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407A -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407A
KR20080021407A KR1020060084790A KR20060084790A KR20080021407A KR 20080021407 A KR20080021407 A KR 20080021407A KR 1020060084790 A KR1020060084790 A KR 1020060084790A KR 20060084790 A KR20060084790 A KR 20060084790A KR 20080021407 A KR20080021407 A KR 2008002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air conditioning
unit
conditioning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986B1 (ko
Inventor
김철민
황진하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98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행기와 연결되는 탑승교에 설치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는 건물에 연결되는 제 1 터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조화 유닛; 및 비행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터널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2 터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조와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각 공기 조화 유닛은 상기 제 2 터널의 작동과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비행기에 연결되기 위하여 탑승교의 길이가 조절되는 단계; 상기 탑승교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탑승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 유닛의 동작이 상기 탑승교의 작동,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터널의 작동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터널 내부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 2 실내기의 불필요한 운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60084790
탑승교, 공기 조화기

Description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for boarding brid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가 적용되는 탑승교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작동에 따른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탑승교가 경사진 상태에서의 제 2 실내기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상기 탑승교가 경사진 상태에서의 제 2 실내기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외기 온도에 따른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터널 20 : 제 2 터널
70 : 제 1 공기 조화 유닛 80 : 제 2 공기 조화 유닛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행기와 연결되는 탑승교에 설치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승교는, 비행기와 공항의 건물을 곧바로 연결하는 통로로서, 승객이 비행기에 탑승하거나 반대로 착륙한 비행기에서 승객이 공항의 건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비행기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탑승교는 공항 건물과 비행기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실외에 구비되어 외부의 온도 조건에 민감하며, 이에 따라 계절에 따른 적절한 냉난방이 요구된다.
그리고, 공항의 건물 또는 항공기 내부에서 쾌적감을 느끼는 승객이 상기 탑승교를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쾌적감을 지속적으로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탑승교의 적절한 냉난방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 제안된 것으로서, 탑승교의 작동에 따라 상기 탑승교의 냉난방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는 건물에 연결되는 제 1 터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조화 유닛; 및 비행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터널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2 터널 내부 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조와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각 공기 조화 유닛은 상기 제 2 터널의 작동과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비행기에 연결되기 위하여 탑승교의 길이가 조절되는 단계; 상기 탑승교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탑승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가 적용되는 탑승교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가 적용되는 탑승교는 건물 측에 연결되는 제 1 터널(10)과, 상기 제 1 터널(10)에 대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비행기 측에 연결되는 제 2 터널(20)과, 상기 제 1 터널(10)의 일측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물에 연결되는 로턴다(rotunda : 30)와, 상기 제 2 터널(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비행기의 도어에 밀착되는 캐빈부(40)와, 상기 제 2 터널(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리프트 칼럼(50)과, 상기 캐빈부(40)와 연결되어 승객 또는 승무원 등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스테어(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탑승교는, 상기 제 1 터널(10)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조화 유닛(70)과, 상기 제 2 터널(20)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조화 유닛(80)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터널(10) 및 제 2 터널(20)은 측면이 유리 재질로 형성되어, 승객이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터널(20)은 상기 제 1 터널(10)의 폭 및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터널(20)은 상기 제 1 터널(10)의 외측에서 상기 제 1 터널(10)에 대해서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조절된다.
