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444A -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444A
KR20080013444A KR1020060074967A KR20060074967A KR20080013444A KR 20080013444 A KR20080013444 A KR 20080013444A KR 1020060074967 A KR1020060074967 A KR 1020060074967A KR 20060074967 A KR20060074967 A KR 20060074967A KR 20080013444 A KR20080013444 A KR 2008001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lackbody
black body
assembly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755B1 (ko
Inventor
주훈
Original Assignee
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훈 filed Critical 주훈
Priority to KR102006007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7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87Integrating cavities mimicking black bodie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black body and the measuring element does not occur within a solid; Use of bodies placed inside the fluid stream for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of gases; Use of the reemission from a surface, e.g. reflective surface; Emissivity enhancement by multiple refl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01J5/22Electrical features thereof
    • G01J5/24Use of specially adapted circuits, e.g. bridge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5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comparison with reference sources, e.g. disappearing-filament pyrometer
    • G01J5/53Reference sources, e.g. standard lamps; Black 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체의 온도 안정화 시간을 줄이면서 동시에 미세한 온도 데이터가 요구되는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흑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으로서,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흑체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50)에 있어서, 중공의 다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어셈블리 본체(52); 어셈블리 본체의 측면에 하나씩 부착된 다수의 흑체 소스(51); 어셈블리 본체 내부의 각 측면을 분리하도록 세로로 설치된 단열벽(58); 어셈블리 본체 상부에 설치된 냉각팬(53);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5); 및 컨트롤러(57)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의 각각이 서로 상이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도록 각 흑체 소스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의 각각이 상기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정면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어셈블리 본체의 회전을 제어한다.
흑체, 적외선 카메라, 흑체 어셈블리, 온도 보정.

Description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Blackbody Assembly Comprised of Multiple Blackbody Sources}
제1도는 흑체 소스와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일반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센서 어레이의 각 센서가 나타내는 성능특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적외선 열상 카메라 보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적외선 열상 카메라 보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적외선 열상 카메라 보정 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흑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흑체 어셈블리의 어셈블리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적외선 열상 카메라에 기준 데이터를 제공하는 흑체 소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온도 보정작업에 사용되는 흑체 소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하고 온도 보정을 행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흑체 소스(1)를 사용하여 왔다. 흑체 소스는 방사율(emissivity)이 대략 1이어서,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거의 100% 방출하는 물체이다. 적외선 열상 카메라(20) 내에는 흑체 소스(1)를 감지하는 검출기(detector)(30)가 있다. 검출기(30)는 수많은 검출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어레이로 되어 있는데, 일 예로서 하나의 검출기는 가로 320개×세로 240개, 즉 76,800개의 센서가 모여있는 센서 어레이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어레이를 통상 FPA(Focal Plane Array)라고 부른다.
그런데,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는 제조과정 등에서의 오차로 인해 각 센서마다 그 성능에 조금씩 편차를 보인다. 도2는 센서 사이의 성능차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각 센서가 나타내는 성능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2의 그래프에서 좌표의 세로축은 게인,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일 예로서 3개의 센서에 대한 게인 그래프를 표시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센서의 게인이 증가하는데, 온도 증가에 대한 반응이 모든 센서에 걸쳐 일정하지 않고 도시된 것처럼 센서마다 조금씩 다르게 반응한다. 따라서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센서에 대해 특정 온도에서 전체 센서가 특정값을 가지도록 보정을 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고, 이를 위해, 예컨대 도2에서 t1 시점에서(즉, t1 시점에 대응하는 특정 온도에서) 모든 센서가 특정값(P)를 갖도록 각 센서를 온도보정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온도보정은 한번에 끝나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데, 그 이유로는 센서의 성능 편차가 타겟(흑체) 온도에 따라서도 다를 뿐 아니라 주변온도에 따라서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로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흑체 온도와 주변온도의 계속 변화시키면서 카메라를 테스트해야 한다. 예컨대, 주변온도를 10도로 맞추어 놓고 흑체 온도를 0도, 10도, 20도, 30도, 40도... 등으로 계속 올리면서 각 온도에서의 흑체를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다음 주변온도를 20도로 올린 뒤 흑체 온도를 다시 0도, 10도, 20도, 30도, 40도... 등에서 측정한다. 그 다음 주변온도를 30도로 다시 증가시키고, 흑체온도를 다시 0도부터 계속 증가시키면서 카메라를 테스트하며, 이러한 작업을 주변온도가 30도, 40도, 50도 등이 될 때마다 반복하며 테스트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테스트에서의 문제점은 흑체 소스의 안정화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흑체 소스의 목적은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기준값을 얻기 위해서인데 만약 흑체 소스의 온도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면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정확도 역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흑체 소스의 정확도를 예컨대 10mK 이내로 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mK, 혹은 0.1mK 이내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검출기(30)의 분해능이 예컨대 100mK인 경우에는 흑체 소스의 정확도가 10mK인 범위내에서 흑체 소스를 안정화시키면 되지만, 검출기(30)의 분해능이 예컨대 10mK인 경우라면 흑체 소스를 더 높은 정확도로, 즉 0.1mK의 정확도로 하여 흑체 소스를 안정화시켜야 한다.
