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94B1 -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94B1
KR100914894B1 KR1020070086223A KR20070086223A KR100914894B1 KR 100914894 B1 KR100914894 B1 KR 100914894B1 KR 1020070086223 A KR1020070086223 A KR 1020070086223A KR 20070086223 A KR20070086223 A KR 20070086223A KR 100914894 B1 KR100914894 B1 KR 10091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lack body
chamber
thermal camera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590A (ko
Inventor
주훈
Original Assignee
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훈 filed Critical 주훈
Priority to KR102007008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8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87Integrating cavities mimicking black bodie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black body and the measuring element does not occur within a solid; Use of bodies placed inside the fluid stream for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of gases; Use of the reemission from a surface, e.g. reflective surface; Emissivity enhancement by multiple refl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93Arrangements to attach devices to a pyrometer, i.e. attaching an optical interface; Spatial relative 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folded beam p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96Optical arrangements using a light source, e.g. for illuminating a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Abstract

제1 챔버; 제1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흑체소스를 구비한 흑체 어셈블리; 흑체 어셈블리와 이격되어 제1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2 챔버; 제2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상 카메라; 및 제2 챔버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흑체소스의 온도를 제2 컨트롤러에 의해 각각 상이한 온도로 설정하는 단계; 복수의 흑체소스 중 제1 온도를 갖는 제1 흑체소스를 기준 흑체로 하여,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제2 챔버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1 흑체소스에 대한 온도 데이터 획득이 완료된 후, 복수의 흑체소스 중 제2 온도를 갖는 제2 흑체소스가 열상 카메라를 바라보도록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제2 흑체소스를 기준 흑체로 하여,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제2 챔버의 내부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EMPERATURE CORRECTING THERMAL IMAGING CAMERA}
본 발명은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상 카메라를 흑체소스와 분리된 공간에 위치시키고, 각 면이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될 수 있는 다면의 흑체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 시간과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 안정화 시간을 줄여, 미세하고 정확한 온도 데이터가 요구되는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작업을 짧은 시간 내에 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하고 온도 보정을 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흑체소스(10)를 사용하여 왔다. 흑체소스는 방사율(emissivity)이 대략 1이어서,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거의 100% 방출하는 물체이다. 열상 카메라(20) 내에는 흑체소스(10)를 감지하는 검출기(detector)(30)가 있다. 검출기(30)는 수많은 검출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어레이로 되어 있는데, 일 예로서 하나의 검출기는 가로 320개×세로 240개, 즉 76,800개의 센서가 모여있는 센서 어레이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어레이를 통상 FPA(Focal Plane Array)라고 부른다.
그런데,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는 제조과정 등에서의 오차로 인해 각 센서마다 그 성능에 조금씩 편차를 보인다. 특히, 열상의 검출기는 이러한 현상(성능의 비 균일)이 매우 커 실제 전자회로를 구성하여 영상 구현 시 영상을 거의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각 센서의 성능의 차이가 매우 크다. 이러한 특성을 사전에 보상과 보정이란 과정을 통해 거의 일정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주변 온도와 흑체소스의 온도를 이용하여 열상 카메라에서 각 센서의 상이한 성능을 보상하게 하는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온도 상승에 따른, 센서 어레이의 각 센서가 나타내는 성능특성에 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그래프에서 좌표의 세로축은 게인,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일 예로서 3개의 센서에 대한 게인 그래프를 표시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센서의 게인이 증가하는데, 온도 증가에 대한 반응이 모든 센서에 걸쳐 일정하지 않고 도시된 것처럼 센서마다 조금씩 다르게 반응한다. 