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434A - 노드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노드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434A
KR20080016434A KR20070047935A KR20070047935A KR20080016434A KR 20080016434 A KR20080016434 A KR 20080016434A KR 20070047935 A KR20070047935 A KR 20070047935A KR 20070047935 A KR20070047935 A KR 20070047935A KR 20080016434 A KR20080016434 A KR 20080016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ata
err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284B1 (ko
Inventor
다카시 야마모토
다카하루 이시즈카
도시카즈 우에키
마코토 하타이다
유카 호소카와
다케시 오와키
다이스케 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04L1/0082Formats for control data fields explicitly indicating existence of error in data being transmitted, e.g. so that downstream stations can avoid decoding erroneous packet;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노드가 언콜렉터블 에러(uncorrectable error)를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 범용 노드를 통과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어 장치는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로서, 어느 하나의 노드가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한 때에 그 노드가 송신하는 신호를 접수하는 수단과, 제1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노드로부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제1 노드의 검출 기록으로부터 판정하는 수단과,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던 경우, 제2 노드로부터 신호를 접수한 것에 기인하는 처리를 정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노드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NODE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ED WITH A CONTROL PROGRAM}
도 1은 종래의 언콜렉터블 에러 검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동작 설명도.
도 3은 기존 노드 F의 POISON 검출기(12)가 레지스터(13)에 비트를 세트하는 동작의 설명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기존 노드 B : 기존 노드
C : 기존 노드 D : 기존 노드
E : 기존 노드 F : 기존 노드
G : 범용 노드 H : 기존 노드
1 : 버스 2 : 펌웨어 허브
3 : 관리부 4 : 표시부
5 : 정보 집적부 6 : 버스
7 : 버스 8 : 버스
9 : 송신부 10 : 수신부
11 : 변환부 12 : POISON 검출기
13 : 레지스터 21 : CPU
22 : 노스 브릿지 23 : 어드레스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
24 : 사우스 브릿지 25 : PCI Express 칩
26 : PCI-BOX 27 : 데이터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
28 : 메모리 컨트롤러
본 발명은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장치와 협동하는 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콜렉터블 데이터(Uncorrectable Data)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Poisoning Data)를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는, 기존 노드가 포이즈닝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후단의 기존 노드에 통과시킨다. 그 때문에, 불필요한 언콜렉터블 에러(Uncorrectable Error)의 검출을 행하지 않고서 고장 검출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언콜렉터블 데이터는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이다. 또한, 언콜렉터블 에러는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 오류이다. 포이즈닝이란,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를 노드가 수신했을 때에 데이터의 마지막에 부가되 는 ECC(Error Correcting Code)의 각 비트를 특정한 패턴(데이터)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즉, 포이즈닝도 언콜렉터블의 일종이다.
데이터 패킷을 시스템의 최후까지 흐르게 함으로써, 최종단의 기존 노드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에서는, 기존 노드 A와 기존 노드 B 사이의 버스(1)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하고 있다(도 1에서는, UE 발생이라고 표기). 이 경우, 기존 노드 A로부터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존 노드 B는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다(도 1에서는, UE 검출이라고 표기). 그리고, 기존 노드 B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되는 ECC에 대해 포이즈닝 처리를 행하여,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기존 노드 C로 송신한다.
기존 노드 C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이더라도,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 노드 C는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기존 노드 D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기존 노드 B에서만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을 행하며, 기존 노드 C 및 기존 노드 D에서는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고장 검출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종래, 모든 노드가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전제되어 있는 경우의 포이즈닝 데이터 인식 방식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2294호 공보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는, 시스템 내의 도중 경로에 있어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한 경우,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을 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없는 범용 노드를 시스템에 추가한 경우, 포이즈닝 데이터가 그 범용 노드를 통과하면 언콜렉터블 에러가 검출된다.
