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340A - 골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골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340A
KR20080023340A KR1020087000487A KR20087000487A KR20080023340A KR 20080023340 A KR20080023340 A KR 20080023340A KR 1020087000487 A KR1020087000487 A KR 1020087000487A KR 20087000487 A KR20087000487 A KR 20087000487A KR 20080023340 A KR20080023340 A KR 20080023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rmulation
molecular weight
powder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676B1 (ko
Inventor
릭 코웰스키
다이안 베이커
Original Assignee
드파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파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드파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2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6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47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4/0073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with a macromolec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47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4/0073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with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4/008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with a macromolecular matrix containing fillers of phosphorus-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e.g. 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골 시멘트 조성물은, 분자량이 250 이상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고분자량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분자량이 250 미만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일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분자량 200,000 이상의 중합체 간의 중합 반응 생성물(a) 및 당해 시멘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4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무기 충전제(b)를 함유한다.
골 시멘트 조성물, 중합 반응 생성물, 무기 충전제.

Description

골 시멘트 조성물{Bone cem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골 시멘트 조성물용 제형에 관한 것이다. 당해 조성물은 자연 변성 및 외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과정으로부터 둘 다 발생하는 골 결손 또는 골절의 치료와, 보철물 및 기타 임플란트 제품의 고정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과용 과정에 사용하기 위한 골 결합용 시멘트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정형외과 적용시 우수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안정하고, 강하게 고정시키는 골 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골 시멘트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회 시도되었다. 글라스 이오노머 시멘트(glass ionomer cement)는 치과학에서 사용되지만, 정형외과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다. 인산칼슘 시멘트는 종종 핀 또는 나사 등의 사용 없이 체중 부하 표시(weight-bearing indication)에 사용되기에 너무 약하다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비스-GMA) 내에 제3인산칼슘(TCP)을 높은 하중으로 함유하는 시멘트 제형이 시도되었으나, 단량체의 친수성 성질로 인해 제3인산칼슘이 많은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단량체는 우수한 골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에는 TCP를 너무 빨리 재흡수 또는 용해시킨다. 친수성 단량체들이 도우(dough)를 형성 하기 위해 충분하게 중합체 분말을 공격할 수 없기 때문에, 친수성 단량체, 예를 들면, 비스-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UDMA)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THFMA)가 페이스트 시스템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는 추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 결과, 이들 단량체로 구성된 시멘트는 우수한 접합을 위한 바람직한 취급 특성을 갖지 않는다. 취급 특성이 불량하고 분말이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제형 내의 무기 물질 분말을 50%(건식 중량 기준) 이상 갖는 시멘트를 제형하는 것도 어렵다. 페이스트 시스템을 살균하기가 어렵다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액체 성분 및 분말 성분을 포함하는 골 시멘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분말 성분의 구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액체 성분을 제형화하였다.
따라서,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분자량이 250 이상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고분자량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35중량%, 분자량이 250 미만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일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35중량% 및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3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을 제공한다.
본원에 언급된 분자량 값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제형의 30 내지 90중량%를 구성하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제형은 단량체 분자 사이의 중합 반응용 활성제를 포함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무기 충전제를 분말 제형의 20 내지 85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분자량 200,00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분말 제형의 15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골 시멘트 제조용 분말 제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제형은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 반응용 개시제를 포함한다. 개시제는 분말 제형의 0.10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액체 제형을 상기한 분말 제형과 분말 1.9 내지 2.9중량부 대 액체 1.0중량부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골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분자량이 250 이상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고분자량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분자량이 250 미만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일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분자량 200,000 이상의 중합체 간의 중합 반응 생성물(a) 및 당해 시멘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4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무기 충전제(b)를 포함하는 골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골 시멘트는 액체 제형 및 분말 제형의 중합가능한 성분 사이의 공중합 반응에 의해 상기한 액체 및 분말 제형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반응에 의한 시멘트의 형성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당해 반응은 공지된 바와 같이, 적 합한 활성제 또는 개시제, 또는 이들 둘 다에 의한 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은 액체 제형과의 접촉시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개시제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개시제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면,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포함한다. 개시제는 분말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개시제가 분말 제형으로 제공된다면, 바람직하게는 분말 제형의 약 0.10중량% 이상의 양,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개시제는 분말 제형의 약 2.0중량% 미만, 보다 발마직하게는 약 1.0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반응의 개시는 활성제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활성제의 예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또는 N,N-디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을 포함한 특정 3급 아민이 포함된다. 활성제가 액체인 경우, 몇몇 시스템에서 이것을 액체 제형의 성분으로서 제공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이후, 중합 반응은, 분말과 액체의 물리적 혼합 동안 개시제와 활성제가 서로 접촉하게 될 때 개시될 수 있다.
