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019A -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019A
KR20080018019A KR1020060080044A KR20060080044A KR20080018019A KR 20080018019 A KR20080018019 A KR 20080018019A KR 1020060080044 A KR1020060080044 A KR 1020060080044A KR 20060080044 A KR20060080044 A KR 20060080044A KR 20080018019 A KR20080018019 A KR 2008001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optical fiber
collision
sensor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8019A/ko
Publication of KR2008001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의 변형에 따라 변하는 광량을 출력하는 광섬유 격자 센서와; 상기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돌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충돌 신호 발생 여부의 기준치가 상이하게 설정된 복수 개의 포스 센서(Force sensor)와;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보행자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보행자 충돌 감지가 가능함은 물론 그 신뢰성이 우수한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범퍼, 보행자, 보행자 충돌 감지센서, 광섬유 격자 센서, 포스 센서

Description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PEDESTRIAN'S CLASH SENSING APPARATUS OF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범퍼 2 : 범퍼 스킨
4 : 범퍼 폼 10 : 광섬유 격자 센서
11 : 광섬유 13 : 격자
22 : 하한 임계 포스 센서 24 : 상한 임계 포스 센서
30 : 제어부 40 : 보호 스킨
본 발명은 보행자의 정면 충돌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등의 작동을 위해 범퍼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충돌을 센싱할 수 있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중 승용 차량에는 전방에 엔진룸이 마련되고, 상기 엔진룸이 후드에 의해 차폐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상기 엔진룸은 엔진 등의 부품이 컴팩트하게 배치되도록 레이 아웃 설계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여유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상기 후드는 상기 엔진룸을 견실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상당히 강한 구조로 구비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충돌 사고시 보행자가 자동차의 전방범퍼와 1차적으로 충돌한 다음, 자동차의 후드패널 쪽으로 쓰러지면서 다시 2차 충돌을 하여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에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에너지가 그대로 보행자에게 전달되어 보행자는 치명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행자 보호 법규가 강화됨에 따라 상기한 보행자 보호 법규 만족을 위해 보행자의 충돌 여부를 센싱하여 보행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등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행자의 정면 충돌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등의 작동을 위해 범퍼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충돌을 센싱할 수 있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는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의 변형에 따라 변하는 광량을 출력하는 광섬유 격자 센서와; 상기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돌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충돌 신호 발생 여부의 기준치가 상이하게 설정된 복수 개의 포스 센서(Force sensor)와;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보행자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는 일체로 묶여 상기 범퍼의 범퍼 스킨과 범퍼 폼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는 일체로 묶여 보호 스킨 내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스킨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스킨은 상기 범퍼와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포스 센서는 상기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한 임계 포스 센서와, 상기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보다 높은 상한 임계 포스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는 범퍼(1)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1)의 변형에 따라 변하는 광량을 출력하는 광섬유 격자 센서(10)와, 상기 범퍼(1)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1)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돌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충돌 신호 발생 여부의 기준치가 상이하게 설정된 복수 개의 포스 센서(Force sensor)(20)와,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20)의 센싱 결과에 따라 보행자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20)는 일체로 묶여 상기 범퍼(1)의 범퍼 스킨(2)과 범퍼 폼(4)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20)는 외력에 의한 오동작 및 파손 방지를 위해 일체로 묶여 보호 스킨(4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범 퍼(1)에 설치된다. 상기 보호 스킨(40)은 충분히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보호 스킨(40)은 상기 범퍼(1)와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범퍼(1)의 범퍼 스킨(2)과 면접되고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20)가 위치된 센서 보호부(42)와, 상기 센서 보호부(42)로부터 상기 범퍼(1)의 범퍼 폼(4)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범퍼(1)의 범퍼 폼(4)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는 Optical Fiber Grating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서, 광섬유(11)의 코어(12)에 일정한 주기를 가진 복수의 격자(13)가 새겨져 구성된 것이다.