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651A -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651A
KR20080028651A KR1020060094214A KR20060094214A KR20080028651A KR 20080028651 A KR20080028651 A KR 20080028651A KR 1020060094214 A KR1020060094214 A KR 1020060094214A KR 20060094214 A KR20060094214 A KR 20060094214A KR 20080028651 A KR20080028651 A KR 2008002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mpedance
differential amplifier
detection system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071B1 (ko
Inventor
유선국
양태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0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2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극을 접촉하여 생체전위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에서 전극이 피부에 잘 접촉되어있는지 여부를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부(100); 상기 전극부(10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차동 증폭되는 차동증폭기(500); 차동증폭기(500)의 출력된 신호에서 DC를 제거하는 DC 제거 필터(600); DC 제거 필터(600)의 출력이 수신되며 단위 이득(unit gain)을 갖는 증폭기로 이루어진 절연증폭기(700);를 적어도 구비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전극의 임피던스를 각각 Z1, Z2라 할때, 상기 전극의 접촉의 불량정도가 상기 Z2와 Z1의 임피던스 차인 ΔZ = Z2 - Z1에 비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극, 접촉, 모니터링, 임피던스, 전원선 아티팩트

Description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Relative measurement method of differential electrode impedance for contact monitoring in a biopotential ampl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 측정을 위한 회로 모델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생체 검출 시스템의 생체전위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방법에 의한 결과의 일예이다.
도 4는 종래의 외부 임피던스 측정기에 의해 차동 접촉 임피던스에 대한 파워선 아티팩트 성분의 첨두치 진폭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극을 접촉하여 생체전위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에서 전극이 피부에 잘 접촉되어있는지 여부를 차동 전극 임피 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은 인체의 특정부위에 전극을 접촉하여 생체전위를 검출하고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러므로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은 전극과 생체전위 증폭기를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다.
생체전위, 즉 생체전기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인체에 전극을 부착하고 전극의 출력부를 생체전위 증폭기에 연결하면, 인체로부터 증폭기로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이 전류는 전극을 부착하기 이전의 원래의 생체전위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즉,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전극과 증폭기의 특성에 따라 측정된 생체전위신호의 크기와 모양이 변질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측정결과의 해석은 측정도구의 특성과 한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야 한다.
생체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부위에 금속전극을 부착하는데 이때 피부저항을 완화하기 위하여 피부와 전극 사이 전해질 젤을 사용하며, 생체전위 측정시 생체의 움직임에 의해 전해질 젤의 전하분포가 교란되고 잡음이 발생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표면 전극은 생체와 접촉하는 모든 부분을 동일한 재료로 사용하며, 생체접촉시에 전극에 장착된 전선은 충분히 긴 전선을 사용하여 장력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때 전극에 장착된 전선의 절연층을 충분히 두껍게 하여 상호간섭이나 잡음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생체전위는 크기가 아주 작으므로 입력 임피던스가 충분히 큰 증폭기를 사용해야하며, 인체에 접촉된 전극의 부착상태는 검출한 생체신호의 정확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인체에 전극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극의 입력단이 높은 저항값을 가지므로, 이로 인해 출력값이 발진하거나 큰 잡음의 유입에 따라 포화되게 된다. 이렇게 전극이 잘못 부착되면 전극의 상태는 전극간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60Hz 잡음량이 증가하게 되어 검출 회로의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e)(이하, S/N비라 한다)를 저하시킨다. 다시 말해, 인체 표면에 잘못된 전극의 부착은 전극간 불평형을 야기하며, 이에 따라 공통선 잡음인 60Hz 잡음이 증가한다. 이는 첨두치를 검출하여 사용하는 알고리즘에서는 오차 원인이 되며, 시스템의 정확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인체에 전극이 잘 부착되지못하여 입력단이 개방된 전극은, 신호의 검출이 불가능하여 그 전극의 출력단에서는 검출하고자 하던 생체전위 신호는 검출되지 않거나 이웃한 채널의 간섭(Cross-talk)에 의해 가상의 신호를 검출하게 되는데, 이로부터 잘못된 신호해석을 야기하게 된다.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부착된 전극의 접촉 저항의 검사는 육안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다중 채널 시스템에서의 전극 부착 상태의 검사는 필수적이다.