그런데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테스트를 위해 흑체 소스 온도를 10도에서 20도로 증가시킬 경우, 예컨대 10mK의 정확도로 측정해야 할 경우라면 온도를 올리는 데 통상 2~3분 정도 소요되지만 0.1mK의 정확도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흑체 온도를 올려서 정확히 20도로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20~30분 가량 소요된다. 따라서, 주변온도를 10도로 설정하고, 흑체 소스를 0도, 10도, 20도, 30도... 등의 각 온도에서 안정화시킨 뒤 흑체 소스를 측정하고 주변온도를 20도로 올린 뒤 흑체 소스를 다시 0도, 10도, 20도, 30도...의 각 온도에서 안정화시켜서 측정하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 보정작업에서는, 전체 보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엄청나게 길어지게 되고, 실제에 있어서 적외선 카메라를 제조하여 이에 대해 상기 설명한 보정작업 등의 각종 테스트를 거쳐 포장하기까지는 수일 내지 길게는 보름까지도 걸리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3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실험실과 같은 일정 공간내에 다수의 흑체 소스(10-1,10-2,10-3,...,10-n)를 일렬로 배열하고 그 앞에 레일(31)을 설치한다. 레일(31) 위에는 테스트해야 할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올려놓는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할 때에, 흑체 소스(10-1,10-2,10-3,...,10-n)의 각각을 서로 상이한 특정 온도로 미리 설정해 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흑체 소스(10-1)는 온도(T1)(예컨대 10도)으로 설정하고 흑체 소스(10-2)는 온도(T2)(20도)로 설정하고 흑체 소스(10-3)는 온도(T3)(30도)으로 미리 설정해 놓는다. 이 상태에서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이용하여 흑체 소스(10-1)를 열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그 후 열상 카메라(20)를 레일(31) 위에서 흑체 소스(10-2) 쪽으로 이동시켜 흑체 소스(10-2)를 촬영하고 그 후 다시 열상 카메라(20)를 이동시켜 흑체 소스(10-3)를 촬영하고, 이러한 작업을 모든 흑체 소스(10-1 내지 10-n)에 대해 반복한다. 즉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조금씩 움직여 흑체 소스(10-1,10-2,10-3,...,10-n)를 하나씩 차례로 촬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흑체 소스(10-1 내지 10-n)를 각기 다른 온도로 미리 설정해놓은 상태에서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흑체 소스가 특정 온도로 안정화하는데 필요하였던 안정화 시간이 필요없게 되므로 흑체 소스가 특정 온도로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카메라를 테스트하고 다시 이 흑체 소스의 온도를 상승/하강시켜 다른 온도에서 안정화되기 까지 기다렸다가 테스트해야 했던 종래방식에 비해 단시간에 테스트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다수의 흑체 소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장비 구입에 따른 비용증가의 문제가 있었고, 더욱이 주변온도를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수의 흑체 소스를 일렬로 배치하고 그 앞으로 레일(31)이 설치된 오픈 공간에서 테스트를 해야 하므로 주변온도를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특정 온도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그 온도변화에 따른 테스트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4에서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주변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채임버(40)를 실험실 내에 설치하고, 이 채임버(40) 내에 타겟(흑체)(10) 및 테스트해야할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위치시킨다. 흑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1)가 흑체(10) 및 적외선 카메라(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채임버(40) 내의 온도를 특정 온도로 설정한 다음 제어장치(41)에 의해 흑체(10) 온도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적외선 카메라(20)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채임버 내의 온도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적외선 열상 카메라(20)의 주변온도를 용이하게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흑체(10) 온도를 계속하여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흑체를 특정 온도에서 안정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높은 정확도를 갖는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전체 보정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여전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흑체의 온도 안정화 시간을 줄이면서도 동시에 미세한 온도 데이터가 요구되는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흑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체 소스와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필요에 따라 쉽게 변경함으로써 주변온도의 변화에 의한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온도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흑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흑체 어셈블리 구조를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흑체 어셈블리(50)는 도4에 도시된 공지의 채임버(40) 내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도4에 도시된 기술구성을 사용하며, 다만 도4에서 채임버(40) 내의 흑체 소스(10) 대신에 도5에 도시된 흑체 어셈블리(50)가 대체되어 설치된다.
