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567A -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567A
KR20080009567A KR1020060069334A KR20060069334A KR20080009567A KR 20080009567 A KR20080009567 A KR 20080009567A KR 1020060069334 A KR1020060069334 A KR 1020060069334A KR 20060069334 A KR20060069334 A KR 20060069334A KR 20080009567 A KR20080009567 A KR 20080009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signal
low power
pow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320B1 (ko
Inventor
신영호
이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1020060069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320B1/ko
Priority to TW096116995A priority patent/TWI346405B/zh
Priority to US11/755,525 priority patent/US7884575B2/en
Priority to CN200710110720A priority patent/CN100587497C/zh
Publication of KR2008000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시기 검출 방법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 전압을 차단하는 기능부,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과 후에 측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모드를 위한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고,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과 후에 측정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저전력 모드 해제 전과 후에 인가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남은 전력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Apparatus using battery and method of detecting exchange or recharge time of battery thereof}
도1은 일반적인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장치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7은 도6에 나타낸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의 교체 및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장치들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며, 이러한 장치들은 사용자에게 배터리 교체 시기나 재충전 배터리인 경우 재충전 시기를 알려주기 위하여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배터리(10), 기능부(12), 기준 전압 발생기(14), 전압 분배기(16), 비교기(18), 및 제어부(20)로 구성되고, 전압 분배기(16)는 저항들(R1, R2)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서, 기준 전압 발생기(14), 전압 분배기(16), 및 비교기(18)는 배터리 전압 감지부를 구성한다.
도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10)는 배터리 전압(VBB)을 공급한다. 기능부(12)는 배터리 전압(VBB)을 공급되면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장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 전압 발생기(14)는 배터리 전압(VBB)이 공급되면 기준 전압(Vref)을 발생한다. 전압 분배기(16)는 저항들(R1, R2)에 의해서 분배된 전압(Vsen=(R2×VBB)/(R1+R2))을 발생한다. 비교기(18)는 배터리 전압(VBB)이 공급되면 기준 전압(Vref)과 분배된 전압(Vsen)을 비교하여 비교 출력신호(Vcom)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분배된 전 압(Vsen)이 기준 전압(Vref)보다 높으면 "하이"레벨의 비교 출력신호(Vcom)를 발생하고, 분배된 전압(Vsen)이 기준 전압(Vref)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의 비교 출력신호(Vcom)를 발생한다. 제어부(20)는 비교 출력신호(Vcom)의 레벨을 감지하여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거나,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로우"레벨의 비교 출력신호(Vcom)가 발생되면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함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는 배터리 전압 감지부가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기 때문에 낮은 고유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로 교체한 경우에는 배터리에 남아 있는 전력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음을 인식하여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함을 알리게 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중에는 1.5V의 고유 전압을 가지는 것이 있는 반면에 1.2V의 고유 전압을 가지는 것도 있다. 따라서, 만일 배터리 전압 감지부를 설계시에 1.5V의 고유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 전압(Vref)을 1.2V로 설계하게 되면 1.2V의 고유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로 교체하게 되면 배터리 수명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 전압(Vref)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여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함을 알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일반적인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들의 배터리 전압 감지부가 배터리의 고유 전압과는 관계없이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리기 때문에 배터리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고유 전압이 변화하더라도 배터리의 남은 전력을 검출하여 배터리의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고유 전압이 변화하더라도 배터리의 남은 전력을 검출하여 배터리의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제1형태는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서로 다른 두 시점이상 에서 인가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들 을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 분배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제2형태는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저 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을 차단하는 기능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과 후에 측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저전력 모드를 위한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과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과 후에 인가되는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 분배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들 및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 및 인에이블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 및 상기 인에이블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활성화되어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비활성화되는 상기 측정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인에이블 펄스 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인에이블 펄스 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제3형태는배 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을 차단하는 기능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축적된 전하에 대응하는 전압을 센싱 전압으로 발생한 후에 상기 분배된 전압을 상기 센싱 전압으로 발생하는 전하 축적 및 스위칭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신호 해제 후에 