즉, 상기 제 1 터널(10)은 건물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 2 터널(20)은 비행기의 입구와의 거리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터널(20)은 비행기와의 연결을 대기 중인 경우에는 길이가 최소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행기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터널(20)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어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공기 조화 유닛(70)은, 상기 로턴다(3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실내기(710)와, 상기 제 1 실내기(710)에서 조화된 공기가 상기 제 1 터널(1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덕트(720)와, 상기 제 1 실내기(710)와 연결되는 제 1 실외기(7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덕트(720)는 상기 제 1 터널(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조화된 공기가 상기 제 1 터널(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80)은 상기 제 2 터널(80)의 상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제 2 실내기(810)와, 상기 제 2 실내기(810)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 2 실외기(8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실내기(8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터널(20)의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터널(20)의 경우 상기 제 1 터널(1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제 1 터널(10)이 상기 제 2 터널(20)의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 조절시 상기 제 1 터널(10)과 제 2 실내기(81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실내기(810)는 상기 제 2 터널(20)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제 1 터널(10)에 구비되는 덕트(720)의 경우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 조절 과정에서 상기 제 2 터널(20)과 간섭될 염려가 없으므로, 상기 제 1 터널(10)의 내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덕트(720)는, 일반 건물에 설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터널(10)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제 2 실내기(810)는 상기 제 2 터널(20)의 최적의 공기 조화가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 유닛(70, 80)은 상기 탑승교의 작동,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터널(20)의 작동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 조화 유닛과 탑승교의 작동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조는, 제 1 공기 조화 유닛(70)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750)와,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80)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8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어부(750, 850)는 상기 탑승교의 작동과 연동되기 위하여, 탑승교 제어부(90)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에서 상기 각 제어부(750, 850)와 별도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공기 조화 유닛(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내기(710) 및 제 1 실외기(7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공기 조화 유닛(70)은 제 1 제어부(750)에 의해서 상기 탑승교의 작동, 외기 온도 등에 대응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반면,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80)은 다수 개의 제 2 실내기(810)가 포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제 2 실내기 즉, 제 21 실내기(811), 제 22 실내기(822) 및 제 23 실내기(82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 21 실내기(811)는 상기 제 1 터널(10)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3 실내기(813)는 상기 캐빈부(40)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2 실내기(812)는 상기 제 21 실내기(811) 및 제 23 실내기(813) 사이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 21 실내기(811)는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가 최대로 연장되었을 때, 상기 제 1 터널(10)과의 간섭이 방지되는 위치(도 1참조)에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제 2 실내기(810)에는 상기 제 2 실내기(810)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도 4의 815참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드레인 펌프(도 4의 815참조)는 상기 탑승교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터널(20)의 경사 각도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제어부(100)는 상기 각 공기 조화 유닛(70, 80)의 제어부(750, 850)의 동작 오류가 발생한 경우 외부에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닛(70, 80)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 유닛(70, 80)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작동에 따른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유닛은 상기 탑승교의 작동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탑승교를 비행기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터널(20)이 동작되면(S1), 상기 제 1 제어부(750)에 의해서 상기 제 1 공기 조화 유닛(70)이 작동된다(S2).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850)에 의해서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 2 실내기(82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작동된다(S3).
상세히, 상기 탑승교가 연결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터널(10)이 상기 제 2 터널(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 21 실내기(811) 및 제 22 실내기(812)가 차폐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 23 실내기(813) 만이 상기 제 2 터널(813)의 내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제 2 터널(20)의 작동 초기에는 상기 제 23 실내기(813) 만이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제 22 실내기(812) 및 제 21 실내기(811)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터널(20)의 내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 22 실내기(812) 및 제 21 실내기(811)가 순차적으로 동작된다. 반대로,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제 21 실내기(811) 및 제 22 실내기(812)가 순차적으로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 22 실내기(812) 및 제 21 실내기(811)의 동작은 상기 제 2 터널(20)의 이동 길이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되는데,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 감지는 상기 제 22 실내기(812) 및 제 21 실내기(811)의 내부에 구비된 감지 센서의 상기 제 1 터널(10)의 감지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조화 유닛(70, 80)의 동작이 상기 제 2 터널(20)의 작동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상기 터널(10, 20)의 내부를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80)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제 2 실내기(810)가 상기 제 2 터널(20)의 길이에 대응하여 작동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 2 실내기(810)의 불필요한 운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탑승교가 경사진 상태에서의 제 2 실내기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탑승교가 경사진 상태에서의 제 2 실내기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탑승교는 대기 상태인 경우 수평을 유지하나, 비행기와 연결되는 과정에서는 비행기의 출입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탑승교는 일반적으로 수평 상태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조절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기 탑승교, 상세하게는 제 2 터널(20)이 하향 경사지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내기(810)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실내기(8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 팬(814)이 경사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드레인 팬(814)에 구비되는 응축수는 상기 탑승교의 경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드레인 팬(814)의 경사 방향으로 응축수가 몰려서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드레인 팬(814)에 저장된 응축수가 적절한 시기에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면, 상기 드레인 팬(814)에서 응축수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응축수가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펌프(815)가 상기 탑승교가 경사지는 방향 측에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810)는 상기 탑승교의 경사각에 대응 하여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탑승교가 비행기와 연결되기 위하여 작동되면(S11), 상기 탑승교의 경사 각도가 계산되어 상기 탑승교가 수평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2). 여기서, 상기 탑승교의 경사각은 상기 제 2 터널(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평계에 의해서 측정되거나, 상기 제 2 터널(20)의 캐빈측(40) 단부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탑승교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 팬(814)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드레인 펌프(815)는 초기 설정 상태로 동작된다(S13).
반면, 상기 탑승교가 경사지는 경우 상기 드레인 팬(814)에 저장된 응축수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인 펌프(815)는 상기 탑승교의 경사각이 커짐에 따라 작동 주기가 빈번해지고, 작동 시간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S14).