이를 해소하기위해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내부에 접촉 임피던스 회로를 추가시킬 수는 있으나, 이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을 더 복잡하게 하며 크기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은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소스 임피던스는 피부와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 그리고 전극리드와 증폭기 사이의 임피던스의 조합으로, 전원선 잡음의 양과 증폭기의 공통성분 제거비(Common Mode Rejection Ratio)(이하 CMRR이라 함)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한편 전극과 피부표면사이의 접촉이 불량하거나 전극리드가 끊어지거나 하면, 생체전위 증폭기의 동작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에서 전류나 전압원은 소스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발진 주파수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심전계내 오른다리 구동회로 같은 생체전위 증폭기내에는 접촉모니터링 회로가 분산되어 있게 된다.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은 외부의 전극접촉 검사회로를 이용하여 시스템 셋업(set-up) 단계에서 전극의 접촉 상태를 검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외부 전극 부착 검사회로를 별도로 설계하여 시스템 셋업(set-up) 단계에서 전극의 접촉 상태를 검사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외부의 전극접촉 검사회로에서 전극의 접촉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외부 전류원을 인가해야 하는데, 만약 외부 전류원에 고장이 발생하여 인체에 부착된 전극에 고장 전류가 유입되게 되면, 환자에 대한 안전도에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전류원을 유입하지 않고,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전극의 접촉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원선에 의한 유도전류를 전류원으로 사용하며 양 전극간의 불평형의 상대적인 값을 검출하여 불평형 값이 크면 전극의 접촉 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정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극이 접촉된 인체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양 전극간의 불평형의 상대적인 값을 검출하여 전극이 접촉된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하는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전류원을 유입하지 않고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전극의 접촉 상태를 검사하는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 측정을 위한 회로 모델이다.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은 전극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생체전위 증폭기를 구비한다. 생체전위 증폭기는 그 입력단에, 차동 전극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차동 증폭부(500)를 구비한다.
차동 입력 전극의 임피던스를 Z1, Z2라 하고, 접지 전극의 임피던스를 Z3라 하고, 피부와 각 전극간의 저항값을 Zt라 한다. 전원선과 생체(인체)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coupling capacitance)를 Zp라 하고, 각 전극의 출력 선(lead)과 전 원선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를 각각 Za, Zb라 한다. 차동 증폭기와 대지 접지간의 분리 임피던스를 Zs라 하며, Zp를 통하여 흐르는 변위전류를 ip라 하며, 인체와 대지 접지간의 임피던스를 Ze라 하고, 차동 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는 Zc라 하며, 차동 입력되는 전극 출력선 간의 임피던스를 ZD라한다. ZD에 걸리는 전압을 VD라 한다.
Zp에 기인된 VD인 VD1은 팔라스 아리미(Pallas-Aremy)의 회로 모델에 의해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수 있다.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1
여기서 ΔZ은 임피던스 불평형, 즉 Z2와 Z1의 임피던스 차로 ΔZ = Z2 - Z1 이며, k1과 C1은 상수로 수학식 2 및 수학식 3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2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3
접지 전극(Z3)이 잘 부착되고 Zp, Zb, Zs와 Ze가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면 VD1은 상수 k1과 C1을 가지고 임피던스 불평형, 즉 ΔZ = Z2 - Z1에 비례한다.