통상, 범용 노드에 의해 언콜렉터블 에러가 검출된 경우, 범용 노드의 고장 혹은 그 범용 노드에 접속되는 버스의 고장이라고 지적된다. 범용 노드를 통과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더라도, 범용 노드는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을 행한다. 즉, 범용 노드가 검출한 언콜렉터블 에러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범용 노드가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하더라도, 범용 노드를 통과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구별을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범용 노드의 고장 또는 그 범용 노드에 접속되는 버스의 고장인지, 범용 노드 이외의 고장인지의 판단을 할 수 없다. 그 결과,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된 언콜렉터블 데이터가 범용 노드를 통과한 경우, 의심받는 부품으로서의 이 범용 노드는 지나치게 지적받아, 불필요하게 교환할 필요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범용 노드가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 범용 노드를 통과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는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상기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한 때에 그 노드가 송신하는 신호를 접수하는 수단과, 제1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1 노드의 검출 기록으로부터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던 경우,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것에 기인하는 처리를 정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노드의 검출 기록에 의해 제1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 제2 노드로부터 접수한 신호는 제1 노드가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2 노드로 송신한 것에 의한 것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노드로부터 신호를 접수한 것에 기인하는 처리를 정지함으로써,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정할 수 없는 오류는 제2 노드의 원인으로 발생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가 아닌 것으로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인하는 처리는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처리이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 노드가 제2 노드로 송신함으로써 생기는 제2 노드의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드 장치는 자신의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와 협동하는 노드 장치로서, 다른 노드와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다른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한 때에 그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를 그 오류 정정 부호가 취득하는 값 이외의 값인 포이즈닝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송수신하는 수단이 상기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다른 노드로 송신한 때에 상기 포이즈닝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제어 장치가 참조 가능한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기록 수단에 기록된 포이즈닝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 장치가 참조함으로써,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다른 노드로 송신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외의 장치, 기계 등이 상기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외의 장치, 기계 등에, 이상의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컴퓨터 등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것이라도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형 태라고 함)에 따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동작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자신의 노드를 통과하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음) 기존 노드 E, F 및 H, 자신의 노드를 통과하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할 수 없는(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없음)범용 노드 G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복수의 기존 노드를 갖는 시스템에 대해, 범용 노드 G를 추가한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범용 노드 G에서의 인터럽트 통지를 접수하는 펌웨어 허브(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관리부(3),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4) 및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언콜렉터블 에러 발생 정보가 모이는 정보 집적부(5)를 포함하고 있다.
펌웨어(2)는 그 내부에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펌웨어(2)가 포함하는 CPU는 펌웨어가 포함하는 RAM에 기록되어 있는 펌웨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관리부(3)는 그 내부에 CPU나 RAM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관리부(3)가 포함하는 CPU는 관리부(3)가 포함하는 RAM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펌웨어 허브(2) 및 관리부(3)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에 상당한다.
정보 집적부(5)는 그 내부에 RAM이나 ROM(Read Only Memory) 등의 기록 장치를 갖고 있다. 정보 집적부(5)가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는 언콜렉터블 에러 발생 정보가 기록된다.
표시부(4)는 예컨대, CRT(Cathode Ray Tube)나 액정 모니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의한 표시 장치나,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 프린터 장치 등의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기존 노드 E와 기존 노드 F는 버스(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기존 노드 F와 범용 노드 G는 버스(7)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범용 노드 G와 범용 노드 H는 버스(8)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존 노드 E, 기존 노드 F 및 기존 노드 H는 그 내부에 송신부(9), 수신부(10) 및 변환부(11), POISON 검출기(12) 및 레지스터(13)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서는, 기존 노드 E 및 기존 노드 H가 포함하는 송신부(9), 수신부(10) 및 변환부(11), POISON 검출기(12) 및 레지스터(13)는 생략하고 있다.
송신부(9)는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다른 노드로 송신한다. 수신부(10)는 다른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변환부(11)는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ECC를 포이즈닝 데이터로 변환한다. POISON 검출기(12)는 송신부(9)가 포이즈닝 데이터를 송신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레지스터(13)는 POISON 검출기(12)의 검출 결과가 기록된다.