즉, 상기 탑승교의 경사각이 증가되는 경우 응축수가 용이하게 넘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레인 팬(814)에 저장된 응축수를 주기적으로 배출시키며, 최대한 많이 배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사상은, 초기 설정 상태보다 주기 및 시간이 커지는 상태로 상기 드레인 펌프(815)를 제어시키는 것에 있으며, 상기 드레인 펌프(815)의 구체적인 작동 주기 및 작동 시간에 제한은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드레인 펌프(815)에 의해서 펌핑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드레인 호스는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 2 터널(20)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탑승교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드레인 펌프(815)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탑승교가 경사지는 과정에서 상기 드레인 팬(814)에 저장된 응축수가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외기 온도에 따른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 1 터널(10) 및 제 2 터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이 유리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기 온도에 의해서 상기 제 1 터널(10) 및 제 2 터널(20) 내부의 온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조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기 온도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풍량 및 토출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세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탑승교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이 작동되는 중에(S21), 상기 제 1 터널(10) 또는 제 2 터널(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에 의해서 상기 외기 온도 또는 터널 내부 온도가 측정된다. 그러면,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에 의해서 상기 제 1 실내기(710) 및 제 2 실내기(810)가 동작된다.
일 례로 여름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실내기(710, 810)의 풍량이 세지고, 토출 공기 온도가 낮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 겨울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실내기(710, 810)의 풍량이 세지고, 토출 공기 온도가 높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터널(10, 20)의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 유닛(70, 80)의 작동이 제어됨에 따라, 상기 터널(10, 20) 내부가 최적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 유닛의 동작이 상기 탑승교의 작동,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터널의 작동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터널 내부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 2 실내기의 불필요한 운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교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드레인 펌프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탑승교의 경사에도 불구하고, 상기 드레인 팬에 저장된 응축수의 넘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의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이 제어됨에 따라, 상기 터널 내부가 최적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각 제어부와 별개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각 공기 조화 유닛의 제어부의 동작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외부에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건물에 연결되는 제 1 터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조화 유닛; 및
    비행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터널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2 터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조화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각 공기 조화 유닛은 상기 제 2 터널의 작동과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널은 상기 제 1 터널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상기 제 2 터널의 길이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조화 유닛은,
    상기 제 1 터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 1 실내기와,
    상기 제 1 터널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실내기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 1 터널 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의 덕트와,
    상기 제 1 터널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실내기와 연결되는 제 2 실내 기가 포함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은
    상기 제 2 터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 2 실내기 및 제 2 실외기가 포함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실내기는, 상기 제 2 터널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내기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에 저장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 펌프는 상기 터널이 경사지는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드레인 펌프의 작동 주기 또는 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기 조화 유닛은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공기 조화 유닛은 외부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와 별도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9. 비행기에 연결되기 위하여 탑승교의 길이가 조절되는 단계;
    상기 탑승교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탑승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교는 건물에 연결되는 제 1 터널과, 비행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터널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2 터널이 포함되고,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제 1 터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조화 유닛과, 상기 제 2 터널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조화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조화 유닛은 다수 개의 제 2 실내기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터널의 초기 이동시 상기 제 1 공기 조화 유닛이 구동되고, 상기 다수의 제 2 실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실내기는 상기 제 2 터널의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또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교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 유닛 내부에 구비되는 드레인 펌프의 작동 주기 또는 시간이 조절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교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에 의해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값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운전이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60084790A 2006-09-04 2006-09-04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9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790A KR101196986B1 (ko) 2006-09-04 2006-09-04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790A KR101196986B1 (ko) 2006-09-04 2006-09-04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407A true KR20080021407A (ko) 2008-03-07
KR101196986B1 KR101196986B1 (ko) 2012-11-05

Family

ID=3939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790A KR101196986B1 (ko) 2006-09-04 2006-09-04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9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25B1 (ko) * 2007-12-21 2009-11-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공기조화 설비를 구비한 이동식 탑승교
ES2342761A1 (es) * 2009-09-28 2010-07-1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para pasarelas de embarque telescopicas.
