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275A -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275A
KR20080028275A KR1020070085443A KR20070085443A KR20080028275A KR 20080028275 A KR20080028275 A KR 20080028275A KR 1020070085443 A KR1020070085443 A KR 1020070085443A KR 20070085443 A KR20070085443 A KR 20070085443A KR 20080028275 A KR20080028275 A KR 2008002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ignal
image pickup
pixel
picku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635B1 (ko
Inventor
가즈히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ublication of KR2008002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2Detection or reduction of noise due to excess charges produced by the exposure, e.g. smear, blooming, ghost image, crosstalk or leakage between 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2Detection or reduction of noise due to excess charges produced by the exposure, e.g. smear, blooming, ghost image, crosstalk or leakage between pixels
    • H04N25/625Detection or reduction of noise due to excess charges produced by the exposure, e.g. smear, blooming, ghost image, crosstalk or leakage between pixels for the control of sm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3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ark curr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D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한 고체촬상장치에 있어서, 백점 결함 등의 CCD 고체촬상소자의 암전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직 스미어를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화소보다 먼저 판독되는 수직 차광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신호의 화면 수직방향의 암전류 얼룩을 보정한다. 수직 차광 화상의 각 수직 화소 신호로부터 수직 스미어 보정신호를 산출하여 수광면의 유효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한다. 고체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여 수광면의 유효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본 출원은 2006년 9월 25일자로 출원된 일본 출원 JP2006-25945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 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체촬상소자를 가지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포함되는 잡음을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는 고체촬상소자 중에서도 감도가 높고 백점 결함(White Blemish)이 적으나, 고감도 촬상시는 백점 결함이 많다. 또 CCD 촬상소자는 스폿광(Spotlight)과 같은 고휘도 피사체를 촬상한 경우에, 스폿광을 촬상한 화소의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수직 전송로에 과잉전하가 새어 들고, 고휘도 피사체를 촬상한 화소와 동일한 수직방향의 화소 모두에 스폿광의 조도에 비례한 화상신호가 중첩되어 수직 스미어(Vertical Smwar)라 불리우는 백색 세로선이 발생한다. CCD 촬상소자에 촬상면의 바깥쪽에 퇴적면을 설치하고, 수직 전송을 고속화하면, 수직 스미어는 저감한다. 그러나 축적면을 설치하면 CCD 촬상소자 면적이 배증되어 고가격화한다. 수직전송을 고속화하면 소비전력도 배증되어 백점 결함이 증가한다. 또한 CCD 촬상소자의 근적외 감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포토다이오 드(Photodiode)를 깊게 형성할 필요가 있으나, 그 결과 백점 결함이 증가한다.
따라서 종래 광학적 흑화소부분의 백점 결함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CCD 촬상소자의 수직방향의 광학적 흑화소(Vertical-Optical Black 이하 V-OB)부분의 12라인(line(s))의 출력의 각 수직 화소 신호를 평균하여, 1 라인분의 신호로서 기억하고, 이 고체촬상소자의 유효화소부분의 출력신호로부터 이 기억한 신호를 감산하고 있었다.(일본국 특개평07-067038호 공보를 참조)
또 디지털신호처리회로의 집적화가 진행되고, 복수 라인의 출력신호를 기억하여 산술처리하는 것이 영상 전용의 메모리 집적 DSP("Memory Integrated DSP")뿐만 아니라, 저렴한 범용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서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CD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와 암전류 보정과 이득가변증폭회로(Automatic Gain Control 이하 AGC)와 디지털 영상신호(Vi)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내장한 프론트 엔드 프로세서(FEP, Front End Processor)가 보급되어, FEP의 ADC의 계조는 종래 10 비트(bit)이었으나, 12비트나 14비트가 일반화되고, 16비트도 제품화되었다. ADC를 22비트로 하고, AGC를 ADC의 다음에 배치한 FEP도 제품화되었다.
또한 전자증배형 CCD 촬상소자(Electron Multiplying-CCD 이하 EM-CCD)는, 전자 냉각부와 조합시켜 감도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시광과 근적외광의 야간 촬영용의 조명없는 준동화 감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CCD 촬상소자의 고감도화와 화소수의 증가에 강하게 상관하여 암전류 얼룩이 커져 백점 결함이나 암부 얼룩의 레벨(level)이 커지기 쉽다. 특히 고감도용 또는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용의 CCD 촬상소자는 엄격하게 선별한 CCD 촬상소자 이외는 백점 결함이나 암부 얼룩의 레벨이 큰 CCD 촬상소자를 사용하고 있다. 또 몇개인가의 EM-CCD에는 V-OB부분의 라인수는 4 밖에 없다. 또 HDTV에서는(상측 또는 하측의) 수직 귀선 기간이 (1125(주사선 총수) - 1080 (유효 주사선수))/2 = 22.5개분의 주사에 상당하는 시간으로 짧고, V-OB 화소부분의 라인수는 상측이 1 라인이고, 하측이 3 라인 등, 많은 영역을 취할 수 없다.