범용 노드 G는 그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송신부, 수신부 및 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범용 노드 G의 수신부는 기존 노드 F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범 용 노드 G의 송신부는 기존 노드 H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범용 노드 G의 검출기는 범용 노드 G의 송신부가 언콜렉터블 데이터 또는 포이즈닝 데이터를 기존 노드 H로 송신했을 때,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다. 즉, 범용 노드 G의 검출기는 언콜렉터블 데이터 또는 포이즈닝 데이터가 범용 노드 G의 송신부를 통과한 경우,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다.
기존 노드 F와 펌웨어 허브(2)는 버스(1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존 노드 E, 기존 노드 H는 도시하지 않는 버스에 의해 펌웨어 허브(2)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범용 노드 G와 펌웨어 허브(2)는 버스(15)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펌웨어 허브(2)는 관리부(3)와 버스(1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관리부(3)는 표시부(4)와 버스(17)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펌웨어 허브(2)와 정보 집적부(5)는 버스(18)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존 노드 E, 기존 노드 F, 범용 노드 G 및 기존 노드 H는 도시하지 않은 버스에 의해 정보 집적부(5)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존 노드 E, 기존 노드 F, 범용 노드 G, 기존 노드 H, 버스(6), 버스(7) 및 버스(8)에서 발생하는 언콜렉터블 에러의 정보는 정보 집적부(5)에 집적된다.
다음으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동작을 설명한다. 기존 노드 E와 기존 노드 F 사이의 버스(6)에 있어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도 2에서는, UE 발생(1)으로 표기], 기존 노드 E가 송신한 데이터는 언콜렉터블 데이터로서 기존 노드 F에 의해 수신된다. 이 경우, 기존 노드 F는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다[도 2에서는, UE 검출(1)로 표기]. 그리고, 기존 노드 F는 수신한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대해 포이즈닝 처리를 행한다.
기존 노드 E에서 수신한 언콜렉터블 데이터에는 ECC(오류 정정 부호)가 부가되어 있다.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대해 포이즈닝 처리를 행하는 경우, 기존 노드 F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ECC를 포이즈닝 데이터로 변환한다. 포이즈닝 데이터는 기존 노드 E, 기존 노드 F 및 기존 노드 H가 인식할 수 있는 독특한 데이터이다. 또한, 포이즈닝 데이터는 ECC와 중복하지 않는 값으로 변환된다. 즉, 포이즈닝 데이터는 ECC가 취득하는 값 이외의 값으로 변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대해 포이즈닝 처리를 행한 후에는 그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대해 ECC를 부가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128비트인 경우, ECC는 16비트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및 ECC의 값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데이터 및 ECC의 값은 이들의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존 노드 F는 버스(7)를 통해 포이즈닝 데이터를 범용 노드 G로 송신한다. 기존 노드 F의 송신부(9)가 포이즈닝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POISON 검출기(12)는 포이즈닝 데이터의 송신을 검출한다. 즉, POISON 검출기(12)는 포이즈닝 데이터가 기존 노드 F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POISON 검출기(12)는 레지스터(13)에 유독물 데이터가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비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기존 노드 F의 POISON 검출기(12)가 레지스터(13)에 비트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노드 F 에 대해 데이터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 포이즈닝 데이터 검출 동작이 행해진다.
도 3에서는, 기존 노드 F의 데이터 입력측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도 3에서는, UE 발생(1)으로 표기], 기존 노드 F는 입력된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대해 포이즈닝 처리를 행한다. POISON 검출기(12) 및 레지스터(13)는 기존 노드 F의 데이터 출력 직전의 위치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POISON 검출기(12)는 송신부(9)에 의해 포이즈닝 데이터가 송신된 것을 검출한다. 즉, 송신부(9)를 통과한 포이즈닝 데이터를 POISON 검출기(12)는 검출한다.
송신부(9)를 통과한 포이즈닝 데이터를 검출한 POISON 검출기(12)는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을 설정한다. 레지스터(13)의 po 비트는 포이즈닝 데이터가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비트이다. 레지스터(13)의 po 비트는 초기값으로서 0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동작을 도 2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대해 포이즈닝 처리를 행한 기존 노드 F는 범용 노드 G에 포이즈닝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경우, 기존 노드 F는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범용 노드 G로 송신한다.
