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718A -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718A
KR20080028718A KR1020060094400A KR20060094400A KR20080028718A KR 20080028718 A KR20080028718 A KR 20080028718A KR 1020060094400 A KR1020060094400 A KR 1020060094400A KR 20060094400 A KR20060094400 A KR 20060094400A KR 20080028718 A KR20080028718 A KR 2008002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toner composition
toner
reaction vessel
continuous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
김상덕
연경열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8718A/ko
Priority to US11/684,059 priority patent/US20080076056A1/en
Priority to EP07108842A priority patent/EP1906261A3/en
Priority to CNA2007101373589A priority patent/CN101154059A/zh
Publication of KR200800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02Preparation methods
    • G03G9/0812Pretreatment of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02Preparation methods
    • G03G9/081Preparation methods by mixing the toner components in a liquefied state; melt kneading; reactive m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6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86Graft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88Block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33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토너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토너조성물의 물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제어가 용이하고,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며, 저온정착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토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반응용기를 이용한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은 연속식 반응용기에 제1단량체, 제2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 및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락탐계 단량체, 락톤계 단량체, 폴리티오펜

Description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toner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조성물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연속식 반응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연속식 반응용기 10 제1유입구
11 제2유입구 20 반응부
30 배출부
본 발명은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토너조성물의 물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제어가 용이하고,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며, 저온정착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토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하는데 있다.
토너는 화상형성장치에서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록제 분말을 의미한다. 토너는 흑백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흑색 토너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색채를 갖는 토너가 있다.
토너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토너 제조법들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 사용되는 토너 제조방법은 개략적으로 먼저 결합제 수지, 착색제, 왁스 등을 혼합하고 혼련하거나 또는 압출하는 단계를 한다. 혼련 또는 압출된 토너조성물은 미분 또는 분쇄되고, 입자크기를 분류하기 위한 분급단계가 수행된다. 그 후에는 토너 입자의 유동성, 및 대전안정성 부여 등을 위한 외첨제를 첨가하여 토너입자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토너 제조방법은 크게 분쇄토너와 중합토너로 분류될 수 있다.
분쇄토너의 경우에는 결합제 수지가 고분자 형태의 중합체로서 사용된다. 분쇄토너에서는 먼저, 고분자 형태의 결합제 수지,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 등을 준비된 혼합기에서 예비혼합한다. 예비혼합된 혼합물을 압출기(extruder)를 이용하여 혼합 및 용융하여 토너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생산한다. 이후 분급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입자크기를 분류한 후, 전사성 및 필르밍 개선, 내구성을 위하여 대실리카, 유동성 부여를 통한 공급성 향상, 대전량 증대를 위하여 소실리카, 환경특성 개선 및 대전특성 안정화를 위하여 금속산화물, 대전특성 향상을 위해 외첨제 첨가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토너조성물을 제조한다.
반면, 중합토너의 경우, 결합제 수지가 고분자 형태의 중합체가 아닌 단량체 형태로 투입되어 중합과 함께 내첨공정이 수행되는 특징이 있다. 중합토너제조방식의 경우 현탁중합과 유화-응집중합 제조방식이 있다. 현탁중합의 경우, 단량체, 착 색제, 및 이형제를 물을 용매로 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분산시키고, 적정온도를 가하여 중합시킨다. 또한 내첨제인 착색제, 이형체 등이 입자 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안정제(stabilizer)를 첨가한다. 이후 잔류 단량체 등을 제거하고 이 후 외첨공정은 분쇄토너 공정에서 실시한 것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유화-중합의 경우, 고분자 라텍스,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 등을 유화하고, 온도 조절을 통하여 입자 크기를 조정하며, 안정화하여 가열을 통하여 응집한다. 이후 외첨공정은 분쇄토너 공정에서 실시한 것과 동일하다.
전술한 분쇄토너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두가지 이상의 종류인 수지의 블렌드 형태(binary blend) 또는 호모폴리머(homopolymer)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토너조성물을 사용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호모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자사진 현상방식에서 요구되는 내구성과 정착성을 부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내구성과 정착성의 문제는 트레이트오프(trade off) 관계의 경향을 나타내게 되므로, 단순히 호모폴리머 한 종류로 토너조성물의 물성을 제어하는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두 가지 형태의 호모폴리머를 블렌딩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 또한, 단순한 블렌드 형태의 조성으로서 그 상용성면에서의 문제를 극복하여야 한다.
