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936A -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936A
KR20080007936A KR20060067192A KR20060067192A KR20080007936A KR 20080007936 A KR20080007936 A KR 20080007936A KR 20060067192 A KR20060067192 A KR 20060067192A KR 20060067192 A KR20060067192 A KR 20060067192A KR 20080007936 A KR20080007936 A KR 20080007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rvice
customer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6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700B1 (ko
Inventor
신기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6006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70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7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서비스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 발신자에게, 그 서비스 가입자가 각 발신자(발신고객)별로 설정한 음원을 링백톤으로 송출할 수 있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정된 음원 구성요소의 결합으로써, 발신고객별로 다양한 메시지를 형성하여 링백톤으로 송출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한 음원에 있어서는 문자열을 음성으로 합성한 것을 이용하도록 하여, 각 발신고객별로 필요한 정보로서 자주 업데이트되는 정보에 대하여는, 간단한 문자열의 입력을 통한 업데이트만으로, 최신의 링백톤 메시지로 구성하여 송출하게 할 수 있다.
발신고객, 링백톤

Description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MESSAGE PECULIAR TO EACH CALLER, PREPARED BY SERVICE SUBSCRI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내의 음원송출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을 네트워크 구성주체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발신고객에 따라 송출할 음원데이터를,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에 입력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음원 제공방법을,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를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
본 발명은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서비스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 발신자에게, 그 서비스 가입자가 각 발신자(발신고객)별로 설정한 음원을 링백톤으로 송출할 수 있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나에게 전화거는 발신자에게 송출할 링백톤을 설정함에 있어, 획일적인 음악이나 멘트 등을 설정하여 모두에게 같은 음원이 송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이는 상업광고성 링백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발신자는 획일적인 광고메시지를 링백톤으로 들어야 했다. 물론 개인의 경우에는, 몇몇의 발신번호를 선택하여 그 번호에는 특정한 음악을 송출한다든지 하는 설정은 가능했으나, 링백톤을 송출하는 서버의 용량상의 한계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영업하는 자의 경우와 같이 자신에게 전화하는 발신고객이 많을 때, 각각에 맞는 링백톤을 일일이 다 설정하여 입력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한정된 음원 구성요소의 결합으로써, 발신고객별로 다양한 메시지를 형성하여 링백톤으로 송출하게 할 수 있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음원 구성요소의 결합을 이용함과 함께, 특 정한 음원에 있어서는 문자열을 음성으로 합성한 것을 이용하도록 하여, 각 발신고객별로 필요한 정보로서 자주 업데이트되는 정보에 대하여는, 간단한 문자열의 입력을 통한 업데이트만으로, 최신의 링백톤 메시지로 구성하여 송출하게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은, 특정 착신자(이하 서비스 가입자라 한다)로의 착신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설정에 의해 당해 호의 발신자와 매칭되어 등록된 정보를 상기 발신자에게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서비스(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라 한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이라 한다)이,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 내의 착신 교환기가, 발신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내의 지능망 시스템으로 호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부가서비스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이 확인된 경우, 상기 상기 지능망 시스템과 발신자 사이에, 상기 착신 교환기를 경유하는 음성채널이 형성되는 단계; (d)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 내의 서버로서, 상기 지능망 시스템과 연계된 서버(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라 한다)로 링백톤 음원송출을 요청하는 단계; (e) 링백톤 음원송출 요청을 수신한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상기 발신자에 대하여 링백톤 송출할 것 으로 설정된 음원을, 상기 지능망 시스템 및 착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시, 서비스 가입자의 설정에 의해 당해 호의 발신자와 매칭되어 등록된 정보를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며, 착신호의 수신시 지능망 시스템으로 호를 연결시켜,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착신 교환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요청하는 정보로서, 특정 발신고객에게 링백톤으로 제공할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발신고객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 시도시, 상기 발신고객에 매칭되어 등록된 상기 고객제공용 정보를 링백톤의 음원으로 제공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호 연결을 받아, 착신자가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된 경우 착신 교환기와의 사이에 음성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링백톤이 발신자에게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지능망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지능망시스템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호를 연결받아 지능망 시스템 내에서 호의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교환기;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호의 제어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 상기 착신 교환기와의 사이에 음성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링백톤 음원을 발신자에게 송출되도록 하는 발신자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요청하는 정보로서 특정 발신고객에게 링백톤으로 제공할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며, 상기 발신고객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 시도시, 상기 발신고객에 매칭되어 등록된 상기 발신고객제공용 정보를 링백톤의 음원으로 제공하는 서버(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라 한다)가, 상기 링백톤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한 