흑체 어셈블리(50)는 어셈블리 본체(52)를 포함하고 있다. 어셈블리 본체(52)는 대략 정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깥쪽 측면의 각 면에 4개의 흑체(51)가 부착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어셈블리 본체(52)의 측면이 4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에 5개 또는 6개의 흑체를 부착할 수 있도록 어셈블리 본체가 5각 기둥 또는 6각 기둥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어셈블리 본체(52)의 각 측면에 부착된 흑체(51)는 적외선을 방사하는 역할을 하며 방사율이 거의 1에 가까운 기존의 공지된 흑체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흑체의 형상은 어셈블리 본체(52)의 각 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의 얇은 판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어셈블리 본체(52)의 내부구조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어셈블리 본체(52)의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어 있고, 어셈블리 본체(52) 내부에는 본체 중심부와 각 모서리를 연결하는 단열벽(58)이 세로로 설치되어 그 내부를 4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 어셈블리 본체(52) 측면의 안쪽 각 면에는 외부의 각 면에 부착된 흑체(51)를 각각 가열하기 위한 4개의 히터(도시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각각의 히터가 네 면의 각각의 흑체(51)를 개별적으로 가열하여 각기 다른 온도로 세팅할 수 있고, 이 때 각 히터는 다른 히터 와는 단열벽(58)으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히터에서 방사되는 열이 다른 흑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어셈블리 본체(52)의 상부에는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각팬(53)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52) 하부에는 내부의 각 부분과 연통되어 있는 공기흡입구(54)가 각 면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냉각팬(53)은 흑체 내부의 온도를 주변 온도와 같이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5에는 냉각팬(53)이 하나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열벽(58)으로 구분지어진 개별 영역 위에 냉각팬이 하나씩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공기흡입구(54)는 외부 공기를 어셈블리 본체(52) 내부로 흡입하는 장치이다. 상기 구성과 같이 각 흑체(51)마다 공기흡입구(54)가 분리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각 흑체마다 온도가 다르면 이에 따른 히트싱크(heat sink)의 온도가 달라지므로 각 흑체에서 발열되는 열에너지가 다른 흑체의 히트싱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 본체(52)는 회전판 위에 놓여 있으며, 지지대(59) 위의 구동모터(55)는 회전기어(56)를 통해 회전판과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공기흡입구(54)로 흡입된 공기가 어셈블리 본체(52) 내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회전판 내측 부분은 뚫려져 있다. 구동모터(55)는 후술하는 컨트롤러(57)의 제어에 의해 어셈블리 본체(52)를 적당한 각도로 회전하여 주는 역할을 하며, 정확한 회전 위치를 검출하고 회전시키기 위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흡입구(54)가 회전판 아래쪽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어셈블리 본체(52) 바 로 아래쪽에 설치되어 어셈블리 본체(52)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트롤러(57)는 어셈블리 본체(52)의 각 면에 부착된 흑체(51)의 온도를 제어하고 구동하는 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며 어셈블리 본체(52)의 회전을 조정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외부의 컴퓨터와 연결하여 각 흑체의 온도를 설정하고 적외선 열상 카메라와 연동하여 카메라가 온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보정한 후 다른 온도로 설정된 흑체의 면으로 회전하기 위한 명령을 구동모터로 보낸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흑체 어셈블리(50)를 사용하여 채임버(40) 내에서 적외선 열상 카메라(20)의 온도보정을 행하는 절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컨트롤러(57)를 조작하여 채임버(40)의 온도를 특정 온도, 예컨대 10도로 설정하고 4개의 흑체(51)의 각각을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한다. 예컨대 흑체(51)의 온도를 10도, 20도, 30도, 40도로 각각 설정한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10,20,30,40도로 각각 설정된 흑체를 51-1,51-2,51-3,51-4라고 한다). 채임버(40)와 흑체(51-1)가 각기 설정된 온도로 안정화된 후, 10도로 설정된 흑체(51-1)가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향하도록 회전판을 돌려서 고정시킨다.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통해 주변온도가 10도일 때의 흑체(51-1)의 열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채임버(40)의 온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채임버(40)의 온도를 예컨대 10도에서부터 50도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채임버(40) 내의 온도가 50도에 이르기까지 계속 증가하는 동안 이 온도가 정확히 10도, 15도, 20도, 25도, 30도... 등에 이르는 순간마다, 10도의 온도로 설정된 흑체(51-1)의 열상 이미지를 연속해서 촬영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채임버(40) 내의 주변온도가 50도에 이르기까지 열상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흑체 온도가 10도인 경우에 있어서 주변온도가 각각 10, 15, 20, 25, 30,... 45, 50도일 때의 흑체의 열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채임버(40) 내의 온도가 50도에 이른 상태에서, 구동모터(55)를 이용하여 어셈블리 본체(52)를 돌려서 20도의 온도로 설정된 흑체(51-2)가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향하도록 하여 고정시킨 다음, 이번에는 주변온도를 50도에서부터 10도까지 이르도록 하강시킨다. 그리고 채임버 내의 온도가 하강하는 동안 이 온도가 정확히 45, 40, 35,... 