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777A -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777A
KR20080017777A KR1020060079395A KR20060079395A KR20080017777A KR 20080017777 A KR20080017777 A KR 20080017777A KR 1020060079395 A KR1020060079395 A KR 1020060079395A KR 20060079395 A KR20060079395 A KR 20060079395A KR 20080017777 A KR20080017777 A KR 2008001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818B1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818B1/ko
Priority to US11/889,997 priority patent/US7800726B2/en
Publication of KR2008001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높이 또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전반사 영역을 줄여 휘도를 향상시키어 눈의 피로를 줄이도록 한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 하부에 구성되는 보호층과,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복수개의 폴리머를 혼합되어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높이의 돌출부들을 갖고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다.
편광판, 눈부심, 폴리머,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편광판이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편광판에 돌출된 돌출부의 높이를 제어함에 따른 반사 및 굴절 영역의 휘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둘출부의 높이에 따른 전반사 영역과 굴절 영역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의 돌출부 높이에 따른 명암비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의 특성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도 9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편광 필름 70 : 보호 필름
80 : 눈부심 방지층 81 : 폴리머
90 : 점착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반사 영역을 줄임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편광면(Plane of Polarization)이 수직인 두 개의 직선 편광이 합하여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빛의 진행방향과 전기장을 포함하는 면을 편광면이라 부르며, 편광면이 하나의 평면(平面)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직선편광 또는 평면 편광이라고 하는데 본 발명은 직선 편광을 뽑아 내는데 사용되는 필름상 합성수지로 된 편광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선 중에서 직선 편광을 뽑아내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수정과 같은 복굴절성의 결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편광 프리즘(polarizing prism)이 있다.
최근 액정표시장치가 광범위하게 산업에 이용됨에 따라 여기에 사용되는 박막(Thin-film)상의 편광판이 이미 상품화되어 있다.
박막 편광판(polarizing plastic thin film)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s : LCD)를 사용하는 손목 시계, 전자수첩,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화상 표시장치나 선글라스(Sun glass)와 같이 편광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 편광판은 그 용도상 편광 성능을 유지하면서 두께가 얇을수록 유용하고, 그 특성상 고도의 광투과성과 자외선 흡수성, 내수성, 치수 안정성, 내마모성 등을 고루 갖출 것이 요구되는 기술 집약형 제품이다.
현재 요드(Iodine)나 이색성 유기염료로 처리한 편광성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 PVA) 필름을 편광 기재 필름으로 하고 치수나 변형에 대한 안정성과 내마모성은 물론 우수한 투명성, 자외선 흡수성, 내구성을 갖고 있는 셀루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 CTA) 필름을 이 편광기재필름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으로 하여 구성시킨 박막 편광판(Polarizing plast thin film)이 시판되고 있다.
종래에는 CTA 필름과 편광성 PVA 필름으로 구성된 편광판(CTA필름/PVA필름/CTA필름)을 액정표시소자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착시켜주기 위해서는 CTA 필름층 위에 점착제를 형성시켜 주어야만 한다.
상기 점착제을 형성시켜 주는 점착제로서는 유성 또는 수성 아크릴계수지와 같은 용재형 점착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접착후 용제를 증발시켜 주어야 하므로 반드시 용제를 증발 건조시켜 주는 건조실이 있어야 한다.
또한, 편광판과 보호 필름 사이에 직접 점착제 처리를 할 수 없어 반드시 이형층을 갖는 보호 필림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편광판에 합착하여야 하며 합착 과정에서 기포 유입 등 어려움이 있고 완전 건조가 안된 경우 휘발분 함유의 문제가 있었다. 이때 보호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텔(Polyethylene terephthalate : 이하 PET 라 한다)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즉, CTA 필름은 편광성 PVA 필름의 보호층으로 사용되며 이형 처리된 PET 필름은 점착제를 도포한 전체 편광필름의 보호층으로 사용되며 PET 필름은 편광 필름을 액정표시장치에 부착시켜 줄 때 제거한다.
LCD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사용되고 있고, 최근 급격하게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LCD의 용도는 넓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모니터 용도에도 사용되고 있다.
LCD에 사용하는 편광판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콜(이하, PVA라고 약칭한다.) 필름을 2색성을 가지는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로 염색하는 염색공정, 붕산이나 붕사 등으로 가교하는 가교공정 및 일축 연신 하는 연신 공정의 후에 건조하여, 트리아세틸셀룰로스(이하, TAC라고 약칭한다.) 필름 등의 보호층과 맞붙여 제조된다.