측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전압을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저전력 모드를 위한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에 인가되는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의 차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 분배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들 및 제1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위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활성화되는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하 축적 및 스위칭부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제1노드로 전송하는 제2스위치, 제3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축적 노드의 전압을 제2노드로 전송하는 제3스위치, 상기 제2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노드로 전송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하는 캐패시터, 및 제4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상기 센싱 전압으로 전송하는 제4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에 활성화되는 상기 제2 및 제3스위칭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 활성화되는 상기 제3 및 제4스위칭 제어신호들을 발생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 활성화되는 상기 제2 및 제4스위칭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에 서로 다른 시점에서 인가되는 2개의 센싱 전압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2개의 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형태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저전력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간의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 또는 상기 차 값을 이용해서 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의 제1표준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의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이고, 상기 제1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이고, 상기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의 배터리의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은 저전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2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전력 모드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저전력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시기 검출 방법은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간의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 또는 상기 차 값을 이용해서 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의 제1표준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의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이고, 상기 제1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이고, 상기 제2표준 배터리 전압 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광 포인팅 장치는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1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1신호를 발생하고, 제2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2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기, 및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기는 상기 제1전력 모드 및 상기 제2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및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를 발생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신호를 무선 송신기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방법은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광을 발생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전력 소모가 큰 제1전력 모드에서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1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전력 소모가 작은 제2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2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력 모드는 상기 광원을 오프시킨 상태이고, 상기 제2전력 모드는 상기 광원을 온시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을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1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광원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2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신호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신호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1신호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을 이용하여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배터리(30), 기능부(32), 전압 분배기(3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 및 제어부(38)로 구성되고, 전압 분배기(34)는 저항들(R1, R2)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서, 전압 분배기(34)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는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기를 구성한다.
도2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30), 기능부(32) 및 전압 분배기(34)는 도1의 배터리(20), 기능부(22) 및 전압 분배기(2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는 분배된 전압(Vsen)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발생한다. 제어부(38)는 배터리 교체 후 및/또는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온하기 전 장치 동작 전의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제1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저장하여 두고, 배터리 교체 후 또는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온한 후의 동작중에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제2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계속적으로 및/또는 소정 시간간격으로 모니터링해서 제1디지털 전압 신호와 제2디지털 전압 신호사이의 차 값이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즉, 차 값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장치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터리(30)는 직 렬 연결된 내부 저항(Rs)과 배터리 고유 전압(Vcel)으로 나타내어지고, 부하는 배터리 전압(VBB)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2의 기능부(32), 전압 분배기(3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 및 제어부(38)가 될 수 있다.
