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312A - 음식물 배달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배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312A
KR20080021312A KR1020060084574A KR20060084574A KR20080021312A KR 20080021312 A KR20080021312 A KR 20080021312A KR 1020060084574 A KR1020060084574 A KR 1020060084574A KR 20060084574 A KR20060084574 A KR 20060084574A KR 20080021312 A KR20080021312 A KR 2008002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elivery
delivery container
handle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봉학
Original Assignee
신봉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봉학 filed Critical 신봉학
Priority to KR102006008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1312A/ko
Publication of KR2008002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A47J47/145Hand carriers for pizza delivery, e.g. with thermal insulation, heating means or humid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배달통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공간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용기를 수납하는 받침부재, 및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면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플레이트, 하면플레이트, 그리고 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본체를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음식물을 배달할 때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식물, 배달통

Description

음식물 배달통{Food Delivery Box}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배달통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상면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상면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하면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도 7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공간부
102 : 개구부 110 : 상면플레이트
110' : 보강플레이트 111 : 돌출부
112 : 돌기 113 : 수용홈
114 : 고정홈 115 : 클램프
116 : 고정부재 117 : 내측벽
118 : 안내공 120 : 하면플레이트
121 : 홈 130 : 측면플레이트
131 : 지지부재 132 : 체결돌기
133 : 가이드홈 200 : 개폐부재
210 : 절곡부 220 : 리브
300: 받침부재 310 : 체결홈
400 : 손잡이부 410 : 회동부재
420 : 손잡이 430 : 밴드
431 : 위치고정홀
본 발명은 음식물 배달통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가 회동되고, 상면과 하면이 각각 대응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의 본체를 적재시킬 수 있는 음식물 배달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음식물을 배달할 때 사용하는 음식물 배달통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이나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사각 형상의 본체(2) 상 측에 손잡이(12)가 설치되어 들고다닐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본체(2)의 전방에는 평판형상의 개폐부재(4)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4)가 개폐되는 개구부(6)가 상기 본체(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 내부에는 다수개의 받침부재(8)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접시나 그릇 등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6)의 양측에는 상기 개폐부재(4)의 양측이 결합되는 가이드홈(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0)에 개폐부재(4)를 결합하여 본체(2)의 개구부(6)를 닫거나, 상기 개폐부재(4)를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겨 개구부(6)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본체(2)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서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본체(2)는 금속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체 중량으로 인해서 배달시 무게로 인한 피로감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2)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본체(2)를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없었다. 즉, 다수개의 본체(2)들은 횡 방향으로만 배치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는 보관의 제약을 받고 있었다.
한편, 배달시에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즉, 본체(2)가 수평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데 손잡이(12)와 본체(2)가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배달시에 본체(2)가 유동되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본체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음식물 배달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손잡이가 본체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본체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음식물 배달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의 중량을 감량시키고 견고한 조립체를 갖는 음식물 배달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은,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는 개폐부재; 상기 공간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용기를 수납하는 받침부재; 및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면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 및 상기 돌기들과 각각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하면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가 수용되고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 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마주보며 형성된 안내공; 상기 안내공에 각각 삽입되는 밴드; 한 쌍의 상기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단이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수용홈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가 위치되는 고정홈;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상면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프와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측면플레이트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억지끼움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달통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은 본체(100), 개폐부재(200), 받침부재(300), 손잡이부(4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본체(10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10,120,130)가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 개구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01)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상면플레이트(110), 하면플레이트(120), 측면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0,120,130)들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금속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재는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합성고분자 화합물로써,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합성수지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아크릴(acrylic)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면플레이트(12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후술되는 손잡이부(400) 가 구비되고, 상기 하면플레이트(120)에는 용기가 수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측면플레이트(13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증대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하측에는 별도의 보강플레이트(110')가 위치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ㆍ하면플레이트(110,120)의 측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체결홀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홀과 상기 관통홀은 볼트 또는 리벳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과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아도 상기 상ㆍ하면플레이트(110,120)를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110,120,130)은 각각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테두리를 제외한 면적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돌출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면플레이트(120)는 상기 돌출부(1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요입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돌출부(111)와 상기 하면플레이트(120)의 하면은 서로 대응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는 다수개의 돌기(11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12)는 상기 돌출부(1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 돌기(112)는 상기 돌출부(111)의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4개로 구성된 다.