그 때문에 CCD 촬상소자의 V-OB 부분의 라인의 출력신호를 복수 라인으로 평균하여도 백점 결함 성분이 잔류한다. 또한 백색 세로줄의 수직 스미어 저감을 위하여 유효화소부분의 출력신호로부터 이 평균한 신호를 감산(감산처리)하면, 흑색 세로줄이 발생된다.
또, CCD 촬상소자의 V-OB 부분의 라인의 출력신호를 수평방향으로 평균하면, 백점 결함 성분의 영향은 감소하나, 수직 스미어 보정의 과부족의 오차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감산처리를 행하여도 백색 세로줄이 남아 흑색 세로줄이 발생된다.
또한 CCD 고체촬상소자의 수직 스미어성분은 화상신호가 포화하여도 증가하기때문에 화상신호가 포화에 따라 수직 스미어 보정의 레벨을 가변하지 않으면, 수직 스미어 보정의 과부족의 오차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감산처리를 행하여도 백색 세로줄이 남아 흑색 세로줄이 발생된다.
특히 EM-CCD는 감도를 높게 할 수 있으나, 스미어성분이 많은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화상신호가 고레벨에 미치기 때문에 신호회로에서 포화되기 쉽다. 그 EM-CCD를 전자냉각하여도 고감도 동작시는 백점 결함이나 암부 얼룩의 레벨이 크다. 그 결과, 수직 스미어 보정의 과부족의 오차분이 증가하여 백색 세로줄이 남아 흑색 세로줄이 발생된다. 그 결과, 고휘도의 외부 조명광이 직접 화면으로 들어 가는 야간감시의 장해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엄격하게 선별한 백점 결함이나 암부 얼룩이 적은 CCD 촬상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CCD 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수직 스미어 보정의 과부족의 오차분의 백색 세로줄이나 흑색 세로줄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체촬상소자와 그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와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를 가지는 고체촬상장치에 있어서, 제 2 취득부에서 취득한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복수 라인의 각 수직 화소 신호의 최소값으로부터 N(N은 자연수)번째의 값, 최대값로부터 M(M은 자연수)번째의 값 이하의 값의 평균값, 또는 다른 최대값로부터 M번째의 값 이하의 값으로부터 산출되는 대표값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제 1 취득부에서 취득한 유효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대표값 신호를 감산한다.
상기에 있어서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차광한 화소 중 많은 수의 화소의 수직 라인수가, 예를 들면 2, 3, 4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에서 화상신호의 수직 암부 얼룩 보정부를 가지고,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직 암부 얼룩 보정하고 나서 대표값 신호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에서 고체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12비트 이상 예를 들면 14비트로 A/D 변환하여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고, 3/4 이상 1 미만 예를 들면 15/16로 감쇠하여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광한 V-OB의 복수 라인의 각 수직 화소 신호의 최소값으로부터 N번째의 값 등의 최대값으로부터 M번째의 값의 영향을 제거하는 대표값을 산출함으로써 V-OB의 라인수가 적고, 백점 결함이나 암부 얼룩의 레벨이 큰 선별하고 있지 않은 CCD 촬상소자에서도 백점 결함 등의 CCD 촬상소자의 큰 암전류 성분을 배제한 수직 스미어 보정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스미어 보정신호를 수평방향으로 평균하지 않고,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함으로써 수직 스미어 보정의 과부족의 오차분이 감소하여 백색 세로줄과 흑색 세로줄이 눈에 띄지 않는 화상신호가 얻어진다.
또, CCD 고체촬상소자의 스미어성분은 화상신호가 포화하여도 증가되나, 12 비트 이상 예를 들면 14비트로 A/D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10비트 A/D 변환 에 비교하여 화상신호의 포화가 2비트 이상 예를 들면 4비트 적어지기 때문에, 스미어성분 보정의 화상신호의 포화대응의 필요성이 적다. 또한 차광 화소 대표값을 3/4 이상 1 미만 예를 들면 15/16로 감쇠하여 감산하기 때문에, 화상신호의 포화대응의 필요성이 실용상 없어진다.
그 결과, V-OB 화소부분의 라인수가 적은 HDTV의 CCD 촬상소자나, 수직 스미어도 백점 결함도 많은 EM-CCD를 사용하여도 안정되게 수직 스미어를 저감할 수 있어 화질이 개선된다.
