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815A -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815A
KR20080028815A KR1020070096971A KR20070096971A KR20080028815A KR 20080028815 A KR20080028815 A KR 20080028815A KR 1020070096971 A KR1020070096971 A KR 1020070096971A KR 20070096971 A KR20070096971 A KR 20070096971A KR 20080028815 A KR20080028815 A KR 20080028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inbound
transceiver
outbound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906B1 (ko
Inventor
로포우가란 아마드레자
Original Assignee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2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6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channel coding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06Space-frequency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25Transmit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RF 프론트 엔드(front-end)는 송신 조정 모듈, PA 모듈, 안테나 커플링 회로, LNA 모듈, 및 수신 조정 모듈을 포함한다. 송신 조정 모듈은 제1 송신 모드시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및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후속적(subsequently)으로 PA 모듈에 의해 증폭되는) 각각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송신 모드시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안테나 커플링 회로는 송신 모드에 의존하여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다중 또는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LNA 모듈로 수신 안테나에 근거하여 다중 또는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한다. 수신 조정 모듈은 수신 모드에 근거하여 다중 또는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Figure P1020070096971
프론트 엔드(front-end),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빔성형(beamforming)

Description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BEAMFORMING AND/OF MIMO RF FRONT-END AND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RF) 송신기들(transmitters) 및/또는 수신기들(receivers)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들은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장치들 사이에 무선 내지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은 국내 및/또는 국제 셀룰러 전화기 시스템들로부터 인터넷이나, 포인트 투 포인트 가정용 무선 네트워크(point-to-point in-home wireless networks),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에 이른다. 각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표준을 준수하여 제조되고 또한 그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s), 디지털 AMP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MDS(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s), MMDS(multi-channel-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s), RFID 및/또는 그들의 변형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준들을 준수하여 동작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유형에 의존하여, 셀룰러 전화기, 양 방향 무선장치(two-way radio), 개인 디지털 보조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PC),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가정용 오락기기(home entertainment equipment), RFID 리더(reader), RFID 태그(ta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다른 무선 장치들과 통신한다. 직접적인 통신들(또한 포인트-투-포인트 통신들로 알려진)을 위하여, 참여하는(participating) 무선 통신 장치들은 그들의 수신기들 및 송신기들을 동일한 채널 또는 채널들(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무선 주파수(RF) 캐리어들 중의 하나 또는 몇몇 시스템들을 위한 특정 RF 주파수)에 동조(tune)하고 그 채널(들)을 통해 통신한다. 간접적인 무선 통신들을 위하여, 각 무선 통신 장치는 관련(associated) 기지국(base station)(예를 들면, 셀룰러 서비스(cellular services)를 위한) 및/또는 관련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예를 들면, 가정용 또는 실내용 무선 통신망을 위한)와 할당된 채널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들 사이의 통신 연결을 완성하기 위해, 관련된 기지국들 및/또는 관련된 억세스 포인트들은, 시스템 컨트롤러(system controller)를 통하여,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및/또는 몇몇의 다른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을 통하여, 서로 간에 직접적으로 통 신한다.
각각의 무선 통신 장치가 무선 통신들에 참여하기 위하여, 그것은 내장 무선 송수신기(built-in radio transceiver)(예를 들면, 수신기 및 송신기(receiver and transmitter))를 포함하거나 관련 무선 송수신기(예를 들면, 가정용(in-home) 및/또는 실내용(in-building) 무선 통신망들을 위한 스테이션(station), RF 모뎀 등)에 결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수신기는 안테나에 결합되고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intermediate frequency stages), 필터링 스테이지(filtering stage), 및 데이터 복원 스테이지(data recovery stage)를 포함한다. 저잡음 증폭기는 안테나를 통해 인바운드(inbound) RF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 후 증폭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은 증폭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들 또는 중간 주파수(IF)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국부 발진들과 믹싱(mix)한다. 필터링 스테이지(filtering stage)는 대역 신호들로부터 원치 않는 신호들을 감쇠시키고 필터링된 신호들을 만들어내기 위해 기저대역 신호들 또는 IF 신호들을 필터링(filter)한다. 데이터 복원 스테이지는 특정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필터링된 신호들로부터 비가공 데이터(raw data)를 복원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송신기는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 및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는 비가 공 데이터를 특정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들로 변환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은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그 기저대역 신호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국부 발진들과 믹싱한다. 전력 증폭기는 안테나를 통한 전송(transmission)에 앞서 RF 신호들을 증폭한다.
여러 시스템들에서, 송신기는 RF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것이고, 여기서 RF 신호들은 수신기의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들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기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때, 수신기는 인커밍(incoming) RF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 이 경우에,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무선 통신은, 비록 수신기가 다이버시티 안테나들(diversity antennas)(즉, 인커밍 RF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함)로서 사용된 다중의 안테나들을 포함하지만, 단일출력 단일입력(single-output-single-input;SISO) 통신이다. SISO 무선 통신들을 위해, 송수신기는 하나의 송신기 및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현재, IEEE 802.11, 802.11a, 802.11b, 또는 802.11g 준수형 또는 RFID 표준 준수형인 대부분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WLAN)은 SISO 무선 통신들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들의 다른 유형들은 단일입력 다중출력(single-input-multiple-output;SIMO), 다중입력 단일출력(multiple-input-single-output;MISO), 및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multiple-output;MIMO)을 포함한다. SIMO 무선 통신에 서, 단일 송신기는 데이터를 수신기로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 내에서 처리(process)한다. 수신기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 및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 경로들(paths)을 포함한다. 안테나들 각각은 상응하는 수신기 경로(예를 들면, LNA, 하향 변환 모듈(down conversion module), 필터들(filters), 및 ADCs)에 그들을 제공한다. 수신기 경로들 각각은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수신된 RF 신호들을 처리하고, 디지털 신호들은 결합된 후 송신된 데이터를 리캡쳐(recapture)하기 위해 처리된다.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무선 통신을 위해, 송신기는 각각이 기저대역 신호들의 상응하는 부분을 상응하는 안테나들을 통하여 수신기로 송신되는 RF 신호들로 변환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전송 경로들(예를 들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필터들(filters), 상향 변환 모듈(up-conversion module), 및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을 포함한다. 수신기는 다중 RF 신호들을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일 수신기 경로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수신기는 다중 RF 신호들을 처리를 위한 단일 신호로 결합(combine)하기 위하여 빔성형(beamforming) 기법을 사용한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무선 통신을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는 각각 다중 경로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통신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의 스트림들(streams)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 및 시간 인코딩 기능(spatial and time encoding functi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병렬 처리(parallel processing)한다. 송신기는 데이터의 각 스트림을 다중 RF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해 다중 전송 경로들을 포함한다. 수신기는 공간 및 시간 디코딩 기능(spatial and time decoding function)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스트림들을 리캡쳐하는 다중 수신기 경로들을 통해 다중 RF 신호들을 수신한다. 리캡쳐된 데이터의 스트림들은 원 데이터(original data)를 복원(recover)하기 위해 결합되고 후속적으로(subsequently) 처리된다. 그와 같이, MIMO 무선 통신은 그러한 단일 입력 및/또는 단일 출력 무선 통신들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s)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MIMO 무선 통신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가 약할 때, 데이터 레이트는 거기에서 감소되고, MIMO 시스템의 장점을 무효로(negating) 한다.