또한, 염색, 가교, 연신의 각 공정은 따로따로 행할 필요는 없고 동시에 행하여도 되며, 또한, 각 공정의 순서도 임의로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 중에서 컬러 필터 기판 상에 부착하는 편광판(분해자)은 외부 광에 의하여 상기 편광판에서 눈부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AG층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AG층, 편광판의 편광필름 및 보호층을 제조할 때, 외부광과 내부광의 특성을 조절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화질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30)과, 광을 발생하는 형광램프(31)와, 상기 형광램프(31)를 U자형으로 에워싸는 램프하우징(32)과, 상기 액정표시패널(30)의 한 면에 차례로 부착되는 확산판(35), 제 1 프리즘시 트(37)와 제 2 프리즘시트(36) 및 보호시트(38)와 도광판(33)과 반사판(3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패널(30)과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서포트 메인(39)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램프(31)와 램프하우징(32) 및 확산판(35), 제 1 프리즘시트(37)와 제 2 프리즘시트(36), 보호시트(38)와 도광판(33) 및 반사판(34)을 백라이트 유닛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패널(30)의 표시영역(A)에 빛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표시영역(A)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깥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두 장의 투명기판과 상기 두 장의 투명기판의 안쪽면 사이에 주입된 액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표시영역을 구동시키는 구동회로(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동작한다. 상기 도광판(33)의 한쪽 단면(端面)에 설치된 형광램프(31)가 켜지면, 상기 형광램프(31)에서 발생한 빛은 램프하우징(32)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빛은 상기 도광판의 단면(斷面)을 통해 상기 형광램프가 설치되지 않은 도광판의 단면(端面)부까지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빛은 도광판(33) 전면에 걸쳐 퍼지게 되고, 확산판(35)에 의해 빛은 액정표시패널의 표시영역(A)에 비춰지게 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의 신호에 따라 액정표시패널 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가 화소를 제어하여 표시영역에 비춰지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선택적으로 빛을 통과시킨 화소가 모여 액정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화소 전극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한 어레이 기판과 R, G, B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에는 외부광의 반사광(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또는 내부 광을 편광판에 의하여 편광 시킨 후, 이를 전계에 의하여 트위스트된 액정 분자들에 통과시켜 화상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상기 편광판은 어레이 기판 외측 면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 외측 면에 각각 부착되는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내부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는 먼저, 상기 어레이 기판 외측면 상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자에 입사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편광 되고, 이렇게 편광된 광은 액정을 통과한 다음 상기 컬러 필터 기판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해자(편광판)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분해자와 편광자는 동일한 편광판으로서 광을 편광시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편광된 광의 특성에 따라 상기와 같이 명명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컬러 필터 기판 외측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편광 필름(50) 하부에 형성되는 보호층(51)과, 상기 편광 필름(50) 상부 표면에는 외부 상 비췸 및 눈부심 방지(Anti-Glare)를 위하여 AG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51)의 하부에는 점착제(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AG층은 편광 필름(50)상에 SiO2 계열의 물질로 된 폴리머(polymer)(52)를 혼합한 아크클레이트(acrylate)(53)를 레이어(layer) 하는데, SiO2계의 상기 폴리머(52)에 의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53) 표면에는 일정한 표면 굴곡이 형성된다.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AG층을 형성한 이유는 상기 편광판 표면이 균일한 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일정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외부 광이 특정한 각도에서 반사가 일어나게 되어 특정한 시야 각에서 눈부심(glare)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아크릴레이트(53) 내에 상기 폴리머(52)를 혼합함으로써, 일정한 굴곡을 갖는 AG층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상기 편광판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따라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이 표면에서 산란되어 눈부심을 방지(Anti-Glare)한다.