액체 제형이 억제제도 포함하고 단랸체 성분의 중합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정상 저장 조건하에 특정 단량체(예: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관찰될 수 있는 자발적인 중합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적합한 억제제는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하이드로퀴논 및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을 포함한다. 억제제는 0.00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분말 제형 내의 고분자량 중합체는 액체 제형 내의 중합가능한 성분과 분말 제형 내의 고분자량 중합체 사이에 상호침투 망상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액체 제형의 중합가능한 성분의 중합에 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제형 내의 고분자량 중합체 또는 액체 제형 내의 장쇄 단량체,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각각은 가교결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어야 한다. 가교결합은 경화된 시멘트에 구조적 완전성을 부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제형 내의 고분자량 중합체는, 예를 들면, 용액 또는 겔을 형성하기 위해 액체 제형과 분말 제형을 혼합하는 경우, 액체 제형에 가용성이다. 혼합물의 특징은 무기 충전제의 존재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분말의 액체 내로의 용해에 의한 겔 형성은, 예를 들면, 혼합된 성분에 도우형 또는 페이스트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우수한 취급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액체 제형 내의 바람직한 장쇄 단량체는 친수성 그룹을 함유해야 한다. 바람직한 장쇄 단량체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비스-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비스-GMA),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단쇄 단량체는 친수성 그룹을 함유해야 한다. 바람직한 일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예는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THFM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제형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장쇄 및 단쇄 단량체에 존재하는 친수성 그룹의 예에는 산소 함유 그룹 및 질소 함유 그룹이 포함된다. 구체적인 그룹에는 산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및 아민 또는 아미드 그룹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제형 내의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공급원으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을 환자에 이식하는 경우, 시멘트 조성물로부터 칼슘 이온을 걸러낼 수 있다. 칼슘 이온의 방출은 강하게 고정시키는 골 반응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골 시멘트 내의 기공 내로의 골 조직의 성장을 자극하여, 당해 물질이 경화된 후에 시멘트 물질로부터 칼슘 이온을 걸러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충전제의 혼입은 조성물을 "생활성"이도록 한다.
바람직한 충전제는 인산칼슘[예: β-제3인산칼슘 (β-TCP)], 황산칼슘 및 바이오글라스 조성물(bioglass composition)을 포함한다. 시멘트의 표면에 서서히 재흡수되지만, 골전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빨리 시멘트가 재흡수 또는 용해리되지 않도록 칼슘 함유 화합물 조성물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할 것이다. 시멘트의 분해는 허용될 수 없을 정도로 발생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충전제는 분말 제형의 약 2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이상, 특히 약 50중량% 이상의 양으로 분말 제형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제는 분말 제형의 약 9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5% 미만, 특히 약 75중량% 미만의 양으로 분말 제형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되는 분말 및 액체 제형의 중량 비는 약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9 이상, 특히 약 2.0 이상, 예를 들면, 약 2.12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비의 값은 약 3.2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9 미만, 특히 약 2.75 미만, 예를 들면, 약 2.57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조성물 내의 충전제의 양은 당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중량% 이상, 특히 약 40중량% 이상, 예를 들면, 약 50중량% 이상 또는 약 51중량%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조성물 내의 충전제의 양은 당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70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5중량% 미만, 특히 약 63중량% 미만, 예를 들면, 약 55중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충전제는 베커만 컬쳐(Beckman Coulter)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약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이상 중간 입자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충전제 입자의 크기는 약 2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미만이다.
