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897A -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897A
KR20080026897A KR1020060092069A KR20060092069A KR20080026897A KR 20080026897 A KR20080026897 A KR 20080026897A KR 1020060092069 A KR1020060092069 A KR 1020060092069A KR 20060092069 A KR20060092069 A KR 20060092069A KR 20080026897 A KR20080026897 A KR 2008002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irt
collecting
water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303B1 (ko
Inventor
표준호
윤상헌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303B1/ko
Priority to EP10196905A priority patent/EP2343004B1/en
Priority to EP07113994A priority patent/EP1902657A3/en
Priority to CA2598105A priority patent/CA2598105C/en
Priority to CN2007101536177A priority patent/CN101147666B/zh
Priority to US11/902,047 priority patent/US20080072930A1/en
Publication of KR2008002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6Water supply, circulation or discharge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8Drain or recirculation pump parameters, e.g. pump rotational speed or current absorbed by th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는 섬프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섬프로부터 역류된 세척수가 유동되는 오버플로우 라인;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을 유동하는 세척수가 부딪치는 감속벽; 및 상기 감속벽에 부딪친 세척수 중의 오물이 모이는 컬렉팅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터브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오물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고, 수집된 오물이 외부로 바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오물 채집, 역류, 감속벽, 급수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rt collecting apparatus of 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가 채용되는 식기 세척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가 채용되는 식기 세척기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오물이 채집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채집된 오물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채집된 오물을 배출시키는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채집된 오물을 배출시키는 제어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류의 표면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여, 식기류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의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척수의 대부분은 노즐을 통해 분사되고, 그 일부는 필터 장치에서 오물을 걸러낸다. 만약 오물로 인해 필터 장치의 그물망이 막히게 되면, 필터 장치 내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과도한 압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물 채집 장치(air break)를 통해 터브 내로 상기 오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에 의하면, 필터 장치가 막힌 경우 오물이 정화되지 못하고, 터브 내로 유입되고, 계속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물의 순환에 의해 식기류가 재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필터 장치가 막히는 경우에도 오물이 지속적으로 채집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물 채집 장치에 채집된 오물이 식기 세척기 내에서 순환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는 섬프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섬프로부터 역류된 세척수가 유동되는 오버플로우 라인;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을 유동하는 세척수가 부딪치는 감속벽; 및 상기 감속벽에 부딪친 세척수 중의 오물이 모이는 컬렉팅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는 섬프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오물 채집 장치로 원수를 공급하는 급수 라인; 상기 섬프로부터 역류된 세척수가 유동되는 오버플로우 라인;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을 유동하는 세척수가 부딪치는 감속벽; 상기 감속벽에 부딪친 세척수 중의 오물이 모이는 컬렉팅 라인; 및 상기 컬렉팅 라인의 오물이 상기 급수 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 방지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는 섬프와, 상기 섬프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 펌프와, 상기 섬프로부터 유입되는 오물이 수집되는 컬렉팅 라인과, 상기 컬렉팅 라인에 급수할 수 있는 급수 라인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컬렉팅 라인에 수집된 오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급수 라인을 통해 상기 컬렉팅 라인으로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섬프와 연결된 오물 채집 장치에 오버플로우 라인, 감속벽, 컬렉팅 라인이 형성되어, 역류된 오물이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의 필터가 막히는 경우 상기 오물 채집 장치로 역류된 오물이 상기 컬렉팅 라인에 수집되어, 터브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오물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배수 행정에서 급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컬렉팅 라인에 수집된 오물이 외부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이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가 채용되는 식기 세척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가 