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의 격자(13)는 상기 광섬유(11)에 UV 레이저 혹은 CO2 레이저가 조사됨으로써 제작되며, 이 때 Amplitude 마스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패턴의 주기적인 굴절률 변화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의 격자(13)는 굴절률의 주기가 약 500nm 범위인 Fiber Bragg Grating(FBG)과, 그 굴절률의 주기가 약 100 ㎛ ~ 700 ㎛ 범위인 Long Period Grating(LPG)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Long Period Grating(이하, LPG라 함)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광섬유 격자 센서(10)는 상기 범퍼(1)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하는 상기 광섬유(11)의 출력 광량과, 상기 격자(13)의 주기 변화에 대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공진 피크의 변화량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복수 개의 포스 센서(20)는 보행자 충돌 여부뿐만 아니라 상기 범퍼(1) 에 충돌한 보행자의 체격 유형까지 판별 가능토록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에에서는 2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포스 센서(20)는 상기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와, 상기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보다 높은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는 상기 범퍼(1)에 가해진 압력이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의 충돌 신호 기준치 이상이면, 상호 이격 배치된 + 대전체(22A)와 ?? 대전체(22B)가 접지되면서 ON 동작되어 충돌 신호를 출력토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는 상기 범퍼(1)와의 충돌시 보행자보다 작은 압력을 가하는 물체의 충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는 상기 범퍼(1)에 가해진 압력이 상기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의 충돌 신호 기준치 이상이면, 상호 이격 배치된 + 대전체(24A)와 ?? 대전체(24B)가 접지되면서 ON 동작되어 충돌 신호를 출력토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는 상기 범퍼(1)와의 충돌시 보행자보다 큰 압력을 가하는 물체의 충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범퍼(1)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범퍼(1)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의 광량 변화가 생기고,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가 상기 변화된 광량에 따른 광량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아울러 상기 범퍼(1)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와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가 선택적으로 ON 동작되어 충돌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로 출력된 광량 신호가 보행자 충돌 여부 판별을 위한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되는 과정을 통해 보행자 충돌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와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로부터의 충돌 신호 발생 여부를 통해 보행자 충돌 여부가 판별된다.
즉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로부터 출력된 광량 신호의 비교 분석 결과 보행자 충돌로 판별되고,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가 ON 동작되어 충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로부터 충돌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보행자가 충돌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로부터 출력된 광량 신호의 비교 분석 결과 보행자 충돌로 판별되더라도,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와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 모두 충돌 신호를 출력하지 않거나 또는 모두 충돌 신호를 출력한 경우는 상기 범퍼(1)에 보행자가 아닌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22)가 ON 동작되어 충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상한 임계 포스 센서(24)로부터 충돌 신호가 출력하였더라도,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10)로부터 출력된 광량 신호의 비교 분석 결과 보행자 충돌로 판별되지 않 으면 이 또한 보행자가 아닌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는 범퍼의 변형에 따라 변하는 광량을 출력하는 광섬유 격자 센서와, 상기 범퍼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돌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포스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가 상호 보완을 하게 되어 보행자 충돌인지 보행자가 아닌 물체의 충돌인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고,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났더라도 나머지 다른 센서에 의해 보행자 충돌 감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의 변형에 따라 변하는 광량을 출력하는 광섬유 격자 센서와;
    상기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돌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충돌 신호 발생 여부의 기준치가 상이하게 설정된 복수 개의 포스 센서(Force sensor)와;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보행자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는 일체로 묶여 상기 범퍼의 범퍼 스킨과 범퍼 폼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격자 센서와 복수 개의 포스 센서는 일체로 묶여 보호 스킨 내 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킨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킨은 상기 범퍼와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포스 센서는 상기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한 임계 포스 센서와, 상기 충돌 신호 발생 기준치가 상기 하한 임계 포스 센서보다 높은 상한 임계 포스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KR1020060080044A 2006-08-23 2006-08-23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KR20080018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44A KR20080018019A (ko) 2006-08-23 2006-08-23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44A KR20080018019A (ko) 2006-08-23 2006-08-23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19A true KR20080018019A (ko) 2008-02-27