범용 노드 G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범용 노드 G는 포이즈닝 데이터를 기존 노드 H로 송신할 때,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다[도 2에서는, UE 검출(2)로 표기]. 기존 노드 H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부가된 포이즈닝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존 노드 H는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된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은 행하지 않는다.
범용 노드 G는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하는 동시에, 펌웨어 허브(2)에 대해 인터럽트 통지를 행한다. 인터럽트 통지를 받은 펌웨어 허브(2)는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를 참조한다.
펌웨어 허브(2)는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를 참조하는 경우, 언콜렉터블 에러 발생 정보를 정보 집적부(5)로 조회한다. 정보 집적부(5)에는 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언콜렉터블 에러 발생 정보가 모여 있다. 즉, 정보 집적부(5)는 본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와 버스를 통해 접속되며, 본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의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시스템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검출된 경우, 그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 노드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펌웨어 허브(2)는 언콜렉터블 에러 발생 정보를 정보 집적부(5)로 조회함으로써,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 기존 노드 F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기존 노드 F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 펌웨어 허브(2)는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를 참조한다.
펌웨어 허브(2)는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관리부(3)에 대해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통지한다. 관리부(3)는 펌웨어 허브(2)로부터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되어 있는 통지를 받은 경우, 범용 노드 G에 의해 검출된 언콜렉터블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4)가 표시하지 않도록 제 어한다. 즉, 관리부(3)는 버스(17)를 통해,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 범용 노드 G의 위치를 표시하지 않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4)는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 범용 노드 G의 위치를 표시한다. 관리부(3)가 표시부(4)를 제어함으로써, 포이즈닝 데이터를 범용 노드 G가 수신한 것에 기인하는 범용 노드 G의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펌웨어 허브(2)는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0이 세트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관리부(3)에 대해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0이 세트되어 있는 것을 통지한다. 관리부(3)는 펌웨어 허브(2)로부터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0이 세트되어 있는 통지를 받은 경우, 범용 노드 G에 의해 검출된 언콜렉터블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4)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관리부(3)는 버스(17)를 통해,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 범용 노드 G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기존 노드 F와 범용 노드 G를 접속하는 버스(7)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 범용 노드 G가 수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는 기존 노드 F를 통과하지 않는다. 즉, 범용 노드 G가 수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는 기존 노드 F에 의해 포이즈닝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기존 노드 F가 포함하는 레지스터(13)의 po 비트는 초기값 0의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존 노드 E와 기존 노드 F를 접속하는 버스(6)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며, 또한, 기존 노드 F와 범용 노드 G 를 접속하는 버스(7)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상기 언콜렉터블 에러의 발생 개소는 예시적인 것이며, 예컨대, 기존 노드 F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기존 노드 E와 기존 노드 F를 접속하는 버스(6)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와 동일하게, 기존 노드 F의 변환부(11)는 범용 노드 G로 송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대해 포이즈닝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기존 노드 F가 범용 노드 G로 송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는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된다. 그 때문에, 송신부(9)에 의해 포이즈닝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기존 노드 F가 포함하는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된다.
