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900A -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900A
KR20080011900A KR1020060072631A KR20060072631A KR20080011900A KR 20080011900 A KR20080011900 A KR 20080011900A KR 1020060072631 A KR1020060072631 A KR 1020060072631A KR 20060072631 A KR20060072631 A KR 20060072631A KR 20080011900 A KR20080011900 A KR 2008001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tplace
product
product information
information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356B1 (ko
Inventor
조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션
Priority to KR102006007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3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마켓플레이스용 검색로봇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상품정보가 수집되고,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검색부터 결제 및 배송에 이르는 상품구매절차 전체가 완료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개별 쇼핑몰에 구비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사전 준비 작업이 이루어지는 판매준비단계,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이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저장하는 상품정보수집단계, 구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이 검색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중 구매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이 구매 및 배송되는 단계, 및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 수익금이 정산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개별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수집이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결제, 배송 등 일체의 구매절차가 완결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전자상거래, 마켓플레이스

Description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및 제어방법. {Marketplace type shopping portal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구성 중 마켓플레이스 메인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상세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전자상거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판매자와 마켓플레이스 간 판매준비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식별자로 사용되는 HTML 주석태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스코드 예시도.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소스코드가 웹브라우저에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웹페이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판매자가 마켓플레이스에 상품정보페이지 등록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웹페이지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검색로봇의 상품정 보수집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구매자의 상품검색, 구매 및 배송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배송, 반품, 환불, 정산 등 구매 후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매자접속용 컴퓨터 130 : 마켓플레이스 150 : 쇼핑몰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서버 220 : 어플리케이션 서버 230:전자상거래 서버
본 발명은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마켓플레이스 전용 검색로봇에 의하여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상품정보가 수집되고,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검색부터 결제 및 배송에 이르는 일련의 상품구매절차 전체가 완료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의 발달에 따라, 구매자가 원하는 하나의 상품에 대하여 여러 쇼핑몰에서의 가격을 비교해주는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들이 다수 출현하였다. 이러한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들의 출현에 의하여 구매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여 비교함으로써,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쇼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들을 통하여 구매자가 인터넷쇼핑을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매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웹서핑을 하던 중,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발견하면, 이 상품에 대한 여러 사이트의 다양한 상품정보 및 가격정보 등을 얻기 위하여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렇게 상기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한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명, 제조회사, 가격대 등 검색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상품의 가격비교정보를 검색한다.
상세히, 이러한 종래의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들의 경우, 야후(Yahoo)나 라이코스(Lycos) 또는 구글(Google) 등과 같은 종래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각 쇼핑몰사이트의 위치정보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파악하여 해당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고 구매물품의 정보를 얻은 후, 구매자에게 상기 쇼핑몰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기존 검색 엔진들의 검색방식은, 웹-인덱스 방식(키워드검색방식), 웹-디렉토리 방식(주제별, 메뉴별 검색방식), 통합형 방식, 메타-프론티드 방식(meta-fronted) 등을 사용하고 있다.
먼저, 웹-인덱스 방식은, 스파이더 프로그램을 장착한 검색로봇이 웹상에서 인터넷의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엔진에 인덱스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구매자가 키워드를 입력할 때 그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검색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광범위 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정확한 정보에 접근하는데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웹-디렉토리 방식은, 일명 메뉴검색방식으로서 웹 분석 전문가들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주제별, 계층별, 메뉴별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야후의 검색엔진이 이와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통합형과 메타-프론티드 방식은, 다른 검색엔진에 링크하여 찾은 정보를 마치 자기가 찾은 것으로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여러 검색 엔진 중 한가지 방식만을 순수하게 제공하는 검색엔진은 거의 없으며, 여러 방식을 조금씩 혼용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구매자가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품을 구비한 쇼핑몰을 찾아내면, 구매자는 해당 쇼핑몰에 접속하여, 해당 쇼핑몰의 소정의 구매 방식에 의하여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쇼핑이 완료된다.
상세히, 상기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구비한 쇼핑몰을 찾아낸 구매자는, 해당 쇼핑몰 사이트로 이동한다. 구매자는,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 및 배송료 등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구매 여부를 결정한다.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경우, 구매자는 상기 쇼핑몰의 소정의 구매 프로세스를 거침으로써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즉, 회원인증(로그인)단계, 구매할 물품을 선택하는 단계, 결제 단계 등을 수행함으로써 구매가 완료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쇼핑몰에 처음 방문하였다는 등의 이유로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새롭게 회원가입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개별 쇼핑몰마다 상이 한 구매 프로세스를 숙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웹사이트를 통한 가격비교 서비스는, 여러 쇼핑몰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격비교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기는 하지만, 하기 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존재하였다.
첫째, 종래의 가격비교 서비스는, 해당 상품 및 쇼핑몰을 검색하기 위하여 종래의 웹페이지 검색엔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품 정보 및 전자상거래와 관련이 없는 수 많은 웹페이지들도 함께 검색하였다. 따라서, 정보의 양이 너무 광범위해지고 대상이 불명확하게 됨으로써, 검색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검색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는 등 효율적인 검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 일부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의 경우, 개별 쇼핑몰 사이트에 제품 정보가 담겨있는 별도의 웹페이지를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별도의 웹페이지의 URL을 저장하여 두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인터넷상의 모든 웹페이지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가 저장하고 있는 일부의 페이지만을 검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개별 쇼핑몰 사이트가 별도의 웹페이지를 제작하여야 하는데, 개별 쇼핑몰 사이트의 경우 개인 또는 소기업의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소규모의 쇼핑몰에서 가격비교사이트에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별 쇼핑몰 사이트의 경우, 제품정보 입력 등 쇼핑몰 운 영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개별 쇼핑몰 사이트에 제품 정보를 담고 있는 별도의 웹페이지를 요구할 경우 두 배 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이 개별 쇼핑몰 사이트에 제품 정보가 담겨있는 별도의 웹페이지가 구비되도록 하는 경우, 별도의 한 페이지, 또는 소수의 페이지에 모든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상품에 대하여 기록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 물리적인 제한이 존재하므로, 가격비교에 필요한 상품명 및 가격 등의 극히 제한적인 정보만이 저장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상품의 상세정보나 배송정보 등 구매에 추가적이며 또한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가격비교사이트상에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서만 종합적이고 상세한 정보들이 확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구매자가 가격비교사이트에서 상품을 검색하고 이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세히, 종래에는 상품구매 프로세스 중 상품 검색 서비스만 가격비교사이트에서 일어나고, 구매, 결제, 배송, 환불, 반품 등 상품의 구매결정 이후 발생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는 모두 개별 쇼핑몰로 이동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구매자는 각각의 개별 쇼핑몰마다 별도의 회원가입이 필요하고, 각 쇼핑몰 별 이용방법의 숙지가 필요하게 된다.