CN102374623A (zh) * 2010-08-23 2012-03-14 深圳中集天达空港设备有限公司 一种风管装置、具有该风管装置的空调系统及其登船桥
CN101545656B (zh) * 2008-03-27 2012-03-14 三洋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CN102963536A (zh) * 2012-11-23 2013-03-13 溧阳市科技开发中心 一种具有空气调节设备的设施
WO2013162151A1 (ko) * 2012-04-23 2013-10-31 한국공항공사 탑승교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제어 시스템
WO2014175537A1 (ko) * 2013-04-26 2014-10-30 한국공항공사 터널 냉난방장치, 이를 포함하는 탑승교, 탑승교 냉난방 시스템, 그 제어 시스템
KR20210094497A (ko) *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 그린온 감염예방 터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0339A (en) 1985-11-18 1986-11-04 Air-A-Plane Corporation Combined passenger loading bridge and utilities conduit between airport terminal and parked aircraft
US5667018A (en) 1996-01-02 1997-09-16 Fmc Corporation Fire control foam distribution system for use in distributing foam beneath a passenger boarding bridge
JP2004276870A (ja) 2003-03-18 2004-10-07 Agp Corp 航空機用冷媒分散型空調装置と移動式空調装置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25B1 (ko) * 2007-12-21 2009-11-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공기조화 설비를 구비한 이동식 탑승교
CN101545656B (zh) * 2008-03-27 2012-03-14 三洋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ES2342761A1 (es) * 2009-09-28 2010-07-1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para pasarelas de embarque telescopicas.
CN102374623A (zh) * 2010-08-23 2012-03-14 深圳中集天达空港设备有限公司 一种风管装置、具有该风管装置的空调系统及其登船桥
CN102374623B (zh) * 2010-08-23 2014-02-19 深圳中集天达空港设备有限公司 一种风管装置、具有该风管装置的空调系统及其登船桥
JP2015519244A (ja) * 2012-04-23 2015-07-09 コリア エアポーツ コーポレーション 搭乗橋の冷暖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WO2013162151A1 (ko) * 2012-04-23 2013-10-31 한국공항공사 탑승교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제어 시스템
US9976781B2 (en) 2012-04-23 2018-05-22 Korea Airports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for passenger boarding bridge and control system therefor
CN104245513A (zh) * 2012-04-23 2014-12-24 韩国机场公社 用于乘客登机桥的空气调节系统及其控制系统
CN102963536A (zh) * 2012-11-23 2013-03-13 溧阳市科技开发中心 一种具有空气调节设备的设施
CN105143046A (zh) * 2013-04-26 2015-12-09 韩国机场公社 通道空气调节装置、包括该装置的乘客登机桥、用于乘客登机桥的空气调节系统及其控制系统
US9394061B2 (en) 2013-04-26 2016-07-19 Korea Airports Corporation Tunnel air-conditioning apparatus, passenger boarding bridge including the apparatus, passenger boarding bridge air-conditioning system,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me
JP2016523749A (ja) * 2013-04-26 2016-08-12 コリア エアポー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トンネル冷暖房装置、これを含む搭乗橋、搭乗橋冷暖房システム、その制御システム
EP2985230A4 (en) * 2013-04-26 2016-12-21 Korea Airports Corp TUNNEL AIR CONDITIONING APPARATUS, PASSENGER BRIDING GATEWAY COMPRISING THE APPARATU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PASSENGER BRIDGE GATEWAY,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75537A1 (ko) * 2013-04-26 2014-10-30 한국공항공사 터널 냉난방장치, 이를 포함하는 탑승교, 탑승교 냉난방 시스템, 그 제어 시스템
KR20210094497A (ko) *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 그린온 감염예방 터널 시스템
KR20210094496A (ko) *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 그린온 감염예방 탑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986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986B1 (ko) 탑승교향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9394061B2 (en) Tunnel air-conditioning apparatus, passenger boarding bridge including the apparatus, passenger boarding bridge air-conditioning system,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me
CN106969474A (zh) 空调及其导风板的控制方法
KR20080042397A (ko) 공조시스템의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2728A (ko) 차량의 자동 습기제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70205294A1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ventilation system
NL2010998C2 (en) Air curtain device measuring a temperature profile and method there for.
JP5502699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2302673B1 (ko) 지하주차장 환경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운전 방법
CN106288216A (zh) 空调蒸发器自清洁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565397B1 (ko) 연돌효과문제 저감을 위한 공조가압 방법 및 그 시스템
JP5818365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259055B1 (ko) 발코니 결로방지 및 제습장치
CN210663183U (zh) 一种应用于电梯的节能空气设备
EP3810883B1 (en)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vapor condensation on the indoor surface of composite roof windows
KR102446006B1 (ko) 승강기용 냉난방장치
KR102039432B1 (ko) 차량용 ir센서를 이용한 공조 제어장치
KR102045419B1 (ko) 차량용 창유리 디포깅 장치
KR101230788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내외기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77890B1 (ko) 자동차 에어콘의 온도센서 및 그를 이용한 조절방법
CN110382361B (zh) 登机桥的旋转平台高度调节装置
JP2019001426A (ja) 鉄道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
KR101309191B1 (ko) 차량의 실내 환기 제어장치
JP2009127897A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742075B1 (ko) 차량의 습도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