분말 내의 고분자량 중합체는 단일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배합물일 수 있다. 경화되기 전 기간에 앵커 층(anchor layer)의 물질의 점도를 개질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도우형 조도(dough-like consistency)를 성취하기 위해, 점성 단량체는 액체 제형 내의 중합가능한 성분과 분말 제형 내의 고분자량 중합체과 함께 사용된다. 적합한 중합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공중합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에 의한 단량체로 구성되고, 이러한 단량체는 스티렌,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메틸 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한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제형 내의 고분자량 중합체의 분자량(수 평균)은 약 200,000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의 분자량은 약 500,0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0,00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중합체는 분말 제형 내의 분말 제형의 약 1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이상, 특히 약 40%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중합체는 분말 제형의 약 85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미만, 특히 약 70% 미만의 양으로 분말 제형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ISO 5833 방법으로 측정한 생성된 골 시멘트의 압축 강도는 70MPa 이상이다.
칼슘 이온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충전제의 사용은 적어도 유리한 조건하에 골 성장을 자극하는 이점을 갖는다. 골은 장시간, 예를 들면, 6개월 이상에 걸쳐 수㎛의 깊이로, 예를 들면, 약 50㎛ 이상 또는 약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mm 이상의 깊이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더 큰 깊이, 예를 들면, 약 2mm 이상 또는 약 4mm 이상으로 시멘트 조성물 내로 성장시킬 수 있다.
분말 제형 내의 중합체 성분과 함께 액체 제형 내의 단량체의 배합물의 사용은, 높은 로딩으로 무기 충전제 물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시멘트 조성물에 유용한 취급 특성을 부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시멘트 조성물은 페이스트보다는 도우의 조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시멘트의 취급 특성이 현 외과용 접합 기술과 융합되도록 한다. 이는, 페이스트형 조도를 갖는 경향이 있는, 높은 비율(예를 들면, 50중량% 이상)의 충전제를 갖는 공지된 시멘트 조성물과 대조적일 수 있다.
시멘트에서 높은 로딩의 무기 충전제의 사용은 액체 성분에 사용된 단량체 혼합물의 사용에 의해 촉진된다. 본 발명의 단량체 혼합물은, 분말과 액체의 혼합시 형성된 충전제의 분산이 균일한 것을 보장한다. 선행 기술의 조성물의 단점은 혼합시 형성된 충전제의 분산이 균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론으로 제한함 없이, 본 발명에 사용된 단량체의 블렌드로서 발생하는 친수성 특성은 수화된 충전제의 분산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고 간주된다. 액체 단량체 혼합물이 충전제로부터의 칼슘의 용리 및 물 흡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영향이 유지되는 정도는 시멘트 조성물 및 액체 조성물의 총 단량체 양을 변환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시멘트 조성물은 선행 기술의 문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한다. 특히, 공지된 골 시멘트는 통상적으로 무기 분말 충전제 및 경화성 액체 단량체를 포함한다. 생성된 경화 시멘트가 너무 친수성이라면, 수용성 충전제(예: 인산칼슘)는 골 조직에 대해 우수하게 장시간 고정시키기 위해 너무 신속하게 재흡수 또는 용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문제가 최소화되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시멘트 조성물은 골 결손 치료 및 골절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자연 변성 및 외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증상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철물 및 기타 임플란트 제품의 고정시 특정 용도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의 특성은 기타 용도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 조직의, 특히 당해 물질이 경화된 후에 시멘트 물질의 표면에 가까운 칼슘 이온을 걸러내어 발생된 골 시멘트 내의 공극 내로의 성장을 자극하기 위한 당해 조성물의 능력은, 임플란트 물질로서 경화 후에 시멘트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후, 당해 물질의 특성은 임플란트의 고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자연 조직 내의 결손을 충족시키기 위해 환자의 골과 접촉하도록 임플란트를 위치시킨다. 이는, 골 내의 결손일 것이다. 당해 물질은 임플란트의 앵커 층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연골 결손에 대한 회복시 사용될 수 있다. 연골 회복 임플란트는 영국 특허원 제0514074.4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본원에 제출된 국제 특허원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원의 명세서에 기재된 대상은 이의 참조문헌으로 본원의 명세서에 인용되어 잇다.