더군다나, 주로 개인 또는 소규모로 운영되는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매자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실제로 구매자가 소규모 쇼핑몰을 통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대금을 지불한 뒤 물품을 배송받지 못하는 사이버범죄는 이미 사회적으로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일정 정도 이상의 인지도와 공신력을 갖추고, 쇼핑의 일련의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포탈의 등장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마켓플레이스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자신의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소정의 식별자를 삽입하고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함으로써, 상품 정보 검색의 대상이 명확해지고 검색 시간이 단축되고 효율적인 검색이 이루어지는 마켓플레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상품정보를 취합하기 위하여, 상기 판매자가 별도의 웹페이지를 제작할 필요없이 기존의 상품정보페이지에 간단한 식별자만을 부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고 효율적인 상품정보 수집이 가능한 마켓플레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자의 부가를 통하여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정보들에 대한 수집이 가능해짐으로써, 개별 쇼핑몰로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의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 검색 및 가격비교뿐만 아니라, 구매, 결제, 배송, 환불, 반품 등 상품의 구매결정 이후 발생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모두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구매자가 개별 쇼핑몰에 접속할 필요 없이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구매절차 전체가 완료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신뢰성 높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구매절차 일체가 이루어짐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 양측 모두의 전자상거래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이에 의하여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전자상거래가 수행되는데 필요한 일련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판매자 쇼핑몰의 개별 상품정보페이지에 삽입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정보가 수집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가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상품의 주문관리가 가능하도록 결제, 배송, 환불, 반품 기능 등이 제공되는 전자상거래 서버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개별 쇼핑몰에 구비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사전 준비 작업이 이루어지는 판매준비단계,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이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저장하는 상품정보수집단계,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 중 구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이 검색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중 구매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이 상기 마켓플레이스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구매 및 배송되는 단계, 및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 수익금이 정산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개별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수집이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결제, 배송, 환불 등 일체의 구매절차가 완결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마켓플레이스란, 복수의 구매자(바이어)와 판매자를 하나의 집중된 전자 시장에 집결시키고, 각 전자 시장의 규칙에 따라 결정되는 동적인 가격에 의해 상호 간에 매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업 대 기업 간 또는 기업 대 개인 간 또는 개인 대 개인 간의 인터넷상의 가상 거래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의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들의 구매와 판매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일차적 장점 이외에도 제품 개발 사이클 단축, 공급 업체와의 협력, 제품 단가 절감 등 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CRM, 전자 청구 및 지불 시스템, 카탈로그 관리, 재고 관리 등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되어,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효율적인 협력을 통하여 시장 개척, 매출 확대,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마켓플레이스가 제공하는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켓플레이스에서는 회원관리 기능이 제공된다.
상세히, 마켓플레이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전자상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구매자의 제품 구매과정에서 필요한 결제정보, 신용정보, 배송정보 등과, 판매자의 제품 판매과정에서 필요한 판매자정보, 물품정보 등이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마켓플레이스는 기본적으로 회원제에 의하여 운영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에서는 회원 인증 및 회원 정보 관리와 관련된 일체의 기능을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마켓플레이스에서는 상품정보관리기능이 제공된다.
상세히, 마켓플레이스는 기본적으로 전자상거래를 위한 공간이며, 당연히 그 전제조건으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고 또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존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마켓플레이스에서는 각 판매자로부터 취합한 상품 정보가 저장되어야 하며, 나아가서 사용자가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및 가격비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야 한다.
셋째, 마켓플레이스는 주문관리기능이 제공된다.
상세히, 마켓플레이스에서는 구매자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우, 상기 상품의 구매 프로세스의 진행과정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구매자의 과 거 구매 내역 또는 판매자의 과거 판매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주문관리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주문관리기능에 의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는 구매 프로세스의 현재 진행상황을 확인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행동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및 구매자의 과거 거래 내역으로부터 각 구매자별 또는 판매자별 맞춤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구매자별/판매자별 신용정보의 관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마켓플레이스에서는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에서는 상품 검색에서부터 구매, 결제, 배송, 반품, 환불 등 일련의 구매 프로세스가 모두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기존의 마켓플레이스에서는 주로 상품 검색 및 가격비교만이 이루어졌으며, 실제 상품의 구매와 그 이후의 과정은 개별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가 모두 마켓플레이스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원-스탑(one-stop)쇼핑이 가능한, 진정한 의미의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구성 중 마켓플레이스의 메인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상세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포탈은,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접속하는 구매자 접속용 컴퓨터(100)(101) 또는 구매자 접속용 모바일 수단(102)과,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접속하는 쇼핑몰 서버(150)와, 상기 구매자 접속용 컴퓨터(100)(101) 또는 구매자 접속용 모바일 수 단(102) 및 상기 쇼핑몰 서버(150)와 연결되고 상품정보수집 및 상품구매프로세스의 기능이 제공되는 마켓플레이스(130)와, 상기 구매자 접속용 컴퓨터(100)(101) 및 상기 쇼핑몰 서버(150)가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넷망(120)(14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구매자 접속용 컴퓨터는 개인 PC(101) 또는 기업의 전자상거래 서버(102)가 될 수 있다. 구매자는 자신의 구매자 접속용 컴퓨터(101)(102)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망(120)을 통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에 접속함으로써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무선 네트워크(110)는 상기 마켓플레이스(1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가 구매자 접속용 모바일 수단(102)에 사용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되어 이를 전송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왑게이트 웨이(WAP gate way;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ate way)(112)와, 상기 왑게이트 웨이(112)에서 변환된 정보를 구매자가 현재 위치한 가장 가까운 곳에 전송하여 구매자의 모바일 수단(102)에 전송받도록 하기 위한 기지국(111)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핸드폰 등 모바일 수단(102)을 이용하여서도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에 접속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쇼핑몰 서버(150)는 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별 판매자가 각각의 쇼핑몰을 구축하여 놓은 웹서버로서, 상기 인터넷망(140)을 통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에 접속하여, 각각의 쇼핑몰에 구비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에 제공함으로써 물품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켓플레이스(13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쇼핑몰 서버(150)를 방문하는 구매자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메인 서버(200)는, 판매자정보와 구매자정보와 개별 상품정보 등 일련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10),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10)에 저장된 쇼핑몰정보 및 쇼핑몰 상품정보URL을 이용하여 각 쇼핑몰로부터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10)에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20), 및 구매자가 접속하여 상품정보 검색, 구매, 결제 등 상품 구매의 일련의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웹서버의 일종인 전자상거래 서버(2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10)는, 상품 판매자인 개별 쇼핑몰의 정보가 저장되는 쇼핑몰정보 데이터베이스(211)와, 각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개별 상품페이지의 URL 이 저장되는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와, 상기 개별 상품 페이지에서 취합한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와, 판매자 및 구매자의 신상정보, 결제정보, 배송정보 등이 저장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14)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쇼핑몰로부터 상품 정보를 취합하여 원-스탑 쇼핑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마켓플레이스(130)와, 상기 마켓플레이스(130)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별 쇼핑몰(150)은 소정의 계약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와 계약을 체결한 상기 쇼핑몰(150)은,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상에 판매자로 등록한다.