도 3은 도 2의 편광판이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편광 필름 상부에 형성된 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머(52)가 혼합된 아크릴레이트(53)의 상부 표면은 반구형 형태를 갖는 돌출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광판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아크릴레이트내에 혼합된 폴리머에 의해 표면에 굴곡이 발생되는데 이때 상기 굴곡의 높이가 서로 달라 각 굴곡 자체가 빛을 전반사 또는 굴절시킴으로써 영역 별 휘도가 심하게 발생하고, 상기 휘도 차로 인해 반짝임이 발생하여 눈에 많은 피로감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편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출부의 높이 또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전반사 영역을 줄여 휘도를 향상시키어 눈의 피로를 줄이도록 한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 하부에 구성되는 보호층과,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복수개의 폴리머를 혼합되어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높이의 돌출부들을 갖고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하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갖고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및 서포트 메인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상하부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 PVA) 등으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60)과, 상기 편광 필름(60)을 하부에 수치나 변형에 대한 안정성과 내마모성은 물론 우수한 투명성, 자외선 흡수성, 내구성을 갖고 있는 트리아셀틸루로오스(Triacetyl Cellulose : TAC) 필름으로 이루어져 상기 편광 필름(60)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70)과, 상기 편광 필름(60)의 상부에 구성되고 다수개의 폴리머(81)가 혼합되어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한 높이의 돌출부를 갖고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80)과, 상기 보호 필름(70)의 하부에 구성되는 점착제(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80)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표면에 돌출부는 반구형의 형태를 갖고 있으면, 그 높이는 표면으로부터 0.25 ~ 2㎛ 바림직하게는 1㎛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눈부심 방지층(80)에 혼합된 폴리머(81)는 1.2 ~ 1.5의 굴절율 갖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층(80)의 굴절율은 1.2 ~ 1.5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81)의 굴절율은 1.434이고, 상기 눈부심 방지층(80)의 굴절율은 1.432이다.
또한, 상기 눈부심 방지층(80)의 표면에 형성된 굴절부는 전반사 영역과 굴절 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때 상기 굴절 영역이 전반사 영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60)의 하부에만 보호 필름(70)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눈부심 방지층(80)과 편광 필름(60) 사이에도 보호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편광판에 돌출된 돌출부의 높이를 제어함에 따른 반사 및 굴절 영역의 휘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시뮬레이션이다.
도 5에서와 같이, 편광판의 돌출부의 높이는 0.8 ~ 1.8㎛ 사이에서 외부 형상에 의한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돌출부의 높이를 1㎛로 조절했을 때 외부 형상에 이한 눈부심이 가장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둘출부의 높이에 따른 전반사 영역과 굴절 영역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서와 같이, 돌출부의 높이를 2㎛로 했을 때 전반사 영역(b)과 굴절 영역(a)으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1㎛로 했을 때 도 6b에서와 같이, 폴리머의 굴절율인 1.434 → 공기 중의 굴절율 1.02에서 굴절율 차이로 전반사 영역(b)이 좁아지게 되고 반대로 굴절 영역(a)은 넓어지게 되어 휘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전반사 영역(b)을 줄임으로서 굴절 영역(a)을 넓혀 휘도를 높게 할 수가 있고, 돌출부의 높이가 1에서 반짝임 발생 및 비 발생부가 최적화되어 눈부심 수준을 최소한으로 낮출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의 돌출부 높이에 따른 명암비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돌출부는 반구형 형태를 갖게 되는데 반지름이 2㎛일 때 돌출부의 높이(Rz)가 1㎛를 갖게 되는데 이때 가장 최적화 지점을 얻을 수 있다.
반지름(㎛) 45도 Rz(㎛)
2 1
3 1.5
4 2
5 2.5
6 3
7 3.5
표 1에서와 같이 입자 사이즈(size)에 상관없이 아크릴 레이트가 갖는 면의 각이 45일 때 최적화점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의 특성을 나타낸 시뮬레이션이다.