도3을 이용하여 제어부(38)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을 이용한 배터리 교체 시기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교체 후 및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온되기 전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의 배터리 전압(VBB)은 VBB=Vcel-(Rs×Istb)이 되고, 장치가 동작중에 배터리 전압(VBB)은 VBB=Vcel-(Rs2×Iact)가 된다. Istb는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의 부하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고, Iact는 장치가 동작중에 부하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제어부(38)는 배터리 교체 후 및/또는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온되기 전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의 전압(Vcel-(Rs×Istb))을 분배하여 발생되는 전압(Vsen)이 Vsen1이라 하면 Vsen1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Vadc1)를 저장하고, 이 후 장치가 동작중에 배터리가 소모됨에 따라 변화하는 배터리 전압(Vcel-(Rs×Iact))을 분배하여 발생되는 전압(Vsen)이 Vsen2라 하면 Vsen2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압 신호(Vadc2)와 Vsen1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압 신호(Vadc1)사이의 차 값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배터리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제어부(38)에 저장되는 설정 값은 배터리 전압(Vcel-(Rs×Iact))에서 배터리 전압(Vcel-(Rs×Istb))을 뺀 전압 값(DV=Rs×(Iact-Istb))가 될수 있는데 이로 부터 내부 저항(Rs)의 값을 구하면, DV/(Iact-Istb)가 된다. 여기에서, Iact와 Istb의 전류 값 은 시스템 설계시에 설정가능한 값이고, 배터리 교체 시기가 되었을 때의 내부 저항(Rs)의 값은 통계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8)에 저장되는 설정 값은 시스템 설계시에 설정가능한 값인 Iact, Ist와 통계적으로 구해진 배터리 교체 시기가 되었을 때의 내부 저항(Rs)를 사용하여 구해진 전압 값(DV)의 디지털 전압 신호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한 장치는 배터리 교체 시기가 되었을 때의 내부 저항(Rs) 값에 대응되는 전압 값(DV)을 설정 값으로 저장하여 두고, 이 설정 값과 측정된 두 값들(Vadc1, Vadc2)사이의 차 값을 비교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됨으로써 배터리의 고유 전압이 변화하더라도 정확한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2에서는 측정된 두 값들(Vadc1, Vadc2)의 측정 시점을 각각 배터리 교체 후 및/또는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온되기 전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와 장치가 동작할 때로 각각 정해 두었지만, 측정 시점은 반드시 상술한 시점이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즉, 동작중에 계속적으로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시점이상에서 측정된 두개이상의 값들을 이용하더라도 상관없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계속적으로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동작하여야 하며, 제어부 또한 배터리 교체 시기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을 계속적으로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동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전력 소모가 증가되고, 제어부의 부담이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2의 기능부(32), 전압 분배기(3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 및 제어부(38)를 각각 기능부(32'), 전압 분배기(3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 및 제어부(38')로 대체하여 구성되고, 전압 분배기(34')는 저항들(R1, R2)과 스위치(SW)로 구성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30)는 배터리 전압(VBB)을 공급한다. 기능부(32')는 배터리 전압(VBB)이 공급되면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장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저전력 신호(PD)가 발생되면 배터리 전압(VBB)이 기능부(32)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배터리 전압(VBB)이 기능부(32)의 기능 블록들(미도시)중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일부 기능 블록으로만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저전력 신호(PD)가 발생되면 기능부(32)에서의 파워 소모가 최소화된다. 전압 분배기(34')는 스위칭 제어신호(SW CON)에 응답하여 스위치(SW)가 온되면 저항들(R1, R2)에 의해서 배터리 전압(VBB)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Vsen=(R2×VBB)/(R1+R2))을 발생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는 측정 제어신호(PD ADC)에 응답하여 배터리 전압(VBB)이 공급되고, 분배된 전압(Vsen)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인에이블 신호(ADC EN)에 응답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발생한다. 제어부(38')는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거나, 장치 동작중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고,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기 소정 시간 전에 활성화되고, 소정 시간 후에 비활성화되는 측정 제어신호(PD ADC) 및 스위칭 제어신호(SW CON)를 발생하고, 측정 제어신호(PD ADC)의 활성화 기간 동안에 저전력 신호(PD)의 활성화 전, 후에 한번씩 활성화되는 인에이블 신호(ADC EN)를 발생하고, 인에이블 신호(ADC E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인가되는 2개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의 차 값을 계산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도3을 이용하여 도4에 나타낸 제어부(38')의 배터리 교체 시기 검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8')는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기 전, 후에 각각 배터리 전압을 한번씩 측정하게 된다.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기 전의 배터리 전압(VBB)은 Vcel-Rs×Ipd가 되고, 저전력 모드가 해제된 후의 배터리 전압(VBB)은 Vcel-Rs×Iact이 된다. Iact는 동작 모드에서 부하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Ipd는 저전력 모드에서 부하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제어부(38')는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기 전에 인가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Vadc)와 저전력 모드가 해제된 후에 인가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Vadc)의 차 값을 계산하여 이 차 값을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제어부(38')가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로우"레벨의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고, 동작이 감지되어 동작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저전력 신호(PD)를 "하이"레벨로 천이시키거나, 장치 동작중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저전력 모드로 설정하여 "로우"레벨의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고, 소정 시간 후에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한다. 제어 부(38')는 저전력 신호(PD)를 "하이"레벨로 천이시키기 소정 시간 전에 측정 제어신호(PD ADC)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를 모두 활성화하고, 저전력 신호(PD)를 "하이"레벨로 천이시키고 소정 시간 후에 측정 제어신호(PD ADC)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를 모두 비활성화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측정 제어신호(PD ADC)가 활성화 기간동안(T1) 이면서 저전력 신호(PD)가 "하이"레벨로 천이되기전에 인에이블 신호(ADC EN)를 시간(T2 )동안 활성화하고, 측정 제어신호(PD ADC)가 활성화 기간동안 이면서 저전력 신호(PD)가 "하이"레벨로 천이된 후에 인에이블 신호(ADC EN)를 시간(T3)동안 활성화한다.