한편, 중합토너의 경우, 이러한 분쇄토너방식의 문제점은 극복되나, 중합 공정시 사용되는 용매 또는 계면활성제 사용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잔여물질 제거 및 불연속공정에서 오는 단점 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토너제조방법의 단점을 개선하면서 장점은 더욱 향상시 키는 토너제조방법이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청에 부응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토너조성물의 물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제어가 용이하고,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며, 저온정착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토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반응용기를 이용한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은, 연속식 반응용기에 제1단량체, 제2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 및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는 연속식 반응용기에 순차적으로 투입되고, 중합되어, 랜덤 공중합체, 블럭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중합체가 된다.
바람직하게, 제1단량체는 락탐계 단량체 또는 락톤계 단량체이고, 제2단량체는 락톤계 단량체 또는 락탐계 단량체이다.
바람직하게, 락탐계 단량체는 ω-라우릴락탐, ε-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락톤계 단량체는 ε-카프로락톤, 부티로락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 중합 개시제는 음이온계 중합 개시제이고, 특히, 수산화나트륨이다. 또한, 대전제어제는 전도성 고분자이고, 특히 폴리티오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연속식 반응용기는 유입구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이고, 토너조성물은 연속식 반응용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되어 압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반응용기를 이용한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은, 연속식 반응용기에 제1단량체, 제2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 및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속식 반응용기는 반응 후에 생성된 생성물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연속적으로 반응을 진행할 수 있고 생성물은 반응용기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는 배출구를 통하여 압출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조성물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연속식 반응용기(1)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연속식 반응용기(1)는 제1유입구(10), 제2유입구(11), 반응부(20) 및 배출부(30)를 포함한다.
제1유입구(10) 및 제2유입구(11)에는 원료물질인 제1단량체, 제2단량체, 중합 개시제,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유입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입구(10)에는 제1단량체가, 제2유입구(11)에는 제2단량체가 유입된다. 만약, 제1유입구(10)에 제2단량체가 유입된 경우에는, 제2유입구(11)에 제1단량체가 유입된다. 즉, 각 유입구에는 각각 다른 단량체가 유입될 수 있다.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는 연속식 반응용기(1)에 순차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단량체들은 반응부(20)에서 중합되어 배출부(30)로 반응 압출(reactive extrusion)된다.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가 동시에 투입되는 경우보다 순차적으로 투입되면 중합반응의 시기 조절이 보다 용이하고, 각 단량체의 반응속도를 고려하여 단량체별로 투입시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중합에 유리하도록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단량체의 투입시기 등을 조절하여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는 랜덤 공중합체, 블럭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중합될 수 있다.
랜덤 공중합체는 각 단량체가 임의로 중합체 내에 위치하는 공중합체이고, 블럭 공중합체는 각 단량체가 일정 비율로 반복되는 공중합체이고,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하나의 단량체가 중합되고 그 중합사슬에 다른 단량체가 중합되어 가지형태로 존재하는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가 하나의 유입구에 동시에 유입되면, 중합체 내의 랜덤공중합체의 비율이 높아지고, 순차적으로 혹은 별도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경우, 중합체 내의 블럭공중합체의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각 단량체를 중합하여 중합체를 단순히 블렌딩한 경우에 각각 단량체의 물성보다 저하된 물성을 갖는 것에 비해 랜덤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경우, 각각 단량체의 물성이 혼성되어 다른 물성을 갖게 되고, 블럭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각각의 단량체가 블럭 단위로 중합되므로 각 단량체의 물성을 각각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블럭 공중합체가 생성되면 단량체의 장점을 모두 유지하면서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어서, 다른 형태의 공중합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에 따라 각각의 단량체는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로는 토너의 결합제 수지로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는 어떤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단량체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스티렌, 디비닐 벤젠, n-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산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량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폴리에스테르 및 스티렌-아크릴계 단량체의 경우, 중합시 사용되는 촉매(주석 계열이나, 중금속 예를 들면, 코발트, 니켈, 크롬(VI))의 문제나, 미반응 단량체에 기인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 등 환경유해성 물질 검출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단량체가 락탐계 단량체 또는 락톤계 단량체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탐계 단량체가 ω-라우릴락탐, ε-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락톤계 단량체는 ε-카프로락톤, 부티로락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다.
