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463A - 방수용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용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463A
KR20080014463A KR1020060076230A KR20060076230A KR20080014463A KR 20080014463 A KR20080014463 A KR 20080014463A KR 1020060076230 A KR1020060076230 A KR 1020060076230A KR 20060076230 A KR20060076230 A KR 20060076230A KR 20080014463 A KR20080014463 A KR 20080014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ner seal
front holder
termina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263B1 (ko
Inventor
신승환
윤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2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용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터미널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프론트홀더(30)와, 상기 프론트홀더(3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홀더(30)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이너시일(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에 의하면, 별도의 지그 없이 이너시일을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고, 이너시일을 프론트홀더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에 장착하므로 이너시일을 커넥터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방수성이 좋아져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프론트홀더, 이너시일

Description

방수용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b는 지그를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에 이너시일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인 일부절결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너시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이너시일과 프론트홀더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론트홀더와 이너시일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2: 터미널삽입홈
30: 프론트홀더 32: 몸통부
33: 기준턱 34: 랜스지지부
36: 장착편 37: 유격
38: 걸이리브 39: 연장부
40: 이너시일 42: 걸이채널
44: 기준홈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시일이 구비된 방수용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 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자동차의 내부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타입의 커넥터가 사용되기도 한다. 즉,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전선이 연결된 단자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너시일(inner-seal)을 삽입하여 단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방수용커넥터가 사용된다.
도 1a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지그를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에 이너시일을 삽입하는 모습이 일부절결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2)의 후면에는 터미널삽입 공(3)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공(3)을 통해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하우징(2)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의 전면 역시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의 후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 개의 걸이통공(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통공(4)은 후술할 이너시일(5)에 형성된 걸이돌기(5')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와이어시일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는 이너시일(5)이 삽입된다. 상기 이너시일(5)은 상기 커넥터(1)의 방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이너시일(5)은 외면이 주름지게 형성되어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압입되면서 탄성적으로 눌려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안착되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시일(5)에는 다수 개의 걸이돌기(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5')는 상기 걸이통공(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걸이통공(4)에 압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돌기(5')는 상기 이너시일(5)이 하우징(2)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이너시일(5)을 상기 하우징(2)에 삽입하기 위해 삽입지그(6)가 사용된다. 상기 삽입지그(6)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시일(5)을 하우징(2) 내부로 밀어넣는 헤드부(7)와,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부(8)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7)는 상기 하우징(2)의 모양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 너시일(5)을 상기 하우징(2)의 내부 안쪽으로 압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7)로부터 연장되어 손잡이부(8)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이너시일(5)을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압입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지그(6)를 이용한다. 즉, 상기 이너시일(5)을 상기 하우징(2)의 전면을 통해 삽입한 후에, 상기 헤드부(7)를 상기 하우징(2) 안으로 밀어넣어 상기 이너시일(5)이 하우징(2)의 내부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작고, 내부에는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랜스 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너시일(5)을 삽입하기 어렵고, 반드시 상기 지그(6)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돌기(5')와 상기 걸이통공(4)은 각각 상기 이너시일(5) 및 하우징(2)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돌기(5')가 상기 걸이통공(4)에 정확하게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상기 걸이돌기(5')가 걸이통공(4)에 삽입되었는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돌기(5')가 상기 걸이통공(4)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통공(4)을 통해 하우징(2)의 내부로 물이 침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너시일을 별도의 기구 없이 하우징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방수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너시일이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신속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성이 우수한 방수용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터미널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프론트홀더와, 상기 프론트홀더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홀더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이너시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홀더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둘레의 각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고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한 다수 개의 장착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편과 상기 이너시일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리브와 이에 대응하는 걸이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홀더에 상기 이너시일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걸이리브는 상기 장착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은 상기 걸이리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너시일의 내면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각 장착편 사이에는 일정거리의 유격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의 말단에는 이너시일의 말단 보다 소정거리 더 돌출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는 기준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시일의 내면에는 상기 기준턱에 대응하는 기준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에 의하면, 별도의 지그 없이 이너시일을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고, 이너시일을 프론트홀더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에 장착하므로 이너시일을 커넥터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방수성이 좋아져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론트홀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발명 실시예의 이너시일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이너시일과 프론트홀더가 결합된 모습이 각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방수용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도 