각 전극의 출력 선(lead)과 전원선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Za, Zb)에 기인된 VD인 VD2는 메팅 반 리즌(Metting van Rijn)의 모델에 기초한 임피던스 불평형에 비례하므로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4
여기서 k2과 C2는 상수로 수학식 5 및 수학식 6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5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6
여기서 Vzs는 Zs에서의 아이솔레이션 모드(isolation mode) 전압이며, Zs는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7
만약 Zp, Za, Zb가 거의 변하지 않으며, 각 전극의 출력 선(lead)을 서로 꼬거나 하여 Za, Zb를 상쇄하거나 감소시킨다면, k2 는 상수로 근사화 될 수 있으며, C2의 영향은 (Za - Zb)의 상쇄에 기인하여 거의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만약 Z1과 Z2가 천천히 변화한다면, 차동 증폭기에 또는 차동 증폭기 후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DC 제거 필터가 오프셋(offset), 즉 C1을 제거할 수 있다. 오프셋 제거하여 근사한 후에, ZD에 걸리는 전압을 VD는 수학식 1과 수학식 4의 결합으로 상수 k와 ΔZ의 함수로써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8
여기서 k는 k1과 k2의 합에 근접하는 상수이다.
VD는 임피던스 불평형에 비례하기 때문에, 절연 증폭기의 출력에서 발생하는 파워선 아티팩트는 임피던스 불균형의 함수이다. 이는 다시 말해, 추가적 전류원 또는 전압원의 사용 없이도 임피던스 불평형에 상응하는 차동 전극 임피던스는 파워선 아티팩트를 관찰함에 의해 상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생체 검출 시스템의 생체전위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으로, 전극부(100), 차동증폭기(500), DC 제거 필터(600), 절연증폭기(700)를 구비한다.
전극부(100)는 다수의 전극을 구비한다. 예를들어 생체 검출 시스템이 심전계 일 때는 두개의 신호전극과 1개의 접지전극으로 이루어지며, 뇌전도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전극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동증폭기(500)는 전극부(10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차동 증폭된다.
DC 제거 필터(600)는 차동증폭기(500)의 출력된 신호에서 DC를 제거한다. 예를들어 DC 제거 필터(600)를 0.16Hz의 하이패스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절연증폭기(700)는 단위 이득(unit gain)을 갖는 증폭기로 구성하여, DC 제거 필터(600)의 출력이 안정되게 출력되게 하며 절연증폭기(700)의 이후의 구성요소들로부터 역으로 신호가 차동증폭기(500)에 혼입되지 않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방법에 의한 결과의 일예이다.
도 3은 생체전위 측정중에 관찰된 전극접촉과 연관있는 60Hz 출력신호들로서, 도 3은 도 3의 (a)의 전극 접촉 상태가 불충분한 경우에서부터 도 3의 (d)의 전극 접촉 상태가 좋은 경우까지를 점차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각 채널에 대한 측정 회로 블록은 10의 이득을 갖는 차동 증폭기이며, 0.16Hz의 절단(cutoff) 주파수를 갖는 DC 제거 필터, 그리고 단위 이득(unit gain)을 갖는 절연 증폭기로 구성된 생체전위 증폭기에 의해 얻어졌다.
도 3에서, 전극 출력선이 끊어지거나 불충분하게 전극과 피부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 차동 증폭기의 높은 이득과 아이디얼(ideal)하지 않는 전기적 특성이 그 출력을 포화(saturate)시킨다. 도 3의 (a)에서, 포화된 신호는 포화에 기인한 베이 스 라인 신호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도 3의 (b)에서 출력 신호가 부분적으로 포화되었다. 만약 출력신호가 포화되지 않았다면,차동 접촉 임피던스는 도 2(c)(d)에서 보여지듯이 파워선 아티팩트 성분의 첨두치의 진폭에 비례한다.
전극 젤리의 양과 건조상태 그리고 전극의 부착 상태를 조정함에 의해, 피부에 대한 전극 접촉 임피던스를 인위적으로 변화시킨다.