15, 10도에 이르는 순간마다, 20도의 온도로 설정된 흑체(51-2)의 열상 이미지를 연속해서 촬영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흑체 온도가 20도인 경우에 있어서 주변온도가 각각 10, 15, 20,... 45, 50도일 때의 흑체의 열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채임버(40)의 온도가 10도에 이른 상태에서 구동모터(55)를 사용하여 30도의 온도로 설정된 흑체(51-3)가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향하도록 돌려서 고정시키고, 주변온도를 다시 10도에서 50도까지 상승시키면서 다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흑체 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상기의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주변온도가 10도에서 50도에 이르는 범위에 있어서 4개의 온도(10,20,30,40도)를 각각 갖는 흑체(51-1,51-2,51-3,51-4)에 대한 열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상기의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예컨대 10도로 설정된 흑체(51-1)가 촬영되는 동안, 20도로 설정된 흑체(51-2)가 정확히 20도의 온도로 안정화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흑체(51-2)를 촬영하는 동안에는 흑체(51-3)가 30도의 온도로 안정화하는 시간을 확보하고, 흑체(51-3)을 촬영하는 동안에는 흑체(51-4)가 40도의 온도로 안정화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흑체의 온도 안정화에 따른 온도설정 시간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방법에 더하여, 예컨대 10도로 설정된 흑체(51-1)에 대한 촬영이 완료되고 20도로 설정된 흑체(51-2)가 적외선 열상 카메라(20)를 향하도록 회전한 이후, 상기 10도로 설정되었던 흑체(51-1)의 온도를 50도로 다시 재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흑체(51-2,51-3,51-4)에 대해 열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시간 동안 흑체(51-1)의 온도를 10도에서 50도로 설정할 때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흑체(51-1)를 높은 온도 정확도로서 50도로 설정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흑체(51-2)에 대해서도, 흑체(51-2)에 대한 첫번째 촬영을 완료한 뒤 다음 차례가 돌아오는 시간동안 높은 온도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흑체(51-2)를 6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흑체 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적외선 열상 카메라(20)의 온도보정을 수행하는 절차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온도보정의 절차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10도의 흑체(51-1)에 대해 주변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고 그 후 20도의 흑체(51-2)에 대해서는 주변온도를 감소시키면서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였으나, 임의의 흑체를 측 정함에 있어서 주변온도를 일률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측정할 수도 있고 또는 반대로 하강시키면서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흑체 온도를 10도로 고정한 후 주변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였으나, 반대로 주변온도를 일정 값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어셈블리 본체(52)를 회전시키면서 각기 다른 온도를 갖는 흑체에 대해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흑체 어셈블리(50)를 사용하여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흑체의 온도 안정화 시간을 줄이면서도 미세한 온도 데이터가 요구되는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짧은 시간에 테스트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흑체 소스와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필요에 따라 쉽게 변경함으로써 주변온도의 변화에 의한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온도 보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외선 열상 현미경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도출 가능하며,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한 제한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적용한 모든 실시 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흑체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50)에 있어서,
    중공의 다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어셈블리 본체(52);
    상기 어셈블리 본체 외부의 각 측면에 하나씩 부착된 다수의 흑체 소스(51);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의 각 측면을 나머지 측면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세로로 설치된 단열벽(58);
    상기 어셈블리 본체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팬(53);
    상기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5); 및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 냉각팬, 구동모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7)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의 각각이 서로 상이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도록 각 흑체 소스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의 각각이 상기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정면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어셈블리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내부공간과 각기 개별적으로 연통하기 위해 상기 어셈블리 본체 하단부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체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가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체 어셈블리.