다른 목적들 및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설명 및 도면과 함께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요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성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Block diagram)의 도 1a ~ 도 1f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종래기술에서의 V-OB에서의 스미어값의 검출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인 도 4a ~ 도 4f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후 본 발명의 몇 가지 일 실시예의 동작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성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인 도 1a ~ 도 1f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대표값 검출 플로우차트인 도 2a ~ 도 2f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성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인 도 1a ~ 도 1f에 있어서, 도 1a는 V-OB가 3 라인 이상이고 최소값으로부터 2번째의 값(3 라인에서 중앙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1b는 V-OB가 5 라인 이상이고 최소값으로 부터 3번째의 값(5 라인에서 중앙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1c는 V-OB가 2 라인 이상이고 최소값을 검출하여 디지털 AGC하는 경우이고, 도 1d는 V-OB가 3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1e는 V-OB가 4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1f는 V-OB가 4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과 2번째로 큰 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검출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대표값 검출 플로우차트인 도 2a ~ 도 2f에 있어서, 도 2a는 V-OB 최소값으로부터 2번째의 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2b는 V-OB 최소값으로부터 3번째의 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2c는 V-OB 최소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2d는 V-OB가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2e는 V-OB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검출하는 경우이고, 도 2f는 V-OB 최대값과 2번째로 큰 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검출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성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인 도 1a ~ 도 1f의 특징은, 추가한 비교부와 라인 메모리부(line Memory Unit)에 의하여 최대값 또는 2번째로 큰 값을 제외하고 CCD 촬상소자의 백점 결함의 영향을 삭제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종래기술에서의 V-OB 에서의 스미어값의 검출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인 도 4a ~ 도 4f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종래기술에서의 V-OB 에서의 스미어값의 검출을 나타내는 모식표도인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가 각각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1e, 도 1f에 대응하고 있다. 도 1a, 도 1d는 V-OB가 3 라인이고, 도 1b는 V-OB가 5 라인이고, 도 1c는 V-OB가 2 라인이고, 도 1e, 도 1f는 V-OB가 4 라인이다. 또한 도 4a ~ 도 4f는 화면의 모식도이고, CCD 촬상면은 화면과 상하 좌우가 반전하고 있다.
도 3c와 같이 V-OB가 2 라인 중에 신호값(21)의 백점 결함이 있으면, 평균값은 11.5로 특히 크고, 스미어 보정에서 오차가 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백점 결함이라고 판정되는 최대 신호값의 레벨을 21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도 3a, 도 3d와 같이 V-OB가 3 라인 중에 신호값(21)의 백점 결함이 있으면 평균값은 9가 되고, 중앙값(4)이나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3)으로부터 크게 다른 값이다. 도 3e, 도 3f와 같이 V-OB가 4 라인 중에 신호값(21)의 백점 결함이 있으면, 평균값은 8이 되고,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 3.67으로부터 크게 다른 값이다. 도 3b와 같이 V-OB가 5 라인 중에 신호값(21)의 백점 결함이 있으면 평균값은 7이 되고, 중앙값(4)이나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3.5)으로부터 크게 다른 값이다. 따라서 평균값은 V-OB의 라인수가 조금 많아져도 스미어 보정으로 오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3a ~ 도 3f에서는 본 실시예의 최소값은 2이고, 중앙값이나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보다 1 내지 2 작으나, 종래의 평균값 7 내지 11.5만큼 큰 오차가 없다. 최소값은 V-OB의 라인수가 2로 적은 경우에도 종래의 V-OB가 5 라인의 평균값보다 스미어 보정의 오차가 적어 실용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성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인 도 1a ~ 도 1f에 있어서, 1은 촬상장치, 2는 입사광을 결상하는 렌즈 등의 광학계, 3은 광학계(2)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EM-CCD 등의 CCD촬상소자, 4는 CCD 촬상소자(3)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CDS와 암전류 보정과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AGC와 디지털 영상신호(Vi)로 변환하는 ADC로 이루어지는 FEP (단, 도 1c나 도 1e와 같이 AGC가 FEP에 포함되지 않은 구성을 사용하여도 좋다.), 5는 디지털 영상신호(Vi)로부터의 OB 대표값 신호를 감산하여 스미어성분의 보정을 행하는 스미어 보정부, 6은 디지털 영상신호(Vi)의 V-OB의 대표값 신호의 검출을 행하는 OB 대표값 검출부이고, 21 내지 23은 디지털 영상신호(Vi)의 V-OB 라인의 화소마다 비교하는 비교부이고, 71 내지 76은 OB 대표값을 기억하는 라인메모리이고, 11은 영상신호로부터 대표값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이다. 7은 검출 스미어 보정부(5)에서 출력된 신호(Vm)에 여러가지의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방식 또는 PAL(Phase Alternating by line)방식의 복합영상신호( Video Burst Sync 이하 VBS) 또는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영상신호, 또는 HDTV의 SDI(HD-SDI) 등의 소정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 8은 EM-CCD(3)의 구동 및 전자증배의 이득제어를 행하기 위한 CCD 구동부(또는, TG라 표기한다)이고, EM-CCD를 구동하는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네레이터(TG)와, 생성된 타이밍신호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주로 구비하고 있고, 9는 촬상장치(1) 내의 각 부를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CPU로부터 각 부에의 제어선은 도시 생략). 10은 디지털 AGC(D.AGC)이고, OB 대표값 신호를 FEP의 AGC의 증폭도에 맞추어 D.AGC 자신의 증폭도를 조절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도 1a ~ 도 1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 촬상장치(1)의 EM-CCD(3)[또는 CCD(3)]는 광학계(2)로 수광면에 결상된 입사광을 포토다이오드로 광전 변환하여 신호전하를 생성하고, 수직 전송한 후 수평 전송하면서 신호전하를 전자 증배하여 FEP(4)에 출력한다. FEP(4)는 EM-CCD(3)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여 암전류 성분을 보정하고, 보정한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영상신호(Vi)로 변환하여 스미어 보정부(5)에 디지털 영상신호(Vi)를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신호(Vi)는, 스미어 보정부(5)를 거쳐 OB 대표값 검출부(6)에 보내짐과 동시에, 뒤에서 설명하는 신호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감산기(11)에도 보내진다. OB 대표값 검출부(6)는 디지털 영상신호(Vi)를 비교부(21∼23)에서 V-OB 라인의 수직 화소 신호마다 비교하여 작은 순서대로 라인 메모리(71∼76)에 기억하고, 스미어성분으로서 OB 대표값 신호를 검출한다.