채용되는 식기 세척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는 외관을 이루는 터브(11)와, 상기 터브(1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11)를 개폐하는 도어(12)와, 상기 터브(11) 내부 하측에 장착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섬프(20)와, 상기 섬프(20)로부터 펌핑되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워터 가이드(15)와,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식기가 수납되도록 하는 식기 랙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터브(11)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급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를 상기 섬프(20)로 전달할 뿐 아니라, 급수 유량을 제어하는 장치가 구비된 오물 채집 장치(100)와, 상기 터브(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척조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 는 증기발생장치(2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식기 랙은 상기 터브(11)의 상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는 상부 랙(13)과, 상기 상부 랙(13)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랙(14)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랙(13)과 하부 랙(14)은 상기 터브(11)의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며, 상기 식기 랙(13)(14)이 인출이 가능하기 위해 상기 터브(11)에는 레일(미도시)과 레일 롤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가이드(15)는 상기 터브(11) 내부의 후면에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기 워터 가이드(15)의 양단부는 절곡 성형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가이드(15)는 상기 섬프(20)와 연결되어 상기 섬프(20)로부터 펌핑되는 세척수가 상기 분사 노즐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섬프(20)의 중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랙(14)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하부 노즐(19)과, 상기 상부 랙(13)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노즐(16)과, 상기 워터 가이드(4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18)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노즐(16)은 상기 상부 노즐(16)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며, 단부가 상기 워터 가이드(15)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노즐 홀더(17)에 의해 상기 워터 가이드(15)와 연결되어 상기 워터 가이드(15)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장치(21)는 상기 오물 채집 장치(100)에서 공급된 물이 히터(22)에 의해 가열되어 순수한 증기만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증기 발생 장치(21)의 일측에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21)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터브(11)의 내부로 공급되는 연결관로로서 제공되는 증기 공급 유로(23)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식기 세척기(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식기 세척기(10)의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가 상기 오물 채집 장치(100)를 통과하며, 상기 오물 채집 장치(100)와 호스 연결된 상기 섬프(20)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되는 세척수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섬프(20)의 하측에 장착되는 세척 모터(미도시)가 작동하게 되어 세척수를 펌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모터에 의하여 펌핑되는 세척수는 상기 워터 가이드(15) 및 상기 하부 노즐(19)로 교대로 흐르게 된다.
상세히, 상기 워터 가이드(15) 내부를 따라 흐르는 세척수의 일부는 상기 노즐 홀더(17)를 따라 상기 상부 노즐(16)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탑노즐(18)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터브(11) 내에서는 상기 하부 노즐(19)을 통하여 세척수가 소정의 시간동안 분사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상부 노즐(16)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식기가 세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노즐(16)과 상기 탑노즐(18) 및 상기 하부 노즐(19)로 이동한 상기 세척수는 상기 노즐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상기 터브(11)의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구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에 의하여 상기 상부 랙(13) 및/또는 하부 랙(14)에 수납된 식기에 묻어있는 오물을 씻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식기 세척기(10)의 동작이 진행되는 중의 어느 상태에서는, 상기 증기발생장치(21)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터브(11)로 공급되는 상태가 더 진행된 다. 상세히, 상기 오물 채집 장치(100)로부터 증기발생장치(21)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세척수는 상기 히터(22)에 의해 가열되어 순수한 증기가 되고, 상기 증기는 상기 증기 공급 유로(23)를 통하여 상기 터브(11) 내로 공급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100)는 오버플로우 라인(110)과, 감속벽(120)과, 오물 낙하 라인(130)과, 컬렉팅 라인(140)과, 역류 방지 라인(150)과, 플로 미터(160)와, 급수 라인(170)과, 터브 연결홀(180)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은 섬프(20)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최종적으로 유동되는 유로이고, 상기 섬프(20)의 필터가 막히는 경우, 상기 섬프(20)로부터 세척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물이 역류되는 유로이다.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의 하측 말단에는 섬프 연결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섬프 연결홀(111)은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과, 섬프(20)를 연결해 주는 홀이다. 