도4의 제어부(38')는 스위칭 제어신호(SW1)를 별도로 발생하지 않더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측정 제어신호(PD ADC)를 스위치(SW)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로 사용하면 된다.
도4의 제어부(38')는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기 직전에 배터리 전압을 한번 측정하고, 저전력 모드가 해제된 직후에 배터리 전압을 한번 더 측정하여, 이들 전압 사이의 차 값과 설정된 값을 비교함에 의해서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고유 전압이 달라지더라도 배터리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알려줄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4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 및 제어부(38')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 및 제어부(38")로 대체하고, 전하 축적 및 스위칭부(40)를 도4에 추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하 축적 및 스위칭부(40)는 스위치들(SW1 ~ SW3) 및 캐 패시터(C)로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30), 기능부(32'), 및 전압 분배기(34')의 기능은 도4의 배터리(30), 기능부(32') 및 전압 분배기(34')의 기능과 동일하다. 스위치들(SW1, SW2, SW3) 각각은 스위칭 제어신호들(SW1 CON, SW2 CON, SW3 CON) 각각에 응답하여 온된다. 캐패시터(C)는 스위칭 제어신호들(SW CON, SW1 CON, SW2 CON)에 응답하여 스위치들(SW, SW1, SW2)이 모두 온되면 배터리 전압(VBB)을 분배하여 발생되는 분배된 전압(Vsen)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하고, 스위칭 제어신호들(SW2 CON, SW3 CON)에 응답하여 스위치들(SW2, SW3)이 모두 온되면 축적된 전하에 대응하는 전압을 센싱 전압(Vsen')으로 전송한다. 스위치들(SW1, SW3)이 모두 온되면 배터리 전압(VBB)을 분배하여 발생되는 분배된 전압(Vsen)을 센싱 전압(Vsen')으로 전송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는 배터리 전압(VBB)이 공급되면 측정 제어신호(PD ADC)에 응답하여 스위치(SW3)를 통하여 전송되는 센싱 전압(Vsen')을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발생한다. 제어부(38")는 배터리 전압(VBB)이 공급되면 동작을 수행하고,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여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거나, 장치 동작중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고,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기 전에 스위칭 제어신호들(SW, SW1, SW2)를 소정 시간동안 활성화하고,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면 측정 제어신호(PD ADC)를 활성화하고, 측정 제어신호(PD ADC)의 활성화 기간 동안에 스위칭 제어신호들(SW2, SW3)이 소정 시간동안 활성화하고 난 후, 스위칭 제어신호들(SW, SW1, SW3)를 소정 시간동안 활성화하고, 측정 제어 신호(PD ADC)의 활성화 기간동안에 2회 발생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Vadc)의 차 값을 계산하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도7은 도6에 나타낸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기 전에 제어부(38")는 스위칭 제어신호들(SW, SW1, SW2)를 기간(t1)동안 활성화하고, 저전력 모드가 해제된 후에 측정 제어신호(PD ADC)를 기간(t2)동안 활성화하고, 측정 제어신호(PD ADC)의 활성화 기간(t2)내에 기간(t3)동안 스위칭 제어신호들(SW2, SW3)을 활성화하고, 이 후, 측정 제어신호(PD ADC)의 활성화 기간(t4)내에 기간(t4)동안 스위칭 제어신호들(SW, SW1, SW3)을 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기간(t1)에서 저전력 모드시의 배터리 전압(VBB)의 분배된 전압(Vsen)이 캐패시터(C)에 저장되고, 기간(t3)에서 캐패시터(C)에 충전된 전하에 대응하는 전압인 센싱 전압(Vsen')을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adc)가 발생되고, 기간(t4)에서 동작 모드시의 배터리 전압(VBB)의 분배된 전압(Vsen)과 동일한 센싱 전압(Vsen')을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발생한다. 만일, 기간(t3)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가 Vadc1이고, 기간(t4)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가 Vadc2라고 하면, 디지털 전압 신호(Vadc1)과 디지털 전압 신호(Vadc2)의 차 값과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도4 및 도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는 저전력 모드를 가지고, 특정한 두 측정 시점에서만 전압 분배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제어부 가 동작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배터리 전력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도4 및 도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는 전압 분배기가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만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 구성되더라도 상관없다.
