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155A - 자동차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155A
KR20080019155A KR1020070074083A KR20070074083A KR20080019155A KR 20080019155 A KR20080019155 A KR 20080019155A KR 1020070074083 A KR1020070074083 A KR 1020070074083A KR 20070074083 A KR20070074083 A KR 20070074083A KR 20080019155 A KR20080019155 A KR 2008001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 nonwoven
seat
long fiber
foam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214B1 (ko
Inventor
백철균
Original Assignee
백철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철균 filed Critical 백철균
Priority to KR102007007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큐션을 주기 위한 시트 폼 패드와, 시트 프레임과 시트 폼 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장섬유 부직포 및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층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섬유 부직포는 시트 폼 패드에 부착되어 있고 장섬유 부직포는 시트 프레임 측에 위치한다.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는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 부직포와 비교하여 섬유의 지름이 작고, 단위 면적당 중량인 단위 중량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및 그 제조방법{Car se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자동차는 고급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는 다양한 전자 기술이 적용하고 있으며, 아울러서 보다 안락하게 자동차를 이용하기 위하여 자동차 시트도 고급화되고 있다. 고급화된 자동차 시트는 시트 내부에 열선을 내장하고 있으며, 자유 자제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자동차 시트는 사용자가 수만번 착좌할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다 물론, 자동차 시트는 자동차가 움직일 때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자동차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는 부재로써 발포 성형체인 폴리우레탄 폼 패드를 이용한다.
그런데, 자동차 내부에 사용자가 착좌하거나, 자동차가 운행 중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시트 폼 패드와 시트 프레임간의 마찰에 의하여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소음은 자동차의 품질을 현격하게 낮추는 것으로 많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차 내부에 사용자가 착좌하거나 자동차가 운행 중에 시트 폼 패드와 시트 프레임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자동차 시트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큐션을 주기 위한 시트 폼 패드와, 시트 프레임과 시트 폼 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장섬유 부직포 및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층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섬유 부직포는 시트 폼 패드에 부착되어 있고 장섬유 부직포는 시트 프레임 측에 위치한다.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는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 부직포와 비교하여 섬유의 지름이 작고, 단위 면적당 중량인 단위 중량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는 섬유(fiber)의 지름이 1.5 내지 3 데니아(denier)이고 30 내지 50g/m2의 단위 중량을 가지며,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 부직포는 섬유(fiber)의 지름이 장섬유 부직포보다 큰 3 데니아 이상 6 데니아(denier) 이하이고 단위 중량도 장섬유 부직포보다 큰 70 내지 170g/m2의 단위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은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부직포를 제조하여 준비한다. 상부 바디의 접착부에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로 구성된 다층 부직포를 부착하되, 단섬유 부직포를 접착부에 부착하고 하측으로는 장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킨다. 상부 바디와 아래쪽으로 떨어져 있는 하부 바디에 발포액을 공급한다. 하부 바디에 공급된 발포액을 발포시켜 시트 폼 패드를 제조한다. 발포액 발포시 장섬유 부직포로 인하여 발포액이 다층 부직포로 함침되지 않는다. 다층 부직포는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를 히트 프레싱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발포 공정시 시트 폼 패드와 다층 부직포는 서로 부착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폼 패드의 사이에 다층 부직포를 구비한다. 다층 부직포는 시트 프레임 측에 위치하는 단섬유 부직포와 시트 폼 패드에 부착되는 장섬유 부직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는 시트 폼 패드 상에 장섬유 부직포를 부착하여 시트 폼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공정시 시트 폼 패드에 발포액이 함침되지 않는다. 이렇게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는 시트 폼 패드에 발포액이 함침되지 않아 자동차 운행시나 사람의 착좌시 시트 프레임과 시트 폼 패드 사이에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다층 부직포를 단섬유 부직포와 장섬유 부직포를 히트 프레싱하여 단순한 공정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 품질로 좋게 제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의 제조시 다층 부직포가 발포 공정 시 시트 폼 패드에 자연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부착 공정 없이 다층 부직포를 시트 폼 패드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 폼 패드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층 부직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다층 부직포와 비교를 위한 단층 부직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100)는 철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프레임(10, seat frame), 시트 프레임(10) 상에 탑재되고 스폰지 발포 성형체로써 큐션(cushion)을 주기 위한 시트 폼 패드(12, seat foam pad) 및 시트 폼 패드(12)를 보호하는 커버(16, cover, 보호재)로 구성된다. 시트 폼 패드(12)는 폴리우레탄 폼 패드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자동차 시트(100)는 사람이 착좌하거나 운행 중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100)에서는 시트 프레임(10)과 시트 폼 패드(14) 사이에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층 부직포(13)가 위치한다.