본 발명은 지금부터 다음 실시예 의해 설명된다.
실시예 1
다음을 함유하는 분말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β-TCP 79.75
벤조일 퍼옥사이드 0.25
메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00
다음을 함유하는 액체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66.0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16.5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16.5
디메틸-p-톨루이딘 1.0
하이드로퀴논 50ppm
분말 2.13중량부 대 액체 체형 1중량부의 비로 분말 제형과 액체 제형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
다음을 함유하는 분말 성분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β-TCP 70.0
벤조일 퍼옥사이드 6.60
메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9.40
다음을 함유하는 액체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66.0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16.5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16.5
디메틸-p-톨루이딘 1.0
하이드로퀴논 50ppm
분말 2.33중량부 대 액체 체형 1중량부의 비로 분말 제형과 액체 제형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3
다음을 함유하는 분말 성분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β-TCP 79.5
인산이칼슘 중의 33% 벤조일 퍼옥사이드 0.8
메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9.7
다음을 함유하는 액체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66.0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16.5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16.5
디메틸-p-톨루이딘 1.0
하이드로퀴논 50ppm
분말 2.0중량부 대 액체 체형 1.0중량부의 비로 분말 제형과 액체 제형을 혼합하였다.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내에서 평가하였다. 180 내지 230g 무게의 8주된 위스타(Wistar) 래트를 이식 연구에 사용하였다. 체중 1kg당 40mg/kg으로 나트륨-5-에틸-5-(l-메틸부틸) 바비투레이트[넴부탈(Nembutal)로 공지되어 있으며, 일본 오사카 소재의 다이니폰 파마슈티컬 캄파니(Dainippon Pharmaceutical Co.)로부터 구입할 수 있음]의 복막내 주사에 의해 도입된 일반적인 마취를 수행하여 래트를 수술하였다. 2 ×7mm로 측정되는 피질 골 결손을 양 경골의 근위 골간단(proximal metaphysis)의 중간 측면에서 래트의 각각에 도입하고, 골수를 소파하였다. 골 결 손 둘 다의 척수내 도관을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페이스트형 시멘트를 랜덤하게 삽입하였다.
각 페이스트를 골전도의 평가를 위해 동일 반응계에서 경화시켰다. 실시예 3의 조성물에 대해 하나의 다리를, CMWl 조성물에 대해 하나의 다리를 사용하여 총 30마리의 래트를 평가하였다. CMWl은 드파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DePuy International Limited)로부터 시판중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골 시멘트이며,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여섯 마리 래트를 작업 후 각각 4주, 8주, 12주, 26주 및 52주 째에 희생시켰다.
실시예 3의 분말은 불활성 이인산칼슘 염기 및 β-TCP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벤조일 퍼옥사이드로 구성되었다. β-TCP의 평균 입자 크기는 8㎛이었다. 실시예 3의 액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디메틸-p-톨루이딘 및 하이드로퀴논으로 구성되었다. 분말 및 액체의 조성은 상기 실시예 3에 나타내었다. 분말 대 액체의 중량 비는 약 2.25이었다. β-TCP는 실시예 3의 시멘트의 총 중량의 약 50중량%(약 53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였다.
실시예 3의 분말 및 액체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시멘트는 각 시간 간격에서 시험편에서 연질 조직의 직접적인 개재 없이 골에 접촉시킬 수 있었다. 접촉 미세 영상은 이러한 시멘트가 직접 골에 접촉함을 나타내었다. CMWl과 골 사이에 연질 조직 층이 항상 존재한다. 또한, 골 조직의 실시예 3의 가장자리 시멘트 내로의 침입은 4주 내에 관찰되었고, 더 깊은 침입은 더 긴 시간 간격에서 관찰되었다고 밝혀냈다.