상기 섬프 연결홀(111)을 통해 섬프(20)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고, 섬프(20)로부터 유입된 오물이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으로 역류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의 상측 말단에서 소정 높이의 위치에는 감속벽(120)이 형성된다. 상기 감속벽(120)은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을 따라 역류되는 세척수의 일부와, 그 세척수 중에 함유된 오물이 걸리는 부분이다. 이러한 감속벽(120)에의 오물 걸림에 의해, 상기 터브 연결홀(180)을 통해 터브(11) 내로 역류되는 오물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속벽(120)이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을 향해 굽혀진 형상을 이룬다. 그러면, 상기 감속벽(120)에 걸리는 오물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감속벽(120)의 하측에는 오물 낙하 라인(130)이 형성된다. 상기 오물 낙하 라인(130)은 상기 감속벽(120)에 걸린 세척수와, 오물이 낙하되는 유로이다. 상기 오물 낙하 라인(130)은 중력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오물 낙하 라인(130)의 말단에는 컬렉팅 라인(140)이 형성된다. 상기 컬렉팅 라인(140)은 상기 오물 낙하 라인(130)을 따라 낙하된 오물이 채집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컬렉팅 라인(140)의 형성에 의해, 상기 낙하된 오물이 한 부분에 수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컬렉팅 라인(140)이 지그재그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채집되는 오물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컬렉팅 라인(140)의 타측 말단에는 역류 방지 라인(150)이 형성된다. 상기 역류 방지 라인(150)은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채집된 오물이 걸려, 상기 급수 라인(17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역류 방지 라인(150)이 상기 컬렉팅 라인(140) 쪽으로 기울어진 경사 라인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채집된 오물이 막히게 되어, 상기 급수 라인(170)으로 유입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라인(170)은 상기 역류 방지 라인(150)의 일측 말단과 연결된다. 상기 급수 라인(170)의 타측 말단에는 급수 홀(171)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 홀(171)은 급수 호스와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한다.
상기 급수 라인(170)에는 플로 미터(1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플로 미터(160)는 상기 급수 라인(170)을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되어, 급수 유량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 오물 채집 장치(100)로 유입되어, 섬프(20)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연수 장치를 더 거칠 수 있다. 이러한 연수 장치를 거치면서, 세척수는 이온 교환 수지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다음 섬프(20)로 유입될 수도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오물이 채집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섬프(20)의 필터가 오물 등에 의해서 막히면, 상기 섬프(20)로부터 세척수가 오물과 함께 상기 섬프 연결홀(111)을 통해 상기 오물 채집 장치(100) 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세척수 및 오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을 따라 역류된다. 역류된 세척수 및 오물 중 일부는 상기 감속벽(120)에 도달되어, 상기 감속벽(120)에 걸린다. 상기 세척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감속벽(120)을 넘어, 상기 터브 연결홀(180)을 통해 터브(11) 내로 유입된다.
상기 감속벽(120)에 걸린 오물은 상기 오물 낙하 라인(130)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된다. 낙하된 오물은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수집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 라인(1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물은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서 상기 급수 라인(170)으로 유입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채집된 오물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오물이 수집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 홀(171)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급수는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수집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급수된 원수는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도달되어, 상기 컬렉팅 라인(140)에 수집된 오물과 함께 상기 오물 낙하 라인(130)을 따라 상승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과, 상기 오물 낙하 라인(130) 사이의 격벽의 높이가 상기 갑속벽(120)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상승된 오물과 원수는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으로 유입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으로 유입된 오물 및 원수는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110)을 유동한 다음, 상기 섬프 연결홀(111)을 통해 섬프(20)로 유입된다. 섬프(20)로 유입된 상기 오물 및 원수는 배수 펌프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채집된 오물을 배출시키는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채집 장치에 채집된 오물을 배출시키는 제어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오물 채집 장치(100)의 컬렉팅 라인(140)에 오물이 적정량 수집된 경우, 상기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급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 도시되고 있다.
먼저 도 6를 참조하면, 배수 행정이 시작되어, 상기 배수 펌프가 작동된다(S100). 그리고, 메인 펌프와 배수 펌프의 온/오프가 2회 정도 반복된다(S11O, S120).