따라서,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센서에 대해 특정 온도에서 전체 센서가 일관된 값을 가지도록 보정을 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고, 이를 위해, 예컨대 t1 시점에서(즉, t1 시점에 대응하는 특정 온도에서) 모든 센서가 특정값(P)를 갖도록 각 센서를 온도보정 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온도보정은 한번에 끝나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데, 그 이유로는 센서의 성능 편차가 흑체소스 온도에 따라서도 다를 뿐 아니라 주변온도에 따라서도 모두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열상 카메라의 주변 온도와 흑체소스의 온도에 따라 센서마다 각기 다른 비 선형성을 갖는다. 따라서, 실제로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흑체소스 온도와 주변 온도를 계속 변화시키면서 카메라를 테스트해야 한다. 예컨대, 주변 온도를 10도로 맞추어 놓고 흑체소스 온도를 0도, 10도, 20도, 30도, 40도... 등으로 계속 증가시키면서 각 온도에서의 흑체소스의 열상 이미지를 열상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다음 주변온도를 20도로 올린 뒤 흑체소스 온도를 다시 0도, 10도, 20도, 30도, 40도... 등으로 계속 증가시키면서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하고, 그 다음 주변온도를 30도로 올린 뒤 흑체소스 온도를 다시 0도부터 계속 증가시키면서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하며, 이러한 작업을 주변온도가 40도, 50도 등이 될 때마다 반복하며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테스트에서의 문제점은 흑체소스의 안정화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흑체소스의 목적은 열상 카메라의 기준값을 얻기 위한 것인데 만약 흑체소스의 온도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면 열상 카메라의 정확도 역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흑체소스의 정확도를 바람직하게는 10mK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mK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mK 이내가 되도록 한다. 물론, 카메라의 검출기의 기본 성능 즉 온도 분해능 보다 약 10배 정도의 정확도를 가진 상태에서의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도를 요구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검출기(30)의 온도 분해능이 예컨대 100mK인 경우에는 흑체소스의 정확도가 10mK인 범위내에서 흑체소스의 온도를 안정화시키면 되지만, 검출기(30)의 온도 분해능이 예컨대 10mK인 경우라면 흑체소스를 더 높은 정확도, 즉 1mK의 정확도를 가지고 흑체소스의 온도를 안정화시켜야 한다.
그런데, 열상 카메라의 테스트를 위해 흑체소스 온도를 10도에서 20도로 증가시킬 경우, 예컨대 10mK의 정확도로 측정해야 할 경우라면 온도를 올리는데 통상 2~3분 정도 소요되지만 1mK의 정확도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흑체 온도를 올려서 정확히 20도로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20~30분 가량이 소요된다. 따라서, 주변온도를 10도로 설정하고 흑체소스를 0도, 10도, 20도, 30도... 등의 각 온도에서 안정화시킨 뒤 흑체소스를 촬영하고, 주변온도를 20도로 올린 뒤 흑체소스를 다시 0도, 10도, 20도, 30도...의 각 온도에서 안정화시킨 뒤 흑체소스를 촬영해야 하는 온도보정 작업에서는, 전체 온도보정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엄청나게 길어지게 되고 결국 열상 카메라 제조 후 상기 설명한 온도보정 작업 등의 각종 테스트를 거쳐 포장하기까지는 수일 내지 길게는 보름까지도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3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상 카메라 온도보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실험실과 같은 일정 공간 내에 복수의 흑체소스(10-1,10-2,10-3,...,10-n)를 일렬로 배열하고 그 앞에 레일(40)을 설치한다. 레일(40) 위에는 테스트해야 할 열상 카메라(20)를 올려놓는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할 때에, 흑체소스(10-1,10-2,10-3,...,10-n)의 각각을 서로 상이한 특정 온도로 미리 설정해 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흑체소스(10-1)는 온도(T1)(예컨대 10도)으로 설정하고 흑체소스(10-2)는 온도(T2)(20도)로 설정하고 흑체소스(10-3)는 온도(T3)(30도)으로 미리 설정해 놓는다. 이 상태에서 열상 카메라(20)로 흑체소스(10-1)의 열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그 후 레일(40) 위의 열상 카메라(20)를 흑체소스(10-2) 쪽으로 이동시켜 흑체소스(10-2)를 촬영하고 그 후 다시 열상 카메라(20)를 흑체소스(10-3) 쪽으로 이동시켜 흑체소스(10-3)를 촬영하고, 이러한 작업을 모든 흑체소스(10-1 내지 10-n)에 대해 반복한다. 즉, 열상 카메라(20)를 조금씩 움직여 흑체소스(10-1 내지 10-n)를 하나씩 차례로 촬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흑체소스(10-1 내지 10-n)를 각기 다른 온도로 미리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열상 카메라를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흑체소스가 특정 온도로 안정화하는데 소요되었던 시간이 필요없게 되므로 종래 방식에 비해 단 시간내에 테스트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복수의 흑체소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장비 구입에 따른 비용증가의 문제가 있었고, 더욱이 주변온도를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복수의 흑체소스(10-1 내지 10-n)를 일렬로 배치하고 그 앞으로 레일(40)이 설치된 오픈 공간에서 테스트를 해야 하므로 주변온도를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특정 온도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주변 온도 변화에 따른 테스트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은 시스템이 종래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도 4을 참조하면,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가 제어될 수 있는 챔버(50)를 실험실 내에 설치하고, 이 챔버(50) 내에 흑체소스(10) 및 테스트해야 할 열상 카메라(20)를 위치시킨다. 