조직학적 발견은, 실시예 3의 시멘트는 생체적합성이며, 실시예 3의 시멘트 내로의 골 조직 침입은 시멘트 성분의 어떠한 치명적인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에서 알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시멘트는, 이식 4주 내에 시멘트 가장자리의 반 이상이 골에 직접 접촉되고 이식 후 26주까지는 거의 대부분이 접촉되는 우수한 골전도성 물질임이 또한 입증되었다.

Claims (15)

  1. 분자량이 250 이상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고분자량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35중량%, 분자량이 250 미만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일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35중량% 및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3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장쇄 단량체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 및 비스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비스-GMA)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단쇄 단량체가 가교결합할 수 없는 친수성 단량체인,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
  4. 제1항에 있어서, 단쇄 단량체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THFMA)인,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
  5. 제1항에 있어서, 액체 제형의 30 내지 90중량%를 구성하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
  6.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그룹이 산소 함유 및/또는 질소 함유 그룹인,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
  7. 제1항에 있어서, 제형의 중합가능한 성분의 중합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0.00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골 시멘트 제조용 액체 제형.
  8. 무기 충전제를 분말 제형의 20 내지 85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분자량 200,00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분말 제형의 15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개시제를 분말 제형의 0.10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골 시멘트 제조용 분말 제형.
  9. 제8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가 칼슘 함유 화합물인, 골 시멘트 제조용 분말 제형.
  10. 제9항에 있어서, 칼슘 함유 화합물이 인산칼슘(예: β-제3인산칼슘), 황산칼슘 및 바이오글라스(bioglas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골 시멘트 제조용 분말 제형.
  11. 제8항에 있어서, 개시제가 유기 퍼옥사이드인, 골 시멘트 제조용 분말 제형.
  12. 제8항에 있어서, 고분자량 중합체가 분자량 200,00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15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개시제를 분말 조성물의 0.10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골 시멘트 제조용 분말 제형.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액제 제형과 제8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분말 제형을 분말 1.9 내지 2.9중량부 대 액체 1.0중량부의 비로 혼합하여 형성된, 골 시멘트 조성물.
  14. 분자량이 250 이상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고분자량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분자량이 250 미만이고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룹을 갖는 일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분자량 200,000 이상의 중합체 간의 중합 반응 생성물(a) 및
    당해 시멘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4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무기 충전제(b)를 포함하는, 골 시멘트 조성물.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가 시멘트 조성물의 충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골 시멘트 조성물.
KR1020087000487A 2005-07-08 2008-01-08 골 시멘트 조성물 KR101391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14076.9 2005-07-08
GBGB0514076.9A GB0514076D0 (en) 2005-07-08 2005-07-08 Bioactive bone cement composition
PCT/GB2006/002532 WO2007007065A2 (en) 2005-07-08 2006-07-10 Bone cement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340A true KR20080023340A (ko) 2008-03-13
KR101391676B1 KR101391676B1 (ko) 2014-05-07

Family

ID=3489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487A KR101391676B1 (ko) 2005-07-08 2008-01-08 골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20090221730A1 (ko)
EP (1) EP1901788B1 (ko)
JP (1) JP5289946B2 (ko)
KR (1) KR101391676B1 (ko)
CN (1) CN101217986B (ko)
AT (1) ATE521373T1 (ko)
AU (1) AU2006268058B2 (ko)
CA (1) CA2614527C (ko)
ES (1) ES2369790T3 (ko)
GB (1) GB0514076D0 (ko)