또는 도 1d ~ 도 1f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비교부(21, 22)와 라인 메모리(72, 75, 76)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V-OB 라인의 수직 화소 신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수직 화소 신호를 가산부(13)를 이용하여 가산을 행하고, 가산결과를 라인 메모리(71)에 기억하여 평균화부(12)에서 평균값로서의 OB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스미어 보정부(5)는 OB 대표값 신호를 FEP의 AGC의 증폭도에 맞추어 D.AGC(10)로 증폭하고, 감산기(11)는 그 증폭한 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Vi)로부터 감산하여 영상 신호처리부(7)에 디지털 영상신호(Vm)를 출력한다. 영상신호 처리부(7)는 디지털 영상신호(Vm)에 여러가지의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소정방식의 영상신호(Vo)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CCD 구동부(TG)(8)는 CPU(9)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도시 생략)에 따라서 EM-CCD(3)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c나 도 1e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FEP(4)에 AGC가 없기 때문에, 스미어 보정부(5)에서 디지털 영상신호(Vi)로부터 OB 대표값 신호를 감산하고 나서의 디지털 AGC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a ~ 도 1f에서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FEP 내에 AGC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나, 스미어 보정부의 D. AGC의 배치장소가 다른 실시예나, 디지털신호(Vi나 Vm)의 비트수나 OB 대표값 신호의 비트수가 다른 실시예나, 비교부나 라인 메모리부의 구성이 다른 실시예 등이 있으나, 이들은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여러가지의 구성이 적용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 1a ~ 도 1f와 도 2a ~ 도 2f와 도 3a ~ 도 3f와 도 4a ~ 도 4f를 이용하여 수직 스미어신호의 검출과 보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a, 도 2a, 도 3a, 도 4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9)는 라인 메모리부(72, 73)에 최소값 신호의 상한값, 2번째로 작은 신호의 상한값을 각각 설정하여 둔다. 여기서 이들 상한값은 예를 들면 신호의 휘도를 수치화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값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준으로 수치화된 것이다). 비교부(21)는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되어 있는 상한값과 V-OB 영역의 1 라인째(이하 V-OB1)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V-OB1의 영상신호)를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단계 21, 22). 비교부(21)는 V-OB2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과 라인 메모리부(72)에 최소값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라인 메모리부(72)에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기억한다. 값이 큰 쪽의 신호는 비교부(22)에 보내진다. 비교부(22)는 큰 쪽의 신호의 값과 2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되어 있는 상한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2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한다(단계 23). 마찬가지로 비교부(21)는 N 라인째(N은 3 이상의 자연수)의 V-OBN의 영상 신호의 화소의 값과 메모리부(72)의 최소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 값이 큰 쪽의 신호는 각 화소의 비교 1의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내진다(단계 24). 비교부(22)는 2번째로 작은 신호의 값과 비교 1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2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한다(단계 25). 비교부(22)가 제일 마지막의 V-OB의 비교처리를 종료하면, 라인 메모리부(73)는 2번째로 작은 신호를 스미어 보정용의 OB 대표값 신호로서 스미어 보정부(5)에 출력하고(단계 26), 대표값 검출처리가 종료된다(단계 27).
