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244A -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244A
KR20080025244A KR1020060089802A KR20060089802A KR20080025244A KR 20080025244 A KR20080025244 A KR 20080025244A KR 1020060089802 A KR1020060089802 A KR 1020060089802A KR 20060089802 A KR20060089802 A KR 20060089802A KR 20080025244 A KR20080025244 A KR 20080025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ediction mode
predicted
difference
prediction m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209B1 (ko
Inventor
조종현
이면희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20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다수 개의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 중에서 최소의 SAE (Sum of Absolute Error)를 갖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에 따라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대한 SAE 값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SAE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TRA PREDICTION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측하려는 블록과 이에 인접한 블록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측 모드의 종류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측 모드들에 설정되는 방향 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결정부
120: 연산부
130: 선택부
140: 메모리
본 발명은 인트라 예측 모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효율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264/AVC (Advanced Video Coding)은 저 비트율로 영상 통신을 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으로서, ITU-T VCEG (Video Coding Experts Group) & ISO/IEC MPG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승인된 국제 동영상 압축 표준이다. 상기 H.264/AVC는 뛰어난 압축 효율과 에러에 강하며 네트워크 적응성이 뛰어나다는 등 특징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 H.264/AVC는 화질 개선을 위한 여러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양질의 화면과 저 왜곡율 및 저 비트율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H.264/AVC에서는 프레임이 여러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나누어진 각각의 블록이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이나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을 사용하여 부호화된다. 상기 인트라 예측은 압축 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주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영상 데이터를 예측한다.
상기 인트라 예측은 휘도 블록 뿐만 아니라 색도 블록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4 픽셀 휘도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프레임을 여러 개의 4*4 휘도 블록들로 나누고 각각의 블록들마다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적용하는데, 상기 예측 모드들은 예측하려는 방향에 따라 크게 예측 모드 0 ~ 8까지로 구분한다.
상기 블록들마다 상기 예측 모드 0 ~ 8을 모두 적용하여 각각에 대한 SAE (Sum of Absolute Error)를 구하고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를 가지는 예측 모드를 최종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에서는 예측하려는 블록에 모든 예측 모드들을 적용하여 SAE 를 계산한 후에 최소의 SAE를 갖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함으로써, 예측하려는 블록들마다 모든 예측 모드들을 적용하여 계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H.264/AVC (Advanced Video Coding)에서 사용되는 예측 모드 0 ~ 8 보다는 작은 수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 중에서 최소의 SAE (Sum of Absolute Error)를 갖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에 따라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대한 SAE 값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SAE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 중에 어느 하나의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는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에 따라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대한 SAE 값들을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SAE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 및 상기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 선택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100)는 결정부(110), 연산부(120), 선택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부(110)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만큼의 데이터 단위 예를 들어, 프레임 단위 또는 8라인 데이터 단위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20)는 상기 출력된 예측 모드들에 따라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대한 SAE 값들을 계산하여 계산된 SAE 값들을 출력한다.
상기 선택부(130)는 상기 출력된 SAE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어느 하나의 예측 모드를 최종적인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140)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 은 4*4 픽셀 휘도 (Luminance) 블록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를 검출하는 단계(S210),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S220), 예측하려는 블록에 대한 SAE 값들을 계산하는 단계(S230), 및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모리(140)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결정부(110)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를 검출하여(S210)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들을 근거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한다(S220).