도8은 본 발명의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광원(50), 이미지 센서(52), 제어부(54),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56), 배터리(58), 및 배터리 전압 검출기(60)로 구성되어 있다. 도8의 배터리 전압 검출기(60)는 도4의 전압 분배기(34')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로 구성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54)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또는 광 포인팅 장치의 버튼 혹은 스크롤 장치 (미도시)에 의한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로우"레벨의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고,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또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에 의한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또는 명령 신호(COM)에 응답하여 "하이"레벨의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54)는 장치 동작중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여 "로우"레벨의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하고, 소정 시간 후에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저전력 신호(PD)를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4)는 저전력 신호(PD)에 응답하여 도4의 제어부(38')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여 신호들(PD ADC, ADC EN, SW CON)을 발생하고, 서로 다른 2개이상의 시점에서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입력 하여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를 계산하고,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가 되었으면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검출신호(PER)를 발생한다. 광원(50)은 제어부(54)의 제어하에 광을 발생하고, 저전력 신호(PD)에 응답하여 배터리 전압(VBB)을 차단한다. 이미지 센서(52)는 제어부(54)의 제어하에 광원(5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작업대(미도시)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이미지 신호를 입력하여 발생하고, 저전력 신호(PD)에 응답하여 배터리 전압(VBB)을 차단한다.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56)는 외부의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명령신호(COM)를 발생하고, 움직임 값(MOV) 및 검출신호(PER)를 송신한다. 명령 신호(COM)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동작 수행을 지시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56)는 저전력 신호(PD)에 응답하여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56)내의 데이터 수신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 블록들에만 배터리 전압(VBB)이 공급되도록 한다. 배터리(58)는 배터리 전압(VBB)을 발생한다. 배터리 전압 검출기(60)는 제어부(54)의 제어하에 도4의 구성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배터리 전압 검출기(60)의 동작에 대하여는 도4의 설명을 참고로 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8에 나타낸 제어부(54)는 광원(50)을 온하는 경우와 광원(50)을 오프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광원(50)을 오프한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와 광원(50)을 온한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여 제어부(54)가 광원을 오프한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와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여 제어부(54)가 광원을 온 한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의 실시예의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전압 검출기(60)는 도4의 구성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나타낸 것이며, 도2 또는 도6의 배터리 전압 검출기의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제어부(54)는 전력 소모가 많은 동작 모드의 경우, 예를 들면, 광원(50)이 온되는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와 전력 소모가 작은 동작 모드의 경우, 예를 들면, 광원(50)이 오프되는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이용하여 배터리(58)의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제어부(54)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광원(50)을 온/오프하여 광원이 온되는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와 광원이 오프되는 경우의 디지털 전압 신호(Vadc)를 측정하고, 이 신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58)의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광 포인팅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PER)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가 외부의 컴퓨터(미도시)와 통신이 가능하므로 검출신호(PER)를 외부의 컴퓨터로 전송하여 외부의 컴퓨터가 검출 신호(PER)에 대응하는 정보를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디지털 전압 신호는 소정수의 비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는 고유 전압이 다른 배터리가 장착되더라도 배터리의 수명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여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전력을 소모하는 2가지 동작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서로 다른 전력을 소모하는 3가지이상의 동작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은 배터리의 고유 전압이 변화하더라도 정확한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3)

  1.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서로 다른 두 시점이상 에서 인가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남은 전력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이상의 한 시점은 상기 기능부 동작 전이고,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이상의 다른 한 시점은 상기 기능부 동작중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간의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 또는 상기 차 값을 이용해서 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기능부 동작 전의 제1표준 배터리 전압과 상기 기능부 동작 후의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이고,
    상기 제1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기능부 동작중에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이고, 상기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기능부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
  6.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저전력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을 차단하는 기능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과 후에 측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 환기;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저전력 모드를 위한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과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과 후에 인가되는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저전력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간의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 또는 상기 차 값을 이용해서 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들 및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 및 인에이블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 및 상기 인에이블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활성화되어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비활성화되는 상기 측정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인에이블 펄스 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인에이블 펄스 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의 제1표준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의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이고,