락톤계 단량체 중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은 결정성 고분자로서 지방족 에스테르 단량체로서 고리구조를 갖는데, 이 단량체 화합물은 인간이 섭취가능할 정도의 환경 친화적 물질이고, 생분해성(biodegradable)이며, 토너입자의 정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락탐계 단량체 중 예를 들어 ω-라우릴락탐은 지방족 아미드 고리 구조로서, 같은 아미드계 화합물 중에서 수분에 가장 덜 민감하고 반응성이 좋기 때문에 토너의 내구성 향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의 중합을 위하여 중합 개시제가 함께 유입된다.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의 중합반응을 개시하기 위한 첨가제이다. 중합 개시제로는 음이온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다.
중합 개시제 이외에 공촉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공촉매는 촉매의 활성을 높이거나 촉매에 의해 일어나는 반응을 규제 또는 변화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N-아세틸카프로락탐을 공촉매로서 사용한다.
연속식 반응용기(1)에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를 중합 개시제와 함께 유입시켜 중합반응을 진행시키면서 이외에 토너입자에 내첨되는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투입한다.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는 제1유입구(10) 및 제2유입구(11) 중 어느 유입구에도 첨가될 수 있으나, 제1단량체의 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제2유입구(11)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형제는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로 전사되어 정착될 때 롤러와 토너 사이의 이형성을 향상시켜서 토너 오프셋(toner offset)을 방지하고, 토너로 인하여 기록 매체가 롤러에 들러 붙어서 기록 매체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첨가제이다.
이형제로 흔히 사용되는 것은 저분자량 폴리올레핀류, 가열에 의해 연화점을 갖는 실리콘류, 지방산 아미드류 및 왁스 등이 있으며, 상업적으로 왁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토너 조성물의 이형제로 사용할 수 있는 왁스는 예를 들면,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를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왁스 및 비즈왁스, 쉘락 왁스, 및 슈페르마세티 왁스를 포함하는 동물성 왁스를 포함하는 천연 왁스; 몬탄왁스, 오조케라이트 왁스, 세레신 왁스를 포함하는 미네랄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크릴레이트 왁스, 지방산 아미드 왁스, 실리콘 왁스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는 합성 왁스; 등이 있다. 상술한 왁스 중에서 선택하여 단일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는 토너 입자의 색을 구현하는 물질로서 염료계 착색제와 안료계 착색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착색제는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착색제에 사용될 수 있다. 열안정성 및 내광성의 관점에서 우수성을 보이는 안료계 착색제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토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안료계 착색제로는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염기성 염료계 안료, 퀴나트리돈계 안료, 디옥사신계 안료 및 축합 아조계 안료, 크롬산염, 페로시안화물, 산화물, 황화물 셀렌화물, 황산염, 규산염, 탄산염, 인산염, 금속 분말, 및 카본 블랙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전 제어제는 토너 입자에 대전되는 전하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물질로서 전하 조절제, 대전 조절제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며, 토너 입자의 전하가 양(+)인지 음(-)인지에 따라서 첨가되는 대전 제어제의 종류도 달라진다.
음극성의 대전 제어제로는 크롬을 함유하는 아조계 염료, 크롬, 철, 아연과 같은 금속을 함유하는 살리실산 화합물 등이 있다. 양극성의 대전 제어제로는 니그로신, 4급 암모늄염, 트리페닐메탄 유도체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전제어제로서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로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및 폴리티오펜을 들 수 있다. 특히, 대전제어성능이 우수하한 액상의 폴리티오펜을 사용하여 균일한 대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외에도 비록, 본 도면에서는 유입구가 복수개인 연속식 반응용기가 나타나 있으나, 단일의 유입구를 구비한 연속식 반응용기를 이용하여도 본 발명의 토너조성물 제조방법이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연속식 반응용기를 이용하여 토너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2에서는 단량체의 함량비를 달리하여 토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와 같이 토너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된 제조방법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히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1
제1단량체로서 6.340 몰의 ω-라우릴락탐, 0.1250몰의 수산화나트륨, 및 0.097 몰의 N-아세틸카프로락탐을 불활성 기체인 아르곤가스 주입하에서, 건조박스내에서 혼합하였다 . 이후, 고체타입주입기(solid type feeder)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1.3kg/hr 주입 속도로 제1유입구에 투입한다.