지향성(directional) 무선 통신(즉, 특정 방향으로 송신된 RF 신호의 에너지를 포커싱(focusing)함에 의해 신호 세기를 증가시킴)을 제공하기 위해, 송수신기들은 빔성형(beamforming) 기법을 편입(incorporate)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빔성형 기법은, 희망 방향으로 신호의 이득을 제공하고 다른 방향들로는 신호를 감쇠(attenuate)시키기 위해, 신호를 시간 또는 위상(phase)에서 쉬프트(shift)함에 의해 포커싱된 안테나 빔을 생성하기 위한 기저대역 처리 기법(baseband processing technique)이다. 종래 기술 문서들, (1) 1996년 1월 7일자 일렉트로닉 디펜스의 저널(Journal of Electronic Defense), 스테이스칼(Steyskal), 한스(Hans)의 디지털 빔성형 기초(안테나들)(Digital beamforming basics(antennas)), (2) 클린트 쉬레이너(Clint Schreiner)의 효율적인 디지털 빔성형을 위한 디지털 하향 변환기들 이용(Utilizing Digital Downconverters for Efficient Digital Beamforming)(레드 리버 엔지니어링(Red River Engineering), 간행일자 없음), (3) 최지훈(Jihoon Choi) 및 로버트 W. 헤스(Robert W. Heath)의 외삽법 기반의 부분적 피드백으로써 MIMO-OFDM을 위한 송신 빔성형(Interpolation Based Transmit Beamforming for MIMO-OFDM with Partial Feedback)(텍사스 유니버시티(University of Texas), 전기 컴퓨터 공학부(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무선 네트워킹 및 통신 그룹(Wireless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Group), 2003년 9월 13일)은 빔성형 개념(beamforming concepts)을 논하고 있다.
알려진 빔성형 송신기 실시예에서, 빔 성형 송신기는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IF) 스테이지들, 전력 증폭기, 및 복수의 위상 모듈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IF 스테이지들 및 전력 증폭기는 증폭된 아웃바운드(outbound) R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복수의 위상 모듈들은 안테나들의 세트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빔성형 행렬(beamforming matrix)에 따라 증폭된 아웃바운드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한다.
그러한 빔성형 송신기는 송신기 동작을 제공하는 반면, 그것은 복수의 고 주 파수 및 정확한 위상 모듈들을 요구한다. 위상 모듈들은 동일한 신호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위상 조정된 신호들의 결과 크기는 동일하다. 이득 조정 모듈들이 위상 모듈들에 직렬로 부가될 수 있지만, 복잡성(complexity)을 더 부가하고 빔성형 송신기의 구성 성분 카운트(component count)를 부가시킨다.
그러므로, MIMO 및/또는 빔성형의 이점을 편입(incorporate)시키면서도, 위에서 언급한 한계점들(limitations)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극복하기 위한 그러한 방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들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더 설명되는 장치 및 동작의 방법들로 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RF) 송수신기(transceiver)는: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transmit baseband 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first transmit mode)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데이터(outbound data)를 아웃바운드 심볼들(outbound symbols)의 스트림(stream)으로 변환(convert)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second transmit mode)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block encoded streams of outbound symblos)로 변환하도록 결합(couple)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digital to analog conversion module);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향 변환된(up-converted)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향 변환 모듈(up-conversion module);
RF 프론트 엔드(front-end)를 포함하되, 상기 RF 프론트 엔드는: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multiple adjusted up-converted)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다중(multiple)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adjusted up-converted)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송신 조정 모듈(transmit adjust module);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전력 증폭기 모듈(power amplifier module);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some)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first receive mode)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로부터 저 잡음 증폭기 모듈(low noise amplifier module)로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second receive mode)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커플링 회로(antenna coupling circuit);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 및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복수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수신 조정 모듈(receive adjust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하향 변환 모듈(down-conversion module);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복수의 인바운드 블록 인코딩된 신호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analog to digital conversion module); 및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receive baseband 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상기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수신기는: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3 송신 모드(third transmit mode)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는: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some)에 제공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잡음 증폭기 모듈로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조정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하향 변환 모듈;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 및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상기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화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수신기는: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3 송신 모드(third transmit mode)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는: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조정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하향 변환 모듈;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 및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상기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phase angle adjust value)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및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a second)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유사한 편파(polarization)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처음의 하나(a first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다음의 하나(a second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different)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처음의 하나(a first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다음의 하나(a second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의 송신 안테나들이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는 수신 안테나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또는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constitute)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또는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수신기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의 공통 다이(common die) 상에 위치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상기 RF 프론트 엔드, 및 상향 변환 모듈, 및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무선 주파수(RF 프론트 엔드(front-end)는: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송신 모드시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송신 모드시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송신 조정 모듈;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신 모드시 상기 다중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 합된 전력 증폭기 모듈;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는:
상기 제1 송신 모드시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송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제1 수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제2 수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수신 모드시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시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저 잡음 증폭기 모듈; 및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신 모드시 상기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수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수신 조정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및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a second)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되는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편파(polarization)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처음의 하나(a first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다음의 하나(a second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처음의 하나(a first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다음의 하나(a second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프론트 엔드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더 구비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의 송신 안테나들이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수신 안테나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프론트 엔드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더 구비하되, 여기서 상기 제1 또는 제2 송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수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프론트 엔드는:
집적 회로의 공통 다이 상에 위치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 및 상기 수신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무선 주파수(RF) 송신기는: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상기 RF 송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상기 RF 송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향 변환 모듈;
RF 프론트 엔드를 포함하되, 상기 RF 프론트 엔드는: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송신 조정 모듈;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신기는:
상기 RF 송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및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신기는:
상기 RF 송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 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및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 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처음의 하나(a first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다음의 하나(a second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 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처음의 하나(a first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위상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다음의 하나(a second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편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송신기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더 구비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의 송신 안테나들이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수신 안테나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후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및/또는 억세스 포인트들(12, 16),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들(18-32) 및 네트워크 하드웨어 구성요소(network hardware component)(34)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네트워크 하드웨어(34)는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브리지(bridge), 모뎀(modem), 시스템 컨트롤러(system controller), 등일 수 있고, 통신 시스템(10)을 위하여 광역 통신망 연결(wide area network connection)(42)을 제공한다. 나아가 무선 통신 장치들(18-32)은 랩탑 호스트 컴퓨터들(18 및 26), 개인 디지털 보조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호스트들(20 및 30), 개인용 컴퓨터 호스트들(24 및 32) 및/또는 셀룰러 전화기 호스트들(22 및 28)일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의 상세 부분은 도 2-13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들(22, 23, 및 24)은 I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영역 내에서 위치하고 직접적으로(예를 들면,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통신한다. 이 구성에서, 이들 장치들(22, 23, 및 24)은 단지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10) 내에서 다른 무선 통신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 또는 시스템(10)의 외부로 통신하기 위해, 디바이스들(22, 23, 및/또는 24)은 기지국들 또는 억세스 포인트들(12 또는 16) 중의 하나와 관계를 맺을(affiliate) 필요가 있다.