이러한 배수 행정의 마지막에 배수 펌프가 오프되고, 상기 급수 홀(171)을 통한 급수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대략 3초간 이루어진다(S130). 이러한 급수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이 섬프(20)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배수 펌프가 재작동되어(S140), 오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S130)는 상기 배수 펌프의 오프(S120) 후 상기 배수 펌프의 재작동(S140) 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급수(S130)는 상기 배수 펌프의 작동(S100)과, 상기 메인 펌프의 작동(S110)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메인 펌프의 작동(S110)과, 상기 배수 펌프의 작동(S120)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도 7을 참조하면, 배부 펌프의 작동(S200) 후, 다음 배수 펌프의 작동(S250) 중에 급수(S230)가 함께 이루어진다(S230). 그 후, 메인 펌프의 작동(S210) 및 배수 펌프의 작동(S220)의 반복과, 배수 펌프의 재작동(S24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컬렉팅 라인(140)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S230)는 상기 배수 펌프의 작동(S250)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급수(S230)는 상기 배수 펌프의 초기 작동(S200), 상기 반복 행정의 배수 펌프의 작동(S220), 상기 배수 펌프의 재작동(S240)과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섬프(20)로 유입된 오물은 섬프(20) 내의 체크 밸브에 의해 섬프(20)의 다른 부분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바로 배수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섬프와 연결된 오물 채집 장치에 오버플로우 라인, 감속벽, 컬렉팅 라인이 형성되어, 역류된 오물이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의 필터가 막히는 경우 상기 오물 채집 장치로 역류된 오물이 상기 컬렉팅 라인에 수집되어, 터브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오물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배수 행정에서 급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컬렉팅 라인에 수집된 오물이 외부로 바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섬프와 연통되는 오물 채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섬프로부터 역류된 세척수가 유동되는 오버플로우 라인;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을 유동하는 세척수가 부딪치는 감속벽; 및
    상기 감속벽에 부딪친 세척수 중의 오물이 모이는 컬렉팅 라인;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벽은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을 향해 굽혀진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채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벽에 부딪친 오물이 상기 컬렉팅 라인으로 낙하되는 오물 낙하 라인을 더 포함하는 오물 채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낙하 라인은 중력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채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낙하 라인과,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 사이의 격벽의 높이는 상기 감속벽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채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팅 라인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채집 장치.
  7. 섬프와 연통되는 오물 채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물 채집 장치로 원수를 공급하는 급수 라인;
    상기 섬프로부터 역류된 세척수가 유동되는 오버플로우 라인;
    상기 오버플로우 라인을 유동하는 세척수가 부딪치는 감속벽;
    상기 감속벽에 부딪친 세척수 중의 오물이 모이는 컬렉팅 라인; 및
    상기 컬렉팅 라인의 오물이 상기 급수 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 방지 라인;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8.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는 섬프와,
    상기 섬프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 펌프와,
    상기 섬프로부터 유입되는 오물이 수집되는 컬렉팅 라인과,
    상기 컬렉팅 라인에 급수할 수 있는 급수 라인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컬렉팅 라인에 수집된 오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급수 라인을 통해 상기 컬렉팅 라인으로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단계는 상기 배수 펌프가 작동 중인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채집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단계는 상기 배수 펌프의 작동 전 또는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채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60092069A 2006-09-22 2006-09-22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069A KR101252303B1 (ko) 2006-09-22 2006-09-22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0196905A EP2343004B1 (en) 2006-09-22 2007-08-08 Dishwasher with an air-brea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7113994A EP1902657A3 (en) 2006-09-22 2007-08-08 Dishwasher with an air-brea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A2598105A CA2598105C (en) 2006-09-22 2007-08-17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7101536177A CN101147666B (zh) 2006-09-22 2007-09-07 洗碗机及其控制方法
US11/902,047 US20080072930A1 (en) 2006-09-22 2007-09-18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069A KR101252303B1 (ko) 2006-09-22 2006-09-22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897A true KR20080026897A (ko) 2008-03-26
KR101252303B1 KR101252303B1 (ko) 2013-04-08

Family

ID=3882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069A KR101252303B1 (ko) 2006-09-22 2006-09-22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72930A1 (ko)
EP (2) EP2343004B1 (ko)
KR (1) KR101252303B1 (ko)
CN (1) CN101147666B (ko)
CA (1) CA259810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92B1 (ko) * 2012-06-04 2014-02-13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개선된 필름 양면 코팅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049B1 (ko) * 2011-08-03 2013-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에어 브레이크
CN103845027B (zh) * 2012-12-07 2016-12-2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外循环节水过滤器、洗碗机及其节水过滤方法
WO2017018773A1 (ko) * 2015-07-27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6691345A (zh) * 2016-12-30 2017-05-24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水槽式清洗机
CN113143150B (zh) * 2020-01-22 2022-10-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2983C2 (de) * 1975-01-25 1982-09-09 Euro Hausgeräte GmbH, 6680 Neunkirchen Zulaufbelüfter für Geschirrspülmaschinen und dergl.
