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479A -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 Google Patents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479A
KR20080009479A KR1020060069131A KR20060069131A KR20080009479A KR 20080009479 A KR20080009479 A KR 20080009479A KR 1020060069131 A KR1020060069131 A KR 1020060069131A KR 20060069131 A KR20060069131 A KR 20060069131A KR 20080009479 A KR20080009479 A KR 2008000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acid ester
crops
pest control
contro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029B1 (ko
Inventor
정병윤
Original Assignee
정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윤 filed Critical 정병윤
Priority to KR102006006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0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005 ∼ 0.405중량%, 해바라기유 0.1 ∼ 1.0중량% 및 물 98.995 ∼ 99.895중량%로 구성되어지되 소량의 물에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 오이,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은 물론 장미 등의 화훼류 잎에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므로서 흰가루병, 노균병, 응애 등에 의한 병충해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농민이 직접 제조가 용이하고, 악취 발생이 없으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해바라기유,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병충해 방제제

Description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The eco-friendly preventive composition of vermin and disease in the crops}
도 1은 본 발명의 병충해 방제제 처리 농도에 따른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 병충해 방제제의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 지속기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오이흰가루병균의 균사 사진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병충해 방제제 살포 전의 사진이고, 도 3b는 살포 후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005 ∼ 0.405중량%, 해바라기 유 0.1 ∼ 1.0중량% 및 물 98.995 ∼ 99.895중량%로 구성되어지되 소량의 물에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오이,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은 물론 장미 등의 화훼류 잎에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므로서 흰가루병, 노균병, 응애 등에 의한 병충해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농민이 직접 제조가 용이하고, 악취 발생이 없으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이라 함은 인류가 이용할 목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작물이라고 하면 식용작물, 공예작물, 사료작물, 비료작물, 원예작물 등으로 구분되며, 식용작물은 약 1,400 종이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물들은 병균이나 벌레에 의해 병충해를 입게 되어 수확량이 저하되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곡물, 채소, 과수, 꽃, 임목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유용식물이 병균에 의하여 고사, 부패되어 수확량이 줄어들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병해와 벌레에 의해 식해, 흡수해 등을 입는 충해에 의하여 농사일에 투여된 노동력의 손실되고, 비료나 퇴비 등이 무용지물이 되므로서 경제적인 손실 등을 입게 되어 병충해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병충해를 예방하고 치료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을 유지시키고 질 좋은 농작물을 얻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병충해를 유발하는 병균 이나 벌레의 대사작용을 방지하는 화합물들을 살포하여 병균이나 벌레를 사멸시키거나 병충해를 유발하는 기능을 정지시키는 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므로서 인체에 직, 간접적으로 해를 끼치게 되므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병충해 방제 방법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병충해의 방제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005 ∼ 0.405중량%, 해바라기유 0.1 ∼ 1.0중량% 및 물 98.995 ∼ 99.895중량%로 구성되어지되 소량의 물에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 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오이,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은 물론 장미 등의 화훼류 잎에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므로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흰가루병, 노균병, 응애 등에 의한 병충해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농민이 직접 제조가 용이하고, 악취 발생이 없으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는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005 ∼ 0.405중량%, 해바라기유 0.1 ∼ 1.0중량% 및 물 98.995 ∼ 99.895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의 제조 방법은 소량의 물에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은 식품 첨가물로 허가된 것들이어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해바라기유와 물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유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에 살포시 농작물의 잎과 줄기 표면에 물리적으로 피막이 형성되어 병충해의 침입을 억제하거나 농작물의 잎과 줄기 표면에서 병원균이 발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병충해 방제 보조제 역할을 한다.