도 4는 종래의 외부 임피던스 측정기에의해 차동 접촉 임피던스에 대한 파워선 아티팩트 성분의 첨두치 진폭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을 검증하기위해 종래의 외부 임피던스 측정기(KTMed Co., Korea)에 의해 접촉 임피던스 측정 후에, 파워선 아티팩트 성분은 검출했다. 도 4에서, 파워선 아티팩트 성분의 첨두치 진폭은 전극 접촉 임피던스에 비례하여, 수학식 8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전극과, 상기 두개의 전극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차동 증폭하는 차동증폭기(500)를 구비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전극의 임피던스를 각각 구하는 단계, 상기 두개의 전극의 임피던스의 차의 절대치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절대치가 클수록 전극의 접촉의 불량정도가 큰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극이 접촉된 인체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양 전극간의 불평형의 상대적인 값을 검출하여 전극이 접촉된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하는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은 외부 전류원을 유입하지 않고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전극의 접촉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은 외부 부착 검사회로 없이 전극의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 전류원을 유입하지 않고, power line의 유도전류를 전류원으로 사용 양극 전극간의 불평형의 상대적인 값을 검출하여 전극의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의 심전도, 신경전도, 근전도, 뇌파 등등 각종 생체전기신호의 측정과 해석을 위해서는 인체에 전극을 부착하게 되는데 접촉한 전극의 부착상태는 검출한 생체 신호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본 발명은 심전도, 신경전도, 근전도, 뇌파 등등 각종 생체전기신호의 측정이나 해석을 요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은 환자의 안전(safety) 확보, 안정적 동작이 가능, 별도의 접촉불량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으며, 또한 외부 회로를 별도로 첨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14)

  1. 다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부(100); 상기 전극부(10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차동 증폭되는 차동증폭기(500); 차동증폭기(500)의 출력된 신호에서 DC를 제거하는 DC 제거 필터(600); DC 제거 필터(600)의 출력이 수신되며 단위 이득(unit gain)을 갖는 증폭기로 이루어진 절연증폭기(700);를 적어도 구비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전극 출력선 간의 임피던스가 ZD이고, ZD에 걸리는 전압이 VD일때, 전극의 접촉의 불량정도를 상기 VD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2. 다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부(100); 상기 전극부(10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차동 증폭되는 차동증폭기(500); 차동증폭기(500)의 출력된 신호에서 DC를 제거하는 DC 제거 필터(600); DC 제거 필터(600)의 출력이 수신되며 단위 이득(unit gain)을 갖는 증폭기로 이루어진 절연증폭기(700);를 적어도 구비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전극의 임피던스를 각각 Z1, Z2라 할때, 전극의 접촉의 불량정도를 상기 Z2와 Z1의 임피던스 차인 ΔZ = Z2 - Z1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D에 걸리는 전압인 VD
    VD=kΔZ
    (여기서 ΔZ는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전극의 임피던스를 각각 Z1, Z2라 할때 ΔZ = Z2 - Z1이며, k는 상수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k는 k=k1+k2에 의거하여 구하며,
    여기서 접지 전극의 임피던스를 Z3라 하고, 전원선과 생체(인체)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coupling capacitance)를 Zp라 하고, 차동 증폭기와 대지 접지간의 분리 임피던스를 Zs라 하며, Zp를 통하여 흐르는 변위전류를 ip라 하며, 인체와 대지 접지간의 임피던스를 Ze라 하고, Zs에서의 아이솔레이션 모드(isolation mode) 전압을 Vzs라 할때,
    k1
    Figure 112006070412330-PAT00009
    이고,
    k2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접촉의 불량정도가 상기 Z2와 Z1의 임피던스 차인 ΔZ에 비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전극 출력선 간의 임피던스인 ZD에 걸리는 전압인 VD
    전원선과 생체(인체)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인 Zp에 기인된 VD인 VD1과,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각 전극의 출력 선(lead)과 전원선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들(Za, Zb)에 기인된 VD인 VD2를 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과 생체(인체)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인 Zp에 기인된 VD인 VD1은 팔라스 아리미(Pallas-Aremy)의 회로 모델에 의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과 생체(인체)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인 Zp에 기인된 VD인 VD1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1
    (여기서 ΔZ는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전극의 임피던스를 각각 Z1, Z2라 할때 ΔZ = Z2 - Z1이며, k1과 C1은 상수임.)