기지국들 또는 억세스 포인트들(12, 16)은 BSS(basic service set) 영역들(11 및 13) 내에 각각 위치하고, 근거리 통신망 연결들(local area network connections)(36, 38)을 통해 네트워크 하드웨어(34)에 동작적으로(operably) 결합된다. 그러한 연결은 기지국 또는 억세스 포인트(12, 16)에게 시스템(10) 내에서의 다른 장치들에 대한 연결성(connectivity)을 제공하고 WAN 연결(42)을 통한 다른 통신망들에 대한 연결성을 제공한다. 그의 BSS 11 또는 13 내에서 무선 통신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들 또는 억세스 포인트들 12-16 각각은 관련된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갖는다. 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억세스 포인트(12)는 무선 통신 장치들(18 및 2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반면 기지국 또는 억세스 포인트(16)는 무선 통신 장치들(26-32)과 무선으로 통신한다. 전형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들은 통신 시스템(10)으로부터 서비스들을 수신하도록 특정 기지국 또는 억세스 포인트(12, 16)로 레지스터(register)한다.
전형적으로, 기지국들은 셀룰러 전화기 시스템들 및 유사 유형 시스템들을 위하여 사용되고, 반면에 억세스 포인트들은 가정용(in-home) 또는 실내용(in-building) 무선 통신망들(예를 들면, IEEE 802.11 및 그들의 버젼들(versions), 블루투스, RFID, 및/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주파수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위하여 사용된다. 특정 유형의 통신 시스템들에 상관없이 각 무선 통신 장치는 내장 무선장치(built-in-radio)를 포함하고/포함하거나 무선장치에 결합된다.
도 2는 호스트 장치(18-23) 및 관련 무선장치(6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셀룰러 전화기 호스트들, RFID 리더 호스트들, 워키토키 호스트들(walkie-talkie hosts)에 있어서는, 무선장치(60)는 내장 요소(built-in component)이다. PDA 호스트들, 랩탑 호스트들, 및/또는 개인용 컴퓨터 호스트들에 있어서는, 무선장치(60)는 내장되거나 외부적으로 결합된 요소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18-32)는 처리 모듈(50), 메모리(52), 무선 인터페이스(54), 입력 인터페이스(58), 및 출력 인터페이스(56)를 포함한다. 처리 모듈(50) 및 메모리(52)는 호스트 장치에 의해 전형적으로 수행되는 상응하는 명령들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셀룰러 전화기 호스트 장치를 위해, 처리 모듈(50)은 특정 셀룰러 전화 통신 표준을 준수하여 상응하는 통신 기능들을 수행한다.
무선 인터페이스(54)는 데이터가 무선장치(60)로부터 수신되고 무선장치(60) 로 송신되도록 허용한다. 무선장치(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를 들면, 인바운드 데이터)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54)는 데이터를 더 나아간 처리 및/또는 출력 인터페이스(56)로의 라우팅을 위해 처리 모듈(50)로 제공한다. 출력 인터페이스(56)는 수신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니터, 스피커들 등과 같은 출력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성을 제공한다. 무선 인터페이스(54)는 또한 처리 모듈(50)로부터 무선장치(60)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처리 모듈(50)은 입력 인터페이스(58)를 통하여 키보드, 키패드,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의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데이터 그 자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58)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위해, 처리 모듈(50)은 데이터 상에서 상응하는 호스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있거나 그것을 무선 인터페이스(54)를 통해 무선장치(60)로 라우팅할 수 있다.
무선장치(6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62), 송신 처리 모듈(64),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DAC) 모듈(66), 상향 변환 모듈(68), 복수의 안테나들(72)에 결합된 RF 프론트 엔드(70), 하향 변환 모듈(76),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DC) 모듈(78), 및 수신 처리 모듈(80)을 포함한다. 수신 및 송신 처리 모듈들(80 및 64)은 공유 처리 장치, 개별 처리 장치들, 또는 복수의 처리 장치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microcouputer),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상태 기계(state machine), 로직 회로(logic circuitry), 아날로그 회로(analog circuitry), 디지털 회로(digital circuitry), 및/또는 동작적 명령들에 근거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어떤 장치일 수 있다. 나아가, 처리 모듈(64 및 80)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단일 메모리 장치 또는 복수의 메모리 장치들일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장치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랜덤 억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스태틱 메모리(static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어떤 장치일 수 있다. 처리 모듈(64 및/또는 80)이 상태 기계,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로직 회로를 통하여 그의 기능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수행할 때, 상응하는 동작적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는 상태 기계,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와 함께 내장(embedded)된다.
동작시, 무선장치(6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62)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수신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62)는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송신 처리 모듈(64)로 라우팅한다. 제1 송신 모드(예를 들면, 단일 아웃바운드 RF 신호의 RF 빔성형(beamforming))에서, 송신 처리 모듈(64)은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아웃바운드 심볼들(84)의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특정 무선 통신 표 준(예를 들면, IEEE 802.11, 블루투스, RFID, CDMA, GSM, 등등)을 준수할 수 있는 변환(conversion)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램블링(scarmbling), 인코딩, 컨스틸레이션 맵핑(constellation mapping), 변조, 및/또는 IF 변환으로의 디지털 기저대역을 포함한다. 아웃바운드 심볼들(84)의 스트림은 기저대역에 있을 수 있고(예를 들면, 0의 중간 주파수(IF)) 또는 백 킬로헤르츠 내지 수 메가헤르츠의 저 IF일 수 있다.
제2 송신 모드(예를 들면, MIMO)에서, 송신 처리 모듈(64)은 출력 데이터(82)를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86)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처리 모듈(64)은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아웃바운드 인코딩된 데이터로 인코딩함에 의해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86)로 변환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복수의 인터리빙된(interleaved) 아웃바운드 데이터의 스트림들에 아웃바운드 인코딩된 데이터를 인터리빙(interleaving)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복수의 인터리빙된 아웃바운드 데이터의 스트림들 각각을 복수의 아웃바운드 심볼 스트림들에 맵핑(mapping)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복수의 아웃바운드 블록되고 인코딩된 심볼 스트림들(outbound blocked encoded symbol streams)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space)에 또는 주파수에 복수의 아웃바운드 심볼 스트림들 각각을 블록 인코딩(block encoding)(예를 들면, 공간 시간 블록 인코딩 및/또는 주파수 시간 블록 인코딩)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 들의 스트림들(86)을 생성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타임 도메인으로 복수의 아웃바운드 블록 인코딩된 심볼 스트림들 각각의 도메인을 변환(transform)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DAC) 모듈(66)은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예를 들면, RF 빔 성형(beamforming))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한다. 만약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이 동상 성분(in-phase component) 및 직교위상 성분(quadrature component)을 포함한다면, 아날로그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DAC 모듈(66)은 두 개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들(즉, 하나는 동상 성분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직교위상 성분을 위한 것임)을 사용한다.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예를 들면, MIMO)에 있을 때, DAC 모듈(66)은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한다. 만약 각각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이 동상 성분 및 직교위상 성분을 포함한다면, DAC 모듈(66)은 각각의 블록 인코딩된 스트림을 위해 두 개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들(즉, 하나는 동상 성분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직교위상 성분을 위한 것임)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만약 네 개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86)이 있다면, DAC 모듈은 여덟 개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들을 포함한다.