자가 가입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가입을 신청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가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b)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자번호 및, 상기 발신자번호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시 링백톤으로 송출할 메시지를 구성하는 음원데이터(이하 음원요소라 한다)를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원요소에 ID(이하 음원ID라 한다)를 부여하여, 상기 음원ID를 상기 음원요소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원요소가 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음원요소에 대하여 단계(b)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상기 단계(b) 또는 단계(c)에서 저장한 음원ID들을 결합하여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ID결합을, 상기 발신자번호의 단말(이하 발신자라 한다)에 대하여 송출할 링백톤(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이라 한다)의 식별번호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호 설정요청시, 지능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인 착신자 정보 및, 상기 발신자번호를 포함하는 링백톤 송출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발신자에 대하여 저장된 상기 발신고객별 링 백톤의 음원ID결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g) 상기 음원ID결합에 해당하는 음원요소들을 음원제공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b)의 음원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에서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단말과 연결된 마이크를 통하여 직접 입력한 음성멘트, 또는 미리 녹음하여 자신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던 음성파일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가 음성합성 기능을 구비한 경우, 상기 단계(d)의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구성요소에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음성합성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요청하는 정보로서 특정 발신고객에게 제공할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며, 상기 발신고객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 시도시, 상기 발신고객에 매칭되어 등록된 상기 발신고객제공용 정보를 링백톤의 음원으로 제공하는 서버로서, 링백톤 송출할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제공부; 음원들의 결합에 의한 링백톤을 송출하는 음원송출부; 서비스 가입자 정보 및, 송출할 링백톤을 구성하는 음원ID결합(이하 링백톤 식별번호라 한다)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발신고객별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출할 발신고객별 링백톤에 해당하는 링백톤 식별번호를 검색하고, 당해 링백톤 식별번호를 구성하는 음원ID에 매칭되는 음원을, 그 결합순서에 따라 상기 음원제공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음원송 출부에 입력데이터로서 공급하는 송출제어부; 지능망 시스템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담당하는 지능망 연결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의 송출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서비스에의 가입, 링백톤 송출할 음원데이터의 입력 및 발신자별 송출할 음원ID의 설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일련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포탈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가입자 정보에 따라 로그인 처리를 담당하는 로그인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음원송출부는, 다중화 장치(Multiplexer)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 장치는, 다수의 음원입력 라인 및 하나의 출력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음원입력 라인으로 입력되는 각각의 음원을 시분할 방식(TDM)으로 결합시켜 상기 출력라인을 통하여 출력시키며, 상기 ARS 시스템은, 상기 출력라인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링백톤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원송출부는, 음성합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합성기는,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음성데이터로 변환된 출력은, 상기 다중화 장치의 입력라인 중 일부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은,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100) 및 이와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연계된,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단말(10.N)과 이 전화단말로 전화를 거는 발신자 전화단말(30.N)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본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 단말(20.N)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100)은,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를 착신자로 하는 착신호를 수신하여 연결하는 착신 교환기(110), 상기 착신 교환기와 연계되어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하는 지능망 시스템(12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음원제공을 담당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로 구성된다.
지능망 시스템(120)은 착신 교환기로부터 호를 연결받아 지능망 시스템 내 호의 교환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 교환기(121),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가입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그 서비스 수행을 위한 호의 제어를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장치(122) 및,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와 착신 교환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122)의 제어에 따라 링백톤 음원송출을 담당하는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123)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10.N)로 발신자 단말(30.N)에서 전화가 걸려왔을 때, 상기 가입자가 미리 발신자별로 링백톤 송출할 메시지를 설정해 놓은 경우, 해당 발신자별로 설정된 음원이 링백톤으로 송출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식당을 운영하는 자이고 발신자가 음식을 주문하는 자인 경우를 기술한다.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20.N)을 통하여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음식점 운영자는, 고객이 전화(30.N)로 음식을 주문할 때마다 음식점 내에 설치한 단말(20.N)에서 접속한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 제공 서비스 화면에서, 상기 고객의 전화번호(30.N)에 대한 주문 포인트를 입력한다. 이후 상기 고객이 또 음식을 전화(30.N)로 주문하면, 이전까지 적립된 포인트의 안내메시지가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의해 링백톤으로 송출되는 것이다.