  4. 내부온도 조절이 가능한 채임버 내에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흑체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적외선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를 각기 상이한 온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흑체 소스중 제1 온도를 갖는 제1 흑체를 기준 흑체로 하여, 상기 채임버의 내부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적외선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흑체에 대한 온도 데이터 획득이 완료된 후, 상기 다수의 흑체 소스중 제2 온도를 갖는 제2 흑체가 상기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향하도록 상기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흑체를 기준 흑체로 하여, 상기 채임버의 내부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적외선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흑체가 적외선 열상 카메라를 향하도록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킨 후, 상기 제1 흑체의 온도를 제3 온도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74967A 2006-08-09 2006-08-09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KR10080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67A KR100804755B1 (ko) 2006-08-09 2006-08-09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67A KR100804755B1 (ko) 2006-08-09 2006-08-09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44A true KR20080013444A (ko) 2008-02-13
KR100804755B1 KR100804755B1 (ko) 2008-02-19

Family

ID=3934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967A KR100804755B1 (ko) 2006-08-09 2006-08-09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7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13B1 (ko) * 2008-04-04 2009-02-06 주훈 진공 흑체 소스 패키지
KR101407701B1 (ko) * 2013-03-29 2014-06-13 (주)이오시스템 적외선 검출 장치의 2점 보정을 위한 보정 장치
WO2020171411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캘리브레이션 정확성 향상을 위한 멀티 윈도우가 구비된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 센서 교정 장치
WO2022131420A1 (ko) * 2020-12-17 2022-06-23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온도 교정용 적외선 방사체의 온도 측정 방법
CN117073853A (zh) * 2023-10-18 2023-11-17 南京谷贝电气科技有限公司 红外成像仪全自动化校验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8912C2 (de) 1991-08-30 1995-06-22 Deutsche Forsch Luft Raumfahr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Kalibrierung von Spektralradiometern
JPH06117938A (ja) * 1992-10-08 1994-04-28 Fujitsu Ltd 基準黒体の温度制御装置
KR970022251A (ko) * 1995-10-31 1997-05-28 김희수 활동량 센서의 동작 측정장치
US7297938B2 (en) 2004-03-22 2007-11-20 Advanced Biophotonics, Inc. Integrated black body and lens cap assembly and methods for calibration of infrared cameras us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13B1 (ko) * 2008-04-04 2009-02-06 주훈 진공 흑체 소스 패키지
KR101407701B1 (ko) * 2013-03-29 2014-06-13 (주)이오시스템 적외선 검출 장치의 2점 보정을 위한 보정 장치
WO2020171411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캘리브레이션 정확성 향상을 위한 멀티 윈도우가 구비된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 센서 교정 장치
WO2022131420A1 (ko) * 2020-12-17 2022-06-23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온도 교정용 적외선 방사체의 온도 측정 방법
CN117073853A (zh) * 2023-10-18 2023-11-17 南京谷贝电气科技有限公司 红外成像仪全自动化校验装置及方法
CN117073853B (zh) * 2023-10-18 2023-12-29 南京谷贝电气科技有限公司 红外成像仪全自动化校验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755B1 (ko) 200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894B1 (ko)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804755B1 (ko)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US8378290B1 (en) Sensor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frared cameras
US8049163B1 (en)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frared cameras
JP6540519B2 (ja) 赤外線撮像装置
US97198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heat flux
US20170155818A1 (en) Camera Arrangement
CN109655162A (zh) 红外热像仪测温校正系统及方法
US20170016762A1 (en) Infrared sensing devices and methods
US8748808B2 (e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a loss of calibration of microbolometer thermal imaging radiometers
WO2017056473A1 (ja) カメラ校正用ボード、カメラ校正用装置、カメラ校正用方法、及びカメラ校正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
ES2350094T3 (es)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la calibración de cámaras de infrarrojos.
KR100881713B1 (ko) 진공 흑체 소스 패키지
KR102656079B1 (ko) 오차 보정용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객체 온도 검출 장치
US9277143B2 (en) Thermal imaging camera with repositionable active portions of focal plane array
KR101032175B1 (ko) 스테이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0128509A1 (en) Camera having a temperature balancing feature
US7568833B2 (en) Method for the certification of heater blankets by means of infrared thermography
JP2005519298A (ja) 赤外線カメラ較正における、または、赤外線カメラ較正に関する改良
KR20200083037A (ko) 열화상 장치
KR102352116B1 (ko) 렌즈-프리 광센서 어레이의 특성평가를 통한 보정방법
US109504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using non-contact temperature measurement
KR102448584B1 (ko) 회전 멀티어레이 써모폴리센서를 이용한 파노라마 열화상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14886B1 (ko) 다중 보정 모드를 가진 적외선 열상 현미경 어셈블리
TWI810453B (zh) 校準裝置、對應校準方法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