상세히, 상기 마켓플레이스(130)는 계약을 체결한 쇼핑몰(150)을 자신의 쇼핑몰정보 데이터베이스(211)에 판매자로서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또는, 마켓플레이스(130)가 판매자 등록을 위한 별도의 웹페이지를 상기 쇼핑몰(150)에 제공하고, 상기 쇼핑몰(150)은 상기 인터넷망(140)을 통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13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스스로 판매자로 등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쇼핑몰(150)은, 상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개별 상품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상기 마켓플레이스(130)가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형식의 식별자를 삽입한다.
상세히, 상기 식별자는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에 판매자로 등록하여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모든 쇼핑몰(150)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종의 표준화된 규격을 의미한다. 그리고, 후술할 마켓플레이스(130)의 검색로봇은 상기 식별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한 상품 정보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별 쇼핑몰(150)의 입장에서도,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에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웹페이지를 제작할 필요 없이, 개별 쇼핑몰(150)의 실제 상품정보페이지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마켓플레이스(130)에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쇼핑몰(150)은, 상기와 같이 식별자가 삽입된 상품정보 페이지의 URL을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한다.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의 검색로봇은 상기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 된 웹페이지들만을 돌아다니면서 제품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며, 검색 시 서버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판매자의 판매준비단계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마켓플레이스(130)의 검색로봇에 의하여 상품정보 검색이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220)상에서 작동되는 검색로봇의 작동시간이 되면, 상기 검색로봇은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된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추출하여, 각 상품정보페이지에 순차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접속한 검색로봇은,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의 식별자 내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취합하고, 상기 취합한 상품정보를 기존의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 그래서, 상기 취합한 상품정보가 새로운 상품일 경우 상기 신규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신규등록하고, 기존의 상품정보 내용이 수정된 경우에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된 기존의 정보를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색로봇은 1시간, 24시간 또는 일주일 등 일정 시간을 주기로 작동될 수 있다. 마켓플레이스의 운영자는 상기 검색로봇이 일정 주기마다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구매자가 집중되는 시간을 피하여 상품정보 취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메인서버(200) 및 쇼핑몰 서버(150)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구매자의 상품 구매 과정을 살펴보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상기 인터넷망(120)을 통하여 마켓플레이스(130)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구매자가 상품명, 가격, 제조사 등 소정의 검색조건을 입력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130)는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상품 목록 리스트를 제공한다.
그러면, 구매자는 상기 상품 목록 리스트 중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선택하여 이를 검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130)의 경우, 개별 쇼핑몰로(150)부터 제품의 모든 정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는 제품의 상세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별 쇼핑몰(150)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상기와 같이 구매자가 상품의 상세정보를 검토하여 구매를 결정하면, 구매자는 상기 마켓플레이스(130)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130)상에서 제품의 구매, 결제, 배송, 반품 및 환불에 이르는 일련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전자상거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구매자와 판매자간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판매자와 마켓플레이스 간 판매준비단계(S310), 검색로봇의 상품 정보 수집 단계(S320), 구매자의 제품 검색, 구매 및 배송단계(S330) 및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 정산단계(S340)가 포함된다.
도 4는, 판매자와 마켓플레이스 간 판매준비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판매자와 마켓플레이스 간 판매준비단계(S400)는,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에 소정의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410), 상기 판매자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 판매자로 등록되는 단계(S420), 상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상기 마켓플레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형식의 식별자가 삽입되는 단계(S430) 및 상기 판매자가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는 단계(S4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에 일정한 양식의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410)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410)가 온라인 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먼저 마켓플레이스가 이용약관 및 정보보호정책 등 계약에 필요한 사항들이 명기된 웹페이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약관 등을 검토하고, 이에 동의할 경우 계약체결버튼을 클릭(click)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계약이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계약(S410)은 오프라인상에서 체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판매자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 판매자로 등록되는 단계(S420)는, 상기 계약을 체결한 판매자가 마켓플레이스의 쇼핑몰 정보 데이터베이스(211)에,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판매자로서 저장되는 단계이다.
이 경우, 마켓플레이스가 상기와 같이 계약을 체결한 판매자를 자신의 쇼핑몰정보 데이터베이스(211)에 판매자로 직접 등록할 수도 있고, 또는 마켓플레이스 가 판매자 등록을 위한 별도의 웹페이지를 상기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판매자는 마켓플레이스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스스로 판매자로 등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에 일정한 양식의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410)와 상기 판매자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 판매자로 등록되는 단계(S420)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판매자가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판매자 등록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에 계약이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판매자의 가입 정보는 쇼핑몰 정보 데이터베이스(211)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매자가 상품정보페이지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S430)는, 상기 판매자가 실제 상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일정한 형식의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판매자가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는 단계(S440)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8에서 후술한다.
상세히, 종래 가격비교 사이트의 경우, 개별 쇼핑몰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종래의 일반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각 쇼핑몰사이트의 위치정보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을 파악하여 해당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고, 구매물품 의 정보를 얻은 후, 구매자에게 상기 쇼핑몰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할 경우, 상품 정보 및 전자상거래와 관련 없는 수많은 웹 페이지들도 함께 검색되기 때문에, 정보의 양이 너무 광범위해지고 대상이 불명확하게 됨으로써, 검색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검색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는 등 효율적인 검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종래 일부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의 경우, 개별 쇼핑몰 사이트에 제품 정보가 담겨있는 별도의 웹페이지를 구비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별도의 웹페이지의 URL을 저장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인터넷상의 모든 웹페이지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가격비교서비스 웹사이트가 저장하고 있는 일부의 페이지만을 검색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개별 쇼핑몰 사이트가 별도의 웹페이지를 제작하여야 하는데, 개별 쇼핑몰 사이트의 경우 개인 또는 소기업의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 쇼핑몰의 운영은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소규모의 쇼핑몰에게 가격비교사이트에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웹페이지를 요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와 같이 개별 쇼핑몰 사이트에 제품 정보가 담겨있는 별도의 웹페이지가 구비되도록 하는 경우, 하나의 페이지에 모든 제품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상품에 대하여 기록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 물리적인 제한이 존재하므로, 가격비교에 필요한 상품명 및 가격 등의 극히 제한적인 정보만이 저장가능하였다. 따라서,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서만 종합적이고 상 세한 정보들이 확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은, 판매자가 별도의 페이지를 제작할 필요 없이, 판매자 자신이 물건을 판매하기 위하여 쇼핑몰 상에 생성해 놓은 상품정보페이지에 추가로 간단한 식별자만을 삽입하고,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상품 정보 취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먼저 판매자는 자신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소정의 식별자를 삽입하고(S430),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한다(S440). 그러면,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은 상기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된 상품정보페이지만을 돌아다니면서,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삽입된 식별자로부터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자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주석태그(annotation tag)가 될 수 있다.
