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582A -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582A
KR20080024582A KR1020060088850A KR20060088850A KR20080024582A KR 20080024582 A KR20080024582 A KR 20080024582A KR 1020060088850 A KR1020060088850 A KR 1020060088850A KR 20060088850 A KR20060088850 A KR 20060088850A KR 20080024582 A KR20080024582 A KR 20080024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sharing
network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1275B1 (ko
Inventor
배수영
김은영
조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8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2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84Data processing by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셋톱박스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가능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 각각에 탑재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공유 장치에 탑재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공유를 수행하는 컨텐츠 공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또는 사무실) 내에 존재하는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PC, PDA, PMP, MP3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디지털 기기에 존재하는 사진, 비디오, 오디오 등의 AV컨텐츠, 게임등의 다양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원격 공유할 수 있다.
원격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컨텐츠 제공 장치, 컨텐츠 공유 장치

Description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haring remote contents in small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공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101: 컨텐츠 제공 장치 104: 컨텐츠 공유 장치
210: 컨텐츠 공유 모듈 211: 정보 공유 네트워크 접속부
212: 기기 탐색 및 인지부 213: 컨텐츠 정보 분석부
214: 컨텐츠 수신부 215: 사용자 인터페이스
220: 컨텐츠 제공 모듈 221: 정보 제공 네트워크 접속부
222: 기기상태 정보 제공부 223: 컨텐츠 정보 제공부
224: 컨텐츠 전송부
본 발명은 가정과 같은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주변 컨텐츠 제공 장치(네트워크 기기)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원격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 및 자동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셋톱박스(Set Top Box: STB)는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기존 셋톱박스 응용으로 외부 인터넷 접속 응용과 디지털 TV 수신 응용을 들 수 있다. 외부 인터넷 접속 응용은 인터넷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 서버에 접속하여 VOD, 웹서핑,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디지털 TV 수신 응용은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고화질 TV 컨텐츠를 제공하고 EPG와 같은 데이터 방송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가전제품, 냉난방기기, 에너지 제어 및 방범 서비스 등과 같은 홈 오토메이션도 기존 셋톱 박스 응용으로 다수 개발되어 있다.
상기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이 개발되어 있으나, 가정 내 또는 사무실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면,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형 컴퓨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디지털 가전기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존재하는 셋톱박스의 응용과 달리,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 존재하는 각종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셋톱박스와 같은 기기를 통해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외부 인터넷 접속 및 디지털 TV수신 기능과 달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디지털 AV 컨텐츠와 컴퓨터 게임 및 PC, PDA, PMP, 모바일 데스크톱 화면 등의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검색 및 자동 탐지하여 즐길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 각각에 탑재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공유 장치에 탑재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를 확 인하고, 상기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공유를 수행하는 컨텐츠 공유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탐색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및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및 정보가 분석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여 목록화하는 단계; e) 상기 목록화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재생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재생기기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자동 공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인 네트워크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홈 네트워크(103)에 접속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와 컨텐츠 공유 장치(104)가 마련된다. 컨텐츠 제공 장치(101)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이 실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기능 및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예를 들면,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타입의 컴퓨터, PDA, PMP, MP3, 디지털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며, 컨텐츠 공유장치(104)는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셋톱박스(STP; Set Top Box), 홈서버, 홈시어터 PC 또는 엔터테인먼트 PC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컨텐츠 공유 장치(104)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01)에 존재하는 사진, 이미지, 음악, 동영상, 화면 등과 같은 AV 컨텐츠 및 게임 컨텐츠(102)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공유 장치(104)에서 공유되는 AV 컨텐츠 및 게임 컨텐츠(102)는, 청각적 및 시각적 중 적어도 하나로 재생할 수 있는 재생기기(105)(예를 들면, TV 등)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은 컴퓨터, 모바일 폰, PDA,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컨텐츠 제공 장치(101)에 탑재되어 있는 컨텐츠 제공 모듈(220)과 셋톱박스와 같은 컨텐츠 공유 장치(104)에 탑재되어 있는 컨텐츠 공유 모듈(2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공유 모듈(210)은 가정(또는 사무실) 내 여러 네트워크 기기(디지털 가전기기)로부터 컨텐츠(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제공받는 셋톱박스와 같은 기기에 탑재되는 모듈이다. 컨텐츠 공유 모듈(210)은 가정(또는 사무실) 내의 컨텐츠 제공 장치(101)와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 정보 공유 네트워크 접속부(211),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탐색 및 인지를 위한 기기 탐색 및 인지부(212), 컨텐츠 제공 장치(101)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분석부(213),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컨텐츠 수신부(21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15)를 포함한다.
