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573A - 스테빌라이저 구조 - Google Patents

스테빌라이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573A
KR20080017573A KR1020060078810A KR20060078810A KR20080017573A KR 20080017573 A KR20080017573 A KR 20080017573A KR 1020060078810 A KR1020060078810 A KR 1020060078810A KR 20060078810 A KR20060078810 A KR 20060078810A KR 20080017573 A KR20080017573 A KR 2008001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shaft
stabilizer
vehicle
vehicle body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7573A/ko
Publication of KR2008001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에 중심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제 1 판스프링과 제 2 판스프링을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의 끝단에 차량의 좌,우측 로워암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링크와 우측링크를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스테빌라이저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며, 액티브 롤 콘트롤(Active Roll Control)을 적용하기가 용이해지도록 한 스테빌라이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테빌라이저, 로워암, 타이어, 중심축, 좌측링크, 우측링크, 판스프링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저 구조{Stabilizer structure}
도 1 은 본 발명의 스테빌라이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스테빌라이저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리바운드 동작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리바운드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롤링 동작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롤링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체, 2: 어퍼암,
3: 로워암, 4: 타이어,
5: 중심축, 6: 좌측링크,
7: 우측링크, 8: 제 1 판스프링,
9: 제 2 판스프링,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빌라이저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며, 액티브 롤 콘트롤(Active Roll Control)을 적용하기가 용이해지도록 한 스테빌라이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 및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현가장치 중에는 코너링 주행중 차체에 발생되는 롤링(Rolling)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주행안정성을 도모하는 스테빌라이저가 함께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차량의 스테빌라이저는 탄성을 구비한 원봉의 형태로서 제작되어 그 양단은 통상 로워암에 결합되고, 중간은 두 군데 정도가 스테빌라이저 부시를 매개체로 하여 차체의 결합됨으로써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스테빌라이저는 설치를 위하여 스테빌라이저바, 2개의 로드, 6개의 부싱, 4개의 링크 등 전체적인 부품수가 많아서 제품의 원가가 높게 상승하게됨은 물론 설치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되어 패키지 상의 제약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중심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제 1 판스프링과 제 2 판스프링을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의 끝단에 차량의 좌,우측 로워암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링크와 우측링크를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스테빌라이저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며, 액티브 롤 콘트롤(Active Roll Control)을 적용하기가 용이해지도록 한 스테빌라이저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의하여,
차체에 중심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상에 차량의 전후방을 향하도록 제 1 판스프링과 제 2 판스프링을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의 끝단에 차량의 좌,우측 로워암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링크와 우측링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차체를 나타내며, 상기 차체(1)의 양측으로는 타이어(4)가 휠축에 결합된다.
상기 타이어(4)는 어퍼암(2)과 로워암(3)에 의해 차체(1)에 연결되는데 상 기 로워암(3)의 사이에 스테빌라이저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스테빌라이저는 중심축(5), 좌,우측링크(6,7) 및 제 1 및 제 2 판스프링(8,9)으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5)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1)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5)의 외주면상에 차량의 전후방을 향하도록 제 1 판스프링(8)과 제 2 판스프링(9)을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8,9)의 끝단에 차량의 좌,우측 로워암(3)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링크(6)와 우측링크(7)를 형성한다.
즉, 상기 상기 좌측링크(6)와 우측링크(7)를 통해 차체(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어(4)의 로워암(3)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리바운드 상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바운드 상태는 차량의 타이어(4)가 동시에 하강하게되는 현상이며, 이와같이 타이어(4)가 도 3 과 같이 동시에 하강하게되면, 로워암(3)이 타이어(4)와 함게 하강하면서 좌측링크(6)와 우측링크(7)를 아래쪽으로 당겨주게되고, 이에의해 상기 좌,우측링크(6,7)가 로워암(3)을 따라 하강하면서 제 1 및 제 2 판스프링(8,9)을 양측으로 당겨주게된다.
이에따라 중심축(5)이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하면서 제 1 및 제 2 판스프링(8,9)을 로워암(3) 측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리바운드 상태의 반력이 상쇄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롤링 상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링상태는 차량의 선회시 발생되는 것으로 일측의 타이어(4)는 하강하고 타측의 타이어(4)는 상승동작한다.
즉, 좌우측 차륜이 상,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도 5 및 도 6 과 같이 좌측타이어는 상승하고 우측타이어는 하강한다고 가정하면,
좌측타이어의 상승에 의해 좌측 로워암(3)이 상승하면서 제 1 판스프링(8)을 차체(1) 측으로 밀게되고, 우측타이어의 하강에 의해 로워암이 하강하면서 제 2 판스프링(9)을 우측으로 당겨주게된다.
즉, 제 1 판스프링(8)과 제 2 판스프링(9)에 동일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되는 것이며, 이에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8,9)이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휘어지면서(굽힘변형이 발생됨) 차체에 가해지는 롤링 현상에 대한 반력이 상쇄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부품수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여주어 제품의 원가를 낮춰주고, 부품수 감소로 인하여 생산라인에서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스테빌라이저가 차지하는 공간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중심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 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제 1 판스프링과 제 2 판스프링을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의 끝단에 차량의 좌,우측 로워암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링크와 우측링크를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스테빌라이저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며, 액티브 롤 콘트롤(Active Roll Control)을 적용하기가 용이해지도록 한 스테빌라이저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차체(1)에 중심축(5)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심축(5)의 외주면상에 차량의 전후방을 향하도록 제 1 판스프링(8)과 제 2 판스프링(9)을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8,9)의 끝단에 차량의 좌,우측 로워암(3)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링크(6)와 우측링크(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구조.
KR1020060078810A 2006-08-21 2006-08-21 스테빌라이저 구조 KR20080017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10A KR20080017573A (ko) 2006-08-21 2006-08-21 스테빌라이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10A KR20080017573A (ko) 2006-08-21 2006-08-21 스테빌라이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573A true KR20080017573A (ko) 2008-02-27