2에서 보듯이, 실질적으로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후술할 터 미널과 프론트홀더(30)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터미널삽입홈(12)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홈(12)은 후술할 터미널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삽입홈(12)의 내면에는 랜스(lance)(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터미널에 형성된 결합공(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여, 터미널이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삽입홈(12)에는 후술할 프론트홀더(30)의 랜스지지부(34)가 삽입되어 상기 랜스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 상면에는 체결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5)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대커넥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5)는 하우징(10) 상면의 일부가 절결되어, 이를 통해 상대커넥터에 형성된 체결후크가 걸림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0) 상면의 후단에는 누름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16)는 상기 체결부(15)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대커넥터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누름부(16)를 눌러 상기 체결부(15)가 상방으로 들리게 함으로써, 상대커넥터의 체결후크가 상기 체결부(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 내측 벽에는 함몰부(18)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8)는 후술할 장착편(36)의 연장부(39)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연장부(39)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후술할 프론트홀 더(3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될 때, 상기 함몰부(18)에 연장부(39)의 말단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장착편(36)이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에는 터미널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대커넥터의 터미널 등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삽입홈(12)에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의 저면에는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랜스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어,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프론트홀더(3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홀더(30)는 절연체,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프론트홀더(30)는 차량내부의 고온의 환경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랜스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홀더(30)의 골격은 몸통부(32)가 형성한다. 상기 몸통부(32)는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상대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32)의 외면에는 기준턱(33)이 형성된다. 상기 기준턱(33)은 후술할 이너시일(40)의 내면에 형성된 기준홈(4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홀더(30)에 이너시일(40)이 정확하게 삽입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기준턱(33)은, 상기 프론트홀더(30)와 이너시일(40)이 결합하 는 과정에서, 프론트홀더(30)와 이너시일(40)의 방향 및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는 기준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기준턱(33)은 이너시일(40)이 상기 몸통부(32)를 향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기준턱(33)에 의해 상기 이너시일(40)은 더 이상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어 하우징(10) 내부에서 압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턱(33)은 프론트홀더(30)와 이너시일(40)의 결합방향 및 위치확인과 이너시일(40)의 밀림방지 역할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32)의 각 외면에 다수 개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기준턱(33)이 상기 이너시일(40)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기준홈(44)이 몸통부(32)의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통부(32)에는 랜스지지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지지부(34)는 상기 하우징(10)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지지부(34)는 상기 랜스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10)과 터미널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통부(32)의 둘레의 각 면에는 장착편(3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6)은 상기 하우징(10)을 향해 상기 랜스지지부(34)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6)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이너시일(40)이 끼워진다. 즉, 이너시일(40)이 상기 장착편(3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홀더(30)를 하우징(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장착편(36)은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너시일(40)은 상기 장착편(36)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끼워지므로, 장착편(36)과 이너시일(40)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장착편(36) 사이에는 일정거리의 유격(37)이 형성된다. 상기 유격(37)은 상기 장착편(36)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편(36)의 말단 외면에는 다수 개의 걸이리브(38)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38)는 후술할 이너시일(40)에 형성된 걸이채널(42)에 대응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리브(38)는 이에 대응하는 이너시일(40) 내면의 걸이채널(42)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프론트홀더(30)가 이너시일(4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이너시일(40)의 걸이돌기나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10)의 걸이통공 없이도, 이너시일(40)은 프론트홀더(30)에 의해 간단하게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이리브(38)가 이너시일(40)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걸이채널(42)이 상기 장착편(36)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착편(36)은 상기 몸통부(32)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유격(37)에 의해 각각의 장착편(36)은 서로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편(36)의 말단에는 이너시일(40)의 말단 보다 소정거리(s) 더 돌출되도록 연장부(39)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부(39)와 대응하는 함몰부(1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부(39)의 말단은 상기 함몰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장착편(36)이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 직하게는 상기 연장부(39)는 상기 함몰부(18)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말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이너시일(40)이 장착된다. 상기 이너시일(40)은 상기 커넥터의 방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이너시일(40)은 외면이 주름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압입되면서 탄성적으로 눌러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안착되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너시일(40)은 상기 프론트홀더(3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즉, 상기 프론트홀더(30)의 장착편(36)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지그와 같은 별개의 삽입구 없이도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압입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이너시일(40)의 후단에는 내측으로 걸이채널(4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42)은 상기 걸이리브(38)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시일(40)과 프론트홀더(3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시일(40)의 전단에는 내측으로 기준홈(44)이 형성된다. 