상항 변환 모듈(68)은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향 변환된 신호들(88)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90)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향 변환 모듈(68)은 아날로그 신호들을 국부 발진(local oscillation:LO) 모듈(74)에 의해 제공되는 국부 발진과 혼합(mix)함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향 변환된 신호들(88)로 변환한다. 이는 직접적으로(예를 들면, 국부 발진은 대체로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의 캐리어(carrier) 주파수와 동일하다) 수행될 수 있거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스테이지들(stages)을 사용하여 수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향 변환 모듈(68)은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 각각을 국부 발진(LO) 모듈(74)에 의해 제공되는 국부 발진과 혼합함에 의해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90)로 변환한다. 이는 직접적으로(예를 들면, 국부 발진은 대체로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의 캐리어 주파수와 동일하다) 수행될 수 있거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을 사용하여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13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RF 프론트 엔드(70)는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좌표들(예를 들면, 위상, 주파수, 진폭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정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다중 아웃 바운드 RF 신호들(92)을 생성하기 위해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92)을 복수의 안테나들(72)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안테나들(72)은, RF 송수신기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송신 경로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수신 경로를 갖는 풀 듀플렉스 모드(full duplex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송신 안테나들의 세트(set) 및 수신 안테나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적어도 일부(some)는 송신 안테나들의 세트에 상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는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이 복수의 안테나들(72)을 공유(share)하는 하프 듀플렉스 모드(half duplex mode)에서 동작한다. 이 경우에,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적어도 일부는 안테나들의 숫자 및 희망(desired) 빔성형에 의존하여 안테나들(72)의 모두 또는 안테나들(72)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안테나들에서 각각이 상이한 편파(polarization)를 갖는 네 개의 안테나들이 있다면, 그리하여 모든 네 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네 개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92)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단지 두 개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92)이 생성될 수 있고, 따라서 단지 네 개의 안테나들 중 두 개만이 사용될 것이다.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RF 프론트 엔드(70)는 복수의 조정 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예를 들면, 위상, 주파수 및 진폭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정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94)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94)을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한다.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RF 빔성형)에 있을 때, RF 프론트 엔드는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로부터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96)을 수신한다.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RF 송수신기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송신 경로 및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수신 경로를 갖는 풀 듀플렉스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안테나들(72)의 수신 안테나들의 세트에 상응할 수 있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96)의 좌표들(예를 들면, 위상, 주파수, 및 진폭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정한다.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MIMO)에 있을 때, RF 프론트 엔드는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98)을 수신한 다. RF 프론트 엔드는 그 후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98)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예를 들면, 위상, 주파수, 및 진폭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정한다.
하향 변환 모듈(76)은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예를 들면, RF 빔성형)에 있을 때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96)을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0)로 변환하고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예를 들면, MIMO)에 있을 때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98)을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2)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향 변환 모듈(76)은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96)을 국부 발진(LO) 모듈(74)에 의해 제공된 국부 발진과 혼합함에 의해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96)을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0)로 변환한다. 이는 직접적으로(예를 들면, 국부 발진은 대체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캐리어 주파수와 동일하다) 수행될 수 있거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을 사용하여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향 변환 모듈(76)은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98)을 국부 발진(LO) 모듈(74)에 의해 제공되는 국부 발진과 혼합함에 의해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98을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2)로 변환한다. 이는 직접적으로(예를 들면, 국부 발진은 대체로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의 캐리어 주파수와 동일하다) 수행될 수 있고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을 사용하여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예를 들면, RF 빔성형)에 있을 때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DC) 모듈(78)은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0)을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예를 들면, MIMO)에 있을 때,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2)을 복수의 인바운드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한다. 만약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0)이 동상 성분 및 직교위상 성분을 포함한다면, ADC 모듈(78)은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즉, 하나는 동상 성분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직교위상 성분을 위한 것임)을 사용한다. 만약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20) 각각이 동상 성분 및 직교위상 성분을 포함한다면, ADC 모듈(78)은 각각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위한 두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즉, 하나는 동상 성분을 위한 것이고 하나는 직교위상 성분을 위한 것임)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만약 네 개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02)이 있다면, ADC 모듈(78)은 여덟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을 포함할 것이다.
수신 처리 모듈(80)은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예를 들면, RF 빔성형)에 있을 때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인바운드 데이터(104)로 변환하고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예를 들면, MIMO)에 있을 때 복수의 인바운드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인바운드 데이터(104)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무선 통신 표준(예를 들면, IEEE 802.11, 블루투스, RFID, CDMA, GSM, 등)을 준수하는 변환은 기저대역으로의 디지털 중간 주파수 변환, 복조, 컨스틸레이션 디맵핑(constellation demapping), 디코딩, 및/또는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은 기저대역(예를 들면, 0의 중간 주파수(IF))일 수 있거나 백 킬로헤르츠 내지 수 메가헤르츠의 저 IF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로부터의 P-입력들로부터 M-출력 경로들을 생성하기 위해 변환은 공간/시간 및/또는 주파수/시간 디코딩을 포함할 수 있다. M-출력 경로들은 주파수 도메인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타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다. 수신 처리 모듈(80)은 그 후 주파수 도메인 심볼들을 디맵핑(demapping)된 심볼 스트림들로 디맵핑한다. 디맵핑된 심볼 스트림들은 단일 경로로 결합되고 그 후 디인터리빙된(deinterleaved)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된다. 수신 처리 모듈(80)은 그 후 인바운드 데이터(104)를 생성하기 위해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도 3은 제2 송신 및 수신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64)은 RF 송수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데이터(64)를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110)로 변환한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 처리 모듈(64)은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아웃바운드 인코딩된 데이터로 인코딩함에 의해 아웃 바운드 데이터(82)를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110)의 빔성형된 스트림들로 변환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아웃바운드 인코딩된 데이터를 복수의 인터리빙된 아웃바운드 데이터의 스트림들로 변환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복수의 인터리빙된 아웃바운드 데이터 각각을 복수의 아웃바운드 심볼 스트림들로 맵핑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복수의 아웃바운드 빔성형되고 인코딩된 심볼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아웃바운드 심볼 스트림을 빔성형 행렬(beamforming matrix)에 곱(multiple)한다. 송신 처리 모듈(64)은 그 후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110)을 생성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타임 도메인으로 복수의 아웃바운드 빔성형되고 인코딩된 심볼 스트림들 각각의 도메인을 변환(transform)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66)은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110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한다. 상향 변환 모듈(68)은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112)로 변환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112)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은 기저대역 및 RF 빔성형된 신호이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114)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 는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한다.
RF 송수신기가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RF 프론트 엔드는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116)을 수신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116)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116)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여기서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은 이제 단지 기저대역 빔성형된다.
하향 변환 모듈(76)은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18)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78)은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18)을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된 심볼들로 변환한다.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80)은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송신 처리 모듈(64)의 역 처리(inverse process)를 사용하여 인바운드 데이터(80)로 변환한다.
도 4는 제4 송신 및 수신 모드(예를 들면, 기저대역 및 RF 빔성형을 갖는 MIMO)에서 RF 송수신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 에서,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64)은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120)로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변환하고, 이는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66)은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120)의 스트림들을 제3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한다. 상향 변환 모듈(68)은 제3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3 상향 변환된 신호들(122)로 변환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제3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3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제3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124)을 생성하기 위해 제3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제3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124)을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한다.
RF 송수신기가 제4 수신 모드에 있을 때, RF 프론트 엔드(70)는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3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126)을수신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3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126)을 증폭한다. RF 프론트 엔드(70)는 그 후 제3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3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하향 변환 모듈(76)은 제3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3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26)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78)은 제3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128)을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한다.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80)은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을 인바운드 데이터(104)로 변환한다.