다음에 도 1b, 도 2b, 도 3b, 도 4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9)는 라인 메모리부(72, 73, 74)에 최소값 신호의 상한값, 2번째로 작은 신호의 상한값, 3번째로 작은 신호의 상한값을 각각 설정하여 둔다. 비교부(21)는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되어 있는 상한값과 V-OB1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V-OB1의 영상신호)를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단계 21, 22). 비교부(21)는 최소값의 신호의 값과 V-OB2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단계 28). 비교부(22)는 큰 쪽의 신호의 값과 각 화소의 2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된 상한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2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한다(단계 29). 비교부(21)는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된 신호의 값과 V-OB3의 영상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 값이 큰 쪽의 신호는 비교 1의 신호로서 비교부(23)에 보내진다(단계 30). 비교부(22)는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되어 있는 2번째로 작은 신호의 값과 비교 1의 신호를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2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한다. 비교부(23)는 값이 큰 쪽의 신호와 3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4)에 기억된 상한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3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4)에 기억한다(단계 31). 마찬가지로 N 라인째(N은 4 이상의 자연수)의 V-OBN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과 라인 메모리부(72)의 최소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 값이 큰 쪽의 신호는 각 화소의 비교 1의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내진다(단계 24). 비교부(22)는 2번째로 작은 신호의 값과 비교 1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2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3)에 기억한다. 값이 큰 쪽의 신호는 각 화소의 비교 2의 신 호로서 비교부(23)에 보내진다(단계 30). 비교부(23)는 3번째로 작은 신호의 값과 비교 2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3번째로 작은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4)에 기억한다(스텝 31). 비교부(23)에서 제일 마지막의 V-OB의 비교가 종료되면 라인 메모리부(74)는 3번째로 작은 신호를 스미어 보정용의 OB 대표값 신호로서 스미어 보정부(5)에 출력하고(단계32), 대표값 신호검출처리가 종료된다(단계 27).
또한, 도 1c, 도 2c, 도 3c, 도 4c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9)는 라인 메모리부(72)에 최소값 신호의 상한값을 설정하여 둔다. 비교부(21)는 상한값과 V-OB1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V-OB1의 영상신호)를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단계 21, 35). 비교부(21)는 최소값의 신호의 값과 V-OB2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단계 36). 마찬가지로 비교부(21)는 N 라인째(N은 3 이상의 자연수)의 V-OBN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과 최소값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단계 37). 비교부(21)가 제일 마지막의 V-OB의 비교처리를 종료하면, 라인 메모리부(72)는 최소값의 신호를 스미어 보정용의 OB 대표값 신호로서 스미어 보정부(5)에 출력하고(단계 38), 대표값 검출처리가 종료된다(스텝 27).
또, 도 1d, 도 2d, 도 3d, 도 4d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9)는 라인 메모리부(71)의 값을 0, 라인 메모리부(75)의 값을 신호의 하한값으 로 설정하여 둔다. 비교부(21)는 하한값과 V-OB1의 영상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V-OB1의 영상신호)를 각 화소의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단계 21, 39). 비교부(21)는 최대값의 신호와 V-OB2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 가산부(13)는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중간값으로서 라인 메모리부(71)에 가산 기억한다(단계 40). 마찬가지로 비교부(21)는 N 라인째의 V-OBN(N은 3 이상의 자연수)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과 최대값의 신호를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 가산부(13)는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중간값으로서 라인 메모리부(71)에 가산 기억한다(단계 41). 비교부(21)가 가장 마지막의 V-OB의 비교처리를 종료하면, 라인 메모리부(71)는 평균화부(12)에 가산 기억한 값을 출력한다. 평균화부(12)는 중간값의 신호를 1/(N-1)로 감쇠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여 스미어 보정용의 OB 대표값 신호로서 스미어 보정부(5)에 출력하고(단계 42), 대표값 검출처리가 종료된다(단계 27).
또, 도 1e, 도 2e, 도 3e, 도 4e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 (9)는 라인 메모리부(71)의 값을 0, 라인 메모리부(72)의 값을 신호의 상한값으로 설정하여 두고, 라인 메모리부(75)의 값을 신호의 하한값으로 설정하여 둔다. 비교부(21)는 하한값과 V-OB1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V-OB1의 영상신호)를 각 화소의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스텝 21, 43). 비교부(21)는 최대값의 신호와 V-OB2의 영 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 값이 작은 쪽의 신호는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내진다.
비교부(22)는 값이 작은 쪽의 신호와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된 상한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한다(단계 44). 비교부(21)는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되어 있는 최대값의 신호의 값과 V-OB3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 비교부(21)는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비교 1의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낸다(단계 45). 비교부(22)는 최소값의 신호의 값과 비교 1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하고,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중간값으로서 가산부(13)를 거쳐 라인 메모리부(71)에 가산 기억한다(단계 46). 마찬가지로 비교부(21)는 N 라인째(N은 4 이상의 자연수)의 V-OBN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과 최대값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하고,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비교 1의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낸다(단계 47). 비교부(22)는 최소값의 신호의 값과 비교 1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최소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2)에 기억하고,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중간값으로서 가산부(13)를 거쳐 라인 메모리부(71)에 가산 기억한다(단계 48). 비교부(22)가 제일 마지막의 V-OB의 비교처리를 종료하면, 라인 메모 리부(71)는 평균화부(12)에 가산 기억한 값을 출력한다. 평균화부(12)는 중간값의 신호를 1/(N-2)로 감쇠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스미어 보정용의 OB 대표값 신호로서 스미어 보정부(5)에 출력하고(단계 49), 대표값 신호처리가 종료된다(단계 27).