흑체소스(1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60)가 흑체소스(10) 및 열상 카메라(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챔버온도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챔버(50) 내부의 온도를 특정 온도로 설정하고, 챔버(50)내의 온도가 안정화된 후 제어장치(60)에 의해 흑체소스(10)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열상 카메라(20)를 테스트한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챔버(50) 내부의 온도를 여러가지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열상 카메라(20)의 주변 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흑체소스(10)로부터 방사되는 열 대류 현상으로 인해 챔버(50) 내부의 온도를 특정 온도로 안정화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챔버(50) 내부의 온도 안정화를 위해 쿨링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쿨링작업은 반대로 흑체소스(10)의 온도 안정화를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흑체소스(10)의 온도 안정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흑체소스(10)의 온도가 챔버(50)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때는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전히 단일 흑체소스(10)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흑체소스를 특정 온도에서 안정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여전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흑체소스의 온도 및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면서도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 시간 및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 안정화 시간을 줄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작업을 할 수 있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흑체소스의 온도 및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면서도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 시간 및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 안정화 시간을 줄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작업을 할 수 있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은, 제1 챔버; 제1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흑체소스를 구비한 흑체 어셈블리; 흑체 어셈블리와 이격되어 제1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2 챔버; 제2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상 카메라; 및 제2 챔버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흑체 어셈블리는, 중공의 다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어셈블리 본체; 어셈블리 본체 외부의 각 측면에 부착된 복수의 흑체소스; 어셈블리 본체 내부의 각 측면을 나머지 측면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어셈블리 본체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단열벽; 단열벽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내부공간과 개별적으로 연통하기 위해 어셈블리 본체 하부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 어셈블리 본체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팬;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복수의 흑체소스, 구동모터, 냉각팬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2 컨트롤러는 복수의 흑체소스 각각이 서로 상이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도록 각 흑체소스의 온도를 제어하고, 복수의 흑체소스 각각이 상기 열상 카메라에 대해 정면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어셈블리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챔버 외부의 공기가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로 흡입되도록 냉각팬의 회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흑체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일 흑체소스가 촬영되는 동안 다른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에 따른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흑체소스 온도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상 카메라를 흑체소스와 동일한 공간이 아닌 분리된 공간 즉, 제2 챔버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흑체소스로부터 방사되는 열에 의한 대류현상 등에 의해 영향받지 않게 되어 열상 카메라 주변온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흑체소스 역시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 안정화를 위한 쿨링 작업에 의해 영향받지 않게 되어 흑체소스 온도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열상 카메라가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제2 챔버에는 복수의 흑체소스 중 열상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는 흑체소스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고 손실없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적외선이 들어오는 측면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윈도우는 게르마늄, 실리콘 및 사파이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선택된 하나이고, 무반사 코팅처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은 복수의 흑체소스 중 일 흑체소스의 온도가 제1 챔버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때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제습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은 흑체 어셈블리와 열상 카메라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적외선이 열상 카메라에 도달되도록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콜리메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은, 상기에서 기술된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흑체소스의 