상세히,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란 월드 와이드 웹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본언어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월드 와이드 웹(WWW)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로써, 특히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인터넷에서 웹을 통해 접근되는 대부분의 웹 페이지들은 HTML로 작성된다.
HTML은 문서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그래픽, 문서이동(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명령어로서, HTML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태그(tag)라고 하는데, 태그는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2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HTML에서는 문서가 별도의 코드(code)를 인식하여 완벽한 하이퍼텍스트를 만들 뿐만 아니라 단어 또는 단문을 인터넷의 다른 장소나 파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HTML 주석태그는 HTML 명령어 중 주석을 나타내는 태그로서, 이 태그 안의 내용은 브라우저의 화면에 나타나지 않고 단지 작성자의 소스 코드에만 보이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이 태그는 다른 태그와 다른 것이 아니고, 웹 브라우저 상에 내용이 보이지 말라는 태그 명령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상기 HTML 주석태그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 주석내용 -->
상기 "주석내용"에 들어갈 부분이 코멘트 즉, 주석이 된다. 상기 HTML 주석태그는 브라우저에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편집시의 메모나 주의사항을 넣어둘 때 주로 이용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문서의 일부를 감춘다든지 태그를 적용하지 않을 때도 편리하게 이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HTML 주석태그의 사용방법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식별자로 사용되는 HTML 주석태그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스코드 예시도이고,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스코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소스코드가 웹 브라우저에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웹페이지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은,
<!--tag name(510)--> 내용(520) <!--tag name(510)-->
과 같은 형식으로,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이 인식할 수 있는 HTML 주석태그(이하 "검색로봇용 태그(500)"라고 한다.)가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삽입된다.
상기 검색로봇용 태그(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한 쌍을 이루는 <!--tag name(510)--> 태그의 tag name(510) 부분은 상품명, 상품가격, 상품상세정보, 상품이미지경로, 배송비 등 상기 태그 내부에 들어가는 내용(520)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려주는 지시자 부분이다.
예를 들어, 한 쌍의 <!--iRobot_NAME--> 태그는, 상기 한 쌍의 태그의 내부에 들어가는 내용(520)이 해당 상품정보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명을 가리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 쌍의 <!--iRobot_PRICE--> 태그는, 상기 한 쌍의 태그의 내부에 들어가는 내용(520)이 해당 상품정보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을 가리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tag name(510)--> 태그 사이에 들어가는 내용(520) 부분이 실제 상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즉,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은, 두 개의 <!--iRobot_NAME--> 태그 사이에 있는 "아이리버N10(512MB)"라는 내용을 상품명으로 인식하고, 두 개의 <!--iRobot_PRICE--> 태그 사이에 있는 "163,000"라는 내용을 상품가격으로 인식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tag name(510)--> 부분은 HTML 주석태그의 형 식이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 상에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내용(520) 부분은 HTML 주석태그로 둘러싸여 있지 않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 상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은, 기존 상품정보페이지의 내용에 검색로봇용 태그(500)만 추가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는,
<!--tag name(610)="내용(620)"-->
과 같은 형식으로 검색로봇용 태그(600)가 상품정보페이지에 삽입된다.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tag name(610)="내용(620)"--> 태그에서, tag name(610) 부분이 상품명, 상품가격, 상품상세정보, 상품이미지경로, 배송비 등 상기 검색로봇용 태그(600) 내부에 들어가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지시자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검색로봇용 태그(600) 내부의 내용(620) 부분이 실제 상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상기 실시예 2에 의하면, 태그 내부의 "내용"(620) 전체가 HTML 주석태그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형식이기 때문에, <!--tag name="내용"--> 태그 전체가 웹 브라우저 상에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은, 기존 상품정보페이지의 내용과는 별도로, 검색로봇용 태그에 삽입될 "내용"부분이 한 번 더 추가입력된다.
그리고, 개별 쇼핑몰을 운영하는 판매자는 자신의 쇼핑몰의 구성 형식 및 이에 따른 작업의 용이성에 따라,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방법을 선택하여 검색로봇용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HTML 주석태그는, 이 태그 안의 내용은 브라우저의 화면에 나타나지 않고 단지 작성자의 소스 코드에만 보이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상기 도 5 및 도 6의 소스코드가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될 경우, 도 7처럼 두 소스코드가 동일하게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HTML 주석 태그를 식별자로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그 안의 내용이 브라우저의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HTML 주석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HTML 주석 태그가 추가로 삽입되더라도 쇼핑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기존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고,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기존 쇼핑몰의 판매자 및 구매자는, 익숙한 기존의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쇼핑몰이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되어, 상기 쇼핑몰과 마켓플레이스에서 동시에 판매가 이루어지더라도, 개별 쇼핑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체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존에 존재하던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단순히 HTML 주석 태그를 식별자로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판매자는 마켓플레이스에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웹 페이지를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종래의 경우 마켓플레이스에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가 제공되기 위하여는 별도의 웹페이지가 제작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별도의 웹페이지의 제작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쇼핑몰 운영자가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품정보를 마켓플레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와 같이 마켓플레이스에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가 제공되기 위하여 별도의 웹페이지가 제작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모든 상품에 대한 정보는 쇼핑몰이 별도로 제공하는 하나의 웹페이지에 기록된다.