이와 같이 저장된 예측 모드들을 미리 결정하는 원리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측하려는 블록과 이에 인접한 블록들 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을 C로, 이에 인접한 블록들 즉,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을 각각 A, B로 설정하면 상기 설정된 상위 블록(A)와 좌측 블록(B)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C)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예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측 모드의 종류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블록들을 예측하기 위해 H.264/AVC (Advanced Video Coding)에서 사용되는 예측 모드 0 ~ 8들을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측 모드들에 설정되는 방향 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예측 모드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예측 모드 2 -> 8 -> 1 -> 6 -> 4 -> 5 -> 0 -> 7 -> 3)순이나 반시계 방향(예측 모드 2 -> 3 -> 7 -> 0 -> 5 -> 4 -> 6 -> 1 -> 8)순으로 각 방향에 대응하도록 순차적인 방향 값(0, 1, 2, …,7, 8)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위 블록(A)의 방향이 예측 모드 1이고 상기 좌측 블록(B)의 방향이 예측 모드 0이면 상기 예측 모드 1에는 방향 값 '2'가 상기 예측 모드 0에는 방향 값 '6'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는 |A-B| = 4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검출한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다음의 표 1과 같이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예측 하려는 블록의 방향이 상기 인접한 블록의 방향과 유사하다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반영한 결과이다.
(표 1)
방향 차이 결정된 예측 모드들
| A - B | = 0 An -1, An, An +1
| A - B | = 1 An -1, An, Bn, Bn +1
| A - B | = 2 An -1, An, An +1, Bn, Bn +1
| A - B | >= 3 An -1, An, An +1, Bn -1, Bn, Bn +1
여기서, 예측 모드들에서 An는 상위 블록(A)의 방향 값을, An -1은 상위 블록(A)의 방향에 설정된 방향 값에서 '1'을 뺀 값에 대응하는 방향 값을, An +1은 상위 블록(A)의 방향에 설정된 방향 값에서 '1'을 더한 값에 대응하는 방향 값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예측 모드들에서 Bn는 좌측 블록(B)의 방향 값을, Bn -1은 좌측 블록(B)의 방향에 설정된 방향 값에서 '1'을 뺀 값에 대응하는 방향 값을, Bn +1은 좌측 블록(B)의 방향에 설정된 방향 값에서 '1'을 더한 값에 대응하는 방향 값을 각각 의미한다.
상기 표 1을 사용함으로써 화질 저하의 문제는 없으나 전송되는 비트율(Bit Rate)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다음의 표 2와 같이 설정할 수도 있다.
(표 2)
방향 차이 결정된 예측 모드들
| A - B | = 0 An -2, An -1, An, An +1, An +2
| A - B | = 1 An -2, An -1, An, Bn, Bn +1, Bn +2,
| A - B | = 2 An -2, An -1, An, An +1, Bn, Bn +1, Bn +2
| A - B | = 3 An -2, An -1, An, An +1, An +2, Bn, Bn +1, Bn +2
| A - B | >= 4 An -2, An -1, An, An +1, An +2, Bn -1, Bn, Bn +1, Bn +2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미리 결정된 예측 모드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상기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가 |A-B| = 0 이고 상기 상위 블록(A)와 상기 좌측 블록(B)의 방향이 예측 모드 1의 방향일 때, 상기 예측 모드 1에는 방향 값 '2'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은 방향 값 '1(An-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8, 방향 값 '2'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1(An), 및 방향 값 '3(An +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6을 각각 나타낼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가 |A-B| = 1 이고 상기 상위 블록(A)의 방향이 예측 모드 1의 방향이고 상기 좌측 블록(B)의 방향이 예측 모드 6 의 방향일 때,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은 상기 예측 모드 1에는 방향 값 '2'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 값 '1(An -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8, 방향 값 '2'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1(An)과 상기 예측 모드 6에는 방향 값 '3'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은 방향 값 '3(Bn)대응하는 예측 모드 6, 방향 값 '4(Bn+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4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셋째로, 상기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가 |A-B| = 2 이고 상기 상위 블록(A)의 방향이 예측 모드 1의 방향이고 상기 좌측 블록(B)의 방향이 예측 모드 4의 방향일 때,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은 상기 예측 모드 1에는 방향 값 '2'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 값 '1(An -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8, 방향 값 '2(An)'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1, 방향 값 '3(An +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6과 상기 예측 모드 4에는 방향 값 '4'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은 방향 값 '4(Bn)'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4, 방향 값 '5(Bn +1)'에 대응하는 예측모드 5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넷째로, 상기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가 |A-B| >= 3 이고 상기 상위 블록(A)의 방향이 예측 모드 1의 방향이고 상기 좌측 블록(B)의 방향이 예측 모드 5의 방향일 때,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은 상기 예측 모드 1에는 방향 값 '2'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 값 '1(An -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8, 방향 값 '2(An)'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1, 방향 값 '3(An +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6과 상기 예측 모드 5에는 방향 값 '5'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은 방향 값 '4(Bn-1)'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4, 방향 값 '5(Bn)'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5, '6(Bn+1)'에 대응하는 예측모드 0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이 예측 모드들을 미리 결정할 때, 상기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를 더욱 세분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결정된 예측 모드들의 개수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없는 임의의 프레임 내의 가장 상위의 수평 방향 블록들이나 가장 좌측의 수직 방향 블록들은 예외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임의의 프레임의 첫번째 블록(M)일 때 인접한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 즉, 예측 모드 2를 상기 예측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임의의 프레임의 첫번째 블록을 제외한 가장 상위의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블록들(Hn)일 때 상위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들 즉, 예측 모드 1, 2, 8을 상기 예측 모드들로 결정하며,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임의의 프레임의 첫번째 블록을 제외한 가장 좌측의 수직 방향에 해당하는 블록들(Vn)일 때 좌측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들 즉, 예측 모드 0, 2, 3, 7을 상기 예측 모드들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20)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에 따라 상기 예측하려는 4*4 휘도 블록에 대한 SAE 값들을 계산하는데(S230), 상기 SAE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6066916963-PAT00001