상기 기준홈(44)은 상기 기준턱(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너시일(40)이 프론트홀더(30)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론트홀더와 이너시일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이너시일(40)을 상기 프론트홀더(30)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장착편(36)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이너시일(40)을 상기 몸통부(32)를 향해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기준턱(33)과 기준홈(44)의 결합을 통해 상기 이너시일(40)과 프론트홀더(30)가 정확한 위치로 결합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각각의 기준턱(33)이 상기 기준홈(44)에 삽입되었는지 프론트홀더(30)의 전방에서 관찰하여 이너시일(40)과 프론트홀더(30)의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시일(40)의 외면을 눌러 촉감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장착편(36)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리브(38)는 상기 이너시일(40)의 걸이채널(4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너시일(40)과 프론트홀더(3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너시일(40)이 탄성적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너시일(40)과 프론트홀더(30)의 결합물을 터미널이 삽입된 하우징(10) 내부에 장착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너시일(40)은 지그와 같은 별개의 삽입구 없이도, 상기 프론트홀더(30)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자연히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결합물을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지지부(34)는 상기 터미널삽입홈(12)에 형성된 랜스의 하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터미널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랜스는 상기 터미널의 결합공에 삽입 되어 터미널이 외력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랜스지지부(34)는 랜스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랜스가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랜스가 결합공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어, 단자유지력 즉 터미널을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데 필요한 힘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39) 말단은 하우징(10) 내측에 형성된 함몰부(18)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장착편(36)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각각의 장착편(36)의 말단이 함몰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프론트홀더(30)가 하우징(1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홀더(30)가 하우징(10)에 장착되면, 상기 이너시일(40) 역시 하우징(10) 내측에 탄성적으로 눌려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수용커넥터의 전방에서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결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이너시일을 하우징에 별도로 삽입하지 않고, 프론트홀더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우징에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지그와 같은 별도의 삽입구 없이도 이너시일을 하우징 내부에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고, 지그에 의해 이너시일이 손상될 우려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너시일이 프론트홀더에 고정된 후에 하우징에 삽입되므로, 이너시일의 걸이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걸이통공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너시일의 걸이리브가 하우징의 삽입공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확인작업이 생략되므로 이너시일의 장착이 용이하고, 작업속도가 빨라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걸이통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걸이통공을 통해 물이 침투할 염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방수성이 더욱 좋아져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터미널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프론트홀더와;
    상기 프론트홀더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홀더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이너시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용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더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둘레의 각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고,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한 다수 개의 장착편;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과 상기 이너시일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리브와 이에 대응하는 걸이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홀더에 상기 이너시일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리브는 상기 장착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은 상기 걸이리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너시일의 내면의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편 사이에는 일정거리의 유격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커넥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의 말단에는 이너시일의 말단 보다 소정거리 더 돌출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함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더와 상기 이너시일의 결합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는 기준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시일의 내면에는 상기 기준턱에 대응하는 기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커넥터.
KR1020060076230A 2006-08-11 2006-08-11 방수용커넥터 KR10080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30A KR100804263B1 (ko) 2006-08-11 2006-08-11 방수용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30A KR100804263B1 (ko) 2006-08-11 2006-08-11 방수용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463A true KR20080014463A (ko) 2008-02-14
KR100804263B1 KR100804263B1 (ko) 2008-02-18

Family

ID=3934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230A KR100804263B1 (ko) 2006-08-11 2006-08-11 방수용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2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61B1 (ko) * 2008-06-12 2014-1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29762A (ko) *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수형 티피에이를 구비한 커넥터
CN108513482A (zh) * 2018-04-17 2018-09-07 广东林积为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防水端子的定位结构及其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956B2 (ja) * 1995-09-05 2001-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圧接コネクタ
KR200272666Y1 (ko) 2002-01-15 2002-04-18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시일과 홀더가 일체로 성형된 인젝터용 커넥터
SG127773A1 (en) * 2005-06-01 2006-12-29 Mea Technologies Pte Ltd Waterproof connector
KR100736971B1 (ko) * 2005-10-19 2007-07-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61B1 (ko) * 2008-06-12 2014-1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29762A (ko) *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수형 티피에이를 구비한 커넥터
CN108513482A (zh) * 2018-04-17 2018-09-07 广东林积为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防水端子的定位结构及其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263B1 (ko) 200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132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766496B1 (ko)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JP4651521B2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US10135173B2 (en) Cover unit with rubber plug and connector
US10056709B2 (en) Rubber plug fixed by a plug holder to a cover fixed to a housing
TW201731179A (zh) 連接器
US9263823B2 (en) Lever connector
US20070287320A1 (en) Connector
KR100804263B1 (ko) 방수용커넥터
JP5682792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9985385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lock arm
KR101014609B1 (ko) 방수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6857557B2 (ja) コネクタ
KR101520926B1 (ko) 커넥터조립체
KR20090022954A (ko)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KR200427993Y1 (ko) 방수용커넥터
KR100673609B1 (ko) 조인트박스의 링터미널용 너트설치구조
JP7404879B2 (ja) コネクタ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KR20100002921A (ko) 커넥터하우징
KR2011007899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79632B1 (ko) 메일커넥터 조립체
KR102567021B1 (ko) 커넥터
KR101529638B1 (ko) 커넥터
KR101452456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