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702A -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702A
KR20080027702A KR1020060093185A KR20060093185A KR20080027702A KR 20080027702 A KR20080027702 A KR 20080027702A KR 1020060093185 A KR1020060093185 A KR 1020060093185A KR 20060093185 A KR20060093185 A KR 20060093185A KR 20080027702 A KR20080027702 A KR 2008002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fuel cell
induc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관
고승태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7702A/ko
Publication of KR2008002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95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대비 출력전압의 승압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스위치소자의 스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강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강압유닛과; 상기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승압유닛과; 상기 강압유닛과 승압유닛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 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DC/DC CONVERTING APPARATUS FOR FUEL CELL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계통 연계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대한 일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대한 일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5는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강압유닛 200:승압유닛
300:출력유닛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대비 출력전압의 승압비를 감소시켜 스위치소자의 스펙 및 인덕턴 전류와 인덕턴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직류/직류 변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FUEL CELL SYSTEM)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연료전지는 통상 고분자 전해질 막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설치하고, 양극(산화전극 또는 연료극)에서는 연료인 수소의 전기화학적 산화를 발생하고, 음극(환원전극 또는 공기극)에서는 산화제인 산소의 전기화학적 환원이 발생한다.
즉, 상기 연료전지는 상기 전기화학적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에 의해 전자가 생성되고, 그 생성된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발전장치이다.
상기 연료 전지의 종류는 인산형 연료 전지(Phosphoric Acid Fuel Cell), 알칼리형 연료 전지(Alkalin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용융 탄산염형 연료 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Solid Oxide Fuel Cell), 직접 메탈올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등 다양하다.
또한, 상기 연료 전지는 적용 분야에 따라 상업용 연료 전지와, 가정용 연료 전지와,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연료 전지와, 휴대용 단말기나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소형 연료 전지 등 다양하다.
특히, 가정용 연료 전지는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전 제품, 조명 기기 등을 충분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고, 상업용 연료 전지는 상가나 공장 등에서 조명 기기나 전동기 또는 기계 등을 충분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상술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계통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한국 전력)과 연계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부족분을 상기 계통전력 공급 시스템에서 보충받고,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남으면 그 잉여전력을 상기 계통 전력 공급시스템에 공급한다.
도 1은 종래 계통 연계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1),전력변환유닛(2),계통전원 공급유닛(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전지(1)는, 연료 극과 공기 극을 구비하여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미도시)을 포함하여, 그 스택(미도시)에서 직류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전력변환유닛(2)은 상기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교류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시킨 다음, 다시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출력하는 직류/ 직류변환유닛(미도시)와, 상기 직류/직류변환유닛(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3)를 구비한다.
상기 계통전원 공급유닛(3)은 각 가정이나 공공시설(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과 계통전원 공급유닛(3)은 서로 연계되어 각 가정이나 공공시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전력이 한전(계통전원 공급유닛)에 매전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1)에서 출력되는 전류(if)가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류보다 크면 상기 연료전지에서 출력되는 전류(if)를 감소시킨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전력이 한전(계통전원 공급유닛)에 매전되는 경우에, 상기 연료전지(1)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최소 출력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류를 감소시킨다
도 2는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1),직류/직류변환기(2),인버터(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전지(1)는, 연료 극과 공기 극을 구비하여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미도시)을 포함하여, 그 스택(미도시)에서 직류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직류/직류변환기(2)는 상기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교류전압을 승압 및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3)는 상기 직류/직류변환기(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용전원 라인을 통해 각 가정이나 공공시설의 상용전원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도 3은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 변환장치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및 필터부(10),승압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및 필터부(10)는 상기 연료전지(1)의 스택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일시 충전함과 아울러 그 직류전압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상기 승압부(20)는 상기 충전 및 필터부(1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도 4는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 변환장치에 대한 실시 예의 회로도로서, 상기 승압부(20)는 스위치소자(Q)의 스위칭을 통해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데, 즉 상기 스위치 소자(Q)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인덕터(L1)를 통해 서서히 방전하여 일정 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한다.
