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519A -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519A
KR20080009519A KR1020060069225A KR20060069225A KR20080009519A KR 20080009519 A KR20080009519 A KR 20080009519A KR 1020060069225 A KR1020060069225 A KR 1020060069225A KR 20060069225 A KR20060069225 A KR 20060069225A KR 20080009519 A KR20080009519 A KR 20080009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request file
license
join request
j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010B1 (ko
Inventor
송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작권이 보호되는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도메인에 가입하고자 하는 제1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정보를 파일로 가공하여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제2디바이스로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콘텐츠의 라이센스 발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라이센스 발급서버로부터 상기 제1디바이스의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바이스의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디바이스도 라이센스발급 서버로부터 도메인 참여를 위한 라이센스를 발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Method of domain seting-up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RM시스템을 통한 저작권 관리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라이센스 발급서버 10 : 제1디바이스
20 : 제2디바이스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제작되어 유통되는 텍스트, 음악, 영상 등의 콘텐츠는, 복사 및 변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한 배포 및 공유가 용이하여 불법복제와 불법배포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시스템이 도입되었다.
DRM시스템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통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자와 사용권한(횟수, 기간) 등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업자와 체결한 콘텐츠 사용권리 내 에서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DRM시스템은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배포하고 정당한 라이센스(license)를 획득한 사용자에게만 복호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불법복제 및 불법전송 등의 저작권 침해 행위를 방지한다. 여기서, 라이센스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또는 사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리객체(Right Object)를 의미하며, 콘텐츠와는 독립적으로 이동 및 복사의 대상이 된다.
한편, 적법한 라이센스를 발급받은 콘텐츠 사용자의 경우 허가된 도메인(Domain) 내에서는 해당 콘텐츠를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메인은 특정 디바이스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도메인의 디바이스들의 집합은 그 도메인의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 사용 등이 허용된다. 이에, 동일 도메인에 속하는 디바이스는 해당 도메인에 귀속되어 있음을 인증할 수 있는 라이센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동일 도메인 상의 디바이스 간에는 콘텐츠의 이동이 자유로워진다.
그런데, 종래의 DRM시스템의 경우 도메인 구성을 위한 라이센스는 인터넷을 통해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발급받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디바이스(Unconnected Device)의 경우 라이센스의 발급이 불가능함으로 도메인 참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디바이스도 라이센스발급 서버로부터 도메인 참여를 위한 라이센스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은, 저작권이 보호되는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도메인에 가입하고자 하는 제1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정보를 파일로 가공하여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제2디바이스로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콘텐츠의 라이센스 발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라이센스 발급서버로부터 상기 제1디바이스의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바이스의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은, 상기 제1디바이스의 고유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블루투스, IrDA, RF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 및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USB, IEEE1394, 지그B(ZigBee)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 접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 일 및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콘텐츠의 라이센스 발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메인 가입을 요청한 복수개의 제1디바이스로부터 각각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상기 라이센스 발급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바이스의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디바이스의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도메인 키(Domain Key), 라이센스 발급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메인은 복수개의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 도메인에 속하는 디바이스는 해당 도메인에 귀속되어 있음을 인증할 수 있는 라이센스가 저장되어, 동일 도메인 상의 디바이스 간에는 콘텐츠의 이동 및 사용이 자유롭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M시스템은,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라이센스를 유선인터넷, 무선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발급하는 라이센스 발급서버(1)와, 콘텐츠 공유를 위한 도메인에 가입하고자 하는 제1디바이 스(10)와, 제1디바이스(10)의 요청에 따라 라이센스 발급서버(1)로부터 콘텐츠 사용을 위한 라이센스를 발급받아 제1디바이스(10)에 전달하는 제2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라이센스 발급서버(1)는 콘텐츠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합의한 사용조건에 따라 콘텐츠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콘텐츠 암호화 키, 콘텐츠ID, 라이센스 등을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발급한다.