여기서, 상기 curr(x,y)는 상기 예측하려는 현재 블록의 입력 데이터를 나타내고 상기 pred(x,y)는 예측 모드들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예측 모드들의 데이터는 H.264/AVC의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예측 모드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4*4 픽셀 휘도 블록 데이터이다.
결국, 상기 선택부(130)는 상기 계산된 SAE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최종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S240).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는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다수 개의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들 중에서 최소의 SAE (Sum of Absolute Error)를 갖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에 따라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대한 SAE (Sum of Absolute Error) 값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SAE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블록들은,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하나의 상위 블록과 하나의 좌측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결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개수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H.264/AVC에서 사용하는 예측 모드들에 대응하도록 방향 값들을 설정하여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들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은,
    상기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들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가 '0'일 때, 상기 상위 블록이나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와 상기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방향 값과의 차이 값의 절대 값이 '1'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은,
    상기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가 '0'이 아닐 때, 상기 상위 블록의 예측 모드와 상기 예측 모드의 방향 값과의 차이 값의 절대 값이 '1' 이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은,
    상기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가 '0'이 아닐 때, 상기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와 상기 예측 모드의 방향 값과의 차이 값의 절대 값이 '1' 이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임의의 프레임의 첫번째 블록일 때 인접한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를 상기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는,
    H.264/AVC에서 사용하는 예측 모드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임의의 프레임의 첫번째 블록을 제외한 가장 상위의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블록일 때 상위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들을 상기 예측 모드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들은,
    H.264/AVC에서 사용하는 예측 모드 1, 2,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임의의 프레임의 첫번째 블록을 제외한 가장 좌측 의 수직 방향에 해당하는 블록일 때 좌측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들을 상기 예측 모드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블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드들은,
    H.264/AVC에서 사용하는 예측 모드 0, 2, 3,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4*4 휘도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6. 제 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에 어느 하나의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Sum of Absolute Error)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9.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에 따라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대한 SAE (Sum of Absolute Error) 값들을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SAE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이 최소의 SAE 값을 가지는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블록들은,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하나의 상위 블록과 하나의 좌측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의 방향 차이 정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개수의 예측 모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H.264/AVC에서 사용하는 예측 모드들에 대응하도록 방향 값들을 설정하여 상기 예측하려는 블록에 인접한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들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은,
    상기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들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가 '0'일 때, 상기 상위 블록이나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와 상기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방향 값과의 차이 값의 절대 값이 '1'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은,
    상기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가 '0'이 아닐 때, 상기 상위 블록의 예측 모드와 상기 예측 모드의 방향 값과의 차이 값의 절대 값이 '1' 이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예측 모드들은,
    상기 상위 블록과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방향 값의 차이가 '0'이 아닐 때, 상기 좌측 블록의 예측 모드와 상기 예측 모드의 방향 값과의 차이 값의 절대 값이 '1' 이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4*4 휘도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장치.