Family

ID=3938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044A KR20080018019A (ko) 2006-08-23 2006-08-23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801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90B1 (ko) * 2012-02-03 2012-06-20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KR20150063722A (ko) * 2013-12-02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센서장치
USD762400S1 (en) 2014-10-20 2016-08-02 Cabeau, Inc. Travel pillow
US9526360B2 (en) 2012-04-12 2016-12-27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90880S1 (en) 2015-09-29 2017-07-04 Cabeau, Inc. Neck pillow
US9968197B2 (en) 2014-03-11 2018-05-15 Cabeau, Inc. Travel pillow
CN109405762A (zh) * 2018-11-15 2019-03-01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光栅的防碰撞监测装置
US10321765B2 (en) 2014-03-11 2019-06-18 Cabeau, Inc. Travel pillow
US10702082B2 (en) 2015-09-29 2020-07-07 Cabeau, Inc. Neck pillow with chin supports, multiple anchor points, and magnetic clip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90B1 (ko) * 2012-02-03 2012-06-20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US11129478B2 (en) 2012-04-12 2021-09-28 Cabeau, Inc. Travel pillow
US9526360B2 (en) 2012-04-12 2016-12-27 Cabeau, Inc. Travel pillow
US9635962B2 (en) 2012-04-12 2017-05-02 Cabeau, Inc. Travel pillow with lateral and rear support bar and a flat and thin back
US10383465B2 (en) 2012-04-12 2019-08-20 Cabeau, Inc. Travel pillow with lateral and rear support bar and a flat and thin back
KR20150063722A (ko) * 2013-12-02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센서장치
US10321765B2 (en) 2014-03-11 2019-06-18 Cabeau, Inc. Travel pillow
US9968197B2 (en) 2014-03-11 2018-05-15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90881S1 (en) 2014-10-20 2017-07-04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62400S1 (en) 2014-10-20 2016-08-02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90880S1 (en) 2015-09-29 2017-07-04 Cabeau, Inc. Neck pillow
US10702082B2 (en) 2015-09-29 2020-07-07 Cabeau, Inc. Neck pillow with chin supports, multiple anchor points, and magnetic clip
CN109405762A (zh) * 2018-11-15 2019-03-01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光栅的防碰撞监测装置
CN109405762B (zh) * 2018-11-15 2024-02-2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光栅的防碰撞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8019A (ko)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US6882916B2 (en) Collision object discriminating apparatus installable on a vehicle
EP1637405B1 (en) Object struck discrimination system and protection system
KR100741591B1 (ko) 보행자 충돌 탐지용 센서 시스템
US20070046044A1 (en) Collision object discri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JP2008143372A (ja) 歩行者衝突検出装置及び歩行者保護システム
US7734393B2 (en) Object struck discrimination system and protection system
JP5345606B2 (ja) 歩行者保護装置に対してトリガ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72970A (ko) 외장 에어백장치
JP3212841B2 (ja)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782630B1 (ko) 차량의 사람 보호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661299B2 (ja) 車両の歩行者保護装置
US20100179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vehicle side impact sensing with unit area impulse technique
US20070179693A1 (en) Device for impact sensing
JP2007083846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US8861901B2 (en) Impact sensor of active hood system
KR101437433B1 (ko) 광섬유 그리드 시트를 이용한 탑승자 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630841B1 (ko) 보행자 보호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94237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KR102578560B1 (ko) 충돌 감지 차체 판넬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시스템
KR101155390B1 (ko)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Park et al. Study on the Contact Sensor used for the Detection of Pedestrian Impact
JP2006251703A (ja) 光ファイバセンサ
Scher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contact sensors for activ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s
KR101077715B1 (ko) 보행자 보호 장치를 위한 트리거 신호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