한편, 첨부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면플레이트(120)는 그 저면부에 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홈(121)은 상기 돌기(112)와 대응된 형상을 갖는다. 즉, 다수개의 배달통이 상측으로 적재될 때, 상기 돌기(112)가 상기 홈(121)에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플레이트(130)는 하나 또는 3개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가 하나로 구성될 경우 평면에서 봤을 때 'ㄷ'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가 3개로 구성될 경우에는 각각 'ㅡ'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부재(미도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재(13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과 일체로 성형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1)는 일면에 각각 받침부재(300)의 개수만큼 형성되고,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31)에는 체결돌기(1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체결돌기(132)는 상기 지지부재(131)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면플레이트(120),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가 결합되어 하나의 본체(100)를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개구부(10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102)에 별도의 가이드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200)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133)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 다.
상기 개폐부재(2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평판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개폐부재(200)의 상측에는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200)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02)에 형성된 가이드홈(133)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결합시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0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리브(220)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리브(220)는 상기 개폐부재(200)의 휨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성되거나 종ㆍ횡방향으로 교차, 또는 일측 방향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면플레이트(130) 내부에는 1개 내지 3개의 받침부재(300)가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용기들을 적재시킬 수 있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평판의 부재이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지지부재(131)에 안착되는 것으로, 체결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310)은 상기 지지부재(131)에 형성된 상기 체결돌기(132)와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돌기(132)기 상기 체결홈(310)에 억지끼움 된다.
앞서 언급한 손잡이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그 중심부에 수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부(400)는 상기 수용홈(113)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400)는 한 쌍의 회동부재(410)와 손잡이(42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410)는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3)과 연장 형성된 고정홈(114)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동부재(410)와 상기 손잡이(420)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부(400)의 양 끝단이 상기 회동부재(410)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4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고정홈(114)과 상기 고정홈(114)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체결되는 클램프(115), 고정부재(116)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회동부재(410)는 상기 고정홈(114)에 밀착되고, 상기 클램프(115)는 상기 회동부재(410)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114)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하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클램프(115)와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클램프(115)와 상기 고정부재(116)에 의해서 상기 고정홈(114)에 위치되고,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400)가 회동되었을 때는 상기 손잡이(420)가 전술되어진 수용홈(113)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되어진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수용홈(113)의 내측벽(117)에 손잡이 가 인ㆍ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상기 손잡이(420)가 상기 수용홈(113)에 결합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내측벽(117)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안내공(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된 손잡이부(400)는 손잡이(420)와 밴드(43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420)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 다각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에서는 평판의 형상을 갖는 사각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밴드(430)는 상기 손잡이(420)의 양측에 각각 결합 된다. 상기 밴드(430)는 탄성력을 갖고 있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430)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안내공(118)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43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고정홀(4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내부에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홀(431)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최대 거리가 설정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20)를 잡을 경우 손잡이(420)가 상측 방향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밴드(430)는 각각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위치고정홀(431)은 상기 스토퍼에 걸리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400)의 최대 이동거리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20)는 상기 내측벽(117)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420)는 그 상면이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의 사용상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면플레이트(110)와 하면플레이트(120) 그리고, 측면플레이트(130)가 체결되어 하나의 본체(100)를 갖게 된다. 