컨텐츠 공유 모듈(21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 원리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컨텐츠 제공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해 마련된 정보 공유 네트워크 접속부(211)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다른 기기(컨텐츠 제공 장치 등)와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 하부 프레임 워크로, 일반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인터넷 프로토콜이외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1)를 탐색하기 위한 기기 탐색 및 인지부(212)는 정보 공유 네트워크 접속부(211)에서 지원해주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마련된 컨텐츠 제공 장치(101)들과 통신하여 해당 기기들의 현재 상태(예컨대, 기기의 온/오프, 컨텐츠 정보 제공 가능 여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전달 방식 등)를 탐색하고 인지한다. 다음, 컨텐츠 정보 분석부(213)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다양한 컨텐츠(102, 예를 들면, 이미지, 사진, 오디오, 비디오, 게임 등)의 목록 및 그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컨텐츠 명칭, 해상도, 파일 포맷 및 인코딩 방식, 생성 날짜, 게임의 버전 등의 표현 및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분석하고 체계화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준다.
컨텐츠 수신부(214)는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정보 분석부(213)를 통해 체계화된 컨텐츠 목록을 탐색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이미 분석된 해당 컨텐츠의 정보를 사용하여 원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접속 방법 및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접속 방법 및 공유 방법이 확인되면, 컨텐츠 수신부(214)는 해당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장치(101)로부터 획득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기기(105, 도 1 참조)에 전송한다.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 재생기기(105)는 사용자를 위해 컨텐츠를 재생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은 다운로드, 스트리밍, 프로토콜 공유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각 수신 방식마다 FTP, HTTP, RTP, RTSP, VNC, XRT 등의 다양한 표준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 셋 톱 박스(104) 내의 컨텐츠 공유 모듈(210)과 연동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220)은 정보 제공 네트워크 접속부(221)와,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상태를 제공하는 기기 상태 정보 제공부(222)와, 컨텐츠 제공 장치(101)가 가진 현재 컨텐츠를 컨텐츠 공유 모듈(210)의 컨텐츠 정보 분석부(213)에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제공부(223)와, 컨텐츠 공유 모듈(210)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제공 네트워크 접속부(221)는 컨텐츠 공유 모듈(210)의 정보 공유 네트워크 접속부(211)와 마찬가지로 다른 기기(예, 컨텐츠 공유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하부 프레임 워크로, 일반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이 대표적이지만,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기기 상태 정보 제공부(222)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현재 접속되어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컨텐츠 공유 모듈(210)에 제공하는 것으로, 기기의 상태 정보란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여부, 컨텐츠를 공유하는 서비스의 제공 여부 등이다.
컨텐츠 정보 제공부(223)는 현재 컨텐츠 제공 장치(101)가 가진 오디오/비디오 컨텐츠 및 게임, 화면 등의 컨텐츠 상세 목록 및 해당 컨텐츠 정보 공유 즉, 재생을 위해 필요한 상세 정보, 예를 들면, 컨텐츠 명칭, 해상도, 파일 포맷, 인코딩 방식, 생성 날짜 등을 컨텐츠 공유 모듈(210)의 컨텐츠 정보 분석부(213)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컨텐츠 전송부(224)는 컨텐츠 공유 모듈(21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목록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때, 선택된 컨텐츠를 가장 유용한 전송방식에 따라 컨텐츠 공유 모듈(210)에 전송한다.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다운로드, 스트리밍, 프로토콜 공유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각 방식마다 FTP, HTTP, RTP, RTSP, VNC, XRT 등의 다양한 표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01)와 컨텐츠 공유 장치(104) 간의 컨텐츠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제공 모듈(220)과 컨텐츠 공유 모듈(210) 간의 동작 관계를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를 공유하는 컨텐츠 공유모듈(210)을 탑재한 컨텐츠 공유 장치(104)인 셋 탑 박스가 구동되면, 컨텐츠 공유 모듈(220)에 마련된 기기 탐색 및 인지부(212)는 현재 네트워크 기반 하에서 컨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가 존재하는 지(어떤 종류인지)를 탐색한다(S301). (S301) 단계에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가 탐색 되면, 탐색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존재 및 상태를 분석한다(S302).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제공 모듈(220)에 마련된 기기 상태 정보 제공부(222)를 통해서 제공받는다.