도 2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는 제어부(131), 음원제공부(132),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33), 송출제어부(134), 음원송출부(135), 지능 망 연결부(136), 포탈서비스부(137), 로그인처리부(138)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31)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발신고객별 음원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
음원제공부(132)는 발신 고객별 링백톤 메시지를 구성하는 음원을 저장하며, 각 음원의 결합에 의해 링백톤이 구성되어 발신자 단말(30.N)로 송출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33)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가입자 및 그 서비스 설정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관련 정보에는 발신할 고객전화번호 및 각각의 전화번호의 발신시 송출될 링백톤의 설정 등이 포함된다. 링백톤 설정의 실시예에 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송출제어부(134)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33)로부터, 송출할 발신고객별 링백톤에 해당하는 음원ID결합을 검색하고, 당해 음원ID에 매칭되는 음원을 그 결합순서에 따라 상기 음원제공부(132)로부터 추출하여 음원송출부에 입력데이터로서 공급한다.
음원송출부(135)는 상기 송출제어부(1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된 음원들의 결합으로 링백톤을 송출한다.
지능망 연결부(136)는 지능망 시스템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담당한다.
포탈서비스부(137)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서비스에의 가입, 링백톤 송출할 음원데이터의 입력 및 발신자별 송출할 음원ID의 설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일련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로그인처리부(138)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가입자 정보에 따라 로그인 처리를 담당한다.
도 3은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 내의 음원송출부(135)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원송출부(135)는 다중화장치(Multiplexer)(135.1), 오디오 인코더(135.2), 데이터 인코더(135.3), 음성합성기(135.4) 및 ARS 시스템(13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중화장치(135.1)는 여러 음원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결합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며, 그 출력은 ARS 시스템(135.5)으로 입력되어 이를 통하여 링백톤으로서 발신자 단말로 송출된다.
오디오 인코더(135.2)는 특정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인코딩하여 다중화장치(135.2)의 입력신호로 만드는 장치이다. 특정음원이란,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저장된, 본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멘트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인코더(135.3)란 본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 등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합성기(135.4)의 입력신호로 만드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자의 고객인 발신자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게로 전화를 걸었을 때 송출되는 링백톤에, 상기 고객이 보유하는 누적포인트를 안내해 줄 수 있다. 이때 포인트에 해당하는 점수를,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접속하여, 텍스트로 입력해 놓을 수 있고, 이때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음성합성기(135.4)를 통하여 음원화 되어 다중화장치에 입력되고, ARS 시스템(135.5)을 거쳐 링백톤으로 송출된다.
도 4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을 네트워크 구성주체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신자(30.N)는 자신의 단말로써 착신자(10.N)에 전화를 건다(S401). 일 실시예로서, 상기 착신자는 음식점 운영자이고, 상기 발신자는 그 음식점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고객일 수 있다. 발신지역의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중전화망(미도시)을 거쳐 착신지역 내의 교환기(110)로 호 연결요청이 들어오고(S401) 착신 교환기(110)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능망 시스템(120) 내의 서비스 교환기(121)로 지능망 연결요청을 보낸다(S402). 서비스 교환기는 지능망 시스템(120) 내의 서비스 제어장치(122)로 부가서비스 가입여부에 따른 서비스 제어 요청을 보낸다(S403). 서비스 제어장치(122)는 착신자가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에의 가입을 확인하고,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음원을 제어하고 공급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가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지능망 시스템(120) 내의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123)로 서비스 수행명령을 보낸다(S404). 이후 지능망 시스템(120) 내의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123)와 발신자(30.N) 사이에 착신교환기(110)를 경유하는 음성채널이 설정된다(S405).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123)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링백톤을 송출할 것을 요청하고(S406),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는 발신자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링백톤을 송출한다(S407, S408) 이때의 링백톤은 상기 발신고객(30.N)에게 음식주문에 따라 적립된 포인트를 안내해 주는 것이라면, 적어도 한번의 안내는 발신자에게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지능망 시스템(120) 내의 서비스 제어장치(122)는 기본적인 메시지가 링백톤으로 송출될 수 있 는 시간경과를 체크한 후(S409), 지능망 시스템 내의 서비스 교환기(121)로, 착신호 연결시도 요청을 보낼 수 있고(S410) 이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인 착신자(10.N)에게 착신 링을 울릴 수 있다(S411,S412). 착신자가 전화를 받으면(S413), 착신교환기는 착신자가 응답하였음을 지능망 시스템(120) 내의 서비스 교환기(121)로 통지하고(S414) 서비스 교환기(121)는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123)을 통하여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링백톤 중지요청을 보내고(S415,S416),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는 링백톤을 중지한다(S417). 이후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123)와 착신교환기(110) 사이의 음성채널이 해제된다(S418)