또한, 받침부재(300)를 상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시켜 결합하고, 손잡이부(400)를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를 배달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받침부재(300)에 용기들을 수용한 상태에서 개폐부재(200)를 승ㆍ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기 본체(100) 내부에 반입/반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400)가 회동되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뛰었을 때 발생되는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즉, 본체(100)의 중량은 용기들로 인해서 하중이 발생된 상태이고, 손잡이부(400)는 상기 본체(100)와 개별적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음식물이 수용된 본체(100)는 미세한 유동만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의 유동이 최소화되어 음식물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를 바닥에 놓았을 때는 손잡이(420)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수용홈에 밀착된다. 즉, 상기 손잡이(420)는 상기 수용홈(113)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되거나, 상기 수용홈(113)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다른 본체(100)를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적재시킬 수가 있다. 즉, 각각의 본체(100) 상면에는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본체(100) 하 면에는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홈(121)은 다른 본체(100)의 돌기(112)에 수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개의 본체(100)를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협소한 공간에서도 하나의 본체(100)만 놓을 수 있는 공간만으로 다수개의 본체(100)들을 보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 배달통은, 다수개의 본체를 수직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도 본체들을 보관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가 회동되기 때문에 본체의 상부가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체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본체에 형성된 돌기는 각각의 홈에 적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손잡이부가 회동되기 때문에 배달시 계단을 오르거나 뛰었을 경우 본체가 유동되지 않거나 상기 본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를 구성하는 상면플레이트, 하면플레이트, 그리고 측면플레이트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본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반면에, 용기를 적재시키는 받침부재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용기의 하중에 대한 변형 및 균열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는 개폐부재;
    상기 공간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용기를 수납하는 받침부재; 및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면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배달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 및
    상기 돌기들과 각각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하면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가 수용되고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마주보며 형성된 안내공;
    상기 안내공에 각각 삽입되는 밴드;
    한 쌍의 상기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단이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수용홈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가 위치되는 고정홈;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상면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프와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10.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측면플레이트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억지끼움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배달통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
KR1020060084574A 2006-09-04 2006-09-04 음식물 배달통 KR20080021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574A KR20080021312A (ko) 2006-09-04 2006-09-04 음식물 배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574A KR20080021312A (ko) 2006-09-04 2006-09-04 음식물 배달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759U Division KR200432856Y1 (ko) 2006-09-04 2006-09-04 음식물 배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312A true KR20080021312A (ko) 2008-03-07

Family

ID=3939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574A KR20080021312A (ko) 2006-09-04 2006-09-04 음식물 배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13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18B1 (ko) * 2020-01-20 2020-08-19 강정훈 배달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18B1 (ko) * 2020-01-20 2020-08-19 강정훈 배달통
KR102275882B1 (ko) * 2020-01-20 2021-07-09 주식회사 링크플러스 배달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042B2 (en) Vessel and lid with stacking features
US9663276B2 (en) Compressible seal member for container
US9393684B2 (en) Toolbox
CN112203942B (zh) 具可移动支撑块的可修复塑胶托盘及相关方法
NL1040956B1 (en)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lastic pillar for an infiltration unit, a plastic base plate for use with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infiltration system for deployment underground comprising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base plate.
US8915393B2 (en) Child resistant container
JP2013039976A (ja) 飲料用容器
US7740149B2 (en) Container sidewall strengthening apparatus and methods
KR200432856Y1 (ko) 음식물 배달통
CN111776514A (zh) 容器
US20230027343A1 (en) Container assembly and container
CA2746398C (en) Plastic dumpster
WO2017202310A1 (zh) 折叠箱
KR20080021312A (ko) 음식물 배달통
JP2013129449A (ja) 中仕切り容器
JP6198387B2 (ja) 化粧料容器
US3421649A (en) Bottle carrying case
JP4945335B2 (ja) プラスチック製コンテナーの蓋
US7438185B2 (en) Stackable tray with integral latch
FI3712084T3 (fi) Muovista valmistettu säiliö
JP7162854B2 (ja) 包装用容器
JP6293002B2 (ja) 折畳み容器
JP7388709B2 (ja) 蓋付き容器
KR200466835Y1 (ko) 다단수납장
KR102580132B1 (ko) 수용공간 조합이 가능한 블록 타입 공구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