제2단량체로서, 2.09 몰의 ε-카프로락톤과, 두 단량체 총중량을 기초로 하여 이형제로서, 카나우바 왁스를 2중량%, 착색제로서 카본 블랙을 3중량%, 대전제어제로서, 액상폴리티오펜을 1중량%와 함께 제2유입구에 투입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액상 폴리티오펜은 고체 함량이 1.2∼2.2%, 점도는 10∼30 mPa.s이고, pH값은 3내지 8, 밀도는 0.900 내지 0.926 g/cm3였다. ε-카프로락톤 및 이형제, 착색제와 대전제어제는 약 100℃에서 예열한 후 액체 주입기(liquid-feeder)를 이용하여 투입하였다.
연속식 반응용기로는 이중 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하였고, 배럴의 온도는 195℃, 스크류의 속도는 150rpm,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의 유입속도는 각각 1.3kg/hr, 1.5kg/hr이었다.
전술한 조건에서 압출기 내의 평균 잔류 시간(mean residence time)은 약 400초였다. 반탐-밀(Bantam-mill) 분쇄기를 이용하여 약 1-2mm 정도로 중분쇄하고, 수퍼-로터(Super-rotor)를 이용하여 약 15μm 정도로 하여 미분쇄를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원심력으로 5μm이하의 미분을 분급시켜 약 8.0±0.5μm의 입자크기를 얻을 수 있었다.
이후, 외첨공정으로 조립질 SiO2 1.0∼1.6%, 미분말 SiO2 0.8∼1.3%, 산화금속(TiO2, Al2O3 등) 0.1∼0.3%, 폴리머 비드(멜라민 계열, PMMA계열) 0.1∼0.3%을 첨가하여 3500∼3800rpm으로 7∼10분간 헨셀(Henschel mixer)를 이용하여 진행한 후, 체로 거른다.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열분석한 결과, 기존의 비정질 고분자가 아닌 결정형 녹는점이 60℃, 80℃, 170℃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는 각각 ε-카프로락톤, 카나우바 왁슨, ω-라우릴락탐이 모두 결정성 물질인 것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비정질 고분자 결합제 수지로 사용하는 경우는 녹는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순간 정착시 매우 넓은 범위의 정착특성이 관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락탐-락톤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경우 정착시 매우 좁은 범위의 정착 특성이 구현될 수 있으며, 고속화상형성장치와 같은 정착시간이 매우 짧게 요구되는 엔진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토너조성물의 사용이 매우 유리하다.
실시예 2
제2유입구에 ε-카프로락톤을 6.01몰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토너조성물의 특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1) 정착성 및 내구성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 따라 제조된 잉크조성물을 내열성 유리병에 100ml씩 담은 다음 입구를 밀봉하고 60℃ 항온조에 저장하였다. 이를 2개월동안 방치한 후 바닥의 침전유무를 확인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정착성 테스트는 솔리드화상을 테이핑(taping) 방식으로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수명테스트(내구성)는 H/H환경(32℃/80%)에서 솔리드화상의 화상빠짐 현상을 기준으로 하며 16PPM급 화상형성장치 내에서 평가하였다. (2% 커버리지 검정화상을 기준, 3.0K 수명 카트리지 사용)
평가결과는 이하의 표1에 나타나 있다.