온도를 제2 컨트롤러에 의해 각각 상이한 온도로 설정하는 단계; 복수의 흑체소스 중 제1 온도를 갖는 제1 흑체소스를 기준 흑체로 하여,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제2 챔버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1 흑체소스에 대한 온도 데이터 획득이 완료된 후, 복수의 흑체소스 중 제2 온도를 갖는 제2 흑체소스가 열상 카메라를 바라보도록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제2 흑체소스를 기준 흑체로 하여,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2 챔버의 내부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은 제2 흑체소스가 열상 카메라를 바라보도록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킨 후,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제1 흑체소스의 온도를 제3 온도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은 각 면이 상이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는 흑체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일 흑체소스가 촬영되는 동안 다른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에 따른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흑체소스 온도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상 카메라가 제2 챔버내에 위치됨으로써,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흑체소스로부터 방사되는 열에 의한 대류현상 등에 의해 영향받지 않게 되어 열상 카메라 주변온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흑체소스 역시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 안정화를 위한 쿨링 작업에 의해 영향받지 않게 되어 흑체소스 온도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내에 위치된 제습장치로 인해, 흑체소스의 온도가 제1 챔버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때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상 카메라 온도보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열상 카메라의 센서 어레이의 각 센서가 온도 상승에 따라 나타내는 성능특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상 카메라 온도보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열상 카메라 온도보정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흑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5에 도시된 흑체 어셈블리의 어셈블리 본체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흑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흑체 어셈블리(100)는 어셈블리 본체(110)를 포함하고 있다. 어셈블리 본체(110)는 대략 정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깥쪽 측면의 각 면에 4개의 흑체소스(120)가 부착되어 있다. 도 5는 어셈블리 본체(110)의 측면이 4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어셈블리 본체 측면에 5개 또는 6개 등의 흑체소스를 부착할 수 있도록 어셈블리 본체가 5각 기둥 또는 6각 기둥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어셈블리 본체(110)의 각 외측면에 부착된 흑체소스(120)는 열을 방사하는 역할을 하는데, 방사율이 거의 1에 가까운 기존의 공지된 흑체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흑체소스(120)의 형상은 어셈블리 본체(110)의 각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의 얇은 판상으로 되어 있으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셈블리 본체(110)에 대한 보다 자세한 구조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어셈블리 본체(110)는 그 내부가 중공의 형상을 띄고 있으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어셈블리 본체(110) 내부에는 본체 중심부와 각 모서리를 연결하는 단열벽(13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내부를 네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 어셈블리 본체(11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어 제1 챔버 외부의 실온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에 연결된다. 어셈블리 본체(110)의 각 내측면에는 각 외측면에 부착된 흑체소스(120)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4개의 열변환장치(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각각의 열변환장치가 각각의 흑체소스(120)를 개별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하여 각기 다른 온도로 세팅할 수 있고, 이 때 각 열변환장치는 단열벽(130)에 의해 다른 열변환장치와는 차단되므로 일 열변환장치로부터 방사되는 열은 다른 흑체소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어셈블리 본체(110)의 상부에는 냉각팬(140)이 설치되어 있고 어셈블리 본체(110)의 하부에는 어셈블리 본체(110) 내부의 네 부분으로 구분된 각 부분과 개별적으로 연통된 4개의 공기흡입구(150)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팬(140)은 제1 챔버 외부의 공기가 어셈블리 본체(1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어셈블리 본체(110) 내부를 냉각시키고 그 결과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를 도모한다. 도 5에는 냉각팬(140)이 한 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열벽(130)으로 구분지어진 네 부분의 각 영역 위에 냉각팬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공기흡입구(150)는 외부 공기 즉, 제1 챔버 외부의 공기가 어셈블리 본체(1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각 흑체소스(120) 마다 공기흡입구(54)가 할당되어 있는데, 이는 각 흑체소스(120)의 온도가 다르면 이에 따른 열변환장치의 방열판의 온도도 달라지므로 각 흑체소스(120)에서 발열되는 열에너지가 다른 흑체소스(120)의 방열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어셈블리 본체(110)는 회전판 위에 놓여 있고, 지지대(160) 위의 구동모터(170)는 회전기어(180)를 통해 회전판과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흡입구(15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어셈블리 본체(110) 내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회전판의 내측은 뚫려져 있다. 