도 5는 발신고객에 따라 송출할 음원데이터를,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입력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에 가입하려는 자가 자신의 단말에서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가 제공하는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신청한다(S501). 이때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회원가입에 따른 처리를 한다(S502). 이렇게 서비스에 가입한 자는 자신에게 전화하는 자에게 송출할 링백톤의 음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S503).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는 음식점 운영자이고, 상기 발신자는 그 음식점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고객이라면, 음식 주문에 따른 적립 포인트를 안내하는 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방식은, 미리 녹음하여 만들어 둔 음성파일을 홈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첨부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홈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단말에 연결된 마이크에 대고 직접 안내 멘트를 입 력하여 음성안내 멘트를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입력한 음원데이터에는 음원ID가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S504). 음원데이터 및 이에 부여된 음원ID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저장된다(S505). 모든 음원데이터의 입력이 되었다면, 발신고객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그 고객에게 송출될 링백톤을, 음원ID의 결합으로써 입력하여 링백톤 메시지를 설정한다(S506,S507). 링백톤을 설정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 제공방법을,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를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신자가 서비스 가입자를 착신자로 하여 전화를 걸면(S601), 지능망 시스템에서는 착신자가 본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여(S602)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링백톤을 송출할 것을 요청하여,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는 상기 요청을 수신한다(S603). 만약 전화를 건 발신번호에, 착신자인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특별히 설정된 링백톤 메시지가 있는지를 체크하여(S604), 없다면 기본설정된 링백톤 음원을 송출하고(S605), 있다면 설정된 링백톤을 송출하도록 한다. 이때 설정된 링백톤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음원의 ID를 결합하여 입력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는 각각의 음원을 다중화장치(Multiplexer)에 입력시켜(S606) 적절한 시간분배에 의해 순차적으로 출력시키고 이를 ARS 시스템으로 입력시키며(S607), ARS 시스템으로부터 음성채널을 통해 링백톤으로 송출된다(S608).
도 7은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20.N)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정보들은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접속한 화면이 구성되는 하나의 예를 나타낸다. '내가 만든 멘트'(710)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내가 입력한 음성 데이터의 목록을 가리킨다. 각각의 음원에는 ID(711)가 부여된다. 이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가 직접 부여할 수도 있고, 서비스 가입자가 입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목'(712)은 각각의 음원을 즉시 구분해 알 수 있도록 서비스 가입자가 정한다. '들어보기'버튼(713)을 클릭하여 음성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이 편리하다. ID 2번의 '*30*'은 직접 음성을 입력한 것이 아니고 '*30*'이라는 텍스트를 입력한 것이다. 여기서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는, 앞뒤의 *표시를 음성합성용 텍스트로 인식하고 '30'부분은 음성합성에 의한 음원을 송출한다. 즉, 고객의 음식주문에 따른 적립 포인트와 같이 항상 가변적인 부분을 일일이 녹음으로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므로 이와 같이 간단히 테스트로 입력해 두면,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130)에 의해 음성으로 합성되어 송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입력된 음원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고객별로 송출될 링백톤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발신번호'란(720)에 서비스 가입자에게로 전화를 걸 발신번호를 입력하고, '컬러링 메시지'(730)에는 상기 발신번호로 송출될 링백톤을 설정한다. 결합예(731)에서 입력된 1, 2, 3은 음원ID(711)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ID 1번의 '인사말1'은 서비스 가입자가 녹음한 멘트로서 "안녕하십니까? 고객님의 포인트는" 이고, ID 3번의 '인사말2'도 마찬가지로 서비 스 가입자가 녹음한 멘트로서 "점입니다"라고 입력된 음원이라면, '컬러링 메시지'(730)에 입력된 음원 ID의 결합인 1, 2, 3에 의해 "안녕하십니까? 고객님의 포인트는 30 점입니다"라고 발신자에게 링백톤이 송출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30'은 음성합성에 의해 송출된다. 또한 당해 발신고객이 경품에 당첨되었음을 알려줄 경우에는 음원 ID 4번의 '경품당첨'이라는 제목으로 입력한 음원으로 링백톤을 송출해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정된 음원 구성요소의 결합으로써, 발신고객별로 다양한 메시지를 형성하여 링백톤으로 송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음원 구성요소의 결합을 이용함과 함께, 특정한 음원에 있어서는 문자열을 음성으로 합성한 것을 이용하도록 하여, 각 발신고객별로 필요한 정보로서 자주 업데이트되는 정보에 대하여는, 간단한 문자열의 입력을 통한 업데이트만으로, 최신의 링백톤 메시지로 구성하여 송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특정 착신자(이하 서비스 가입자라 한다)로의 착신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설정에 의해 당해 호의 발신자와 매칭되어 등록된 정보를 상기 발신자에게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서비스(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라 한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이라 한다)이,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 내의 착신 교환기가, 발신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내의 지능망 시스템으로 호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부가서비스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이 확인된 경우, 상기 상기 지능망 시스템과 발신자 사이에, 상기 착신 교환기를 경유하는 음성채널이 형성되는 단계;