도 5는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 변환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스위칭소자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그에 따른 출력 직류전압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직류전압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구해진다.
[수학식]
Figure 112006069564404-PAT00001
이때, 상기 직류/직류변환장치는 승압비를 상승시키는 경우에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스위칭 주파수를 높여서 사이즈를 작게 만든 직류/직류 변환장치의 경우에는 승압비가 높으면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가 '1'에 가까워져서 짧은 스위칭주기에서 스위칭소자의 오프시간이 짧아져서 확실한 오프시간 발생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둘째, 다이오드가 도통되는 시간이 짧아져서 스위치 이용률이 저하되고, 인덕터의 전류 변화율이 커지게 되어 인덕터의 사이즈가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대비 출력전압의 승압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스위치소자의 스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는,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강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강압유닛과;
상기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승압유닛과;
상기 강압유닛과 승압유닛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는,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강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강압유닛과;
상기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유닛과;
상기 강압유닛과 승압 유닛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출력유닛과;
상기 강압유닛 및 승압 유닛의 스위치 소자에 대한 듀티비를 제어하기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압유닛(100), 승압유닛(200), 출력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강압유닛(100)은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강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승압 유닛(200) 상기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유닛(300)은 상기 강압유닛(100)과 승압 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가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강압유닛(100)은,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1 인덕터(L1)와, 그 제1 인덕터(L1)와 직렬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D1)와, 상기 제1 인덕터(L1)와 제1 다이오드(D1)의 접속점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소자(SW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SW1)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그 피모스 트랜지스터에 역방향으로 다이오드가 병렬 연결된다.
상기 승압 유닛(200)은,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2 스위치 소자(SW2)와, 그 제2 스위치(SW2)와 역방향으로 직렬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D2)와, 그 제2 스위치소자(SW2)와 제2 다이오드(D2)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제2 인덕터(L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유닛(300)은 상기 제1 강압유닛(1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충전되는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승압 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충전되는 제2 커패시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연료전지(미도시)는 연료 극과 공기 극을 구비하여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미도시)을 포함하며, 그 스택(미도시)에 서 직류전압을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의 직류/직류변환장치는 상기 연료전지(미도시)에서 생성되는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직류/직류변환장치에 대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강압유닛(100)은 상기 연료전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제어유닛(미도시)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강압하고, 그 강압된 직류전압을 출력유닛(300)에 인가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제1 스위치소자(SW1)가 온/오프되는데, 상기 제1 스위치 소자(SW1)가 온되어 있는 동안에 입력 직류전압이 회로에 연결되고 오프되어 있는 동안에 끊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연결되었다 끊어졌다 하는 펄스모양의 전압을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강압유닛(100)은 직류전압을 주기적으로 쵸핑(Chopping)하여 만들어진 펄스전압을 평균하여 출력 직류전압을 출력하는데, 이 출력 직류전압은 입력 직류전압보다 항상 작게 출력된다.
상기 승압 유닛(200)은 상기 연료전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제어유닛(미도시)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승압하고, 그 승압된 직류전압을 출력유닛(300)에 인가한다.
즉, 제2 스위치소자(SW2)가 온되어 있는 동안에 제 2 인덕터(L2)의 양단에 입력 직류전압이 연결되어 전류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위치(SW2)가 오 프되면 상기 제2 인덕터(L2)에 충전된 전류가 출력 유닛(300)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단의 전류는 출력단의 전류보다 항상 작기 때문에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 직류전압보다 항상 크게 된다.