US4180095A (en) * 1977-11-21 1979-12-25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ishwasher float switch control assembly
US4307742A (en) * 1978-11-25 1981-12-29 Schrott Friedrich Wilhelm H Ion exchanger regeneration water supply control unit
US4848382A (en) * 1987-10-22 1989-07-18 Whirlpool Corporation Tub bottom soil separator for dishwasher
IN186362B (ko) * 1995-07-01 2001-08-18 Lg Electronics Inc
US5779812A (en) * 1995-08-25 1998-07-14 Whirlpool Corporation Multi-mesh mechanical filter screen system for dishwashers
CN2314728Y (zh) * 1997-09-04 1999-04-21 南京飞龙洗碗机有限公司 洗碗机残渣排出结构
NZ518288A (en) * 2002-04-10 2004-09-24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Washing appliance water softner
KR101052974B1 (ko) * 2004-04-22 201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CN1243506C (zh) * 2004-04-23 2006-03-01 张会军 一种洗碗机用食物残杂自动过滤排除装置
KR101135855B1 (ko) * 2004-12-07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자연 배수 방지 구조
KR100693518B1 (ko) * 2005-01-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섬프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KR20060095838A (ko) * 2005-02-28 2006-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92B1 (ko) * 2012-06-04 2014-02-13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개선된 필름 양면 코팅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303B1 (ko) 2013-04-08
CA2598105A1 (en) 2008-03-22
EP2343004B1 (en) 2012-06-20
EP1902657A2 (en) 2008-03-26
CN101147666B (zh) 2011-05-18
EP2343004A1 (en) 2011-07-13
EP1902657A3 (en) 2009-07-01
US20080072930A1 (en) 2008-03-27
CN101147666A (zh) 2008-03-26
CA2598105C (en)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515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fluid circulation assembly
KR101252303B1 (ko)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06116434A1 (en) Dishwasher collection chamber filter cleaning system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US6698438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helical flow path
US6641058B2 (en) Dishwasher spray arm hub and conduit assembly
CA2365763C (en) Dishwasher fine filter pressure relief
US20030029781A1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full drain slope
KR20090024591A (ko)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KR100772230B1 (ko) 식기 세척기의 급수방법
KR20110058050A (ko) 식기 세척기
KR20170139804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041402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1135855B1 (ko) 식기 세척기의 자연 배수 방지 구조
KR20070105046A (ko) 식기 세척기
JP2002325716A5 (ko)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20080028525A (ko) 오물 채집 장치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100267941B1 (ko) 식기세척기
KR0136463Y1 (ko) 식기세척기
KR0176946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유로구조
KR101356295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101054436B1 (ko) 식기 세척기
KR100267919B1 (ko) 식기세척기
JP7271929B2 (ja) 浴槽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