구동모터(170)는 후술하는 제2 컨트롤러(190)의 제어에 의해 어셈블리 본체(11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정확한 회전위치 검출 및 회전을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공기흡입구(150)가 회전판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어 공기흡입구(150)가 고정된 상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어셈블리 본체(110) 바로 아래쪽에 설치되어 어셈블리 본체(11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컨트롤러(190)는 어셈블리 본체(110)의 각 외측면에 부착된 흑체소스(120)의 온도를 제어하고, 어셈블리 본체(110)의 회전을 제어하며, 냉각팬(140)의 회전을 제어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열상 카메라 등을 제어하는 중앙 컴퓨터가 제1 챔버 외부에 존재한다. 중앙 컴퓨터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각 흑체소스의 온도와 열상 카메라의 주변 온도(제2 챔버 내부의 온도)를 모니터링한다. 각 흑체소스의 온도 및 제2 챔버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제2 컨트롤러 및 제1 컨트롤러에 각각 전송한다.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작업이 수행되면서 열상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온도 데이터를 취합한다. 상기 온도 테이터를 바탕으로 열상 카메라에 입력될 온도 보정값을 계산한다. 열상 카메라의 온도 보정값과 열상 카메라의 주요 관련 데이터를 중앙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제2 컨트롤러, 제1 컨트롤러 및 열상 카메라 이외에 본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장치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어셈블리 본체의 회전과 냉각팬의 회전을 제어하는 명령을 제2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7을 참조하면, 제1 챔버(500)내에는 흑체 어셈블리(100)와 제2 챔버(200)가 위치되어 있고, 제2 챔버(200)내에는 복수의 열상 카메라(300-1, 300-2, 300-3,...., 300-n) 및 제1 컨트롤러(400)가 위치되어 있다. 도 7에는 열상 카메라가 복수 개 있으나, 대안의 실시예들에서는 한 개의 열상 카메라가 제2 챔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복수의 열상 카메라가 위치됨으로써 여러 개의 열상 카메라에 대한 온도보정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도보정 작업이 시작되면, 제2 챔버(200)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1 컨트롤러(400)를 통해 제2 챔버(200)의 온도, 즉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특정 온도, 예컨대 10도로 설정하고, 제2 컨트롤러(190)를 통해 4개의 흑체소스(120)의 온도를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한다. 예컨대, 흑체소스(120)의 온도를 10도, 20도, 30도, 40도로 각각 설정한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10, 20, 30, 40도로 각각 설정된 흑체소스를 120-1, 120-2, 120-3, 120-4라고 한다). 제2 챔버(200)의 내부 온도와 흑체소스(120-1)가 각기 설정된 온도로 안정화된 후,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를 바라보고 있는 10도로 설정된 흑체소스(120-1)의 열상 이미지를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로 촬영한다. 그후, 제1 컨트롤러(400)를 통해 제2 챔버(200)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제2 챔버(200)의 온도를 예컨대 10도에서부터 50도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제2 챔버(200) 내의 온도가 50도에 이르기까지 계속 증가하는 동안 그 온도가 정확히 10도, 15도, 20도, 25도, 30도... 등에 이르는 순간마다 흑체소스(120-1)의 열상 이미지를 촬영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 챔버(200) 내의 온도가 10도에서 50도에 이르기까지 흑체소스(120-1)의 열상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흑체소스(120-1)의 온도가 10도인 경우에 있어서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가 각각 10, 15, 20, 25, 30,... 45, 50도일 때의 흑체소스(120-1)의 열상 이미지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제2 컨트롤러(190)는 구동모터(170)를 통해 어셈블리 본체(110)를 회전시켜 20도의 온도로 설정된 흑체소스(120-2)가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를 바라보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1 컨트롤러(400)를 통해 제2 챔버(200)내의 온도 즉,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를 50도에서부터 10도까지 하강시킨다. 제2 챔버(200) 내의 온도가 하강하는 동안 그 온도가 정확히 45, 40, 35,... 15, 10도에 이르는 순간마다, 흑체소스(120-2)의 열상 이미지를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로 촬영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흑체소스의 온도가 20도인 경우에 있어서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가 각각 10, 15, 20,... 45, 50도일 때의 흑체소스(120-2)의 열상 이미지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제2 컨트롤러(190)는 구동모터(170)를 통해 어셈블리 본체(110)를 회전시켜 30도의 온도로 설정된 흑체소스(120-3)가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를 바라보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1 컨트롤러를 통해 제2 챔버(200)내의 온도 즉,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를 10도에서부터 50도까지 상승시킨다. 제2 챔버(200) 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그 온도가 정확히 10, 15, 20, 25, 30,... 