    에 의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접지 전극의 임피던스를 Z3라 하며, 피부와 각 전극간의 저항값을 Zt라 하 며, 전원선과 생체(인체)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coupling capacitance)를 Zp라 하며, 차동 증폭기와 대지 접지간의 분리 임피던스를 Zs라 하며, Zp를 통하여 흐르는 변위전류를 ip라 하며, 인체와 대지 접지간의 임피던스를 Ze라 하고, 차동 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는 Zc라 할때,
    k1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2
    이고,
    C1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각 전극의 출력 선(lead)과 전원선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들(Za, Zb)에 기인된 VD인 VD2를 메팅 반 리즌(Metting van Rijn)의 모델에 의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각 전극의 출력 선(lead)과 전원선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들(Za, Zb)에 기인된 VD인 VD2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4
    (여기서 ΔZ는 차동증폭기(500)에 차동 입력되는 전극의 임피던스를 각각 Z1, Z2라 할때 ΔZ = Z2 - Z1이며, k1과 C1은 상수임.)
    에 의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차동 입력 전극의 임피던스를 Z1, Z2라 하며, 각 전극의 출력 선(lead)과 전원선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를 각각 Za, Zb라 하며, 차동 증폭기와 대지 접지간의 분리 임피던스를 Zs라 하며, Zs에서의 아이솔레이션 모드(isolation mode) 전압을 Vzs라 할때,
    k2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5
    이고,
    C2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기와 대지 접지간의 분리 임피던스인 Zs는
    Figure 112006070412330-PAT00017
    에 의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
  14. 두 개의 전극과, 상기 두개의 전극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차동 증폭하는 차동증폭기(500)를 구비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전극의 임피던스를 각각 구하는 단계,
    상기 두개의 전극의 임피던스의 차의 절대치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절대치가 클수록 전극의 접촉의 불량정도가 큰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검출 시스템의 전극의 접촉 모니 터링 방법.
KR1020060094214A 2006-09-27 2006-09-27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모니터링 방법 KR10086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14A KR100868071B1 (ko) 2006-09-27 2006-09-27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14A KR100868071B1 (ko) 2006-09-27 2006-09-27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651A true KR20080028651A (ko) 2008-04-01
KR100868071B1 KR100868071B1 (ko) 2008-11-10

Family

ID=3953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214A KR100868071B1 (ko) 2006-09-27 2006-09-27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07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86B1 (ko) * 2008-04-18 2010-06-16 주식회사 루키스 심장 활동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048567B1 (ko) * 2010-01-30 2011-07-11 황인덕 피검자에게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WO2017090787A1 (ko) * 2015-11-23 2017-06-01 이경호 핸디형 유방암 검진기
CN107432745A (zh) * 2017-06-27 2017-12-05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人体阻抗测量中判断错误站姿的方法
WO2020112871A1 (en) * 2018-11-28 2020-06-04 Easyg Llc Contactless electrode for sensing physiological electrical activity
WO2022098219A1 (ko) * 2020-11-06 2022-05-12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 임피던스 계측용 시스템 및 방법
CN115554604A (zh) * 2022-10-28 2023-01-03 湖南安泰康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场输出装置及方法、电场治疗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346B1 (ko) 2013-03-05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전도 센서 시스템 및 근전도 센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579517B1 (ko) 2014-05-13 2015-12-22 (주) 로임시스템 생체신호 계측장치
KR102265066B1 (ko) 2014-07-17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739484B1 (ko) 2015-06-09 2017-05-24 (주) 로임시스템 생체신호 계측모듈, 웨어러블 근전도 밴드 및 생체계측 모바일 장치
KR102620503B1 (ko) * 2018-02-12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2869B2 (ja) 2000-06-29 2010-11-17 日置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検査装置