도 8에서와 같이, 편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거리를 조절하여 휘도를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가져감으로써 반짝임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광판의 돌출부간의 거리를 0.25 ~ 1.8㎛로 했을 때 전 영역에 걸쳐서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입자간거리 60 55 50 45 40 35 30 25
피크넘버 7 7 7 5 6 3 5 3
표 2에서와 같이, 입자간 거리가 작아질수록 반짝임을 나타내는 피크 넘버(peak number) 숫자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간의 거리를 좁혀 휘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00)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00)과 백 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200)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 및 서포트 메인(200)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탑(Case Top)(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상부 및 하부 기판(100a,100b)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되게 되고 아울러 액정셀들 각각에는 비디오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정셀들 각각의 굴절율이 비디오신호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패널(100)의 하부기판(100b)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전면 및 배면에는 편광판(110, 120)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110,120)은 액정셀들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편광판(110,120)은 도 4 및 상세한 설명에서와 같이, 표면에 균일한 높이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갖고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110,120)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높이 및 간격을 조절하여 전 영역에 걸쳐서 휘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이때 높이는 0.8 ~ 1.8㎛, 간격은 0.25 ~ 1.8㎛로 할 수 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 및 간격은 0.8 ~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그리고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와이어를 통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액정표시패널(100)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410)와, 상기 램프(410)와 대면되는 측면에 형성된 입광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액정표시패널(100)쪽으로 진행시키는 도광판(420)과, 상기 램프(410)를 감쌈과 아울러 도광판(420)의 입광부를 감싸는 램프하우징(430)과, 상기 도광판(42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판(440)과, 상기 도광판(4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켜 액정표시패널(100)에 조사하는 다수의 광학시트(450)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430)은 램프(4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광의 손실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편광판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반사 영역을 줄임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편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반사 및 굴절 영역에 따른 휘도 프로파일을 균일하게 가져가 눈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편광판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반사 영역을 줄임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 하부에 구성되는 보호층과,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복수개의 폴리머를 혼합되어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높이의 돌출부들을 갖고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점착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의 굴절율은 1.2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굴절율은 1.2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굴절영역이 전반사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단차는 표면으로부터 0.8 ~ 1.8㎛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분간의 거리가 0.25 ~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하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갖고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및 서포트 메인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8 ~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간의 간격은 0.25 ~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079395A 2006-08-22 2006-08-22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43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95A KR101243818B1 (ko) 2006-08-22 2006-08-22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11/889,997 US7800726B2 (en) 2006-08-22 2007-08-17 Polarizing plate containing polymer ball mixed anti-glare lay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95A KR101243818B1 (ko) 2006-08-22 2006-08-22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777A true KR20080017777A (ko) 2008-02-27
KR101243818B1 KR101243818B1 (ko) 2013-03-18

Family

ID=3911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395A KR101243818B1 (ko) 2006-08-22 2006-08-22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00726B2 (ko)
KR (1) KR101243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416A1 (ko) * 2015-05-14 2016-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7443B (zh) 2006-02-28 2014-08-01 Fujifilm Corp 偏光板及液晶顯示器
KR101318760B1 (ko) * 2009-10-20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20110096403A1 (en) * 2009-10-22 2011-04-28 Lin Cheng Anti-glare optica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00112B2 (ja) * 2012-03-30 2016-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シート、防眩シートの製造方法、防眩シートを成型するための金型、及び金型の製造方法
CN104793275A (zh) * 2015-04-29 2015-07-22 宁波江北激智新材料有限公司 一种色度坐标和色域范围可调的荧光薄膜
CN109307897B (zh) * 2018-11-23 2021-04-27 淮阴工学院 一种可绕折的光扩散膜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795A (en) * 1995-07-27 1998-12-0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anti-reflection film applicable thereto
JP3288318B2 (ja) * 1998-12-14 2002-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73796B1 (ko) * 1999-09-09 2007-01-24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투명 하드코트 필름
KR100925330B1 (ko) * 2002-11-26 2009-1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제조방법
JP4054670B2 (ja) * 2002-12-13 2008-0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200517458A (en) * 2003-10-06 2005-06-01 Dai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film
KR100577304B1 (ko) * 2004-05-13 2006-05-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416A1 (ko) * 2015-05-14 2016-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60134017A (ko) * 2015-05-14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0910601B2 (en) 2015-05-14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00726B2 (en) 2010-09-21
KR101243818B1 (ko) 2013-03-18
US20080049174A1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68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243818B1 (ko)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20050195588A1 (en) Optical member,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0170152A (ja) 液晶表示装置
US20020159003A1 (en) Transmission type display device
US20090122225A1 (en) Light concentrating sheet,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light concentrating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CN110596947A (zh) 一种显示装置
US20070171355A1 (en) Polariz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90185108A1 (en)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2128664B1 (en)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10157518A1 (en) Light shap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44253A (ko)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8439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7111177B (zh) 用于液晶显示装置的模块以及具有其的液晶显示装置
US10539721B2 (en) Diffusion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873979A (zh) 液晶显示装置
KR10195599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13845B1 (ko) 광학 필름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102113237B1 (ko) 광학 필름 및 액정 디스플레이
TW201329545A (zh) 液晶顯示裝置
KR100925330B1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제조방법
CN101592747B (zh) 光学片,背光单元和液晶显示器
KR102089405B1 (ko) 액정 디스플레이
KR20180046937A (ko) 일체형 확산판 및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장치
KR20070028691A (ko) 편광판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