도 5는 인코딩 모듈(130), 펑쳐 모듈(puncture module)(132), 스위치, 복수의 인터리빙 모듈(134, 136), 복수의 컨스틸레이션 맵핑 모듈들(138-140), 공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인코딩 모듈(144), 빔성형 모듈(142), 복수의 역 고속 퓨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IFFT) 모듈들(146-148), 및 복수의 멀티플렉서들의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송신 처리 모듈(64)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 처리 모듈(64)은 생성될 송신 경로들의 숫자에 의존하여 각각의 인터리빙 모듈(134-136), 컨스틸레이션 맵핑 모듈들(138-140), 및 IFFT 모듈들(146-148) 중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인코딩 모듈(130), 펑쳐 모듈(132), 인터리빙 모듈들(134-136), 컨스틸레이션 맵핑 모듈들(138-140), 및 IFFT 모듈들(146-148)이 IEEE 802.11a, b, g, n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준수하여 기능할 수 있 음을 알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인코딩 모듈(13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준수하여 아웃바운드 데이터(82)를 인코딩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결합된다. 펑쳐 모듈(132)은 펑쳐링되고 인코딩된 데이터(punctured encoded data)를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펑쳐링한다. 복수의 인터리빙 모듈들(134-136)은 펑쳐링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복수의 인터리빙된 데이터의 스트림들로 인터리빙하도록 결합된다. 복수의 컨스틸레이션 맵핑 모듈들(138-140)은 복수의 인터리빙된 데이터의 스트림들을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맵핑하도록 결합되고, 여기서 데이터 심볼들의 스트림의 각 데이터 심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합성 신호(complex signal)를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의 스트림들은 이제 주파수 블록 인코딩된 공간 시간 및/또는 기저대역 빔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의 스트림들이 블록 인코딩되고 기저대역 빔성형된다면, 스트림들은 먼저 블록 인코딩되고 그 후 적절한 방식으로 멀티플렉서들을 게이팅(gating)함에 의해 빔성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약 스트림들이 단지 블록 인코딩된다면(예를 들어, RF 송수신기가 MIMO 모드에 있음), 멀티플렉서들은 인코딩 모듈(144)로 및 인코딩 모듈(144)로부터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만약 공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인코딩 모듈(144)이 사용된다면, 그것은 복수의 합성 신호들(예를 들면, 적어도 두 개의 합성 신호들)을 복수의 공 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인코딩된 신호들로 인코딩한다. 복수의 IFFT 모듈들(146-148)은 공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인코딩된 신호들을 복수의 아웃바운드 심볼 스트림들(86, 110, 및/또는 120)로 변환한다. 만약 단지 RF 빔성형이 사용된다면, 송신 처리 모듈을 통하여 단지 하나의 경로가 아웃바운드 심볼들(84)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인에이블(enable)된다.
도 6은 복수의 고속 퓨리에 변환(FFT) 모듈들(160 - 162), 공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디코딩 모듈(166), 역 빔성형 모듈(164), 멀티플렉서들, 복수의 컨스틸레이션 디맵핑 모듈(168-170), 복수의 디인터리빙 모듈들(172-174), 스위치, 디펑쳐 모듈(176), 및 복수의 인바운드 심볼 스트림들(102, 118, 또는 128)을 인바운드 데이터(104)로 변환하기 위한 디코딩 모듈(178)의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처리 모듈(8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처리 모듈(80)은 각각의 디인터리빙 모듈들(172-174), 컨스틸레이션 디맵핑 모듈들(168-170), 및 FFT 모듈들(160-162) 중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는, 디코딩 모듈9178), 디펑쳐 모듈(176), 디인터리빙 모듈들(172-174), 컨스틸레이션 디코딩 모듈들(168-170), 및 FFT 모듈들(160-162)이 IEEE 802.11a, b, g, n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준수하여 기능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FFT 모듈들(160-162)은 복수의 인바운드 심볼 스트림들(102, 118, 또는 128)을 복수의 공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 및/또는 빔성형되고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한다. 만약 심볼들이 블록 인코딩된다면, 공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디코딩 모듈(166)은 복수의 공간 시간 및/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디코딩한다. 만약 심볼들이 또한 빔성형된다면, 또는 다르게는, 단지 빔성형된다면, 역 빔성형 모듈(164)은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복수의 컨스틸레이션 디맵핑 모듈들(168-170)은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의 스트림들은 복수의 인터리빙된 데이터의 스트림들로 디맵핑한다. 복수의 디인터리빙 모듈들(172-174)은 복수의 인터리빙된 데이터의 스트리밍들을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한다. 디코딩 모듈(178)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인바운드 데이터(104)로 변환한다.
도 7은 송신 조정 모듈(180), 전력 증폭기 모듈(182), 안테나 커플링 회로(184), 저 잡음 증폭기 모듈(186), 및 수신 조정 모듈(188)을 포함하는 RF 프론트 엔드(7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RF 프론트 엔드(70)는 복수의 안테나들(72)에 결합된다. 복수의 안테나들(72)은 동일 또는 상이한 편파(polarization)를 갖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 할 수 있고/있거나 다이버시티 구조(diversity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조정 모듈(180)은, 도 8-13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으로, 다중 조정된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을 생성하기 위해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88)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전력 증폭기 모듈(18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증폭기들, 전치 증폭기들(pre-amplifiers), RF 대역통과 필터들, 및 이득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92)을 생성하기 위해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한다.
안테나 커플링 회로(184)는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한다. 안테나 커플링 회로(184)는 또한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저 잡음 증폭기 모듈(186)로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96)로 제공한다.
저 잡음 증폭기 모듈(18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96)을 증폭한다. 수신 조정 모듈(188)은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192)을 생성하기 위해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에 있 을 때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조정 모듈, 전력 증폭기 모듈, 안테나 커플링 회로, 저 잡음 증폭기 모듈, 및 수신 조정 모듈은 집적 회로의 공통 다이(common die)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RF 송신기가 제1 송신 모드(예를 들면, RF 빔성형)에 있을 때 송신 조정 모듈(180) 및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송신 조정 모듈(180)은 제1 및 제2 조정 모듈들(181 및 183)을 포함하고 전력 증폭기 모듈(182)은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조정 모듈(180)은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을 수신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은 정현 신호(sinusoidal signal) 또는 동상 성분 및 직교위상 성분을 갖는 합성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예를 위해,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은 코사인 파형이고, 코사인 파형은 진폭(amplitude)(예를 들면, 화살표의 길이) 및 90°의 위상 쉬프트의 좌표를 갖는 벡터로 도시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듯이, 아웃바운드 RF 신호(90)의 좌표들은 극 좌표(polar coordinates) 또는 직교 좌표(Cartesian coordinates)일 수 있다.
