석쇠(70)의 높이를 높여서 고기를 느리게 익히다가 새 고기를 구울 때에는 다시 사용자가 핸들바(42)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석쇠(70)가 숯불 쪽으로 내려가는 바, 석쇠(70)의 하강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숯불로부터의 거리가 조절되어 고기 익히는 속도를 임의적으로 빠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와 일 실시예 탈착식 석쇠(70)의 구성에 의하면, 숯불 구이기가 설치된 모든 식탁의 상면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숯불 구이에 있어서 석쇠 승강장치의 핸들 바를 좌,우로 돌리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누구나 앉아서 간편하게 석쇠의 높이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화로의 공기조절구로 조절되는 화력조절로도 쉽게 조절할 수 없었던 고기 굽는 속도를, 고기 먹는 속도나 익힘의 취향 또는 고기 종류에 맞추어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들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구성요소들 및 사용상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승강슬라이더(50)와 승강지지대(52)는 그 기능상 2개의 부재로 분리하여 표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단일체의 부재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핸들(40)의 구성은 원형의 림이 없이 핸들보스에 직접 핸들바(42)를 절첩식으로 부착하는 구성이나 또는 핸들바가 없이 림형의 승강핸들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착식 석쇠의 구성들에서 석쇠를 승강지지대의 석쇠받침대에 결합시키는 탈착식 결합부재들의 구성은, 일 실시예들과 같이 좌,우측 지지부재(75a~75d)와 좌,우측 걸침부재(76a~76d)들 및 좌,우측 걸고리부재(77a~77d)들이 각각 2개의 봉으로 형성된 구성 외에도 단봉형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또는 전체를 판재로 구성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승강 하우징의 상부캡 상방 측에서 상기 나사축의 상부저어널에 결합되어 나사축을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은 일 실시예로 개시된 승강핸들 구성에 의한 수동식 승강구동수단 외에도 승강하우징의 상, 하단 어느 일측에 장착되는 전동식 승강구동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승강구동수단을,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작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올림과 내림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작동스위치(46)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전환 제어구동되는 전동(電動) 모터(45)를 사용하여 나사축(30)의 상부저어널(32)과 연동 결합시키며, 모터브라켓(47)에 의하여 승강 하우징(20)의 상단에서 상부캡(230의 상면에 고정볼트(48)로 고정 장착하는 전동식 승강 구동수단을 갖는 일 실시예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승강구동수단을 갖는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10)에 의하면, 작동스위치(46)의 조작에 의하여 전동 모터(45)의 회전 방향을 구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서, 승강핸들(40)로 구성되는 수동식에 비하여 보다 간편하게 석쇠를 승강시킬 수 있고, 외관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2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승강구동수단을,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작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올림과 내림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작동스위치(46a)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전환 제어 구동되는 전동(電動) 모터(45a)를 사용하여 나사축(30)의 하부저어널(33)과 연동 결합시키며, 모터브라켓(47a)에 의하여 승강 하우징(20)의 하단에서 하부캡(23)이나 고정판(10)의 저면에 고정볼트(48a)로 고정 장착하는 전동식 승강 구동수단을 갖는 다른 일 실시예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승강구동수단을 갖는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20)에 의하면, 작동스위치(46)의 조작에 의하여 전동 모터(45)의 회전 방향을 좌우 구동 제어할 수 있어 수동식에 비하여 보다 간편한 작동성과 함께, 전동모터(45a)가 식탁(85)의 상면 이하로 수용되어, 이전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설치높이도 줄어들고, 외관이 더욱 단순해지며, 미려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석쇠 승강장치를 식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는, 승강 하우징의 상,하부캡을 연장하여 일체의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고, 식탁의 상면 또는 저면에 고정하는 구성이나,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의 구성에 있어서 승강 하우징(20)을 식탁에 고정하는 부재인 고정판(10)의 구성은 외관상의 미려함을 꾀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사각형 외에도 링형으로 변경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정판(10)은 그 설치상태에 있어서 도 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탁(85)의 상면에 고정하는 구성 이외에도, 고정판(10)과 하부캡(25)이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구성(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음)이므로, 도 10과 같이 식탁(85)에 승강 하우징(20)이 관통형으로 끼워지는 고정공(85a)을 뚫고, 고정판(10)과 하부캡(25)을 분리하여 승강 하우징(20)을 식탁 위에서 고정공(85a)으로 끼운 후, 식탁 하방에서 고정판(10)을 다시 고정나사로 하부캡(25)과 결합시켜 놓고, 고정판(10)을 식탁(85)의 저면에 붙여 고정피스(12)로 조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석쇠 승강장치(100)를 식탁에 고정함에 따른 고정부재의 노출을 없애서 식탁 상면을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에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된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은 승강 하우징(20)의 하단에서 하부캡(25)을 하부로 연장하고 둘레에는 고정플랜지(25a)를 형성하며, 그 이하 단에는 너트(27)가 나사 결합되는 원형 나사관(25b)으로 구성한 너트고정형 나사관 고정구로 된 구성이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30)의 구성은, 고정플랜지(25a)의 구성을 생략하고 원형 나사관(25b)의 직경을 승강하우징(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구성들에 의하면 식탁(85)에 원형 나사관(25b)이 관통되는 고정공(85a)를 뚫어 상부에서 승강하우징(20)을 고정플랜 지(25a)가 