또한, 예컨대, 범용 노드 G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 범용 노드 G가 기존 노드 H에 대해 송신하는 데이터는 언콜렉터블 데이터로 된다. 이 경우, 범용 노드 G가 송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는 기존 노드 F를 통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 노드 F와 범용 노드 G를 접속하는 버스(7)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한 경우와 동일하게, 기존 노드 F가 포함하는 레지스터(13)의 po 비트는 초기값인 0의 상태이다. 범용 노드 G가 기존 노드 H에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범용 노드 G는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4)를 갖는 시스템의 예를 나타냈지만, 표시부(4)를 갖지 않는 시스템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버스(17)를 외부 인터페이스로 변경함으로써, 시스템의 외부에 표시부(4)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외부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플로우 및 데이터 플로우를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CPU(21)는 노스 브릿지(22)에 대해 리드 요청을 발행한다(1). 노스 브릿지(22)는 어드레스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23)에 대해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한다(2). 어드레스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23)는 사우스 브릿지(24)에 대해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한다(3). 사우스 브릿지(24)는 PCI Express 칩(25)에 대해,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한다(4). PCI Express 칩(25)은 PCI-BOX(26)에 대해,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한다(5).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한 PCI-BOX(26)는 PCI-BOX(26)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PCI 디바이스로부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판독, PCI Express 칩(25)에 대해 판독한 데이터를 송신한다(6). PCI Express 칩(25)은 사우스 브릿지(24)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7). 사우스 브릿지(24)는 데이터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27)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8). 데이터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27)는 메모리 컨트롤러(28)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9). 메모리 컨트롤러(28)는 노스 브릿지(22)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10). 노스 브릿지(22)는 데이터를 CPU(21)에 대해 송신한다. CPU(21)가 리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리드 요청이 완료한다(11).
도 4에 나타내는 CPU(21), 노스 브릿지(22), 사우스 브릿지(24), PCI Express 칩(25), PCI-BOX(26), 데이터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27) 및 메모리 컨트롤러(28)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기존 노드 E, 기존 노드 F, 범용 노드 G 및 기 존 노드 H에 상당한다. 또한, 노스 브릿지(22), 사우스 브릿지(24), PCI Express 칩(25), 데이터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27) 및 메모리 컨트롤러(28)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POISON 검출기(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탑재한 LSI 기판으로서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CI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ECC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CPU(21), 노스 브릿지(22), 사우스 브릿지(24), PCI Express 칩(25), PCI-BOX(26), 데이터 버스용 크로스바 스위치(27) 및 메모리 컨트롤러(28)는 ECC를 부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때문에, PCI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부가된 ECC와는 상이한 형식의 ECC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범용 노드 G가 기존 노드 F로부터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수신한 후의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기존 노드 F로부터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수신한 범용 노드 G는 기존 노드 H로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송신할 때,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다(S501). 다음으로, 범용 노드 G는 펌웨어 허브(2)에 대해 인터럽트 신호를 통지한다(S502). 그리고, 펌웨어 허브(2)는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를 참조하여,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3).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 펌웨어 허브(2)는 관리부(3)에 대해,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되 어 있는 것을 통지한다. 관리부(3)는 범용 노드 G가 송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는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S504).
이와 같이, 관리부(3)가, 범용 노드 G가 송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 경우, 범용 노드 G의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은 범용 노드 G의 고장 및 범용 노드 G에 접속되는 버스(7)의 고장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서 판단된다. 즉, 시스템 내의 어느 하나의 노드 또는 버스에 의해 고장이 발생함으로써, 범용 노드 G는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된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송신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0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 펌웨어 허브(2)는 관리부(3)에 대해,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것을 통지한다. 관리부(3)는 범용 노드 G가 송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다(S505).