송신 조정 모듈(180)은 좌표 조정 팩터(coordinate adjust factor)(194)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조정 모듈들(181 및 183)을 통해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위상 및/또는 진폭을 조정한다. 좌표 조정 팩터(194)는 안테나들의 숫자, 안테나들의 편파, 및/또는 희망 전송 벡터(desired transmission vector)에 근거하여 결정 된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이 동일한 편파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두 개의 안테나들이 있다. 희망 전송 벡터는 대체로 60°의 각을 가지며, 따라서 좌표 조정 팩터(194)는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이 상향 변환된 신호(88)로부터 생성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제1 조정 모듈(181)은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0 위상 조정 및 0 진폭 조정으로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첫번째 신호를 생성한다. 그와 같이,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첫번째 신호는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복제(replica)이다.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두번째 신호를 -60°위상 조정 및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진폭 조정으로 생성한다. 그와 같이,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두번째 신호는 -60°위상 쉬프트 상향 변환된 신호들(88)로 상향 변환된 신호들(88)과 동일한 진폭을 갖는 벡터로서 보여진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X 조정 모듈(180)은 희망 빔성형된 신호 및 이용가능한 송신 회로에 의존하여 두 개의 RF 신호 성분들 이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증폭 모듈(182)의 전력 증폭기들은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을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을 증폭한다. 전력 증폭기는 상응하는 RF 신호 성분을 더 조정하기 위해 좌표 조정 팩터(194)에 따라 그들의 조정된 이득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전력 증폭기들의 이득들은 동일하고, 따라 서 서로 간에 대해,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의 진폭들이 동일하다.
안테나들(72)은 빔성형된 RF 신호(196)를 생성하기 위해 상응하는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190-1 및 190-2)을 송신한다. 빔성형된 RF 신호(196)의 빔성형은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190-1 및 190-2)의 벡터 합(vector summation)에 근거하여 공중에서(in air) 수행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빔성형된 RF 신호(196)는 RF 신호 성분들(190-1 및 190-2)의 벡터 합에 상응하는 진폭 및 위상을 갖는다. RF 신호 성분들(190-1 및 190-2)의 위상 및/또는 RF 신호 성분들(190-1 및 190-2)의 진폭들을 조정함에 의해, 빔성형된 RF 신호(196)는 희망 위상 쉬프트로 희망 진폭을 가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송신기에 관한 타겟된 수신기의 방향에 관계없이 빔성형된 RF 신호(196)는 수신기의 방향에서 송신된 최대 량의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9는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예를 들면, RF 빔성형)에 있을 때 송신 조정 모듈(180) 및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 조정 모듈(180)은 좌표 조정 팩터(194)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조정 모듈들(181 및 183)을 통해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위상 및/또는 진폭을 조정한다. 좌표 조정 팩터(194)는 안테나들의 갯수, 안테나들의 편파, 및/또는 희망 전송 벡터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희망 전송 벡터는 대체로 60°의 각을 가지며, 따라서 좌표 조정 팩터(194)는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이 상향 변환된 신호(88)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1 조정 모듈(181)은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첫번째 신호를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0 위상 조정 및 0 진폭 조정으로 생성한다. 그와 같이,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첫번째 신호는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복제(replica)이다.
제2 조정 모듈(183)은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두번째 신호를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의 +30°위상 조정 및 0 진폭 조정으로 생성한다. 그와 같이,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 중의 두번째 신호는 +30°위상 쉬프트 상향 변환된 신호들(88)을 갖는 상향 변환된 신호들(88)과 동일한 진폭을 갖는 벡터로서 보여진다.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전력 증폭기들은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을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190)을 증폭한다. 전력 증폭기들은 상응하는 RF 신호 성분을 더 조정하기 위해 좌표 조정 팩터(194)에 따라 조정된 그들의 이득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전력 증폭기들의 이득들은 동일하고, 따라서 서로 간에 대해,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의 진폭들은 동일하다.
안테나들(72)은 빔성형된 RF 신호(196)를 생성하기 위해 상응하는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190-1 및 190-2)을 송신한다. 빔성형된 RF 신호(196)의 빔성형은 증폭된 RF 신호 성분들(190-1 및 190-2)의 벡터 합에 근거하여 공중상(in air) 수행될 수 있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두번째 RF 신호 성분(190-2)이 다른 안테나에 대해 직교 편파(orthogonal polarization)를 갖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때, 두번째 RF신호 성분의 공중상(in air) 표현은 다른 안테나의 전송에 대해 90°회전(rotate)된다.
도 10은 송신 조정 모듈(180), 전력 증폭기 모듈(182), 안테나 커플링 회로(184), 저 잡음 증폭기 모듈(186), 및 수신 조정 모듈(188)을 포함하는 RF 프론트 엔드(70)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RF 프론트 엔드(70)는 복수의 안테나들(72)에 결합되고, 그 안테나들(72)은 이 예에서 네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며 각각은 상이한 편파를 갖는다.
송신 조정 모듈(180)은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90)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전력 증폭기 모듈(18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증폭기들, 전치 증폭기들, RF 대역폭 필터들, 및 이득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94)을 생성하기 위해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0을 증폭한다.
안테나 커플링 회로(184)는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복수의 안테나들(72)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한다. 안테 나 커플링 회로(184)는 또한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안테나들(72)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로부터 저 잡음 증폭기로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98)을 제공한다.
저 잡음 증폭기 모듈(18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98)을 증폭한다. 수신 좆어 모듈(188)은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192)을 생성하기 위해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조정 모듈, 전력 증폭기 모듈, 안테나 커플링 회로, 저 잡음 증폭기 모듈, 및 수신 조정 모듈은 집적 회로의 공통 다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RF 송수신기가 제2 모드(예를 들면, MIMO)에 있을 때 송신 조정 모듈(180) 및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안테나들(72)은 직교 편파들을 갖는다. 그와 같이, 희망 MIMO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신호들(90A 및 90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 예에서, 송신 조정 모듈(180)은 동일한 진폭 및 위상일 수 있지만 공간 시간 또는 주파수 시간에서 분리되는 두 개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90A 및 90B)을 수신한다. 제1 조정 모듈(181)은 좌표 조정 팩터(204)에 따라 제1 상향 변환된 신호(90A)의 위상 및/또는 진폭을 조정하지 않는다. 제2 조정 모듈(183)은 좌표 조정 팩터(204)에 따라 제2 상향 변환된 신호(90B)의 +90°로 위상을 조정한다.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1 및 200-2)은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전력 증폭기들에 의해 증폭되고 안테나들(72)로 제공된다.
안테나들(72)은 MIMO RF 전송을 생성하기 위해 증폭되고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1 및 200-2)을 송신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증폭되고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2)은 다른 안테나들에 대해 직교 편파를 갖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양 안테나들의 전송 방향이 유사하도록 제2 RF 신호 성분의 공중상 표현은 다른 안테나의 전송에 대해 90°로 회전된다.
도 12는 RF 송수신기가 제1 및 제2 모드(예를 들면, RF 빔성형 및 MIMO)에 있을 때 송신 조정 모듈(180) 및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안테나들(72)은 직교 편파들을 갖는다. 그와 같이, 희망 RF 빔성형 및 MIMO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신호들(90A 및 90B)의 하나 또는 양자는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 예에서, 송신 조정 모듈(180)은 동일한 진폭 및 위상일 수 있지만 공간 시간 또는 주파수 시간에서 분리된 두 개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90A 및 90B)를 수 신한다. 제1 조정 모듈(181)은 좌표 조정 팩터(204)에 따라 제1 상향 변환된 신호(90A)의 위상을 -30°로 조정한다. 제2 조정 모듈(183)은 좌표 조정 팩터(204)에 따라 제2 상향 변환된 신호(90B)를 +60°로 조정한다.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1 및 200-2)은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전력 증폭기들에 의해 증폭되고 안테나들(72)로 제공된다.