Family

ID=3938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810A KR20080017573A (ko) 2006-08-21 2006-08-21 스테빌라이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75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30B1 (ko) * 2011-10-20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티 롤 장치
US8480101B2 (en) 2011-12-09 2013-07-09 Hyundai Motor Company Anti-roll system for veh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30B1 (ko) * 2011-10-20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티 롤 장치
US8480101B2 (en) 2011-12-09 2013-07-09 Hyundai Motor Company Anti-roll system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3408B (zh) 自补偿浮动摆臂独立悬挂系统
JP4739807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1229764B (zh) 扭杆式汽车悬挂装置
US7694983B2 (en) Interlinked double wishbone suspension
CN201665138U (zh) 一种抗侧倾和横摆的悬架装置
CN102351008A (zh) 一种大型矿用自卸车前桥对称四连杆转向总成
US7562888B2 (en) Vehicular suspension system
KR20080017573A (ko) 스테빌라이저 구조
CN202175096U (zh) 大型矿用自卸车前桥对称四连杆转向总成
JP200824718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EP2311670B1 (en) Suspension system
CN208306291U (zh) 一种窄车宽高机动性车型的前独立悬架
CN202016380U (zh) 汽车独立悬架装置
JP4376296B1 (ja) リアリーフスプリング式サスペンション車両における後車軸の左右ずれを補正する方法
CN201566437U (zh) 一种长度可调双横臂式悬架
KR101316500B1 (ko)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조절장치
KR102238053B1 (ko) 차량용 멀티링크식 리어 서스펜션
CN201161539Y (zh) 扭杆式汽车悬挂装置
CN214822429U (zh) 一种多连杆后悬架总成及汽车
KR100962200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KR102440604B1 (ko)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CN203198655U (zh) 一种双叉臂式悬架
KR101714166B1 (ko) 자동차 후륜용 휠 캐리어 구조
KR20120121238A (ko) 쇼크 업소버용 브래킷 및 제작 방법
CN204161035U (zh) 一种不等臂双横臂独立空气悬架前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