45, 50도에 이르는 순간마다, 흑체소스(120-3)의 열상 이미지를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로 촬영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흑체소스의 온도가 30도인 경우에 있어서 열상 카메(300-1 내지 300-n)라의 주변온도가 각각 10, 15, 20,... 45, 50도일 때의 흑체소스(120-3)의 열상 이미지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의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가 10도에서 50도에 이르는 범위에 대하여 4개의 온도(10, 20, 30, 40도)로 각각 설정된 흑체소스(120-1,120-2,120-3,120-4)의 열상 이미지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흑체 온도(120)를 특정온도로 고정한 후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였으나, 반대로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를 일정 값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어셈블리 본체(110)를 회전시키면서 각기 다른 온도를 갖는 흑체소스(120)에 대한 열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도 보정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예컨대 10도로 설정된 흑체소스(120-1)가 촬영되는 동안, 20도로 설정된 흑체소스(120-2)가 정확히 20도의 온도로 안정화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흑체소스(120-2)를 촬영하는 동안에는 흑체스스(120-3)가 30도의 온도로 안정화하는 시간을 확보하며, 흑체소스(120-3)을 촬영하는 동안에는 흑체소스(120-4)가 40도의 온도로 안정화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에 따른 시간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또한,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를 제2 챔버(200)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 온도가 흑체소스(120)로부터 방사되는 열에 의한 대류현상에 의해 영향받지 않게 되어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흑체소스(120) 역시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 온도 안정화를 위해 수행되는 쿨링 작업으로부터 영향 받지 않게 되어 흑체소스(120)의 온도 안정화를 단 시간내에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에 더하여 제2 챔버(200)의 일 측면에, 보다 상세하게는, 흑체 어셈블리(100)의 흑체소스(120)로부터의 적외선이 제2 챔버(200)로 들어오는 제2 챔버(200)의 일 측면에 윈도우(210)가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210)는 흑체 어셈블리(100)의 흑체소스(120)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고 손실없이 투과될 수 있도록 게르마늄 재질로 되어 있으며 무반사 코팅처리되어 있다. 게르마늄 재질의 윈도우(210)는 파장이 1 마이크로메타 내지 20 마이크로메타의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210)가 게르마늄 재질로 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또는 사파이어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210)는 상기에서 언급한 역할 이외에도 제2 챔버(200) 내부와 흑체소스(120)를 완전하게 분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흑체 어셈블리(100)의 흑체소스(120)로부터의 적외선이 제2 챔버(200)로 들어오는 제2 챔버(200)의 일 측면에 윈도우(210)를 설치하여 2중의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흑체소스(120)의 온도와 제2 챔버(200) 내부의 온도는 서로 완전하게 영향받지 않는 상태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체소스가 100도 이고 제2 챔버 내부온도가 0도 일 경우 만약 흑체소스가 제2 챔버 내부에 놓이게 되면 그 온도 차가 100도가 되어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과 제2 챔버 내부의 온도 안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흑체소스(120)를 제2 챔버(200) 외부에 위치시키고 제2 챔버(200)의 일 측면, 즉, 흑체 어셈블리(100)의 흑체소스(120)로부터의 적외선이 제2 챔버(200)로 들어오는 측면에 윈도우(210)를 설치하여 2중의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가 놓여 있는 환경과 흑체소스(120)가 놓여 있는 환경이 서로 완전하게 구분되어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주변온도와 흑체소스(120)의 온도를 정확하게 설정한 상태에서 온도 보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에서 도시된 시스템에 더하여 제1 챔버(500) 내에 제습장치(6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습장치(600)는 제1 챔버(500)내의 습도를 제거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흑체소스(120) 중 일 흑체소스가 제1 챔버(500)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때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제1 챔버(5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7에서 도시된 시스템에 더하여 제1 챔버(500) 내에 콜리메이터(700)가 위치되어 있다. 콜리메이터(700)는, 흑체 어셈블리(100)와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흑체 어셈블리(100)의 흑체소스(12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이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에 적게 도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흑체 어셈블리(100)의 흑체소스(12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은 콜리메이터(700) 내의 폴드 미러(710)에 반사된 후 포물면 렌즈(720)에 도달한다. 포물면 렌즈(720)에 도달된 적외선은 퍼짐없이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에 도달하게 된다. 