다층 부직포(13)를 구성하는 섬유는 다양한 섬유, 예컨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재생 섬유, 특수 섬유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천연 섬유는 모, 면, 마 등을 들 수 있고, 합성 섬유는 나일론, 폴레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재생 섬유는 비스코스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특수 섬유는 유리 탄소, 케블라, 키토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층 부직포를 합섬 섬유로써 폴리에스테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한다.
다층 부직포(13)는 도 2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섬유 부직포(13a) 및 단섬유 부직포(13b)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층 부직포(13)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13a)는 시트 폼 패드에 부착되며, 다층 부직포(13)를 구성하는 단섬유 부직포(13b)는 시트 프레임 측에 위치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 시트 폼 패드(14)와 시트 프레임(10) 사이에 장섬유 부직포(13a) 및 단섬유 부직포(13b)로 이루어진 다층 부직포를 위치시키는 이유는 시트 폼 패드(14) 형성을 위한 발포 공정시 발포액이 다층 부직포(13)에 함침, 즉 발포액이 다층 부직포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과 같이 시트 폼 패드(14)에 부착된 장섬유 부직포(13a)는 섬유의 지름이 단섬유 부직포(13b)보다 작아 시트 폼 패드(14) 형성을 위한 발포 공정시 발포액이 장섬유 부직포(13a)에 함침되지 않는다. 즉, 시트 폼 패드(14)를 위한 발포 공정시 발포액이 시트 폼 패드(14)에 부착된 장섬유 부직포(13a)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시트 폼 패드(14) 형성을 위한 발포 공정시 발포액이 다층 부직포(13)에 함침되지 않으면 시트 폼 패드(14)를 원하는 모 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발포 공정시 발포액이 함침되지 않는 장섬유 부직포(13a) 및 단섬유 부직포(13b)의 지름이나 단위 중량, 총 중량, 두께, 및 비율을 최적화하였다.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13)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13a)는 섬유(fiber)의 지름이 1 내지 3 데니아(denier),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데니아이고, 20 내지 50g/m2의 단위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13b)를 구성하는 단섬유 부직포는 섬유(fiber)의 지름이 장섬유 부직포(13a)보다 큰 3 데니아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데니아 이상 7 데니아(denier) 이하이고, 단위 중량도 장섬유 부직포(13a)보다 큰 40 내지 150g/m2의 단위 중량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다층 부직포의 총 단위 중량은 60 내지 2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서, 다층 부직포(13)의 전체 두께는 1.5mm 내지 2.0m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섬유 부직포(13a)는 다층 부직포(13) 전체 두께의 20%로 구성하고, 단섬유 부직포(13b)는 다층 부직포(13) 전체 두께의 80%로 구성할 때, 발포액의 함침이 없으면서 다층 부직포(13)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3은 도 2의 다층 부직포(13)와 비교를 위한 단층 부직포(15)를 도시한 것이다. 비교예의 단층 부직포(15)는 섬유(fiber)의 지름이 15 데니 아(denier)이상이고 120 내지 200g/m2의 단위 중량을 갖게 구성하였다. 단층 부직포(15)의 전체 두께는 3mm 이상으로 구성하였다. 도 1과 같은 시트에서, 시트 폼 패드와 시트 프레임 사이에 도 3의 단층 부직포(15)를 삽입할 경우, 앞서의 본원 발명과 반대로 발포 공정시 발포액이 단층 부직포(15)에 함침되고 시트 폼 패드(14)가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되지 않게 된다.
물론, 발포액이 단층 부직포(15)에 함침되면 발포시 시트 폼 패드(14)를 다시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특히, 발포액이 단층 부직포(15)에 함침되면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시트 폼 패드(14)와 시트 프레임(10)간에 마찰에 의하여 자동차의 운행이나 사람의 착좌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의 시트 폼 패드(14)와 시트 프레임(10)간에 발포액이 함침되지 않는 다층 부직포(13)가 부착되어 있어 시트 폼 패드(14)와 시트 프레임(10)간에 마찰에 의하여 자동차의 운행이나 사람의 착좌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비교예의 단층 부직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6은 50배로 확대하여 촬영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7은 2000배로 확대하여 촬영한 도면이다. 도 4의 장섬유 부직포(13a)는 도 6의 단층 부직포(15)에 비하여 섬유이 직경이 작고, 섬유들 사이의 공극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보다 더 확대하여 도시한 도 5의 장섬유 부직포(13a)는 도 7의 단층 부직포(15)에 비하여 섬유이 직경이 작고, 섬유들 사이의 공극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13)에 장섬유 부직포(13a)를 채용할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발포시 발포액이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3의 비교예의 단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 제조 방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섬유 부직포와 장섬유 부직포를 적층(laminating)하고 히트 프레싱(heat pressing), 즉 열 가압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13)는 단섬유 부직포를 다음과 같은 순차적인 제조 공정을 수행한다.