제1디바이스(10) 및 제2디바이스(20) 모두 DRM기능을 지원하여 저작권이 보호되는 콘텐츠를 처리하는 경우 그에 적법한 라이센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콘텐츠의 처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1디바이스(10)는 유무선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의 공중 네트워크로의 접속기능을 지원하지 아니하여 라이센스 발급서버(1)와의 직접 접속이 불가능한 비접속 디바이스(Unconnected Device)이다. 이러한 제1디바이스(10)는 블루트스, IrDA, RF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USB, IEEE1394, 지그(ZigBee) 등의 케이블 연결기능을 지원하여 다른 장치와의 접속은 가능하다. 이에, 제1디바이스(10)는 공중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제2디바이스(20)를 통해 라이센스 발급서버(1)에 소정 도메인에 귀속되기 위한 라이센스의 발급을 요청하여 해당 도메인에 가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디바이스(10)에는 MP3플레이어, PMP, 동영상플레이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디바이스(20)는 제1디바이스(10)의 유무선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의 공중 네트워크로의 접속기능을 지원하여 라이센스 발급서버(1)와의 직접 접속이 가능한 디바이스(Cnnected Device)이다. 또한, 제2디바이스(20)는 제1디바이스(10)의 블루트스, IrDA, RF, USB, IEEE1394, 지그B(ZigBee) 등에 대응되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이에, 제2디바이스(20)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제1디바이스(10)로부터 라이센스 발급요청을 수신하여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라이센스 발급서버(1)에 전달하며, 라이센스 발급서버(1)가 회신한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승인 라이센스를 제2디바이스(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2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 어댑터가 탑재된 휴대전화, PDA, 노트북, PC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DRM시스템에서 라이센스 발급서버(1)와의 직접 접속이 불가능한 제1디바이스(Unconnected Device)(10)가 도메인에 가입하는 과정을 도 1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디바이스(Unconnected Device)(10)는 도메인 가입을 위한 정보들을 수합하여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생성한다(S10). 여기서,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에는 제1디바이스(10)의 기기 고유정보{예컨대, 생산자, 모델명, 버전, 시리얼넘버, 기기식별번호(IMSI), 가입자식별번호(IMSI), 인증서 등)}와, 콘텐츠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디바이스(10)는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내지는 케이블 등의 장치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디바이스(20)에 전송한다(S12).
이에, 제2디바이스(20)는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가입을 선택한 경우(S14),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라이센스 발급서버(1)에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전송하여 라이센스 발급을 요청한다(S16). 여기서, 복수개의 제1디바이스로부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전송받은 경우, 제2디바이스(20)는 각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수합하여 라이센스 발급서버(1)로 일괄 전송함으로써, 복수개의 디바이스(Unconnected Dvice)의 도메인 가입요청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라이센스 발급서버(1)는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여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여부를 결정 판단하고(S18),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을 승인한 경우 도메인 가입 승인메시지를 제2디바이스(20)에 전송한다(S20).
제2디바이스(20)는 라이센스 발급서버(1)로부터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 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메인 가입승인 파일을 생성한다(S22). 도메인 가입승인 파일에는 제1디바이스(10)가 도메인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인 도메인 키(Domain Key), 라이센스 발급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디바이스(20)는 제1디바이스(10)와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내지는 케이블 등의 장치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디바이스(10)의 도메인 가입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메인 가입승인 파일을 전송한다(S24).
이에, 제1디바이스(10)도 도메인에 가입하여 동일 도메인 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라이센스 발급서버와 직접 접속이 불가능한 제1디바이스(Unconnected Device)의 경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생성하여 근 거리 네트워크나 장치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이센스 발급서버 접속이 가능한 제2디바이스(Connected Device)에 전송하고, 제2디바이스가 라이센스 발급서버로부터 도메인 가입 승인을 수신하여 해당 제1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은, 라이센스 발급서버와 직접 접속이 불가능한 제1디바이스(Unconnected Device)의 경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생성하여 근거리 네트워크나 장치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이센스 발급서버 접속이 가능한 제2디바이스(Connected Device)에 전송하고, 제2디바이스가 라이센스 발급서버로부터 도메인 가입 승인을 수신하여 해당 제1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디바이스도 라이센스발급 서버로부터 도메인 참여를 위한 라이센스를 발급받을 수 있다.