안테나들(72)은 RF 빔성형 및 MIMO 전송을 생성하기 위해 증폭되고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1 및 200-2)를 송신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증폭되고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2)은 다른 안테나들에 대해 직교 편파를 갖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제2 RF 신호 성분의 공중상 표현은 양 안테나들의 전송 방향이 유사하도록(예를 들면 탑(top) 안테나들에 대해 -30°) 다른 안테나의 전송에 대해 90°로 회전된다.
도 13은 RF 송수신기가 제1 및 제3 모드(예를 들면, RF 빔성형 및 기저대역 빔성형)에 있을 때 송신 조정 모듈(180) 및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안테나들(72)은 직교 편파들을 갖는다. 그와 같이, 희망 빔성형된 RF 및 기저대역 빔성형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신호들(112A 및 112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 예에서, 송신 조정 모듈(180)은 동일 진폭일 수 있지만 상이한 위상(예를 들면, 각각 -30°및 -60°)인 두 개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112A 및 112B)을 수신한다. 제1 조정 모듈(181)은 좌표 조정 팩터(204)에 따라 제1 상향 변환된 신호(112A)의 위상을 조정하지 않는다. 제2 조정 모듈(183)은 좌표 조정 팩터(204)에 따라 +90°로 제2 상향 변환된 신호(112B)의 위상을 조정한다.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00-1 및 200-2)은 전력 증폭기 모듈(182)의 전력 증폭기들에 의해 증폭되고 안테나들(72)로 제공된다.
안테나들(72)은 빔성형된 RF 및 기저대역 전송을 생성하기 위해 증폭되고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10-1 및 210-2)을 송신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증폭되고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210-2)은 다른 안테나에 대해 직교 편파를 갖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제2 RF 신호 성분의 공중상 표현은 양 안테나들의 전송 방향이 희망 기저대역 빔성형 방향들과 유사하도록 다른 안테나의 전송에 대해 90°로 회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또는 "대체로(approximately)"와 같은 용어들은, 명세서 내의 관련된 항목에 대해 업계에서 용인되는 정도의 허용오차(tolerance) 및/또는 항목들 사이의 관련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업계에서 용인되는 정도의 허용오차란 1 퍼센트보다 작은 정도에서 50 퍼센트에 이를 수 있고, 구성성분 수치들, 집적 회로 공정 변화량, 온도 변화량, 상승 또는 하강 시간, 열잡음 등에 상응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러한 항목들 간의 상대적 관계는 몇 퍼센트의 차이 정도에서 몇 배 수준의 차이(magnitude differences)에 이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된(coupled to)" 또는 "결합하는(coupling)"과 같은 용어(들)는, 항목들(tems) 사이의 직접 결합과, 중간 개재 개체(intervening item)(구성 성분(component), 요소(element), 회로 또는 모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를 통해 개체들 사이를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간접적 결합의 경우에, 중간 개재 개체는 어떤 신호가 갖는 정보를 변경하지는 않지만, 그 신호의 전류 레벨, 전압 레벨, 또는 전력 레벨 등을 조절할 수는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론적 결합(inferred coupling, 즉 어떤 요소가 추론(inference)에 의해 다른 요소에 결합되는 경우)도 "결합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 요소들 사이를 직접적으로 및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할 수 있는(operable to)"이라는 표현은, 어떤 개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관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연결, 입력(들), 출력(들) 등을 포함하며, 추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개체들과 추론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더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과 관련된(associated with)"이라는 표현은, 분리된 개체들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결합 관계와, 한 개체가 다른 개체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관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한 것으로 비교되다(compares favorably)"는 표현은, 바람직한 상호 관계를, 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들, 개체들, 신호들 등 사이의 비교가 제공함을 뜻한다. 예를 들어, 신호 1이 신호 2에 비해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이 원하는 상호 관계이라면, 신호 1의 크기가 신호 2의 크기보다 크다고 할 경우나, 신호 2의 크기가 신호 1의 크기보다 작다고 할 경우에 유리한 비교가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된 기능들의 수행 및 이들 사이의 관계들을 예시한 방법 단계들을 이용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인 빌딩 블록들 및 방법 단계들의 바운더리들 및 시퀀스들(boundaries and sequences)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특정 기능들 및 이들 사이의 관계들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한, 그와 다른 바운더리들 및 시퀀스들도 정의될 수 있다. 그러한 어떠한 다른 바운더리들 또는 시퀀스들도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영역 및 사상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몇몇 중요 기능들의 수행을 예시한 기능적인 빌딩 블록들을 이용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다. 이러한 빌딩 블록들의 바운더리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적으로 정의되었다. 상기 중요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이와 다른 바운더리들도 정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플로우 다이어그램의 블록들도 역시 중요한 기능성(functionality)을 예시하기 위해 정의되었다. 순서도 블록의 바운더리들 및 시퀀스들은 다른 식으로 정의되었어도 여전히 그러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적인 빌딩 블록들과 플로우 다이어그램 블록들 및 시퀀스들의 다른 형태의 정의는 따라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영역 및 사상 내에 포 함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또한 이러한 기능적 빌딩 블록들 및 본 명세서에 있는 그 밖의 예시적인 블록들, 모듈 및 구성품은, 예시된 대로 구현되거나, 또는 개별 부품(discrete components),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 circuits, ASIC),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등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송수신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처리 모듈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처리 모듈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F 프론트 엔드(front-end)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조정 모듈 및 전력 증폭기 모듈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조정 모듈 및 전력 증폭기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RF 프론트 엔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조정 모듈 및 전력 증폭기 모듈의 다른 실시예 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조정 모듈 및 전력 증폭기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조정 모듈 및 전력 증폭기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10)

  1.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RF) 송수신기에서: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transmit baseband 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RF 송수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데이터(outbound data)를 아웃바운드 심볼들(outbound symbols)의 스트림(stream)으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block encoded streams of outbound symblos)로 변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digital to analog conversion module);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향 변환 모듈(up-conversion module);
    RF 프론트 엔드(front-end)를 포함하되, 상기 RF 프론트 엔드는: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송신 조정 모듈(transmit adjust module);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전력 증폭기 모듈(power amplifier module);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some)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로부터 저 잡음 증폭기 모듈(low noise amplifier module)로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 기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커플링 회로(antenna coupling circuit);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 및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복수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수신 조정 모듈(receive adjust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하향 변환 모듈(down-conversion module);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 들을 복수의 인바운드 블록 인코딩된 신호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analog to digital conversion module); 및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receive baseband 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인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상기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 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는: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some)에 제공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잡음 증폭기 모듈로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 록 결합된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조정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하향 변환 모듈;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 및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상기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화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 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는: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조정 모듈;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하향 변환 모듈;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인바운드 신호들을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 및
    상기 RF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상기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수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phase angle adjust value)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및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a second)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유사한 편파(polariza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5. 무선 주파수(RF) 프론트 엔드(front-end)에 있어서: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송신 모드시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송신 모드시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송신 조정 모듈;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신 모드시 상기 다중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전력 증폭기 모듈;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는:
    상기 제1 송신 모드시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송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제1 수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제2 수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다른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저 잡음 증폭기 모듈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수신 모드시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중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시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 합된 저 잡음 증폭기 모듈; 및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신 모드시 상기 다중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수신 모드시 상기 복수의 증폭된 인바운드 RF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수신 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프론트 엔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및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a second)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되는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편파(polariza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프론트 엔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 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처음의 하나(a first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1 조정 모듈;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 중의 다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위상 각 조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 중의 다음의 하나(a second one)의 위상 각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제2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편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프론트 엔드.