이로써, 흑체 어셈블리(100)의 흑체소스(120)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은 흑체 어셈블리(100)와 열상 카메라(300-1 내지 300-n)의 거리에 관계없이 언제나 일정하게 열상 카메라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더하여, 예컨대 10도로 설정된 흑체소스(120-1)에 대한 촬영이 완료되고 20도로 설정된 흑체소스(120-2)가 열상 카메라(20)를 바라보도록 회전된 이후, 상기 10도로 설정되었던 흑체소스(120-1)의 온도를 50도로 다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는, 나머지 흑체소스(120-2, 120-3, 120-4)에 대해 열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시간 동안 흑체소스(120-1)의 온도를 10도에서 50도로 설정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여 높은 온도 정확도를 가지고 흑체소스(120-1)의 온도를 50도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흑체소스(120-2)에 대해서도 흑체소스(120-2)에 대한 첫번째 촬영을 완료한 뒤 다음 차례가 돌아오는 시간동안 높은 온도 정확도를 가지고 흑체소스(120-2)의 온도를 6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도보정 작업을 행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온도보정의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10도의 흑체소스(120-1)에 대해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고 그 후 20도의 흑체소스(120-2)에 대해서는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하강시키면서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였으나, 흑체소스의 열상 이미지를 촬영함에 있어서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를 일률적으로 상승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일률적으로 하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상 카메라를 흑체소스와 분리된 공간에 위치시키고, 각 면이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될 수 있는 다면의 흑체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흑체소스의 온도 안정화 시간과 열상 카메라의 주변온도 안정화 시간을 줄여, 미세하고 정확한 온도 데이터가 요구되는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작업을 짧은 시간 내에 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8)

  1.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흑체소스를 구비한 흑체 어셈블리;
    상기 흑체 어셈블리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상 카메라; 및
    상기 제2 챔버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체 어셈블리는,
    중공의 다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어셈블리 본체;
    상기 어셈블리 본체 외부의 각 측면에 부착된 복수의 흑체소스;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의 각 측면을 나머지 측면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단열벽;
    상기 단열벽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내부공간과 개별적으로 연통하기 위해 상기 어셈블리 본체 하부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
    상기 어셈블리 본체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팬;
    상기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복수의 흑체소스, 구동모터, 냉각팬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흑체소스 각각이 서로 상이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도록 각 흑체소스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흑체소스 각각이 상기 열상 카메라에 대하여 정면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어셈블리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며, 제1 챔버 외부의 공기가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로 흡입되도록 냉각팬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에는 상기 복수의 흑체소스 중 열상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는 흑체소스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고 손실없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적외선이 들어오는 측면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게르마늄, 실리콘 및 사파이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고, 무반사 코팅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흑체소스 중 일 흑체소스의 온도가 상기 제1 챔버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때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제습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체 어셈블리와 상기 열상 카메라의 거리에 관계 없이 일정한 적외선이 상기 열상 카메라에 도달되도록 상기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콜리메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에 기재된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흑체소스의 온도를 제2 컨트롤러에 의해 각각 상이한 온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흑체소스 중 제1 온도를 갖는 제1 흑체소스를 기준 흑체로 하여,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제2 챔버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흑체소스에 대한 온도 데이터 획득이 완료된 후, 상기 복수의 흑체소스 중 제2 온도를 갖는 제2 흑체소스가 상기 열상 카메라를 바라보도록 상기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흑체소스를 기준 흑체로 하여, 상기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2 챔버의 내부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열상 카메라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흑체소스가 상기 열상 카메라를 바라보도록 어셈블리 본체를 회전시킨 후, 상기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1 흑체소스의 온도를 제3 온도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방법.