또, 도 1f, 도 2f, 도 3f, 도 4f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9)는 라인 메모리부(71)의 값을 0, 라인 메모리부(75, 76)의 값을 신호의 하한값으로 하여 둔다. 비교부(21)는 하한값과 V-OB1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V-OB1의 영상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스텝 21, 50). 비교부(21)는 최대값 신호의 값과 V-OB2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 값이 작은 쪽의 신호는 각 화소의 2번째로 큰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내진다. 비교부(22)는 값이 작은 쪽의 신호와 라인 메모리부(76)에 기억된 하한값과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각 화소의 2번째로 큰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6)에 기억한다(단계 51). 비교부(21)는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되어 있는 최대값의 신호의 값과 V-OB3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한다. 비교부(21)는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비교 1의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낸다(단계 45). 비교부(22)는 2번째로 큰 신호의 값과 비교 1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2번째로 큰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하고,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중간값으로서 가산부(13)를 거쳐 라인 메모리부(71)에 가산 기억한다(단계 52). 마찬 가지로 비교부(21)는 N 라인째(N은 4 이상의 자연수)의 V-OBN의 영상신호의 화소의 값과 최대값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최대값의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하고,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비교 1의 신호로서 비교부(22)에 보낸다(단계 47). 비교부(22)는 2번째로 큰 신호의 값과 비교 1의 신호의 값을 각 화소 사이에서 비교하여, 값이 큰 쪽의 신호를 2번째로 큰 신호로서 라인 메모리부(75)에 기억하고, 값이 작은 쪽의 신호를 중간값으로서 가산부(13)를 거쳐 라인 메모리부(71)에 가산 기억한다(단계 53). 비교부(22)가 제일 마지막의 V-OB의 비교처리를 종료하면, 라인 메모리부(71)는 평균화부(12)에 가산 기억한 값을 출력한다. 평균화부(12)는 중간값의 신호를 1/(N-2)로 감쇠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여 스미어 보정용의 OB 대표값신호로서 스미어부(5)에 출력하고(단계 49), 대표값 신호검출처리가 종료(단계 27)된다.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OB 대표값 신호를 FEP(4)의 AGC에 맞추어 이득을 가변하고 나서 15/l6로 감쇠한 신호를 신호(Vi)에서 감산하여, 수직 스미어 신호를 저감한 신호(Vm)를 출력한다. 또 CCD 촬상소자의 스미어 성분은 화상신호가 포화하여도 증가되나, 화상신호는 14비트로 A/D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10비트 A/D 변환에 비교하여 화상신호의 포화에 관하여 4비트분의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스미어 성분 보정의 화상신호의 포화에 대응하기 위한 처리의 필요성이 적다. 또한 차광 화소 대표값을 15/16로 감쇠하여 감산하기 때문에, 화상신호의 포화에 대응하기 위한 처리의 필요성이 감소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감쇠비를 15/16로 하였으나, 스미어 성분 보정의 화 상신호를 포화에 대응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선형처리)를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값을 채용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는 p비트 이상 긴 해상도로 A/D 변환할 수 있으면, (2^p-s)/(2^p) 이상 1 미만 사이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채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p, s는 자연수이고, s는 p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s의 값은 1 이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미어 성분 보정의 화상신호는, 포화영역까지 도달하면 비선형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미어 성분 보정의 화상신호의 선형영역의 경사를 어느 정도 감쇠시킨 선형신호로 근사하여 포화영역까지 선형신호로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4비트분 높은 해상도로 A/D 변환할 수 있으면, 2의 4승 = 16배의 여유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것을 어느 정도 감쇠시킨 15/16라는 값을 본 실시예에서는 채용하고 있다. 도 1c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16 비트로 A/D 변환한 경우는 6비트분의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감산기(11)는 차광 화소 대표값을 63/64로 감쇠하여 감산할 수 있어, 화상신호의 포화에 대응하는 처리의 필요성이 실용상 없어진다. CCD 고체촬상소자의 신호 전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감도를 올려, 도 1f와 같이 22 비트로 A/D 변환하여 CCD 촬상소자의 암전류를 보정하면, 화상신호의 포화대응의 필요성이 거의 없어진다.