  8.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에 있어서: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상기 RF 송신기가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상기 RF 송신기가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복수의 아날로 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향 변환 모듈;
    RF 프론트 엔드를 포함하되, 상기 RF 프론트 엔드는: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고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송신 조정 모듈;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있을 때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다중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 2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RF 송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및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RF 송신기가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기저대역 처리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빔성형되고 블록 인코딩된 아웃바운드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모듈;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결합된 상기 상향 변환 모듈;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의 좌표들을 조정하도록 결합된 상기 송신 조정 모듈;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조정되고 상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결합된 상기 전력 증폭기 모듈; 및
    상기 RF 송신기가 상기 제3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복수의 아웃바운드 RF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커플링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
KR1020070096971A 2006-09-27 2007-09-21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KR100931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27,961 US7619997B2 (en) 2006-09-27 2006-09-27 Beamforming and/or MIMO RF front-end and applications thereof
US11/527,961 200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815A true KR20080028815A (ko) 2008-04-01
KR100931906B1 KR100931906B1 (ko) 2009-12-15

Family

ID=3894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971A KR100931906B1 (ko) 2006-09-27 2007-09-21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7619997B2 (ko)
EP (1) EP1906551B1 (ko)
KR (1) KR100931906B1 (ko)
CN (1) CN101159465A (ko)
TW (1) TWI3847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112B1 (ko) 2019-01-22 2020-06-29 알에프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기지국용 및 네트워크 장비용 프런트 엔드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1797B1 (en) * 2006-09-18 2010-03-02 Nvidia Corporation Coordinate-bas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djusting an antenna
US7619997B2 (en) * 2006-09-27 2009-11-17 Broadcom Corporation Beamforming and/or MIMO RF front-end and applications thereof
US7945216B2 (en) * 2006-12-20 2011-05-17 Broadcom Corporation Single chip wireless transceiver operable to perform voice, data and radio frequency (RF) processing
KR100932064B1 (ko) * 2007-09-04 2009-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태그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144287A1 (en) * 2008-12-04 2010-06-10 Horen Ch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external processors and memories
KR101584993B1 (ko) * 2009-09-09 2016-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송/수신 페어들의 송/수신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053659B (zh) * 2009-11-06 2013-05-22 宏碁股份有限公司 用以传输视讯的无线传输接口及其电源控制方法
US8472437B2 (en) * 2010-02-15 2013-06-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hip-to-chip switching
EP3965324A3 (en) * 2010-12-10 2022-03-23 Sun Patent Trust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signal generation device
US9179405B2 (en) * 2011-06-24 2015-1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JP5578637B2 (ja) * 2011-06-24 2014-08-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2625089B (zh) * 2012-04-05 2014-11-19 安徽华东光电技术研究所 基于超宽带技术的视频无线传输系统
CN102664649B (zh) * 2012-04-13 2014-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射频前端模块、无线接入网络设备及其控制方法
US9167621B2 (en) * 2012-07-09 2015-10-20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phase/angle transform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008222B2 (en) * 2012-08-14 2015-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user and single user MIMO for communication systems using hybrid beam forming
EP2888825B1 (en) * 2012-08-21 2015-1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forming
US20140210666A1 (en) * 2013-01-25 2014-07-31 Alexander Maltsev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via an antenna array
CN105393468B (zh) * 2013-08-29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方法和节点
CN105637778B (zh) * 2014-07-11 2019-02-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9747479B2 (en) * 2014-08-07 2017-08-29 Dirac Solutions, Inc. Smart passive RFID reader with adaptive beamforming capability
US9596040B2 (en) 2015-02-19 2017-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l oscillator phase synchronization for beamforming and MIMO
TWI667842B (zh) * 2016-04-15 2019-08-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天線系統及控制方法
US10270510B1 (en) 2018-03-19 2019-04-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Digital beamforming transmitter array system with hardware sharing and reduction
DE112018008031T5 (de) * 2018-09-28 2021-06-10 Intel Corporation Kommunikations-abtastverfahren und -system
US10749566B2 (en) * 2018-11-13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adjustable radio-frequency (RF) front-en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8054B1 (fr) * 2000-12-08 2006-08-11 St Microelectronics Sa Tete d'emission-reception
US20040204103A1 (en) * 2002-03-18 2004-10-14 Rouphael Antoine J. Adaptiv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19390B2 (en) * 2004-03-10 2009-04-14 Spreadtrum Communications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architecture for multi-mode wireless device
EP1643661B1 (en) 2004-09-07 2008-05-28 Samsung Electronics Co.,Ltd. MIMO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of transmission scheme
US8179834B2 (en) 2004-11-19 2012-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downlink wireless transmission between beamforming and transmit diversity on a per mobile station basis
US7512388B2 (en) * 2005-09-22 2009-03-31 Skyworks Solutions, Inc. Multiband or multimode front end antenna switch
US7714780B2 (en) * 2006-03-10 2010-05-11 Broadcom Corporation Beamforming RF circuit and applications thereof
US7619997B2 (en) * 2006-09-27 2009-11-17 Broadcom Corporation Beamforming and/or MIMO RF front-end and application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112B1 (ko) 2019-01-22 2020-06-29 알에프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기지국용 및 네트워크 장비용 프런트 엔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5021A1 (en) 2008-03-27
US9154199B2 (en) 2015-10-06
US7986650B2 (en) 2011-07-26
TW200832975A (en) 2008-08-01
EP1906551B1 (en) 2017-03-22
US7619997B2 (en) 2009-11-17
EP1906551A3 (en) 2009-07-29
KR100931906B1 (ko) 2009-12-15
US20110280341A1 (en) 2011-11-17
CN101159465A (zh) 2008-04-09
EP1906551A2 (en) 2008-04-02
TWI384781B (zh) 2013-02-01
US20090325515A1 (en) 2009-12-31
US8526345B2 (en) 2013-09-03
US20130322565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906B1 (ko) 빔성형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rf 프론트 엔드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US82598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OFDM based MIMO system with enhanced diversity
US7693551B2 (en) Derivation of beamforming coefficient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855798B (zh) 具有自适应调制的射频收发器
US8416862B2 (en) Efficient feedback of channel information in a closed loop beam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20532B2 (en) Beamforming RF circuit and applications thereof
EP1742381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transmitter and radio receiver using plurality of antennas
CA2581218C (en) Blind signal separation using signal path selection
US9356673B2 (en)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beamforming handshaking
US8774327B2 (en) Adjustable RF receiver
US7738583B2 (en) Reduced feedback for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S80991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tenna architecture for multi-antenna OFD based systems
US7593475B2 (en) Space-time and/or space-frequency block coding using complex signal swapping
US8798565B2 (en) Receiver with hybrid reception estim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7738584B2 (en)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artial estimation to reduce overhead
KR20240008845A (ko) mmWAVE 트랜시버 아키텍처용 디지털 전처리 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