    상기 제1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이고, 상기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
  12.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을 차단하는 기능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축적된 전하에 대응하는 전압을 센싱 전압으로 발생한 후에 상기 분배된 전압을 상기 센싱 전압으로 발생하는 전하 축적 및 스위칭부;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신호 해제 후에 측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전압을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저전력 모드를 위한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에 인가되는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의 차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제어부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저전력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간의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 또는 상기 차 값을 이용해서 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들 및 제1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위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활성화되는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축적 및 스위칭부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제1노드로 전송하는 제2스위치;
    제3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축적 노드의 전압을 제2노드로 전송하는 제3스위치;
    상기 제2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노드로 전송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하는 캐패시터; 및
    제4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상기 센싱 전압으로 전송하는 제4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에 활성화되는 상기 제2 및 제3스위칭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 활성화되는 상기 제3 및 제4스위칭 제어신호들을 발생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 활성화되는 상기 제2 및 제4스위칭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측정 제어신호의 활성화 기간동안에 서로 다른 시점에서 인가되는 2개의 센싱 전압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2개의 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의 제1표준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후의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이고,
    상기 제1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이고, 상기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
  19.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저전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전에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상기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2디지털 전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전압 신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의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배터리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모드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파워 다운 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파워 다운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배터리의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은
    상기 서로 다른 두 시점간의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들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 또는 상기 차 값을 이용해서 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설정 값이 맞는 것 같습니다만 확인 바랍니다)은
    상기 저전력 모드 해제 전의 제1표준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저 전력 모드 해제 후의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이고,
    상기 제1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 동작중에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이고, 상기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의 배터리의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23.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저전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1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1신호를 발생하고, 제2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2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기; 및
    상기 제1전력 모드와 상기 제2전력 모드를 구분하는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 또는 재충전 시기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저전력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기는
    상기 제1전력 모드 및 상기 제2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 및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를 발생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신호를 무선 송신기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
  28.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고 광을 발생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전력 소모가 큰 제1전력 모드에서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1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전력 소모가 작은 제2전력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제2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 모드는 상기 광원을 오프시킨 상태이고,
    상기 제2전력 모드는 상기 광원을 온시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 의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1신호사이의 차 값을 구하고, 상기 차 값을 이용하여얻어진 값을 설정 값과 비교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광원을 동작시킨 상태의 제1표준 배터리 전압과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광원을 차단시킨 상태 후의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이고,