그런데, 상기 웹페이지에 기록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에는 물리적 제한이 있으며, 하나의 웹페이지에 개별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모든 상품에 대한 모든 정보가 기록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쇼핑몰은 상기 웹페이지에 상품명, 상품가격, 이미지경로 등 가격비교에 꼭 필요한 간단한 정보만을 웹페이지에 기록하고, 종래의 가격비교사이트는 이러한 제한된 정보만을 수집한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의 가격비교사이트에서는 상품상세정보, 영수증발행여부, 배송료, 원산지정보 등 상품구매에 필요한 기타 정보는 알 수 없으며, 상기 정보들을 확인하기 위하여는 개별 쇼핑몰사이트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하면, 종래 존재하던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HTML 주석 태그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해당 상품정보페이지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가 마켓플레이스로 취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의 해당 위치에 상기 검색로봇용 태그(500)(600)를 삽입함으로써, 쇼핑몰은 마켓플레이스에게 상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HTML은 웹 브라우저에서 해석가능한 사용하기 쉬운 언어로서, 인터넷에서 웹을 통해 접근되는 대부분의 웹 페이지들은 HTML로 작성되며, 따라서 일반인 들에게 가장 익숙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따라서, 개인 또는 소규모 사업자가 대부분인 개별 인터넷 쇼핑몰의 입장에서,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중 가장 접근이 용이하고 손쉬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마켓플레이스에 판매자로서 등록하여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별 쇼핑몰들은, 별도의 작업 없이 기존의 쇼핑몰 상품정보페이지에 소정의 HTML 주석 태그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매자 등록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용이한 접근성으로 의하여, 다수의 쇼핑몰이 마켓플레이스에 판매자로 등록하여 통일된 형식으로 상품정보가 제공될 경우, 전자상거래의 표준화 도구로까지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판매자가 마켓플레이스에 상품정보페이지 등록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웹페이지(이하 "상품정보URL 등록페이지(800)"라 한다.)의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매자가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는 단계(S440)는, 상기 검색로봇용 태그(500)(600)가 삽입된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이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켓플레이스에서는 상기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정보페이지 URL을 등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웹페이지(8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정보페이지 URL을 상기 마켓플레이스 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하는 첫 번째 방법은, 판매자가 자신의 쇼핑몰에 존재하는 모든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상품정보URL 등록페이지(800)에 개별적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판매자는 상품정보URL 등록페이지(800)의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입력란(810)에 각각의 상품정보페이지 URL을 입력하고 등록버튼(830)을 클릭함으로써,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상품정보페이지 URL이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정보URL 등록페이지(800)에는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입력란 추가 버튼(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입력란 추가 버튼(미도시)이 클릭될 때마다 상기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입력란(810)이 추가되도록 함으로써, 판매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정보페이지의 갯수 만큼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입력란(810)을 생성하여 한꺼번에 상품정보페이지URL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은 소규모 쇼핑몰에게 유리하다.
한편,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정보페이지 URL을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하는 두 번째 방법은, 판매자가 해당 쇼핑몰에 존재하는 모든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별도의 페이지(이하 "게이트 페이지"라 한다.)에 저장하고, 상기 게이트 페이지의 URL만을 상품정보URL 등록페이지(800)에 입력하는 것이다.
상세히,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이 다양할 경우, 각각의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을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일 것이다. 따라서, 판매자는 자신의 쇼핑몰에 존재하는 모든 상품정보페이지의 URL만을 기록한 별도의 게이트 페이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페이지의 URL 만을 상품정보URL 등록페이지(800)의 게이트 페이지 입력란(820)에 입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게이트 페이지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은, 상품 정보 수집을 위하여 상기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로부터 상품정보페이지 URL을 추출할 경우, 상기 상품정보페이지가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URL인지, 아니면 게이트 페이지 URL인지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상품정보페이지가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URL이면, 해당 페이지로부터 직접 상품정보를 수집한다.
반면, 상기 상품정보페이지가 게이트 페이지일 경우, 검색로봇은 먼저 상기 게이트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게이트 페이지에 저장된 상품정보페이지 목록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개별 상품정보페이지에 차례로 접속하여 상품정보를 수집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판매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정보페이지 URL 입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 진다.
한편, 판매자는 상기와 같이 상품정보URL 등록페이지(800)에서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또는 게이트 페이지를 입력하면서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상세히, 판매자는 상기 개별 상품정보페이지 입력란(810)에 상품정보페이지 URL을 입력하면서, 카테고리 선택란(811)에서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는 상기 게이트 페이지 입력란(820)에 게이트 페이지의 URL을 입력하면서, 카테고리 선택란(821)에서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페이지에 기록된 모든 상품정보페이지에 동일한 카테고리가 적용되고, 따라서 상품의 카테고리를 개별적으로 입력하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만약, 카테고리가 다른 다수의 상품페이지를 게이트 페이지를 이용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상품정보페이지를 그루핑(grooping)하여, 각각의 상품 카테고리마다 별도의 게이트 페이지를 작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마켓플레이스가 제시하는 상품 카테고리를 판매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각 쇼핑몰의 상품 카테고리의 불일치로 인한 불편이 해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종래의 쇼핑몰들은 각각 독자적인 상품 카테고리를 별도로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A쇼핑몰에서는 의류는 1번 카테고리, 음식은 2번 카테고리로 정의되는 반면, B쇼핑몰에서는 의류는 10번 카테고리, 음식은 15번 카테고리로 정 의되는 등, 각각의 쇼핑몰은 별도의 상품 카테고리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가격비교사이트가 각 쇼핑몰에서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한다고 하더라도, 카테고리 분류체계의 기준이 없기 때문에, 각 쇼핑몰에서 수집한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부재하였다.
즉, 종래 가격비교사이트에서는 유사한 상품을 그루핑(grooping)하기 위하여, 각 상품정보에 수동으로 별도의 카테고리를 부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는, 상품정보페이지의 URL 입력시 상기 마켓플레이스가 제시하는 카테고리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분류 작업 없이 통일된 카테고리 체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의 분류작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대다수의 쇼핑몰이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가입할 경우 전자상거래의 카테고리 분류에 있어서 표준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검색로봇의 상품정보수집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켓플레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서버(220) 상에서 동작하고,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를 돌아다니며 상품정보를 수집하는 검색로봇의 상품정보수집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마켓플레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서버(220) 상에서 작동되는 검색로봇 프로그램은, 마켓플레이스 운영자가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의 동작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910)
상세히, 상기 검색로봇 프로그램은 마켓플레이스의 운영자가 설정한 일정 주 기마다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검색로봇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마켓플레이스의 메인서버(200) 및 쇼핑몰 서버(150)의 시스템 자원이 사용되므로, 순간적으로 상기 서버(200)(150)에 부하를 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집중되는 시간에 상기 검색로봇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메인서버(200) 및 쇼핑몰 서버(150)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여 순간적으로 다운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시스템이 취약한 개별 쇼핑몰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켓플레이스의 운영자는 사용자가 적은 새벽 시간 등에 상기 검색로봇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설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일정주기가 경과 하지 아니하였다면, 상품정보수집은 종료된다.