또한, 도 1b, 도 2b, 도 3b, 도 4b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각 수직 화소 신호의 최소값으로부터 3번째의 값을 대표값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백점 결함의 영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암전류가 극단적으로 적은 화소결함인 흑점 결함의 영향이 거의 없어져, 엄격하게 선별한 고가의 CCD 촬상소자를 사용하기 어 려운 감시용도 특히 EM-CCD에 적합하다. 또 백점 결함과 흑점 결함의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직 스미어 발생의 유무를 검출하는 회로를 생략할 수 있다. 수직 스미어 오검출에 의한 흑색 세로줄을 방지하는 소레벨 수직 스미어 보정 신호의 잘라 버림처리하는 회로도 생략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신호(Vi)에서 OB 대표값신호를 감산하고 나서 영상신호처리부(7)에 입력하는 신호(Vm)를 10비트로 하여, 감시용도에 많이 사용되는 저가격의 영상신호처리부(7)의 입력 비트수에 맞추고 있다. 단, 수직 스미어 보정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FEP(4)의 출력 비트수는 14비트로 하고 있다.
또, 도 1c, 도 2c, 도 3c,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이고, V-OB 대표값으로서 각 수직 화소 신호의 최소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수직 스미어 보정신호의 기억이 1 라인분으로 되어 집적규모가 종래예보다 소형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V-OB 라인수가 적고, 흑점 결함도 적은 HDTV의 CCD 촬상소자에 적합하다. 또한 AGC는 없으나, 16비트의 FEP를 사용하고, 수직 스미어 보정이 고정밀도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a, 도 1b에서 비교부(22, 23)와 라인 메모리(72, 73)를 생략하고, 도 2c의 동작을 하면, V-OB 라인수가 적고, 흑점 결함도 적은 HDTV의 CCD 촬상소자를 이용한 고감도 용도가 된다.
또한 도 1d, 도 2d, 도 3d, 도 4d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V-OB가 3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백점 결함이 많아 V-OB의 라인수도 많으나, 흑점 결함이 적은 CCD 촬상소자에 적합하다.
도 1e, 도 2e, 도 3e, 도 4e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V-OB가 4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대표값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e는 22비트로 A/D 변환하여 CCD 촬상소자의 암전류의 보정이 용이한 것과 아울러 백점 결함도 흑점 결함도 많고, V-OB의 라인수도 많은 CCD 촬상소자를 고감도 동작시키는 용도에 적합하다.
도 1f, 도 2f, 도 3f, 도 4f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V-OB가 4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과 2번째로 큰 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대표값으로 하고 있으며, 백점 결함이 특히 많고, V-OB의 라인수도 많은 CCD 촬상소자를 고감도 동작시키는 용도에 적합하다.
도 1a ~ 도 1f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스미어 보정부(5)와 OB 대표값 검출부(6)와 영상신호처리부(7)와 영상신호처리부(7)를 나누고 있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스미어 보정부(5)와 OB 대표값 검출부(6)와 영상신호처리부(7)는, 영상 전용 메모리집적 DSP나, FPGA에 집적할 수도 있다.
V-OB는 화면 시작의 변동이 큰 수직 암부 얼룩에 의한 보정 정밀도 열화를 피하기 위하여, 유효화소보다 나중에 출력되는 화면하의 V-OB 영역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수직 암부 얼룩 보정하고 나서, 대표값을 산출한 쪽이 스미어 보정의 정밀도가 좋아진다. 그러나 스미어 보정이 1 화면(약 17 m(1/60)초) 늦기 때문에 실용적이지는 않다. 그래서 14비트로 A/D 변환하여 화면 시작의 변동이 큰 수직 암부 얼룩 보정을 고정밀도로 행하고, 유효 화소보다 먼저 출력되는 화면상의 V-OB 영역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수직 암부 얼룩 보정하고 나서, 대표값을 산출하면 유효 화소 출력과 동시에 스미어 보정할 수 있어, 지연이 없다.
이상 EM-CCD와 V-OB 라인수가 적고, 흑점 결함도 적은 HDTV의 CCD 촬상소자를 사용한 촬상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촬상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외의 CCD를 사용한 촬상장치 다른 촬상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이러한 실시형태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형태들을 변화 또는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도 1a는 V-OB가 3 라인 이상이고 최소값으로부터 2번째의 값(3 라인에서 중앙값)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b는 V-OB가 5 라인 이상이고 최소값으로부터 3번째의 값(5 라인에서 중앙값)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c는 V-OB가 2 라인 이상이고 최소값으로 디지털 AGC(Digital AGC)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d는 V-OB가 3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e는 V-OB가 4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f는 V-OB가 4 라인 이상이고 최대값과 2번째로 큰 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대표값 검출 플로우차트로서,
도 2a는 V-OB의 최소값으로부터 2번째의 값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b는 V-OB의 최소값으로부터 3번째의 값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c는 V-OB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d는 V-OB의 최대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e는 V-OB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f는 V-OB의 최대값과 2번째로 큰 값을 제외하는 평균값을 대표값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종래기술에서의 V-OB에서의 스미어값의 검출을 나타내는 모식표도로서,
도 3a와 도 3d는 V-OB가 3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3b는 V-OB가 5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3c는 V-OB가 2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3e, 도 3f는 V-OB가 4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종래기술에서의 V-OB 에서의 스미어값의 검출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로서,
도 4a,도 4d는 V-OB가 3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b는 V-OB가 5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c는 V-OB가 2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e, 도 4f는 V-OB가 4 라인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3)

  1. 고체촬상소자와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와,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를 가지는 고체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취득부에서 취득한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복수 라인의 각 수직 화소 신호의 최소값으로부터 N(N은 자연수)번째의 값, 최대값으로부터 M(M은 자연수)번째의 값 이하의 값의 평균값, 또는 다른 최대값으로부터 M 번째의 값 이하의 값으로부터 산출되는 대표값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취득부에서 취득한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대표값 신호를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신호의 수직 암부(暗部) 얼룩 보정부를 가지고,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상기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직 암부 얼룩 보정하고 나서, 상기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차광한 화소 중 많은 수의 화소의 수직 라인수가 2, 3, 4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신호의 수직 암부 얼룩 보정부를 더 가지고,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상기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직 