Claims (6)

  1. 저작권이 보호되는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도메인에 가입하고자 하는 제1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정보를 파일로 가공하여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제2디바이스로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콘텐츠의 라이센스 발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라이센스 발급서버로부터 상기 제1디바이스의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바이스의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은,
    상기 제1디바이스의 고유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블루투스, IrDA, RF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 및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USB, IEEE1394, 지그B(ZigBee)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 접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 및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콘텐츠의 라이센스 발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메인 가입을 요청한 복수개의 제1디바이스로부터 각각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메인 가입요청 파일을 상기 라이센스 발급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 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바이스의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상기 도메인 가입 승인 메시지를 근거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디바이스의 상기 도메인 가입을 위한 도메인 키(Domain Key), 라이센스 발급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KR1020060069225A 2006-07-24 2006-07-24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KR10126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225A KR101262010B1 (ko) 2006-07-24 2006-07-24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225A KR101262010B1 (ko) 2006-07-24 2006-07-24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519A true KR20080009519A (ko) 2008-01-29
KR101262010B1 KR101262010B1 (ko) 2013-05-08

Family

ID=3922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225A KR101262010B1 (ko) 2006-07-24 2006-07-24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19B1 (ko) * 2008-01-31 2010-09-10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권한 관리를 위한 사용자 도메인 가입방법 및 그정보 교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084A (ja) * 2001-09-12 2003-03-20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携帯端末、配信サーバ、並びに記憶媒体
KR101044937B1 (ko) * 2003-12-01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0677344B1 (ko) * 2004-07-2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권리객체 처리를 위한 메시지 및 이를 이용한 권리객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20588B1 (ko) * 2005-01-11 2006-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암호화된 콘텐츠의 복수 사용자 적용이 가능한 drm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19B1 (ko) * 2008-01-31 2010-09-10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권한 관리를 위한 사용자 도메인 가입방법 및 그정보 교환 방법
US8856510B2 (en) 2008-01-31 2014-10-07 Pantech Co., Ltd. Method for joining user domain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in user dom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010B1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295B1 (ko) 라이센스 데이터 구조를 구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라이센스 발급 방법
KR100567827B1 (ko) 휴대용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방법 및 장치
KR101106687B1 (ko) 접속 링크된 권리들 보호
KR101307413B1 (ko) Drm 라이센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1496327B (zh) 用于流式多媒体内容的权限管理系统
US20090217036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1807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suming rights objects having inheritance structure in environment where the rights objects are distributed over plurality of devices
US200901830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ranting A DRM License Using A URL
US20070192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RM content while roaming
JP4414321B2 (ja) 携帯用保存装置を用いたデジタル著作権の管理方法及び装置
KR101262010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KR100585840B1 (ko) Drm 컨텐츠 서비스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982059B1 (ko) 제휴 디알엠의 컨텐츠를 호환 디알엠의 컨텐츠로 변환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기능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KR100765794B1 (ko) 공유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0867583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도메인 설정방법
KR20200046451A (ko) P2p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Abbadi Digital asset protection in personal private networks
KR100696249B1 (ko) Drm을 이용한 mp3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19387B1 (ko) 디피-헬만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암호키 공유drm 시스템 및 방법
JP2006146940A (ja) コピー保護のための機密保護装置、コピー保護されたコンテンツを実行するレンダリング装置、機密保護装置におけるコピー保護のためのコピー保護方法及びレンダリング装置においてコピー保護されたコンテンツを実行するコンテンツ実行方法
EP2083370A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ranting a DRM license using a URL
KR2008004581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작권 관리방법
KR20100067336A (ko)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2005202583A (ja) サービス利用機器、プロファイルライセンス発行装置、利用権ライセンス発行装置、および所有権ライセンス発行装置
KR20080021249A (ko)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