그리고, 만약 상기 일정주기가 경과 하였다면, 상기 검색로봇 프로그램은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된 상품정보페이지 URL을 검색한다.(S920)
상세히, 상기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는, 각 쇼핑몰에서 등록한 개별 상품의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검색로봇 프로그램은 상기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를 검색하여 그 목록을 추출함으로써, 검색해야 할 웹페이지의 대상을 명확히 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품정보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검색로봇은 추출한 상품정보페이지 목록 중 첫 번째 페이지에 접속하고(S930),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검색로봇은, 상기 페이지로부터 필요한 상품정보 일체를 수집한다.(S940)
상세히, 상기 검색로봇은 추출한 상품정보페이지 URL로 접속하여, 쇼핑몰 서버에게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정보를 보내달라는 요청(request)을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쇼핑몰 서버는 이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서,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있는 모든 정보를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에게 전송한다.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모든 정보를 전송받은 검색로봇은,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정보를 처음부터 끝까지 파싱(parsing)하면서, 상기 검색로봇용 태그의 내부에 삽입된 정보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5 및 도 6과 같이
<!--iRobot_NAME-->아이리버N10 (512MB)<!--iRobot_NAME-->라고 기록된 상품정보페이지의 내용으로부터, 해당 상품정보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상품명이 "아이리버N10 (512MB)"라는 정보가 추출되고, <!--iRobot_PRICE-->165,000원<!--iRobot_PRICE-->하는 내용으로부터, 해당 상품정보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이 165,000원이라는 정보가 추출된다.
상기와 같이, 검색로봇은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모든 정보를 파싱하여 검색로봇용 태그의 내부에 삽입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가격비교사이트와는 달리, 검색로봇용 태그의 삽입만으로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색로봇은 당해 상품정보페이지가 마켓플레이스에 신규로 등록된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950), 신규 상품정보페이지인 경우 상기 상품정보페이지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신규등록한다.(S955)
다음으로, 상기 검색로봇은 추출한 상품정보가 기존에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와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60), 제품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 한다.(S965)
다음으로, 상기 상품정보페이지가 소멸되어 접속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검색로봇이 상품정보페이지에 접속하여 아무런 정보도 추출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S970),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된 상품정보를 삭제한다.(S975)
한편, 도 9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일련의 과정은 일체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검색로봇이 접속한 상품정보페이지가 신규로 등록된 페이지인지(S950), 또는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S960), 또는 상기 상품페이지가 소멸되었는지(S970)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검색로봇이 추출한 상품정보페이지의 일련의 정보를 무조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업데이트 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특히 상품정보페이지의 개수가 그다지 많지 않은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판매자의 쇼핑몰 사이트에 신규상품이 등록되고, 상기 판매자가 상기 신규상품페이지의 URL을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URL 데이 터베이스(212)에 등록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해당 상품이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다. 또한, 쇼핑몰 사이트의 상품정보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가 변경되고, 쇼핑몰 사이트에서 해당 상품이 사라지면 마켓플레이스 상에서의 판매도 종료된다.
즉, 상품정보의 등록, 변경, 삭제가 자동화됨으로써 상기 판매자 및 마켓플레이스의 사이트 운영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검색로봇 프로그램은 상기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서 추출한 검색목록을 검사하여, 아직 상품정보를 수집하지 않은 상품정보페이지 가 더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980)
만약, 아직 상품정보의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품정보페이지가 존재할 경우, 다음 상품정보페이지에 접속하여(S990), 상기와 같이 상품정보수집으로부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일련의 단계(S940~S980)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된 모든 상품정보페이지에 대하여 상품정보수집이 완료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수집단계는 완료된다.
도 10은, 구매자의 상품검색, 구매 및 배송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이, 마켓플레이스의 검색로봇에 의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먼저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접속하여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가격대, 제조회사 등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구매조건을 입력한다.(S1010) 그러면,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S1020), 상기 구매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 목록을 제공한다.(S1030)
상세히, 상기 마켓플레이스에서 상품의 검색을 위해 제공되는 방법으로는, 주로 키워드 검색 방식과 카테고리 검색 방식을 들 수 있다.
상기 키워드 검색 방식은, 구매자가 입력한 상품명을 키워드로 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카테고리 검색 방식은, 구매자가 입력한 상품의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한편, 마켓플레이스의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213)로부터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하여, 필터링(filtering) 기능 및 소팅(sorting) 기능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필터링(filtering) 기능이란, 추출된 검색 결과에 검색 조건을 추가하여 검색결과를 더욱 압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일정한 검색 조건의 결과값으로 출력된 상품목록에 대하여, 상품명, 제조업체, 판매자 등의 세부 검색 조건을 추가하여, 결과값을 더욱 축소시키는 것이다.
한편, 소팅(sorting) 기능이란, 추출된 검색 결과를 일정한 순서에 의하여 재배열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일정한 검색 조건의 결과값으로 출력된 상품목록을, 상품명, 가격대(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등의 순서대로 재배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소팅(sorting) 기능은 판매자별 신용등급에 대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는, 상품의 품질, 가격, 배송기간 등을 고려하여 판매자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매자에 의해 평가된 판매자의 신용정보가 수치화되어, 다음번에 동일 상품을 구매하려는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에 의하여, 구매자는 보다 신뢰성 높은 판매자로부터 안전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구매자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되는 검색결과 목록 중 자신이 원하는 상품이 있는지를 검토한다.(S1040)
만약, 구매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발견하지 못하였다면, 구매자는 다른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계속 검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045)
만약, 구매자가 계속 검색하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상품정보검색 프로세스(S1010~S1040)가 반복된다. 한편, 구매자가 더 이상 검색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품 검색, 구매 및 배송 단계는 종료된다.
한편,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검색결과 목록 중, 구매자가 원 하는 상품을 발견하였다면, 구매자는 해당 검색결과를 선택하고(S1050), 마켓플레이스는 해당 상품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S1060)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는, 상품명, 상품가격, 상품 이미지경로 등 가격비교에 필수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상품 상세설명, 배송료 정보 등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존재하는 모든 상품정보가 마켓플레이스에 취합된다.
다시 말하면,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모든 상품정보가 마켓플레이스에서도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는 자신이 선택한 상품의 상세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개별 쇼핑몰로 이동할 필요 없이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당상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 구매자는, 상기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한다.(S1070)
만약, 구매자가 자신이 선택한 상품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또는 더 나은 상품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구매자는 다른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계속 검색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075)
만약, 구매자가 계속 검색하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상품정보검색 및 구매 프로세스(S1010~S1070)를 반복한다. 한편, 구매자가 더 이상 검색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품 검색, 구매 및 배송 단계는 종료된다.
한편, 구매자가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한다면, 소정의 결제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제가 완료된 상품은 상기 판매자 로부터 상기 구매자에게 배송됨으로써, 상품 검색, 구매 및 배송이 종료된다.(S1080) 이하에서는 상기 결제 및 배송 프로세스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 배송, 반품, 환불, 정산 등 구매 후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존의 마켓플레이스에서는 주로 상품 검색 및 가격비교만이 이루어졌으며, 실제 상품의 구매, 결제, 배송, 환불, 반품 등 상품의 구매결정 이후 발생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는 개별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구매자는 각각의 개별 쇼핑몰마다 별도로 회원가입을 하여야 하고, 또한 각 쇼핑몰 별로 상이한 쇼핑몰 이용방법을 모두 숙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더욱이, 주로 개인 또는 소규모로 운영되는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매자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서는, 상품 검색에서부터 구매, 결제, 배송, 반품, 환불 등 일련의 구매 프로세스가 모두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구매자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정의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상품대금을 결제한다.(S1100)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 시스템은 에스크로(Escrow)시스템이 될 수 있다.