즉, 원료인 섬유를 준비한다(스텝 30). 원료인 섬유는 덩어리 형태로 되어 있으며, 원료 섬유의 지름이나 단위 중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준비된 섬유 덩어리를 부직포 제조 장치의 롤러에 펼치는 개섬 공정(opening process)을 수행한다(스텝 32). 개섬 공정을 거쳐 펼쳐진 섬유는 부직포 제조 장치에서 다시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섬 공정(fiber mixing process)을 수행한다(스텝 34). 혼섬 공정을 거친 섬유는 부직포 제조 장치에서 평판 형태, 즉 평면적으로 여러 개의 실 가닥들을 뽑아내는 소면 공정(carding process)을 수행한다(스텝 36). 소면 공정을 거쳐 섬유는 평면적으로 판 형태가 된다.
이어서, 판 형태의 섬유, 즉 섬유판을 복수개 겹치는 과정을 수행하는 웹 포밍(web foaming) 공정을 수행한다(스텝 38). 웹 포밍 공정을 통해 섬유판의 복수개 겹쳐진 것을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공정을 통해 서로 결합시킨다(스텝 40). 니들 펀칭 공정은 복수개의 섬유판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 섬유판에서 하부 섬유판으로 니들을 이동시키면서 복수개의 섬유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하여 단섬유 부직포는 완성된다(스텝 42).
다음에, 스펀 펀드(spun bond) 방식에 의하여 미리 제조된 장섬유 부직포를 준비한다(스텝 44). 장섬유 부직포(44)의 섬유 지름이나 단위 중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에, 제조된 단섬유 부직포 상에 미리 준비된 장섬유 부직포를 적층하고 히트 프레싱한다(스텝 46). 이렇게 되면, 단섬유 부직포와 장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다층 부직포가 완성된다(스텝 48).
앞서의 도 8과 같은 다층 부직포의 제조 공정과 비교하여, 비교예의 단층 부직포의 제조 공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인 섬유 준비 공정(스텝 30)부터 니들 펀칭 공정(스텝 40)까지는 동일하게 진행한다. 다만, 비교예의 원류 섬유(fiber)의 지름이 15 데니아(denier) 이상인 것이 다르다.
더하여, 비교예의 단층 부직포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 펀칭 공정 후에 청색 도료를 스프레이 하는 염색 공정을 더 진행한다(스텝 50). 다음에, 염색 공정 후에 건조 공정을 더 수행한다.(스텝 52). 이와 같은 건조 공정을 거쳐 비교예인 단층 부직포를 완성한다(스텝 54).
도 8 및 도 9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 제조 공정은 염색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줄일 수 있어 공정을 단순화하여 다층 부직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 제조 공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섬유 부직포와 장섬유 부직포를 적층하고 히트 프레싱하여 제조함으로써 단순한 공정으로 다층 부직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의 시트 폼 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발포 공정시 다층 부직포에 발포액이 함침되지 않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부직포를 제조한다. 본 단계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어서, 상부 바디(80), 예컨대 상부 몰드에 다층 부직포(13)를 부착한다. 상부 바디(80)에는 접착부(82), 일명 찍찍이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 바디(82)의 접착부에는 다층 부직포중 단섬유 부직포(13b)가 부착되고, 하측으로는 장섬유 부직포(13a)를 위치시킨다(스텝 62). 단섬유 부직포(13b)는 장섬유 부직포(13a)보다 섬유의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섬유 부직포(13b)는 접착부(82)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발포시 가스의 방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부 바디(80)는 상부 몰드 형태일 수도 있고, 금속 프레임일 수 도 있다.