WO (1) WO200700706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33B1 (ko) * 2010-08-19 2013-04-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엔-아세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골 시멘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8846A1 (en) 2007-04-17 2009-04-02 David Myung Hydrogel arthroplasty device
DE102007015698B4 (de) * 2007-03-27 2009-05-14 Innotere Gmbh Implantatmaterial auf Basis eines Polymersystems und dessen Verwendung sowie Applikationsset
WO2009105614A2 (en) * 2008-02-22 2009-08-27 Derm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for tissue augmentation
US20120209396A1 (en) 2008-07-07 2012-08-16 David Myung Orthopedic implants having gradient polymer alloys
AU2009279716A1 (en) * 2008-08-05 2010-02-11 Biomimedica, Inc Polyurethane-grafted hydrogels
WO2011028572A2 (en) * 2009-09-01 2011-03-10 Synthes Usa, Llc Bone cement containing bone marrow
CA2808528A1 (en) 2010-08-27 2012-03-01 Biomimedica, Inc. Hydrophobic and hydrophilic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derived from hydrophobic polymer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CN101961506A (zh) * 2010-09-30 2011-02-02 深圳市第二人民医院 具成骨诱导活性复合型纳米生物骨胶及其制备方法
DE102011106816B9 (de) * 2011-05-30 2018-05-30 Kulzer Gmbh Nach Härtung bruchresistentes Prothesenbasismaterial, erhalten aus autopolymerisierenden oder kaltpolymerisierenden Zusammensetzungen
WO2013052105A2 (en) * 2011-10-03 2013-04-11 Biomimedica, Inc. Polymeric adhesive for anchoring compliant materials to another surface
EP3335673A1 (en) 2011-11-21 2018-06-20 Biomimedica, Inc Systems for anchoring orthopaedic implants to bone
DE102012014702A1 (de) * 2012-07-25 2014-01-30 Heraeus Medical Gmbh Pastenförmiger Knochenzement
US9675640B2 (en) 2012-08-07 2017-06-13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agnetic calcium phosphate nanoparticles, applica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GB201313898D0 (en) 2013-08-02 2013-09-18 Bradford Formulations and materials with cationic polymers
CN104418962A (zh) * 2013-09-10 2015-03-18 杨桂望 聚甲基丙烯酸甲酯-钛酸盐纳米复合材料
US9566216B2 (en) * 2013-11-18 2017-02-14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Bone cements containing magnetic calcium phosphate nanoparticles
CN104744378B (zh) * 2015-02-12 2017-10-13 上海弈柯莱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e)‑3‑[4‑(4‑氟苯基)‑6‑异丙基‑2‑(n‑甲基‑n‑甲磺酰胺基)嘧啶‑5‑基]丙烯醛的合成方法
US11077228B2 (en) 2015-08-10 2021-08-03 Hyalex Orthopaedics, Inc.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DE102015217315A1 (de) * 2015-09-10 2017-03-16 Heraeus Medical Gmbh Polymethylmethacrylat-Knochenzement mit einstellbarer initialer Viskosität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nochenzementteigs mit variabler initialer Viskosität
FR3064267B1 (fr) * 2017-03-27 2021-07-23 Arkema France Compose reticulant, son procede de synthese, composition liquide comprenant ledit compose reticulant, son procede de polymerisation, et materiau obtenu apres polymerisation de ladite composition
KR101909729B1 (ko) * 2018-06-20 2018-10-18 조현진 골시멘트 교반장치
US10869950B2 (en) 2018-07-17 2020-12-22 Hyalex Orthopaedics, Inc. Ionic polymer compositions
CN112245657B (zh) * 2020-10-19 2022-07-01 合肥中科智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低放热抗菌骨水泥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404658B (zh) * 2022-02-18 2023-01-31 中国科学技术大学先进技术研究院 骨水泥及其制备方法、骨科植入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489A (en) * 1980-01-14 1981-04-28 Den-Mat, Inc. Provisional crown-and-bridge resin containing tetrahydrofuryl methacrylate
US4910259A (en) * 1988-09-26 1990-03-20 Wolff & Kaaber A/S Bone cement
FR2725625A1 (fr) * 1994-10-17 1996-04-19 Euros Sa Ciment osseux composite
US6291547B1 (en) * 1995-02-08 2001-09-18 Materials Evolution And Development Usa Inc. Bone cement compositions comprising fused fibrous compounds
ATE221363T1 (de) * 1997-01-13 2002-08-15 Davis Schottlander & Davis Ltd Polymerisierbare zementzusammensetzungen
EP0976786A4 (en) * 1997-04-14 2001-02-21 Mitsubishi Rayon Co PREMIX (METH) ACRYLIC, SMC OR BMC (METH) ACRYLIC,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ETH) ACRYLIC MARBLE