단계(S302)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상태가 분석되면, 해당 컨텐츠 제공 장치(101)가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구한다(S303). 다음 단계에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 및 분류하여 목록화한다(S304). (S304)에서 컨텐츠 정보가 목록화되면, 목록화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디스플레이)한다(S305). 상기 컨텐츠 정보를 분석 하고 분류하여 목록화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04, S305)는 컨텐츠 정보 분석부(213)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컨텐츠 정보 분석부(213)는 컨텐츠 제공 장치(101)에 저장된 이미지, 사진, 오디오, 비디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목록 및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체계화한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 사용자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 목록에서 컨텐츠를 선택하 면(S306), 선택된 컨텐츠가 존재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220)에 마련된 컨텐츠 전송부(224)에 연결한다(S307). 다음, 컨텐츠 공유 모듈(210)은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220)에 마련된 컨텐츠 전송부(224)로부터 전달되는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재생한다(S308). 전달된 컨텐츠는 컨텐츠 공유 모듈(210)에 마련된 컨텐츠 수신부(214)를 통해 재생된다. 상기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사진 등의 AV컨텐츠 또는 PC나 PDA등에 있는 게임 컨텐츠 등을 포함한다. 이들 컨텐츠는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전송방식(예를 들면,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을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원하는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다음 단계에서는 서비스를 종료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9).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를 선택하면,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을 종료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를 선택하지 않으면, 다른 컨텐츠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310).
단계 (S310)에서,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를 선택할 것을 결정하면, 단계 (S305)로 돌아가서 (S305)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S310)에서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컨텐츠 목록을 갱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11). 단계 (S311)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목록의 갱신을 선택하면, (S303)단계로 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하지만, 사용자가 컨텐츠 목록의 갱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자동적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정보를 갱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12). (S312) 단계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1)의 갱신이 요청되면, 시스템은 처음으로 돌아가서 (S301)부터 흐름을 계속하고, 그렇 지 않으면, 시스템을 종료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선, 단계 (S310)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거나, 단계 (S311)에서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S310, S311)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없으면, 시스템을 종료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통해, 가정(또는 사무실)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 장치(네트워크 기기)는 현재 온/오프 상태와 각각의 정보 제공 기기가 소유한 다양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해당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체계화하여 사용자에 보여 줄 수 있다. 상기 과정은 각 단계별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특정한 장소(거실 또는 방 등)에 앉아서 가정(또는 사무실)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및 그들이 소유하는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정보 목록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 재생에 맞는 전송방식을 선택하여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의 서버에 연결하고,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에 관계없이 컨텐츠(사진, 이미지. 동영상, 비디오, 오디오 등의 AV컨텐츠, 게임 또는 화면 컨텐츠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가정(또는 사무실) 내에 존재하는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PC, PDA, PMP, MP3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디지털 기기에 존재하는 사진, 비디오, 오디오 등의 AV컨텐츠, 게임등의 다양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원격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엔터테인먼트 컨텐츠가 존재하는 네트워크 디지털 기기의 위치에 상관없이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목록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고, 해당 기기로의 위치 이동 없이 원하는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재생 또는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 각각에 탑재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공유 장치에 탑재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공유를 수행하는 컨텐츠 공유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 공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 제공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상태를 상기 컨텐츠 공유 수단에 제공하는 기기 상태 정보 제공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상세정보를 상기 컨텐츠 공유 수단에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공유 수단에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상세정보는 컨텐츠 명칭, 해상도, 파일 포맷, 인코딩 방식 및 생성 날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 공유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기 탐색 및 인지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들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목록 및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및 체계화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해 상기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제공 장치에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기기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형 컴퓨터(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모바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및 디지털 카메라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디바이스이며,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장치는, 셋톱박스(set-top box), 홈서버, 홈시어터 PC 또는 엔터테인먼트 PC인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진, 오디오 및 비디오를 포함하는 AV 컨텐 츠, 게임 컨텐츠 및 화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9.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탐색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가 분석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여 목록화하는 단계;