에스크로(Escrow)란, 구매자와 판매자 간 신용관계가 불확실할 때,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 3자가 이를 중계하는 매매 보호 서비스이다.
원래 법률적인 용어로 '조건부 양도증서'를 의미한다. 즉, 구매자가 특정물을 제 3자에게 기탁하고, 일정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 3자가 상기 특정물을 상대방에게 교부할 것을 약속하는 문서로, 주로 부동산 거래에서 쓰였다.
최근 전자상거래의 경우에는, 구매자가 거래대금을 제3자에게 맡긴 뒤 물품 배송을 확인하면, 제 3자가 판매자에게 상기 거래대금을 지불하는 제도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소비자가 대금을 은행이나 마켓플레이스 등 공신력 있는 제3자에 보관시켰다가,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판매자 계좌로 입금하는 것으로, 물품을 받지 못했거나 반품할 경우에는 금융기관이 즉시 환불해 주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사기 피해 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판매자도 후불제를 했을 때 겪을 수 있는 채권추심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시스템으로는, 페이팔(paypal)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페이팔(Paypal)은 지불 대행 서비스로서, 이메일을 이용한 송금 방식이 사용되기 때문에, 송금 수수료가 전혀 없는 지불 대행 서비스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페이팔은 개인끼리, 또는 온라인 홈쇼핑 등의 지불 결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인증된" 사용자가 돈을 보내고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부정을 방지하고, 또한 만약 부정이 생겼을 경우 제 3자 곧 paypal이 나서서 해결해주는 지불 대행 서비스이다.
상기와 같은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공신력 및 신뢰성 있는 결제 서비스가 제 공됨으로써, 종래 구매자 및 판매자에 의해 제기되는 물품수령 및 채권추심의 우려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상거래가 더욱 활성화되고 마켓플레이스가 성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매자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기 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상품대금을 결제하면, 상기 상품대금은 상기 결제 시스템과 연계된 금융기관 등을 통하여 마켓플레이스에 입금된다.(S111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품대금이 마켓플레이스에 입금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는 판매자에게 해당 쇼핑몰의 상품 판매사실을 통보한다.(S1120)
그러면, 상기 상품 판매사실을 통보받은 판매자는, 해당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한다.(S1130)
상세히, 상기 마켓플레이스는 회원제에 의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구매자가 회원 가입시 입력한 회원정보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된다. 상기 회원정보에는 구매자의 기본 인적사항뿐 아니라, 결제 정보, 배송지 정보 등 상품의 결제 및 배송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는 해당 상품이 구비된 쇼핑몰에 상기 상품의 판매사실과 함께, 상기 마켓플레이스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된 결제 정보, 배송지 정보 등을 함께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개별 쇼핑몰에 각각 회원 가입하고 배송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마켓플레이스에 한 번만 회원 가입하고 각종 정보를 입력해 두는 것만으로,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 모든 쇼핑몰에서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수많은 구매자의 회원정보를 모두 관리할 필요 없이, 마켓플레이스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회원 정보를 상기 마켓플레이스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게 됨으로써, 개별 쇼핑몰의 운영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매한 상품을 배송받은 구매자는, 구매한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결정을 확정할 것인지, 아니면 반품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140)
만약, 구매자가 상기 배송받은 상품을 구매하기로 확정한 경우, 상기 구매확정 의사를 마켓플레이스에 통보한다.(S1150)
상세히, 상기 상품의 구매를 확정한 구매자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주문관리시스템 등에 접속하여, 구매확정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이를 마켓플레이스에 통보할 수 있다.
또는, 구매자가 상기 구매한 상품을 배송받은 이후 일정 기간 이상 상기 구매확정 의사를 통보하지 않은 경우, 구매자가 반품요청 등의 구매거부 행동을 별도로 취하지 않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상기 구매확정 의사를 밝힌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이는, 구매자가 구매확정 의사의 통보를 하는 것을 잊은 경우, 판매자가 장기간 구매대금을 받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매자가 상품의 구매를 확정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에는 정산과정이 이루어진다.(S1160)
상세히, 상기 구매자의 구매가 확정되면,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에 체결된 계약에 의하여,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의 정산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판매대금에서 상품등록 수수료, 상품판매 수수료 등을 제외한 금액이 상기 마켓플레이스로부터 상기 판매자에게 지불됨으로써 정산이 완료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산 과정은, 상기 구매자가 마켓플레이스에 상기 구매확정 의사를 통보한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구매자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구매확정버튼을 클릭하거나, 상기 상품 배송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나 자동으로 상품의 구매가 확정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해당 상품의 판매 대금 중 판매자에게 지불되어야 할 금액이 판매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정산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품의 불량이나 판매자의 과장 광고 또는 구매자의 변심 등에 의하여, 구매자가 상기 배송받은 상품을 구매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반품을 요청한다.(S1170) 이 경우, 상기 반품을 요청하는 구매자는, 상기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교환받을 것인지, 아니면 상품대금을 환불받을 것인지 선택한다.(S1180) 상기 반품요청, 교환 및 환불은 마켓플레이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주문관리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판매자의 과장 광고 또는 구매자의 변심 등을 이유로 구매자가 상기 배송받은 상품을 환불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매자는 상기 상품을 판매자에게 반송하고(S1190), 상기 반송한 물품을 수령한 판매자가 환불을 승인함으로써(S1193), 상기 환불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한편, 상품의 불량이나 상품 치수의 부정확 등으로 인하여 구매자가 상기 배송받은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교환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매자는 상기 상품을 판매자에게 반송하고(S1195), 상기 반송한 물품을 수령한 판매자는 상기 구매자에게 상품을 재발송함으로써(S1197), 상기 구매확정 또는 반품 선택(S1140) 이하의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마켓플레이스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개별 쇼핑몰 사이트상에 등록되어 있는 수많은 상품 정보들이 마켓플레이스 상에도 동시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상품 정보들이 종합적으로 검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의 검색, 가격비교부터 결제, 배송, 환불, 반품에 이르는 일련의 구매절차가 이루어짐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쇼핑 포탈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상기 쇼핑몰의 개별 상품정보페이지에 소정의 식별자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품이 등록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쇼핑몰 사이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을 인지도 높은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동시에 판매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매출의 증대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구매자 입장에서는, 개별 쇼핑몰 사이트로 이동할 필요없이 마 켓플레이스 상에서 모든 구매절차가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한 쇼핑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마켓플레이스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결제가 수행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전자상거래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30)

  1.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전자상거래가 수행되는데 필요한 일련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판매자 쇼핑몰의 개별 상품정보페이지에 삽입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가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상품의 주문관리가 가능하도록 결제, 배송, 환불, 반품 기능 등이 제공되는 전자상거래 서버;가 포함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쇼핑몰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쇼핑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의 URL이 저장되는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상품정보UR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페이지에 접속하여 수집된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마켓플레이스 전용 검색로봇에 의하여 상품정보가 수집되고, 상기 수집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로봇은, 일정 주기마다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HTML 주석태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 서버는,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정보검색, 구매, 결제, 반품, 환불 등 상품 구매의 일련의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웹서버로 구성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7.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개별 쇼핑몰에 구비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사전 준비 작업이 이루어지는 판매준비단계;
    상기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삽입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정보가 수집되고, 상기 수집된 정보가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되는 상품정보수집단계;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 중, 구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이 검색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중 구매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이, 상기 마켓플레이스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구매 및 배송되는 단계; 및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판매자 간 수익금이 정산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HTML 주석태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웹 브라우저상에 나타나지 않고 단지 작성자의 소스 코드에만 보이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의하여,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 상의 모든 상품정보의 수집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준비단계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상기 판매자 간에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