식탁 상면 고정공(85a) 둘레에 얹혀지게 끼운 후, 식탁(85)의 하부면에서 나사관(25b)에 워셔(28)를 끼고 너트(27)를 조여 끼워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나사관 고정구로된 고정부재에 의하면 식탁 상면에 고정판의 설치 부위와 고정피스가 노출되지 않아 설치 외관이 좋아지고, 승강하우징의 고정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2~19 에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된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4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40)의 구성은 승강하우징(20)의 하단부에 좌우 회동편(25e)(25f)을 구비하고, 식탁에 고정되어 상기 좌우 회동편(25e)(25f)들이 회동식으로 탈착되는 착지대(90)를 구비하여, 승강하우징(20)을 탈착식으로 장착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 승강 하우징(20)의 하단부에는, 하부캡(25)의 하단부를 승강하우징(20)의 직경으로 일정 길이 연장하여 끼움관(25c)으로 형성하고, 이 끼움관(25c)의 하단부로는 끼움관(25c)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 결합관(25d)을 형성하며, 이 결합관(25d)의 하단부에는 끼움관(25c)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의 원판에 대하여 평면상으로 방사형 4등분하여 서로 대응되는 두쪽은 좌우 회동편(25e)(25f)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두쪽 부분은 절개하여 공간부로 형성하며, 상기 좌우 회동편(25e)(25f)의 상단면 일 측에는 각각 정지핀(29)을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착지대(90)의 구성은 식탁(85)에 고정공(85d)을 뚫고 고정하는 구 성으로서, 상부에 식탁 상면 걸침용의 고정용 플랜지(91)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상기 끼움관(25c)이 내접형으로 끼워지는 삽입구(92)가 형성되며, 그 하측으로 상기 좌우 회동편(25e)(25f)이 끼워져 회동식으로 잠겨지도록 상기 좌우 회동편(25e)(25f)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좌우 결합편(94a)(94b)들과 전,후 결합공(94c)(94d)들을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승강하우징(20)을 착지대(90)에 끼워 설치할 때는, 좌우 회동편(25e)(25f)들을 착지대(90)의 전,후 결합공(94c)(94d)들에 맞추어 아래로 끼운 후, 승강하우징(20)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좌우 회동편(25e)(25f)들이 전,후 결합공(94c)(94d)들의 하부에서 좌우 결합편(94a)(94b)들의 저면으로 회동되면서 정지핀(29)들이 좌우 결합편(94a)(94b)들의 선단 측면에 닿아 회동이 제어되는 위치에서 상하로 겹쳐 안착되므로서, 승강하우징(20)의 하단부 끼움관(25c)이 착지대(90)의 내면에 접면되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승강하우징(20)을 착지대(90)에서 분리할 때는, 승강하우징(20)을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좌우 회동편(25e)(25f)들이 착지대(90)의 좌우 결합편(94a)(94b)들의 하면에서 전,후 결합공(94c)(94d)들 위치로 회동되므로, 승강하우징(20)을 위로 들어 올려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40)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부재가 식탁(85)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형식의 일 실시예 석쇠 승강장치(100)(130)들에 비하여, 사용시에는 승강하우징(20)을 착지대(90)에 결합시켜 사용하고, 미 사용시에는 착지대(90)로부터 분리시켜 따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미 사용시에 식탁 상면의 공간을 원래대로 확보하여, 숯불화로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식탁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으며, 유지 보수시에도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육류나 생선류 등의 고기를 직화로 요리할 수 있어 숯불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숯불 향 등에 의하여 육질이 개선되고, 직화열에 의하여 고기의 맛이 담백해지는 등의 구이 맛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화력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숯불구이장치에 있어서, 후드가 없는 모든 식탁에도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며, 설치가 간편하며, 외관상 깔끔하고 거추장스러운 구조물을 극소화하여 석쇠 승강장치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기의 구이속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시식자가 앉아서 임의적으로 또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른 석쇠 승강장치들에 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고기를 적당하고 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익은 고기도 식지도 않고 딱딱해져서 고기 맛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버려지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어서 숯불구이장치의 효용성을 높여주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기가 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고, 석쇠에 탄재가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여 석쇠를 자주 갈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석쇠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상,하단에는 조립식 상,하부캡으로 마감되며 전방 측단에는 일정 폭의 개구부가 상하 높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형의 승강 하우징과;
    상기 승강 하우징을 식탁 또는 숯불 화로의 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승강 하우징의 내부 중심 선상에 수선상으로 배치되어 그 상하부 저어널이 상,하부캡에 각각 베어링부재로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외접형으로 나사결합되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전방 측단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지지되어 그 선단은 통형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양 측단은 개구부의 좌우 측단과 접면하는 승강지지대와;
    상기 승강지지대의 선단에 고정 부착되고 전방측으로는 석쇠 또는 석쇠 받침구를 탈착식으로 지지시킬 수 있는 걸이구조를 갖는 석쇠고정대와;