KR1020060089802A 2006-09-15 2006-09-15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4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802A KR100845209B1 (ko) 2006-09-15 2006-09-15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802A KR100845209B1 (ko) 2006-09-15 2006-09-15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244A true KR20080025244A (ko) 2008-03-20
KR100845209B1 KR100845209B1 (ko) 2008-07-10

Family

ID=3941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802A KR100845209B1 (ko) 2006-09-15 2006-09-15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2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807B1 (ko) * 2008-01-03 2010-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KR101128580B1 (ko) * 2009-04-09 2012-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면내 예측 시스템에서 최적 모드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091461A2 (ko) * 2010-12-28 2012-07-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변블록의 특징벡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75286B1 (ko) * 2013-01-18 2014-1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처리 장치
CN109510996A (zh) * 2018-10-26 2019-03-22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带宽压缩中的后选择预测方法
CN109618162A (zh) * 2018-10-26 2019-04-12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带宽压缩中的后选择预测方法
CN109640092A (zh) * 2018-10-26 2019-04-16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带宽压缩中的后选择预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120A (ko) * 2002-03-08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동영상 인트라 예측모드 구현방법
JP2004304724A (ja) * 2003-04-01 2004-10-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とその方法、並びに符号化装置
KR20060008523A (ko) * 2004-07-21 200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807B1 (ko) * 2008-01-03 2010-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KR101128580B1 (ko) * 2009-04-09 2012-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면내 예측 시스템에서 최적 모드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091461A2 (ko) * 2010-12-28 2012-07-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변블록의 특징벡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2091461A3 (ko) * 2010-12-28 2012-10-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변블록의 특징벡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3299639A (zh) * 2010-12-28 2013-09-11 Sk电信有限公司 利用周围块的特征向量对图像编码/解码的方法和装置
US9497454B2 (en) 2010-12-28 2016-11-15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 using feature vectors of surrounding blocks
KR101475286B1 (ko) * 2013-01-18 2014-1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처리 장치
CN109510996A (zh) * 2018-10-26 2019-03-22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带宽压缩中的后选择预测方法
CN109618162A (zh) * 2018-10-26 2019-04-12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带宽压缩中的后选择预测方法
CN109640092A (zh) * 2018-10-26 2019-04-16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带宽压缩中的后选择预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209B1 (ko)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5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signal
US7778459B2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208863B1 (ko) 비디오 데이터의 인코딩을 위한 인코딩 유형 및 예측 모드 선택
KR100845209B1 (ko)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8059717B2 (en) Image cod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ntra prediction using specified H.264 prediction modes in specified scan order
US20050089094A1 (en) Intra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10274208A1 (en) Merge with mvd for affine
KR101633443B1 (ko) 휘도 평가
US10652570B2 (en) Moving image encoding device, moving image en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moving image encoding program
KR20080054400A (ko) 모션 벡터 선택
EP3941064A1 (en) Image decoding device, image decoding method, and program
US10638155B2 (en)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pparatus for video decoding,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349050B2 (en) Image coding apparatus, image 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277231B2 (en) Picture coding apparatus, picture coding program, picture decoding apparatus, and picture decoding program
US8718391B2 (en) Random access image encod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26360A (ko) 비디오 정보를 압축/압축해제하기 위한 방법
TW202325024A (zh) 影像處理裝置、及影像處理方法
CN112995661B (zh) 图像编码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001159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プログラム
JP6985924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符号化方法
JP5649539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2175155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CN101682782B (zh) 运动图像编码方法
US20230164310A1 (en) Bitstream decoder
JP2010050860A (ja) 画像表示装置、録画再生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