정착성 내구성
실시예 1 90 % 우수
실시예 2 95 % 우수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식 반응용기를 이용하여 토너조성물을 제조하면서, 락톤계 및 락탐계 단량체를 사용하면서, 대전제어제로서 액상 폴리티오펜을 사용한 결과 정착성 및 내구성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단량체인 ε-카프로락톤의 함량을 증가시킨 결과, 정착성이 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토너조성물의 물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제어가 용이하고,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여 토너조성물 제조공정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정착성과 내구성을 개선하면서, 대전제어성능이 뛰어난 원료물질을 사용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면서 우수한 성능의 토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연속식 반응용기를 이용한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반응용기에 제1단량체, 제2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상기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 및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상기 제1단량체 및 제2단량체의 중합체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 및 상기 제2단량체는 상기 연속식 반응용기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 및 상기 제2단량체는 랜덤 공중합체, 블럭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는 락탐계 단량체이고, 상기 제2단량체는 락톤계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는 락톤계 단량체이고, 상기 제2단량체는 락탐계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탐계 단량체는 ω-라우릴락탐, ε-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계 단량체는 ε-카프로락톤, 부티로락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음이온계 중합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제어제는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제어제는 폴리티오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반응용기는 유입구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조성물은 상기 연속식 반응용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되어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60094400A 2006-09-27 2006-09-27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KR20080028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400A KR20080028718A (ko) 2006-09-27 2006-09-27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US11/684,059 US20080076056A1 (en) 2006-09-27 2007-03-09 Method to prepare toner composition
EP07108842A EP1906261A3 (en) 2006-09-27 2007-05-24 Method to prepare toner composition
CNA2007101373589A CN101154059A (zh) 2006-09-27 2007-07-20 制备调色剂组合物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400A KR20080028718A (ko) 2006-09-27 2006-09-27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718A true KR20080028718A (ko) 2008-04-01

Family

ID=3894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400A KR20080028718A (ko) 2006-09-27 2006-09-27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76056A1 (ko)
EP (1) EP1906261A3 (ko)
KR (1) KR20080028718A (ko)
CN (1) CN101154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2747B2 (en) 2012-02-21 2014-02-18 Xerox Corporation Continuous production of fine toner
JP6658567B2 (ja) * 2017-01-24 2020-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7385A (en) * 1970-10-12 1972-04-18 Union Carbide Corp Lactam block copolymers
US4104066A (en) * 1976-03-01 1978-08-01 Xerox Corporation Cold pressure fix toners from polycaprolactone
US4625001A (en) * 1984-09-25 1986-11-25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cross-linked polymer
US5414052A (en) * 1993-05-21 1995-05-09 Xerox Corporation Processes for preparing toner
US6503678B1 (en) * 2000-11-28 2003-01-07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comprising polythiophenes
JP2004252146A (ja) * 2002-05-27 2004-09-09 Tokyo Ohka Kogyo Co Ltd ネガ型レジスト組成物
US20060128906A1 (en) * 2004-12-13 2006-06-15 Akzo Nobel N.V. Process for preparing a polyester resin
US7459258B2 (en) * 2005-06-17 2008-12-02 Xerox Corporation Toner processes
US7507517B2 (en) * 2005-10-11 2009-03-24 Xerox Corporation Toner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6261A3 (en) 2009-09-02
EP1906261A2 (en) 2008-04-02
CN101154059A (zh) 2008-04-02
US20080076056A1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0756A (en) High gloss, low melt crosslinked resins and toners
US5601960A (en) Processes for low melt crosslinked toner resins and toner
EP0550989B1 (en) Reactive melt mixing process for preparing cross-linked toner resin
US5656408A (en) Coated carrier particles
US6359105B1 (en) Cross-linked polyester toners and process of making such toners
EP0590314B1 (en) Low gloss, low melt cross-linked toner resins
US5556732A (en) Processes for preparing toners with selectable gloss
KR100483770B1 (ko) 정전 잠상 현상용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
US5536613A (en) Processes for preparing toner
KR0126661B1 (ko) 전자 사진용 토너 및 이의 제조방법
US5414052A (en) Processes for preparing toner
KR920002751B1 (ko) 전자 사진용 토우너의 조성물
US5393630A (en) Melt mixing processes
JPH05297630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KR20080028718A (ko) 토너 조성물 제조방법
JP2014132324A (ja) 液体現像剤
US5571655A (en) Toner reactive melt mixing process
US5397671A (en) Processes for preparing crosslinked resins and toner compositions therefrom
US5688625A (en) Toner compositions with dispersed wax
KR950003307B1 (ko) 전자 사진용 토너
JP3705011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法
US5853942A (en) Tuner processes
JP2746433B2 (ja) カラートナー
JPS6394251A (ja) トナ−
CN110456619B (zh) 一种调色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