상기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은 자체적으로 유화작용을 하거나 유화작용을 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유화작용을 하는 물질의 분자가 작은 해바라기유 방울을 둘러싸면 물과 섞여 에멀젼이라는 안정한 상태가 되어 물과 기름성분을 혼합되도록 하며, 유화작용을 하는 물질 분자의 한쪽 끝은 친수성을 갖고 다른 한쪽은 친유성을 갖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서로 상극인 물과 해바라기유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난황의 경우에는 구하기 쉽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시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난황만을 분리하기 용이하지 못하며, 난황을 제외한 계란의 흰자위만을 식용하기도 어려워 폐기 처분하여야 하고, 직접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탈지분유 또는 대두인지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았지만 식품첨가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유화 기능을 갖고 피막 형성능을 갖는 것이라면 다른 물질도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반복 실험을 통하여 용이하게 유추할 수도 있다.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1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더라도 전체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5 ∼ 0.40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량이 0.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여 해바라기유와 물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어 농작물에 살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0.40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 상승 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해바라기유는 해바라기에서 추출한 불포화지방산으로 리놀레익산(오메가 6 계열)과 올레익산(오메가 9 계열)이 있으며, 주요비타민으로는 비타민 E(토코페롤 ), 비타민A, 비타민D 등이 있고, 해바라기 고유의 향이 있으며, 오메가 6계열의 다가 불포화지방산이 많아서 식용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건조가 빠르고 광택성이 뛰어나 예로부터 건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준으로서 성상은 고유의 색택과 향미를 가지고 이미, 이취가 없어야 하며, 비중(25°/25°) 0.915 ∼ 0.920, 굴절률(25°) 1.471 ∼ 1.475, 수분(%) 0.1이하, 비비누화물(%) 1.5이하, 산가 0.2이하, 비누화가 188 ∼ 194, 요오드가 120 ∼ 142인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작물에 살포되었을 때 건조가 빨라 식물의 잎이 광합성 작 용을 하는 데 방해를 주지 않으며, 또한 광택성이 있기 때문에 농작물이 지저분하지 않고 깨끗하게 유지가 되면서도 병원균의 세포벽 및 원형질 파괴, 해충의 호흡 및 지방대사를 방해하여 병원균 및 해충에 대한 살균, 살충 작용을 하는 역할을 하고,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바라기유의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여 병원균 및 해충에 대한 살균, 살충 작용 효과가 저하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농작물의 호흡과 대사를 방해하여 생육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해바라기유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은 물로 채워지며, 해바라기유가 넓은 면적에 소량으로 골고루 살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98.995 ∼ 99.895중량%인 것이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98.99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의 사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첨가 상승 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거나 해바라기유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농작물이 호흡과 대사를 방해받아 생육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고, 99.8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해바라기유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해바라기유와 물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농작물에 살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거나 병원균 및 해충에 대한 살균, 살충 작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는 소량의 물, 바람직하게는 추후에 사용될 해바라기유와 동량의 물에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물로 희석하지 않은 반제품으로 제조하여 유통도 가능하며, 반제품을 사용시에 희석 배수에 따라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므로서 살포 지점으로의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후 잔량을 보관하였다가 재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안정제가 소량,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중량에 대하여 0.01 ∼ 0.1중량% 사용하여 물과 해바라기유가 안정적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는 오이,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은 물론 장미 등의 화훼류에 효과적이며, 다른 농작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예비시험을 거 쳐 안정성을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이의 흰가루병 및 노균병, 상추의 흰가루병, 장미의 흰가루병 및 범박이응애에 효과적이었다.
오이,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은 물론 장미 등의 화훼류의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살포할 경우와 병이 발생된 상태에서 치료를 위해서 살포할 경우에 살포되는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에서의 해바라기유의 농도는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예방을 위해서는 0.3%, 치료를 위해서는 0.5%의 해바라기유 농도를 갖는 것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의 효과가 지속되는 기간은 강우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 보통 5 ∼ 10일 정도이며, 방제 효과 지속 기간을 고려할 때 예방 목적으로는 10 ∼ 14일, 치료 목적으로는 5 ∼ 7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5℃ 이하의 저온이나 35℃ 이상의 고온에서 적용할 경우 약해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저온다습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해바라기유가 마르지 않고 결빙되어 약해증상을 나타낼 수 있고, 고온건조시에는 해바라기유에 의한 농작물의 수분 스트레스가 높아지며, 적용될 농작물의 종류, 농작물의 생육 시기, 재배 형태 등에 따라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야 하고, 영양제나 다른 농약과 혼용시에는 효과가 저하되거나 약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두인지질 2g을 물 60㎖에 넣고, 3분간 믹서기로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 60㎖를 넣고 다시 믹서기로 3분간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20ℓ로 만들고, 교반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6
대두인지질, 해바라기유의 사용량 및 총량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제조하였다.
대두인지질 (g) 해바라기유 (㎖) 총량 (ℓ) 해바라기유 농도(%) 적용 시기
실시예 2 14 600 200 0.3 병 발생 전
실시예 3 30 1500 500 0.3 병 발생 전
실시예 4 2 100 20 0.5 병 발생 후
실시예 5 14 1000 200 0.5 병 발생 후
실시예 6 30 2500 500 0.5 병 발생 후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오이흰가루병에 감염된 오이에 잎의 앞면과 뒷면이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고, 병반면적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의 방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고, 오이, 상추, 장미에 동일한 실험을 행한 결과 방제 효과가 85 ∼ 98% 정도이었으며, 오이의 노균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85 ∼ 96% 정도이었고, 장미의 범박이응애에 대한 방제 효과는 80 ∼ 94% 정도이었다.