KR1020070086223A 2007-08-27 2007-08-27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91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23A KR100914894B1 (ko) 2007-08-27 2007-08-27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23A KR100914894B1 (ko) 2007-08-27 2007-08-27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90A KR20090021590A (ko) 2009-03-04
KR100914894B1 true KR100914894B1 (ko) 2009-08-31

Family

ID=4069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23A KR100914894B1 (ko) 2007-08-27 2007-08-27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42A (ko) 2014-10-30 2016-05-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16977A (ko)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신일테크 열화상 카메라의 켈리브레이션 자동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93B1 (ko) * 2009-05-18 2011-08-11 한국광기술원 적외선 검출기 검사 장치
CN103412590B (zh) * 2013-08-08 2015-05-27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适用于空间遥感相机的高精度控温方法
KR102470560B1 (ko) * 2020-03-30 2022-11-29 (주)씨앤테크 온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온도 측정 방법
KR102395419B1 (ko) * 2021-09-29 2022-05-12 신승철 블랙바디 일체형 열화상 시스템 및 그의 온도 보정 방법
KR102619796B1 (ko) * 2021-10-18 2024-01-04 주식회사 이에스텍 체온측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5738A (ko) * 1996-03-28 1997-10-13 조셉 제이. 스위니 열처리 시스템의 적외선 고온계 교정 방법 및 장치
JPH1038684A (ja) * 1996-07-24 1998-02-13 Nippon Avionics Co Ltd 赤外線カメラにおける温度ドリフト補正装置
KR20000013456U (ko) * 1998-12-26 2000-07-15 이구택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복사온도계의 자동교정장치
KR100661794B1 (ko) * 2006-05-24 2006-12-28 주훈 적외선 흑체가 내장된 적외선 열상 현미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5738A (ko) * 1996-03-28 1997-10-13 조셉 제이. 스위니 열처리 시스템의 적외선 고온계 교정 방법 및 장치
JPH1038684A (ja) * 1996-07-24 1998-02-13 Nippon Avionics Co Ltd 赤外線カメラにおける温度ドリフト補正装置
KR20000013456U (ko) * 1998-12-26 2000-07-15 이구택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복사온도계의 자동교정장치
KR100661794B1 (ko) * 2006-05-24 2006-12-28 주훈 적외선 흑체가 내장된 적외선 열상 현미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42A (ko) 2014-10-30 2016-05-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16977A (ko)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신일테크 열화상 카메라의 켈리브레이션 자동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90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894B1 (ko) 열상 카메라의 자동 온도보정 시스템 및 방법
US8049163B1 (en)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frared cameras
US8378290B1 (en) Sensor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frared cameras
JP3983672B2 (ja) 較正ラジオメータ
CN109655162A (zh) 红外热像仪测温校正系统及方法
EP28885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optical monitoring within a gas turbine combustor section
US20170155818A1 (en) Camera Arrangement
JP6540519B2 (ja) 赤外線撮像装置
US7980758B2 (en) Equipment for non-contact temperature measurement of samples of materials arranged under vacuum
US8748808B2 (e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a loss of calibration of microbolometer thermal imaging radiometers
KR100804755B1 (ko) 다수의 흑체 소스로 이루어진 흑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카메라의 온도보정 방법
KR100881713B1 (ko) 진공 흑체 소스 패키지
JP2006500622A (ja) 均一性補正のためのフロントレンズシャッター取り付け
JP4216730B2 (ja) 赤外線カメラ較正における、または、赤外線カメラ較正に関する改良
CN212030747U (zh) 红外热成像设备的检测系统
KR20200083037A (ko) 열화상 장치
RU2719312C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излучения
KR100914886B1 (ko) 다중 보정 모드를 가진 적외선 열상 현미경 어셈블리
Folkman et al. Enhancements to the radiometric calibration facility for the Clouds and the Earth's Radiant Energy System instruments
KR20160144692A (ko) 광센서 어레이의 특성평가를 통한 보정방법
US20240159594A1 (en) Calibration mechanism for thermal imaging systems
US20230123056A1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having a temperature calibration function
US11543298B1 (en) Temperature calibration method for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JPH0876857A (ja) Icハンドラの恒温槽の温度制御方法
JP7441621B2 (ja) 赤外線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