이어서, 상부 바디(80)와 아래쪽에 떨어져 있는 하부 바디(90), 예컨대 하부 몰드에 발포액, 예컨대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공급한다(스텝 64). 폴리우레탄 발포액에는 폴리올(polyol), 이소시아네이트(isocyante), 발포제, 첨가제, 안정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계속하여, 발포액을 발포시켜 시트 폼 패드를 제조한다(스텝 66). 이때, 발포 공정시 만들어지는 시트 폼 패드와 다층 부직포(13)는 서로 부착된다. 이렇게 발포시에 시트 폼 패드와 다층 부직포는 자연적으로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별도의 부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시트 폼 패드와 다층 부직포간의 부착 성질, 즉 부착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포 공정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액 내의 가스는 화살표와 같이 장섬유 부직포(13a) 및 단섬유 부직포(13b)를 통과하지만, 가는 섬유로 이루어진 장섬유 부직포(13a)로 인하여 발포액이 장섬유 부직포에 함침되지 않는다. 발포액이 장섬유 부직포에 함침되지 않으면 발포액의 유동상 향상으로 미성형된 부분이 없이 시트 폼 패드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 폼 패드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포액이 장섬유 부직포에 함침되지 않아 미성형된 부분이 없이 시트 폼 패드를 제조할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발포액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시트 폼 패드의 제조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 폼 패드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층 부직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다층 부직포와 비교를 위한 단층 부직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비교예의 단층 부직포인 단섬유 부직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3의 비교예의 단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의 시트 폼 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발포 공정시 다층 부직포에 발포액이 함침되지 않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Claims (6)

  1.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큐션을 주기 위한 시트 폼 패드; 및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폼 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장섬유 부직포 및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층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상기 시트 폼 패드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상기 시트 프레임 측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는 상기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 부직포와 비교하여 섬유의 지름이 작고, 단위 면적당 중량인 단위 중량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 부직포는 섬유(fiber)의 지름이 1 데니아 내지 3 데니아(denier)이고 30 내지 50g/m2의 단위 중량을 가지며, 상기 다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 부직포는 섬유(fiber)의 지름이 상기 장섬유 부직포보다 큰 3 데니아 이상 7 데니아(denier) 이하이고 단위 중량도 상기 장섬유 부직포보다 큰 40 내지 150g/m2의 단위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4.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상부 바디의 접착부에 상기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로 구성된 다층 부직포를 부착하되, 상기 단섬유 부직포를 상기 접착부에 부착하고 하측으로는 장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바디와 아래쪽으로 떨어져 있는 하부 바디에 발포액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바디에 공급된 발포액을 발포시켜 시트 폼 패드를 제조하되, 상기 발포액 발포시 상기 장섬유 부직포로 인하여 발포액이 상기 다층 부직포로 함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부직포는 상기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를 히트 프레싱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공정시 상기 시트 폼 패드와 상기 다층 부직포는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70074083A 2007-07-24 2007-07-24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KR10089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083A KR100896214B1 (ko) 2007-07-24 2007-07-24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083A KR100896214B1 (ko) 2007-07-24 2007-07-24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155A true KR20080019155A (ko) 2008-03-03
KR100896214B1 KR100896214B1 (ko) 2009-05-07

Family

ID=3939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083A KR100896214B1 (ko) 2007-07-24 2007-07-24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017A (ko) * 2021-07-29 2023-02-07 (주)경보라인 차량용 내부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내부 시트
KR102659888B1 (ko) 2023-09-25 2024-04-23 주식회사 브릴스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전장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495U (ko) * 1993-02-10 1994-09-17 김형복 자동차 시트 카바
KR100405318B1 (ko) * 2000-11-20 2003-11-12 한국바이린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용 필터 여재와 그 제조방법
KR20030072831A (ko) * 2002-03-07 2003-09-19 이정헌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17737Y1 (ko) * 2003-03-18 2003-06-25 주식회사 광진산업 자동차시트 폼패드 소음방지용 다층 부직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017A (ko) * 2021-07-29 2023-02-07 (주)경보라인 차량용 내부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내부 시트
KR102659888B1 (ko) 2023-09-25 2024-04-23 주식회사 브릴스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전장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214B1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4667B1 (en) Nonwoven fabric laminate for foaming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laminate for foaming molding, urethane foaming molding composite using nonwoven fabric laminate, vehicle seat, and chair
CN101970227B (zh) 表皮整体发泡成型用的表皮材料
JP5228050B2 (ja) ニードルパンチ不織ベロア布およびその使用
DE202012004594U1 (de) Kraftfahrzeugteile
WO2008036119A1 (en) High loft nonwoven for foam replacement
JP3883008B2 (ja) 発泡成形体補強材及び車両用座席
US10286856B2 (en) Composite fiber mat for producing a support plate for a motor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363018A1 (en) Self-rising board molding
JP7182541B2 (ja) 吸音性防音部材の製造方法、及び吸音性防音自動車内装部材
JP2003341406A (ja) 車両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501077A (ja) 中実多葉形繊維を用いた自動車用カーペット
KR100896214B1 (ko) 자동차 시트의 제조방법
JP2976394B2 (ja) 発泡成形品用補強材
JP7198401B2 (ja) 内装部材及び内装部材の製造方法
JP2005212204A (ja) 発泡成形品用補強材
DE102007005372A1 (de) Polsterteil
US20050275253A1 (en) Seating with vertically-lapped padding
US20190366674A1 (en) Noise Absorbing Multilayer System for a Vehicle
KR100553957B1 (ko) 자동차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8752A (ko) 자동차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0313080A (ja) ウレタン発泡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13081A (ja) ウレタン発泡成形用補強材
JP3255424B2 (ja) 複合成形体シ−トパッド
JP7171292B2 (ja) デッキボード
JP3048435B2 (ja) 発泡成形品用補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