    상기 제1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 동작 중에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이고, 상기 제2표준 배터리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에서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저항과 상기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곱한 값을 뺀 값을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광 포인팅 장치의 배터리 교체 및 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KR1020060069334A 2006-07-24 2006-07-24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KR10084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34A KR100845320B1 (ko) 2006-07-24 2006-07-24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TW096116995A TWI346405B (en) 2006-07-24 2007-05-14 Apparatus using battery and method of detecting time for change/recharge of battery thereof
US11/755,525 US7884575B2 (en) 2006-07-24 2007-05-30 Wireless optical pointing apparatus using battery and method of detecting time for change/recharge of battery thereof
CN200710110720A CN100587497C (zh) 2006-07-24 2007-06-06 使用电池的设备和检测其电池的更换/再充电时间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34A KR100845320B1 (ko) 2006-07-24 2006-07-24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567A true KR20080009567A (ko) 2008-01-29
KR100845320B1 KR100845320B1 (ko) 2008-07-10

Family

ID=3897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334A KR100845320B1 (ko) 2006-07-24 2006-07-24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84575B2 (ko)
KR (1) KR100845320B1 (ko)
CN (1) CN100587497C (ko)
TW (1) TWI3464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4154B (en) * 2008-04-30 2012-05-11 Inventec Appliances Corp Quick charging handheld device
JP5109795B2 (ja) * 2008-05-13 2012-12-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圧検出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I370251B (en) * 2008-06-06 2012-08-11 Primax Electronics Ltd Voltage detecting circuit
DE102008044908A1 (de) * 2008-08-29 2010-03-04 Lemförder Electronic GmbH Anordnung zur Messung wenigstens eines Wertes einer an einer elektronischen Komponente anliegenden Spannung
CN101937016A (zh) * 2009-06-29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低电压提示装置
CN101995553B (zh) * 2009-08-12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量检测电路、手机待机时手机状态检测处理装置及方法
DE102009043216A1 (de) * 2009-09-28 2011-03-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nittstellenschaltung
JP5742524B2 (ja) * 2011-07-08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電子機器、電動車両および電力システム
KR101854456B1 (ko) * 2011-12-12 2018-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센서 및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06734B1 (ko) 2014-04-30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546920B (zh) * 2015-09-18 2024-02-06 广东赛微微电子股份有限公司 电池监测电路及系统
KR102357834B1 (ko) 2017-02-02 2022-0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데이터 송신 방법
US10579107B2 (en) * 2017-03-22 2020-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versible connector orientation detection circuitry
CN110366687B (zh) * 2018-02-01 2021-06-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漏电检测方法和检测装置
CN113064088B (zh) * 2021-03-16 2024-03-22 中磊电子(苏州)有限公司 物联网装置及电池电量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6115A (ja) 1990-11-21 1992-07-02 Fujitsu Ltd 電圧検出回路
KR0186160B1 (ko) * 1995-10-16 1999-05-15 구자홍 리모콘의 배터리전원 잔량 검출 방법 및 회로
KR19980037592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배터리 교체 시기 경고 장치
US7024321B1 (en) * 2000-07-20 2006-04-04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monitoring system with low power and end-of-life messaging and shutdown
US7634675B2 (en) * 2002-09-05 2009-12-15 Gateway, Inc. Monitor power management
KR101000917B1 (ko) * 2003-01-20 2010-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저전압상태시 전원 자동차단방법
US7352152B2 (en) * 2003-04-04 2008-04-01 Fujifilm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with a battery having a wireless tag containing battery information
US7683881B2 (en) * 2004-05-24 2010-03-23 Keytec, Inc. Visual input pointing device for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7024324B2 (en) * 2004-05-27 2006-04-04 Intel Corporation Delay element calib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8306A1 (en) 2008-01-24
CN101113991A (zh) 2008-01-30
US7884575B2 (en) 2011-02-08
TW200807786A (en) 2008-02-01
TWI346405B (en) 2011-08-01
CN100587497C (zh) 2010-02-03
KR100845320B1 (ko)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320B1 (ko)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US9342400B2 (en) Dynamic power profiling
KR100851659B1 (ko)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용 전원 전압 공급 반도체장치
US20110291488A1 (en) System for self-powered, wireless monitoring of electrical current, power and energy
EP2686936B1 (en) Power control technique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709886B1 (ko) 센서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06513645A (ja) 電力管理システム
JPH0854940A (ja) 電源装置
EP3472814A1 (en) Energy harvesting from fire panel
WO2014141537A1 (ja) ワイヤレス充電モジュール及び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
US20060113960A1 (en) Power management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7248059B1 (en) Low power sensor
EP2634883A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circuit and protection method
US11829841B2 (en) Mechanical energy-based self-powering counting system
KR101501031B1 (ko) 휴대용 보조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제어방법
JP5362631B2 (ja) 無線送信装置
US20170211950A1 (en) Voltage supply apparatus
WO2020214907A1 (en) Power monitoring using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s
US10581331B2 (en) Power source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and ship application execution system
JP5615046B2 (ja) 電源装置
JP7192216B2 (ja) 電池残量計測回路及びセンサノード
JP2014149165A (ja) 直流電源装置、直流電源装置における蓄電池の劣化判定方法、及び蓄電池劣化判定装置
CN210321979U (zh) 光能电子秤
JPH0629903A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の充電装置
JPH0420885A (ja) 二次電池の電力残量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