이와 같이, 관리부(3)가, 범용 노드 G가 송신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 경우, 범용 노드 G의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은 범용 노드 G의 고장 또는 범용 노드 G에 접속되는 버스(7)의 고장에 따른 것으로서 판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펌웨어 허브(2)가 범용 노드 G로부터 인터럽트 통지를 받은 경우, 펌웨어 허브(2)는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를 참조한다. 펌웨어 허브(2)가 기존 노드 F의 레지스터(13)의 po 비트에 1이 세트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범용 노드 G 및 범용 노드 G에 접속되는 버스(7) 이외의 개소에서 언콜렉터블 에러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범용 노드 G 및 범용 노드 G에 접속되는 버스(7)에 고장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된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범용 노드 G가 송신할 때에 언콜렉터블 데이터가 검출되더라도, 그 범용 노드 G 및 범용 노드 G에 접속되는 버스(7)가 의심받는 부품으로서 지나치게 지적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범용 노드 G 및 범용 노드 G에 접속되는 버스(7)를 불필요하게 교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리부(3)가 표시부(4)를 제어함으로써,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된 언콜렉터블 데이터를 범용 노드 G가 송신한 것에 기인하는 범용 노드 G의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이하, 파급(波及) 에러(ripple error)의 검출이라고 함)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지 않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범용 노드 G가 검출한 모든 언콜렉터블 에러를 표시부(4)에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관리부(3)가 표시부(4)를 제어함으로써,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언콜렉터블 데이터가 범용 노드 G를 통과한 것에 의한 범용 노드 G의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이하, 범용 노드 등의 고장에 의한 에러의 검출이라고 함)과 파급 에러의 검출을 상이한 형태로 표시부(4)에 표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즉, 표시부(4)에 파급 에러의 검출을 표시하여, 그 파급 에러의 검출의 표시와 구별할 수 있는 표시에 의해 범용 노드 등의 고장에 의한 에러의 검출을 표시부(4)에 표시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범용 노드 등의 고장에 의한 에러의 검출과 파급 에러의 검출을 상이한 형태로 표시부(4)에 표시함으로써, 파급 에러의 검출을 인식하는 동시에, 그 파급 에러의 검출을 행한 범용 노드 G 및 범용 노드 G에 접속되는 버스(7)가 의심받는 부품으로서 지나치게 지적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을 포함하는 LSI 기판을 탑재하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 등에 IP 어드레스를 부여해 둠으로써, 웹관리가 가능해진다. 즉, 본 시스템을 포함하는 LSI 기판을 탑재하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 등과 서버를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을 웹상에서 인식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한 웹상의 관리는 서버에 웹 관리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또한, 서버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이 경우, 서버와 표시부(4)를 접속함으로써, 서버가 수신하는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 정보는 브라우저에 의해 해독되고 표시부(4)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존 노드 E, 기존 노드 F, 범용 노드 G 및 기존 노드 H를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 등으로 대체하는 것도 할 수 있다. 그 경우, 버스(6), 버스(7) 및 버스(8)를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신호선,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으로 대체함으로써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스템으로서, 언콜렉터블 에러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컴퓨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 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로 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여, 컴퓨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말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 중 컴퓨터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으로는,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 ㎜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나 ROM(Read Only Memory)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용 노드가 언콜렉터블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 범용 노드를 통과하는 언콜렉터블 데이터에 포이즈닝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상기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한 때에 그 노드가 송신하는 신호를 접수하는 수단과,
    제1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1 노드의 검출 기록으로부터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던 경우,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것에 기인하는 처리를 정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인하는 처리는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처리인 것인 제어 장치.
  3. 자신의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와 협동하는 노드 장치로서,
    다른 노드와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다른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한 때에 그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를 그 오류 정정 부호가 취득하는 값 이외의 값인 포이즈닝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송수신하는 수단이 상기 포이즈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다른 노드로 송신한 때에 상기 포이즈닝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제어 장치가 참조 가능한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4.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상기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한 때에 그 노드가 송신하는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와,
    제1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1 노드의 검출 기록으로부터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던 경우,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함으로써 기인하는 처리를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인하는 처리는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처리인 것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6.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가,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상기 오류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검출한 때에 그 노드가 송신하는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와,