US6569160B1 (en) * 2000-07-07 2003-05-27 Biosens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lectrode-tissue contact
JP3501403B2 (ja) 2001-09-05 2004-03-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検出回路、インピーダンス検出装置、及びインピーダンス検出方法
KR100978699B1 (ko) * 2002-01-07 2010-08-30 카프레스 에이/에스 전기적 피드백 검출 시스템 및 멀티 포인트 테스팅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86B1 (ko) * 2008-04-18 2010-06-16 주식회사 루키스 심장 활동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048567B1 (ko) * 2010-01-30 2011-07-11 황인덕 피검자에게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WO2017090787A1 (ko) * 2015-11-23 2017-06-01 이경호 핸디형 유방암 검진기
US10111604B2 (en) 2015-11-23 2018-10-30 Kyongho Lee Portable apparatus for detecting breast cancer
US10588540B2 (en) 2015-11-23 2020-03-17 Kyongho Lee Portable apparatus for detecting breast cancer
CN107432745A (zh) * 2017-06-27 2017-12-05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人体阻抗测量中判断错误站姿的方法
CN107432745B (zh) * 2017-06-27 2020-11-24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人体阻抗测量中判断错误站姿的方法
WO2020112871A1 (en) * 2018-11-28 2020-06-04 Easyg Llc Contactless electrode for sensing physiological electrical activity
WO2022098219A1 (ko) * 2020-11-06 2022-05-12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 임피던스 계측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1655A (ko) * 2020-11-06 2022-05-13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 임피던스 계측용 시스템 및 방법
CN115554604A (zh) * 2022-10-28 2023-01-03 湖南安泰康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场输出装置及方法、电场治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071B1 (ko) 2008-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071B1 (ko) 차동 전극 임피던스의 상대적인 측정을 이용한 전극의 접촉모니터링 방법
JP4738958B2 (ja) 心電図計測装置
JP3980702B2 (ja) 測定電極と中性電極およびそれらのリード線を監視する装置
CN105852844B (zh) 在生物电信号的测量中抑制共模信号成分
US8086300B2 (en) ECG electrode contact quality measurement system
US8089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speed determination of bioelectric electrode impedances
EP3209197B1 (en) Simultaneous impedanc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Lozano et al. Errors in prolonged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s due to electrode repositioning and postural changes
Degen et al. Continuous Monitoring of Electrode--Skin Impedance Mismatch During Bioelectric Recordings
Ahmad et al. A review of EMG recording technique
Spinelli et al. A practical approach to electrode-skin impedance unbalance measurement
CN107072572A (zh) Ecg电极和引线连接完整性检测
CN107019509A (zh) 用于检测生物电信号的方法和设备
CN110488133B (zh) 在测量生物电信号时检测信号通路损坏
CN112401898B (zh) 一种高精度脑电信号采集方法及装置
DE102017214862A1 (de) Detektion von Signalpfaddefekten bei der Messung von bioelektrischen Signalen
EP3879582A1 (en) System of graphene transistors for measuring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Sandra et al. Simulation study of a contactless, capacitive ECG system
Degen et al. An improved metho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electrode-skin impedance during bioelectric measurements
Zepeda-Carapia et al. Measurement of skin-electrode impedance for a 12-lead electrocardiogram
WO2018102855A1 (en) Bioamplifier and impedance measurement system
US9936893B2 (en)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 potentials
US11779253B1 (en) Measurement of electrode impedances in biopotential-physiological-phenomena sensing systems
US1004192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des for bio-impedance measurements and apparatus for bio-impedance measurements
Yoo Relative measurement of differential electrode impedance for contact monitoring in a biopotential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