US6653375B2 (en) * 1998-01-28 2003-11-25 Ivoclar Ag Urethane di(meth)acrylate derivatives of 1,3-bis(1-isocyanato-1-methylethyl)benzene
JP2000014762A (ja) * 1998-06-26 2000-01-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生体活性セメント組成物
JP2000279506A (ja) 1999-03-30 2000-10-1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生体活性セメント組成物
US6689823B1 (en) * 1999-03-31 2004-02-10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Nanocomposite surgical materials and method of producing them
US6593394B1 (en) * 2000-01-03 2003-07-15 Prosperous Kingdom Limited Bioactive and osteoporotic bone cement
AU2001230327A1 (en) * 2000-01-14 2001-07-24 Denfotex Ltd Polymerisable resin compositions for use in dentistry
US6787584B2 (en) * 2000-08-11 2004-09-07 Pentron Corporation Dental/medical compositions comprising degradable polym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7259210B2 (en) * 2001-01-26 2007-08-21 The Uab Research Foundation Bone cement and a system for mixing and delivery thereof
FI20010540A0 (fi) * 2001-03-16 2001-03-16 Yli Urpo Antti Komposiitti pehmyt- ja kovakudosvammojen korjaamiseksi ja mainitun komposiitin käyttö
US20040127563A1 (en) * 2002-03-22 2004-07-01 Deslauriers Richard J. Methods of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which promote bone growth, compositions which promote bone growth, and methods of making such compositions
DE10355992A1 (de) * 2003-11-27 2005-06-30 Curasan Ag Bioresorbierbares Kompositmaterial
WO2007007062A2 (en) * 2005-07-08 2007-01-18 Depuy International Limited Cartilage repair impl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33B1 (ko) * 2010-08-19 2013-04-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엔-아세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골 시멘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7986B (zh) 2014-02-12
EP1901788B1 (en) 2011-08-24
WO2007007065A2 (en) 2007-01-18
CA2614527C (en) 2014-12-09
EP1901788A2 (en) 2008-03-26
AU2006268058B2 (en) 2012-02-02
CN101217986A (zh) 2008-07-09
US20170232137A1 (en) 2017-08-17
WO2007007065A3 (en) 2007-06-07
US20090221730A1 (en) 2009-09-03
AU2006268058A1 (en) 2007-01-18
US20120142811A1 (en) 2012-06-07
KR101391676B1 (ko) 2014-05-07
JP5289946B2 (ja) 2013-09-11
GB0514076D0 (en) 2005-08-17
ES2369790T3 (es) 2011-12-07
JP2009500097A (ja) 2009-01-08
ATE521373T1 (de) 2011-09-15
CA2614527A1 (en)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676B1 (ko) 골 시멘트 조성물
US9089625B2 (en) Bone 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210275717A1 (en) Organophosphorous, multivalent metal compounds, & polymer adhesive interpenetrating network compositions & methods
US20070087031A1 (en) Curable bone substitute
JP2001523999A (ja) 整形用プレートおよび骨セメントのための生物的に衰退可能な重合性の半ば浸透するネットワークアロイおよびこれを作る方法
RU2407552C2 (ru) Инъецируемый композитный материал, пригодны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заменителя костной ткани
US10682442B2 (en) Small molecule drug release from in situ forming degradable scaffolds incorporating hydrogels and bioceramic microparticles
US20120195848A1 (en) Strontium-containing bioactive bone cement
US20200038545A1 (en) Composition of alpha-tcp, silicate and phosphorylated amino acid
CN101530635A (zh) 一种生物活性骨修复水泥材料
KR101432207B1 (ko)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 함유 항균 골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erbetci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bone cements
Hasenwinkel Bone cement
US20140155356A1 (en) Curable bone substitute
SE2250155A1 (en) Putty formultion comprising macroporous hydroxyapatite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such
Temenoff et al. Injectable biodegradable materials for orthopaedic tissue engineering
Başgörenay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xyapatite containing acrylic bone c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