    상기 승강 하우징의 상부캡 상방 측에서 상기 나사축의 상부저어널에 결합되어 나사축을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승강핸들 또는 핸들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 제어하는 작동스위치로 구동 제어되는 전통모터로 구성되고 승강하우징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하우징을 식탁 또는 숯불 화로의 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는, 판형 또는 링형의 고정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하우징을 식탁 또는 숯불 화로의 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는, 식탁에 관통된 고정공에 끼워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하부캡의 하단에 고정플랜지를 형성하고, 이 고정플랜지의 하단에 너트가 나사결합되는 원형 나사관을 일체로 구비하는 너트고정형 고정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하우징을 식탁 또는 숯불 화로의 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는, 승강하우징의 하단부에 끼움수단을 구비하고, 식탁에는 고정공을 뚫어 상기 끼움수단이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착지대를 구비하여, 승강하우징을 식탁에 대하여 분리 또는 고정 장착할수 있는 탈착식 고정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하우징을 식탁 또는 숯불 화로의 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탈착식 고정부재는, 승강하우징(20)의 하단부에는 하부캡(25)의 하단부를 승강하우징(20)의 직경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끼움관(25c)으로 형성하고, 이 끼움관(25c)의 하단부로는 끼움관(25c)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 결합관(25d)을 형성하며, 이 결합관(25d)의 하단부에는 끼움관(25c)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의 원판에 대하여 평면상으로 방사형 4등분하여 서로 대응되는 두쪽은 좌우 회동편(25e)(25d)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두쪽 부분은 절개하여 공간부로 형성하며, 상기 좌우 회동편(25e)(25f)의 상단면 일 측에는 각각 정지핀(29)을 구비하며,
    식탁에 고정되어 상기 끼움구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착지대의 구성은, 식탁(85)에 고정공(85d)을 뚫고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상부에 식탁 상면 걸침용의 고정용 플랜지(91)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상기 끼움관(25c)이 내접형으로 끼워지는 삽입구(92)가 형성되며, 그 하측으로 상기 좌우 회동편(25e)(25f)이 끼워져 회동식으로 잠겨지도록 상기 좌우 회동편(25e)(25f)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좌우 결합편(94a)(94b)들과 전,후 결합공(94c)(94d)들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석쇠고정대에는, 석쇠의 테두리 일 측단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받치부재와, 이 받침부재의 끝단에서 상기 석쇠고정대의 걸고리공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걸고리부재를 구비하는 탈착식 석쇠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승강장치.
KR1020060094524A 2006-09-28 2006-09-28 석쇠 승강장치 KR20080029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24A KR20080029049A (ko) 2006-09-28 2006-09-28 석쇠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24A KR20080029049A (ko) 2006-09-28 2006-09-28 석쇠 승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228U Division KR200435665Y1 (ko) 2006-09-28 2006-09-28 석쇠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049A true KR20080029049A (ko) 2008-04-03

Family

ID=3953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524A KR20080029049A (ko) 2006-09-28 2006-09-28 석쇠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0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5107A (zh) * 2012-07-20 2014-02-12 钟红军 多媒体讲台
CN113951736A (zh) * 2021-12-03 2022-01-2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电烤板
CN116428617A (zh) * 2023-05-09 2023-07-14 尚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野营柴火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5107A (zh) * 2012-07-20 2014-02-12 钟红军 多媒体讲台
CN113951736A (zh) * 2021-12-03 2022-01-2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电烤板
CN113951736B (zh) * 2021-12-03 2024-02-27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电烤板
CN116428617A (zh) * 2023-05-09 2023-07-14 尚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野营柴火炉
CN116428617B (zh) * 2023-05-09 2023-11-03 尚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野营柴火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620B2 (en) Convertible mobile fire pit and cooker assembly
US4372199A (en) Rotary skewer cooker
US6138553A (en) Rotary cooking apparatus
US4366750A (en) Rotary skewer cooker
KR100681456B1 (ko) 바베큐용 오븐 조리기
KR200384587Y1 (ko) 로스터의 버너 승강구조
US20020088211A1 (en) Filter for indoor barbecue
KR101738814B1 (ko)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KR20080029049A (ko) 석쇠 승강장치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200486690Y1 (ko)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US3033189A (en) Rotatable brazier
KR20080032672A (ko) 매입형 석쇠 승강장치
KR200435665Y1 (ko) 석쇠 승강장치
KR101894373B1 (ko) 캠핑용 화로대에 사용될 수 있는 오토 바비큐 장치
KR20200024634A (ko) 복사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기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198107Y1 (ko) 구이기
KR20140140998A (ko) 바비큐 겸용 숯불구이기
CN112790624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US20230120943A1 (en) Charcoal grilling apparatus and accessories
KR100984432B1 (ko) 로스터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KR200359493Y1 (ko) 숯불구이장치
CN214856135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