암부 얼룩 보정하고 나서, 상기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12비트 이상으로 A/D 변환하여 상기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고, 3/4 이상 1 미만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감쇠하여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14비트로 A/D 변환하여 상기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고, 15/16으로 감쇠하여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차광한 화소 중 많은 수의 화소의 수직 라인수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촬상장치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비트수보다 p비트 이상 높은 해상도에서 A/D 변환하여 상기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고, (2^p-s)/(2^p) 이상 1 미만 사이의 어느 하나의 값으로 감쇠하여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하고, 여기서 p와 s는 자연수이고, s는 p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s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q비트(q는 자연수) 늘리고 A/D 변환하여 상기 대표값 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대표값 신호를 선형 처리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감쇠하여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11. 촬상장치에 있어서,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와,
    상기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취득부에서 취득한 차광한 화소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복수 라인의 각 수직 화소 신호의 최소값으로부터 N(N은 자연수)번째의 값, 최대값으로부터 M(M은 자연수)번째의 값 이하의 값의 평균값, 또는 다른 최대값으로부터 M번째의 값 이하의 값에서 산출되는 대표값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취득부에서 취득한 유효 화소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대표값 신호를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화소 신호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한 값 결과에 의거하는 값을 기억하는 메모리부를 더 가지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값에 의거하여, 상기 대표값 신호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결과에 의거하는 값을 가산하는 가산부와,
    상기 가산부에서 가산된 총합으로부터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화부를 더 가지고,
    상기 평균값에 의거하여, 상기 대표값 신호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70085443A 2006-09-25 2007-08-24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KR100866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9459 2006-09-25
JPJP-P-2006-00259459 2006-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275A true KR20080028275A (ko) 2008-03-31
KR100866635B1 KR100866635B1 (ko) 2008-11-03

Family

ID=3922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43A KR100866635B1 (ko) 2006-09-25 2007-08-24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00663B2 (ko)
JP (1) JP5411322B2 (ko)
KR (1) KR100866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5380B2 (ja) * 2007-11-13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データ補正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20833B2 (ja) * 2008-12-24 2014-06-1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5698036B2 (ja) * 2010-04-21 2015-04-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感度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038A (ja) 1993-08-24 1995-03-10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JPH07202160A (ja) * 1993-12-27 1995-08-04 Sony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
TW269744B (en) * 1994-08-08 1996-02-01 Matsushita Electron Co Ltd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503467B (en) * 2000-03-17 2002-09-21 Nikon Corp Camera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xposure device using the same, measurement device, alignment device and aberration measurement device
JP4207659B2 (ja) * 2003-05-16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カメラ装置
US7750955B2 (en) * 2004-08-31 2010-07-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camera using the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4719442B2 (ja) * 2004-08-31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回路、カメラ、及び画像信号処理方法
JP2006211368A (ja) * 2005-01-28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およびスミア補正処理装置
JP2007150828A (ja) * 2005-11-29 2007-06-14 Pentax Corp 固定パターンノイズ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4526A1 (en) 2008-03-27
KR100866635B1 (ko) 2008-11-03
US7800663B2 (en) 2010-09-21
JP5411322B2 (ja) 2014-02-12
JP2012213211A (ja)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8561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temperature sensor within image sensor wherein apparatus outputs an image whose quality does not degrade if temperature increases within image sensor
KR100825076B1 (ko) 촬상장치 및 그 잡음저감방법
US20080192131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dynamic range thereof
JP5526014B2 (ja) 撮像装置
JP5520833B2 (ja)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1024589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9106853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KR101556468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카메라
US7990442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noise reduction method thereof
JP200810963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0866635B1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2007174032A (ja) 撮像装置
JP2013150144A (ja)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US8564694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noise reduction method thereof
JP5500702B2 (ja)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487250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クランプ方法
JP201315338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6157341A (ja) 固体撮像素子のスミア補正方法、固体撮像素子の信号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395710B2 (ja) 撮像装置
JP5784669B2 (ja) 撮像装置
JP5019508B2 (ja) 撮像装置
JP2008182637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