    제1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1 노드의 검출 기록으로부터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데이터로부터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상기 제1 노드가 검출하고 있었던 경우,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것에 기인하는 처리를 정지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인하는 처리는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접수한 때에 상기 제2 노드가 검출한 정정할 수 없는 오류의 검출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처리인 것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70047935A 2006-08-18 2007-05-17 노드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18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23346A JP4774347B2 (ja) 2006-08-18 2006-08-18 ノード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6-00223346 2006-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434A true KR20080016434A (ko) 2008-02-21
KR100918284B1 KR100918284B1 (ko) 2009-09-18

Family

ID=3881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7935A KR100918284B1 (ko) 2006-08-18 2007-05-17 노드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5566B2 (ko)
EP (1) EP1890414B1 (ko)
JP (1) JP4774347B2 (ko)
KR (1) KR100918284B1 (ko)
CN (1) CN101127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4799A1 (ja) * 2008-05-29 2009-12-03 富士通株式会社 クロスバスイッチシステム
US8438452B2 (en) * 2008-12-29 2013-05-07 Intel Corporation Poison bit error checking code scheme
US8549378B2 (en) 2010-06-24 2013-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IM system using decoding of virtual ECC
US8898511B2 (en) * 2010-06-24 2014-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mogeneous recovery in a redundant memory system
US8631271B2 (en) 2010-06-24 2014-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terogeneous recovery in a redundant memo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77B2 (ja) * 1983-09-08 1994-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伝送系
US4665520A (en) * 1985-02-01 1987-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stic recovery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US5047917A (en) * 1985-07-12 1991-09-10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for intrasystem communications within a binary n-cube including buffer lock bit
US5761413A (en) * 1987-12-22 1998-06-02 Sun Microsystems, Inc. Fault containment system for multiprocessor with shared memory
US5132967A (en) * 1990-10-29 1992-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competitor arbitration scheme for common bus
GB9201126D0 (en) * 1992-01-20 1992-03-11 Madge Networks Ltd Communication system
US5742753A (en) * 1996-06-06 1998-04-21 The Boeing Company Mesh interconnected array in a fault-tolerant computer system
US6519736B1 (en) * 1999-11-30 2003-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special uncorrectable error codes for failure isolation
US7346825B2 (en) 2001-09-06 2008-03-18 Intel Corporation Error method, system and medium
CN1241117C (zh) * 2002-12-31 2006-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机群自适应的控制方法
US7047475B2 (en) 2003-02-04 2006-05-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RC encoding scheme for conveying status information
US7353433B2 (en) 2003-12-08 2008-04-01 Intel Corporation Poisoned error signaling for proactive OS recovery
US7296181B2 (en) 2004-04-06 2007-1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step error signaling
CN100450012C (zh) * 2005-07-15 2009-01-07 复旦大学 一种基于移动代理的入侵检测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284B1 (ko) 2009-09-18
CN101127580A (zh) 2008-02-20
US20080046792A1 (en) 2008-02-21
JP4774347B2 (ja) 2011-09-14
EP1890414A3 (en) 2008-02-27
EP1890414A2 (en) 2008-02-20
EP1890414B1 (en) 2013-05-01
JP2008048278A (ja) 2008-02-28
US8065566B2 (en) 2011-11-22
CN101127580B (zh)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0922B2 (en) Method for correlating an error message from a PCI express endpoint
KR100918284B1 (ko) 노드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7970958B2 (en) Peripheral interface alert message for downstream device
US9128836B2 (en) Technique for accurately detecting system failure
CN110377469B (zh) 一种pcie设备的检测系统以及方法
AU2019404523B2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program
JPWO2015098589A1 (ja) クラスタシステム、サーバ装置、クラスタシステム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16873A1 (en) Communication of Offline Status Between Computer Systems
EP2372556A1 (en) Control circui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052297B2 (ja) ネットワークのフィルタリング装置、及びフィルタリング方法
CN102215145A (zh) 一种上报链路连通状态检测结果的方法和装置
CN106095628A (zh) 计算机调试方法及装置
JP5623449B2 (ja) 報告書作成装置、報告書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報告書作成方法
KR100408214B1 (ko) 에러 처리 기능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전송시의 에러 처리 방법
JP2004178074A (ja) 通信デバイス、ホスト装置、及び通信方法
JP4411510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242992B (zh) 计算机可读记录介质、分组分析装置以及分组分析方法
CN113626279B (zh) 一种i2c通信监控方法、装置、cpld及介质
JP3910903B2 (ja) 制御パケット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2011253285A (ja) 診断システム、診断装置及び診断プログラム
JP4411197B2 (ja) ループ障害検出装置及び方法
JP4260441B2 (ja) システムヘルスチェック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ヘルスチェック方法
WO2010061482A1 (ja) 試験装置、シリアル伝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004196A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1216205A (ja) Fc−al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情報収集・報告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