또한, 오이흰가루병 균사의 현미경 사진과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살포하고 3일 경과 후의 오이흰가루병 균사의 현미경 사진을 도 3에 도시하였으며,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의 방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오이흰가루병을 유발하는 균(Sphaerotheca pannosa)을 오이에 3 × 107/㎡의 균체수가 되도록 살포한 후, 오이잎이 완전히 마른 후에 다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를 오이흰가루병에 감염된 오이에 잎의 앞면과 뒷면이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고, 24 시간 간격으로 병반면적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본 발명의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의 방제 효과는 5 ∼ 10일 정도임을 알 수 있었으며, 방제 효과 지속 기간을 고려할 때 예방 목적으로는 10 ∼ 14일, 치료 목적으로는 5 ∼ 7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005 ∼ 0.405중량%, 해바라기유 0.1 ∼ 1.0중량% 및 물 98.995 ∼ 99.895중량%로 구성되어지되 소량의 물에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오이,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은 물론 장미 등의 화훼류 잎에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므로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흰가루병, 노균병, 응애 등에 의한 병충해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농민이 직접 제조가 용이하고, 악취 발생이 없으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5)

  1.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005 ∼ 0.405중량%, 해바라기유 0.1 ∼ 1.0중량% 및 물 98.995 ∼ 99.89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물은 오이, 상추 또는 장미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제 대상 병충해는 흰가루병, 노균병 또는 응애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예방 목적으로는 10 ∼ 14일, 치료 목적으로는 5 ∼ 7일 간격으로 살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5. 사용될 해바라기유와 동일량의 물에 탈지분유, 대두인지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슈크로오즈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 젖산칼슘, 난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005 ∼ 0.405중량%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해바라기유 0.1 ∼ 1.0중량%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총 사용 물의 양이 98.995 ∼ 99.895중량%가 되도록 희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의 제조 방법.
KR1020060069131A 2006-07-24 2006-07-24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KR10083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131A KR100835029B1 (ko) 2006-07-24 2006-07-24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131A KR100835029B1 (ko) 2006-07-24 2006-07-24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479A true KR20080009479A (ko) 2008-01-29
KR100835029B1 KR100835029B1 (ko) 2008-06-03

Family

ID=3922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131A KR100835029B1 (ko) 2006-07-24 2006-07-24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0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12B1 (ko) * 2008-10-27 2010-04-16 주식회사세오 폐식용유, 식물성 유지를 이용한 친환경 식물성 가루농약의 제조방법
WO2011026796A1 (en) * 2009-09-01 2011-03-10 Basf Se Synergistic fungicidal mixtures comprising lactylates and method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18048042A1 (ko) * 2016-09-12 2018-03-15 주식회사 가나씨앤에이치 글리세린 젖산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부 및 항균용 외용제 조성물
CN113527003A (zh) * 2021-07-12 2021-10-22 吉林省领航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病虫害绿色防控清洗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782A (ko) * 2003-12-12 2005-06-17 유길곤 살진균 및 살충 활성이 우수한 환경 친화적 제제 및 이의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12B1 (ko) * 2008-10-27 2010-04-16 주식회사세오 폐식용유, 식물성 유지를 이용한 친환경 식물성 가루농약의 제조방법
WO2011026796A1 (en) * 2009-09-01 2011-03-10 Basf Se Synergistic fungicidal mixtures comprising lactylates and method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18048042A1 (ko) * 2016-09-12 2018-03-15 주식회사 가나씨앤에이치 글리세린 젖산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부 및 항균용 외용제 조성물
CN113527003A (zh) * 2021-07-12 2021-10-22 吉林省领航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病虫害绿色防控清洗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527003B (zh) * 2021-07-12 2023-08-29 吉林省领航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病虫害绿色防控清洗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029B1 (ko) 200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27994A1 (de) Fungizides mittel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20180062787A (ko) 해충 및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CA3179988A1 (en) Method for preventive treatment of a crop plant to limit the loss of dry matter due to abiotic and/or biotic stress
KR100835029B1 (ko) 친환경 작물 병충해 방제제
MX2007005465A (es) Aditivo agricola u horticola.
KR101545431B1 (ko)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
JP2018530602A (ja) ピレトリン高含有殺虫剤
JP2006111559A (ja) 病害虫防除剤組成物
KR20110070341A (ko) 노난산 포함하는 살선충 조성물
KR100985669B1 (ko) 살충제 조성물
JP2009046433A (ja) 青果作物の病害虫防除剤並びにハウス類設備における病害虫防除方法及び装置。
WO1996003872A1 (fr) Preparation chimique a usage agricol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KR20060107521A (ko) 식물에 대한 병해저항성 유도활성을 가진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JP3818747B2 (ja) 農園芸用殺虫殺菌剤組成物
KR102115780B1 (ko) 목초액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21901A (ja) 植物用肥料
JPH0748218A (ja) 植物の病害を防除する方法
KR102064661B1 (ko) 적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적화 방법
CN105994258B (zh) 一种农用大蒜素乳剂的制备方法
JP2010001263A (ja) 野菜及び花卉植物の食害防止剤
US20040037904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saponificated vegetable oil
JPH09132510A (ja) 果実及び野菜等に付着する害虫を防除する人畜無害の液体の製造法.
KR102542124B1 (ko)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EP2604112A1 (en) Pollination enhancement composition, process to obtain it and methods for its application on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