    상기 계약을 체결한 판매자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 판매자로서 등록되는 단계;
    상기 판매자 쇼핑몰의 개별 상품정보페이지에, 상기 마켓플레이스가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식별자가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판매자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 URL이,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 판매자로서 등록되는 단계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별도의 웹페이지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켓플레이스와 상기 판매자 간에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가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 판매자로서 등록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페이지 URL이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되는 단계는,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가 각각 별도로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페이지 URL이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되는 단계는,
    상기 쇼핑몰의 모든 상품정보페이지 URL이 저장된 게이트 페이지가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페이지 URL이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가 함께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수집단계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 URL 목록이 추출 되는 단계;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작동되는 검색로봇이, 상기 추출된 상품정보페이지 URL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접속한 검색로봇에 의하여, 상기 상품정보페이지에 기록된 상품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검색로봇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가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수집단계는,
    일정한 주기마다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1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수집단계는,
    상기 판매준비단계에서 등록된 상품정보페이지URL에 의하여, 검색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수집단계는,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 저장된 모든 상품정보가 상기 마켓플레이스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수집단계는,
    상기 판매준비단계에서 상품정보페이지에 삽입된 식별자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가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수집단계는,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가 생성, 변경, 삭제됨에 따라,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의 등록, 변경, 삭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이 검색되는 단계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저장된 쇼핑몰의 상품 정보 중, 구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이 있는지 검색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목록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목록 중 구매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 상세정보가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이 검색되는 단계는,
    키워드 검색방식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이 검색되는 단계는,
    카테고리 검색방식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상세정보가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는,
    개별 쇼핑몰의 상품정보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모든 상품정보가, 마켓플레이스에서도 동일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이 구매 및 배송되는 단계는,
    상기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되는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상품대금이 결제되는 단계;
    상기 결제된 상품대금이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입금되는 단계;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의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상품판매사실이 통보되는 단계;
    상기 구매된 상품이 배송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구매결정이 확정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상품의 결제, 배송, 반품, 환불 등 일련의 구매 프로세스가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2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은, 에스크로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3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은, 페이팔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의 제어방법.
KR1020060072631A 2006-08-01 2006-08-01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KR10082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631A KR100829356B1 (ko) 2006-08-01 2006-08-01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631A KR100829356B1 (ko) 2006-08-01 2006-08-01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900A true KR20080011900A (ko) 2008-02-11
KR100829356B1 KR100829356B1 (ko) 2008-05-13

Family

ID=3934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631A KR100829356B1 (ko) 2006-08-01 2006-08-01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3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268A2 (en) * 2009-03-06 2010-09-10 Riskradiu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consumer requests with supplier appetites
KR20180069647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옷딜 전자거래 시스템 및 방법
CN110226182A (zh) * 2017-01-24 2019-09-10 川崎重工业株式会社 机器人的交易系统以及交易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853A (ko) 2012-02-08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형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500B1 (ko) * 1999-10-28 2001-07-12 한상천 지능형 인터넷 쇼핑몰 상품비교검색엔진
KR20010060745A (ko) * 1999-12-28 2001-07-07 심우섭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3차원 비교 검색 방법
KR20000059173A (ko) * 2000-07-19 2000-10-05 한상천 에이전트를 이용한 쇼핑몰 구축과 상품 판매대행 및 몰제공 통합서비스
KR101153518B1 (ko) * 2004-05-04 2012-06-11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268A2 (en) * 2009-03-06 2010-09-10 Riskradiu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consumer requests with supplier appetites
WO2010102268A3 (en) * 2009-03-06 2011-01-13 Riskradiu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consumer requests with supplier appetites
KR20180069647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옷딜 전자거래 시스템 및 방법
CN110226182A (zh) * 2017-01-24 2019-09-10 川崎重工业株式会社 机器人的交易系统以及交易方法
CN110226182B (zh) * 2017-01-24 2022-08-16 川崎重工业株式会社 机器人的交易系统以及交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356B1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2409B2 (en) Online ordering medium and method
KR100352421B1 (ko) 실시간 역경매 방식의 전자 쇼핑몰 정보 제공 및 대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00822B2 (en) Online order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ormalized product feeds and insertion of order data without redirect
US78772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automation
KR101355312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7752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automation
US201501275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ultiple transaction descriptions received from a client at a network-based transaction facility
EP0899674A2 (en) Electronic mall system
US20080306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an email message
JP64425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00012750A (ko) 인터넷 쇼핑 중개 사이트의 주문 대행 방법
KR20200041173A (ko) 다수의 오픈 마켓에의 상품 정보 일괄 등록 시스템 및 등록 방법
KR100829356B1 (ko) 마켓플레이스형 쇼핑 포탈 시스템.
KR101043267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03038700A1 (ja) 商品に係わる情報を通知する方法
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KR20020090098A (ko) 결제 중개 시스템 및 결제 중개 방법
JP3347702B2 (ja) 電子カタログアグリ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372919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상품 판매 방법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KR100415120B1 (ko)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20073871A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마케팅/전자상거래 지원 시스템및 방법,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60077447A (ko) 블로그를 이용한 멀티 랭귀지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JP2022007976A (ja) ネットショップ支援システム
JP2002073956A (ja) ユーザー情報登録推進システム、ユーザー情報登録推進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