    e) 상기 목록화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재생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재생기기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
KR1020060088850A 2006-09-14 2006-09-14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085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50A KR100851275B1 (ko) 2006-09-14 2006-09-14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50A KR100851275B1 (ko) 2006-09-14 2006-09-14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582A true KR20080024582A (ko) 2008-03-19
KR100851275B1 KR100851275B1 (ko) 2008-08-08

Family

ID=3941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850A KR100851275B1 (ko) 2006-09-14 2006-09-14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27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399A1 (en) * 2008-07-01 2010-0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Display configuration method for a remote visualization system
KR101037941B1 (ko) * 2007-03-30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간 컨텐츠 공유 장치 및방법
KR20120026702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20065602A (ko) * 2010-12-13 201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 박스에서 전력 절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73946B1 (ko) * 2010-11-04 2012-08-14 전자부품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US8401060B2 (en) 2009-10-14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of sharing data using transmission order
US8612636B2 (en) 2009-08-2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9514395B2 (en) 2009-08-21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11115261B2 (en) 2012-04-03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 by using plurality of storag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437B1 (ko) * 2004-08-14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41B1 (ko) * 2007-03-30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간 컨텐츠 공유 장치 및방법
US8560497B2 (en) 2007-03-30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home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ome network device
WO2010002399A1 (en) * 2008-07-01 2010-0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Display configuration method for a remote visualization system
US8612636B2 (en) 2009-08-2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9514395B2 (en) 2009-08-21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9857963B2 (en) 2009-08-21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10353561B2 (en) 2009-08-21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US8401060B2 (en) 2009-10-14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of sharing data using transmission order
KR20120026702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173946B1 (ko) * 2010-11-04 2012-08-14 전자부품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KR20120065602A (ko) * 2010-12-13 201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 박스에서 전력 절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115261B2 (en) 2012-04-03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 by using plurality of sto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275B1 (ko)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275B1 (ko)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102253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iling and organizing multiple episodes of media content series
US20080201751A1 (en) Wireless Media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US7107605B2 (en) Digital image fram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2400734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caching media content
US20080259818A1 (en) Home-to-home delivery of media content via cable
KR101771003B1 (ko) 컨텐츠 출력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코덱 정보 공유 방법
US20110302603A1 (en) Content output system, content output method, program, terminal device, and output device
US20100169514A1 (en) Picture push
CN103036922A (zh) 不同电子终端中媒体文件连续浏览的方法及电子终端
CN104081725A (zh) 用于在接收设备上播放数据流的控制系统
EP2464137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s searching method thereof
CN104333768A (zh) 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4301778A (zh) 数据获取的方法、装置及系统
Lo et al. Controlling digital TV set-top box with mobile devices via an IP network
KR20110020453A (ko)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00037469A (ko) 인터넷 개인방송국 자동생성 및 생중계 검색 방법
EP3041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episodes of media content series
KR101445412B1 (ko) 미디어 컨텐츠 전달 시스템, 입력 수신 장치, 관련 장치, 미디어 전달 장치 및 사용자 터미널
US9137553B2 (en) Content server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CN102110133B (zh) 使用通用即插即用显示文档内容的系统和方法
US8863195B2 (en) Media manager
KR20120071159A (ko)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0789765B1 (ko) 주방폰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11351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