상기 출력유닛(300)은 상기 강압유닛(1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과 상기 승압 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가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유닛(300)의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에 상기 강압유닛(100) 및 승압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충전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입력 직류전압 대비 출력 직류전압의 승압비를 50%감소시키면서도, 원하는 레벨의 직류전압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덕터 전류와 인덕턴스를 감소시켜 변환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는, 입력대비 출력전압의 승압비를 감소시켜 스위치소자의 스펙 및 인덕턴 전류와 인덕턴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직류/직류 변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강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강압유닛과;
    상기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유닛과;
    상기 강압유닛과 승압 유닛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유닛은,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1 인덕터와, 그 제1 인덕터와 직렬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인덕터와 제1 다이오드의 접속점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유닛은,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2 스위치 소자와, 그 제2 스위치와 역방향으로 직렬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와, 그 제2 스위치소자와 제2 다이오드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제2 인덕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유닛 및 승압 유닛의 스위치 소자에 대한 듀티비를 제어하기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5.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강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강압유닛과;
    상기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하여 그에 따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유닛과;
    상기 강압유닛과 승압 유닛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출력유닛과;
    상기 강압유닛 및 승압 유닛의 스위치 소자에 대한 듀티비를 제어하기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유닛은,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1 인덕터와, 그 제1 인덕터와 직렬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인덕터와 제1 다이오드의 접속점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소자(SW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유닛은,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2 스위치 소자(SW2)와, 그 제2 스위치(SW2)와 역방향으로 직렬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D2)와, 그 제2 스위치소자(SW2)와 제2 다이오드(D2)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제2 인덕터(L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KR1020060093185A 2006-09-25 2006-09-25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KR20080027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185A KR20080027702A (ko) 2006-09-25 2006-09-25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185A KR20080027702A (ko) 2006-09-25 2006-09-25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702A true KR20080027702A (ko) 2008-03-28

Family

ID=3941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185A KR20080027702A (ko) 2006-09-25 2006-09-25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77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78B1 (ko) * 2009-12-09 2011-09-14 (주)인텍에프에이 연료 전지용 dc-dc 컨버터 장치
CN114285272A (zh) * 2021-12-13 2022-04-05 同济大学 一种适用于燃料电池汽车的可变结构dcdc变换拓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78B1 (ko) * 2009-12-09 2011-09-14 (주)인텍에프에이 연료 전지용 dc-dc 컨버터 장치
CN114285272A (zh) * 2021-12-13 2022-04-05 同济大学 一种适用于燃料电池汽车的可变结构dcdc变换拓扑
CN114285272B (zh) * 2021-12-13 2023-10-03 同济大学 一种适用于燃料电池汽车的可变结构dcdc变换拓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9252B2 (en) Power supply
US9906039B2 (en) Power system for multiple power sources
US9413271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a DC to DC boost converter
US20040207366A1 (en) Multi-mode renewable power converter system
JP2009142013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3154851A (zh) 使用多个电源向电子设备供电
US20120313572A1 (en) Integrated buck-boost converter of charging apparatus
RU23257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для системы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подключаемого к сети типа
EP1796241A2 (en) Power controlling apparatus for fuel cel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2325368A (ja) バッテリの充電装置
KR100641127B1 (ko) 계통 연계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64090B1 (ko) 계통 연계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EP1990885A2 (en) Grid-connected fuel cell system and load using the same
KR20080027702A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JP2004063338A (ja) 燃料電池用電力変換装置
KR20120001335A (ko) 계통연계형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직류/직류 컨버터를 위한 듀얼 루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16467A2 (en) Power system for multiple power sources
Vazquez-Blanco et al. Two-stage and integrated fuel cell power conditioner: Performance comparison
CN112895933B (zh) 车辆及车辆的控制方法
US20070075587A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for fuel cell and method thereof
KR20120047575A (ko) 최대전력점추종 전력변환 및 충전 시스템
Vazquez et al. Integrated power conditioner topology for fuel cell based power supply systems
KR102472813B1 (ko) 연료전지용 전자 전달 증대장치 및 그 방법
KR100664088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직류/직류변환장치
KR100722107B1 (ko) 연료전지 전력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