    (d)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 내의 서버로서, 상기 지능망 시스템과 연계된 서버(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라 한다)로 링백톤 음원송출을 요청하는 단계;
    (e) 링백톤 음원송출 요청을 수신한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상기 발신자에 대하여 링백톤 송출할 것으로 설정 된 음원을, 상기 지능망 시스템 및 착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2.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시, 서비스 가입자의 설정에 의해 당해 호의 발신자와 매칭되어 등록된 정보를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며, 착신호의 수신시 지능망 시스템으로 호를 연결시켜,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착신 교환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요청하는 정보로서, 특정 발신고객에게 링백톤으로 제공할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발신고객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 시도시, 상기 발신고객에 매칭되어 등록된 상기 고객제공용 정보를 링백톤의 음원으로 제공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호 연결을 받아, 착신자가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된 경우 착신 교환기와의 사이에 음성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링백톤이 발신자에게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지능망 시스템;
    을 포함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시스템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호를 연결받아 지능망 시스템 내에서 호의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교환기;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호의 제어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
    상기 착신 교환기와의 사이에 음성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링백톤 음원을 발신자에게 송출되도록 하는 발신자 음원제공서버 연결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시스템.
  4.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요청하는 정보로서, 특정 발신고객에게 링백톤으로 제공할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며, 상기 발신고객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 시도시, 상기 발신고객에 매칭되어 등록된 상기 발신고객제공용 정보를 링백톤의 음원으로 제공하는 서버(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라 한다)가, 상기 링백톤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한 자가 가입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가입을 신청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가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b)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자번호 및, 상기 발신자번호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시 링백톤으로 송출할 메시지를 구성하는 음원데이터(이하 음원 요소라 한다)를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원요소에 ID(이하 음원ID라 한다)를 부여하여, 상기 음원ID를 상기 음원요소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원요소가 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음원요소에 대하여 단계(b)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상기 단계(b) 또는 단계(c)에서 저장한 음원ID들을 결합하여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ID결합을, 상기 발신자번호의 단말(이하 발신자라 한다)에 대하여 송출할 링백톤(이하 발신고객별 링백톤이라 한다)의 식별번호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호 설정요청시, 지능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자인 착신자 정보 및, 상기 발신자번호를 포함하는 링백톤 송출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발신자에 대하여 저장된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음원ID결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g) 상기 음원ID결합에 해당하는 음원요소들을 음원제공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링백톤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음원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에서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단말과 연결된 마이크를 통하여 직접 입력한 음성멘트, 또는 미리 녹음하여 자신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던 음성파일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가 음성합성 기능을 구비한 경우,
    상기 단계(d)의 상기 발신고객별 링백톤의 구성요소에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음성합성한 것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방법.
  7.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요청하는 정보로서 특정 발신고객에게 제공할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며, 상기 발신고객이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 시도시, 상기 발신고객에 매칭되어 등록된 상기 발신고객제공용 정보를 링백톤의 음원으로 제공하는 서버로서,
    링백톤 송출할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제공부;
    음원들의 결합에 의한 링백톤을 송출하는 음원송출부;
    서비스 가입자 정보 및, 송출할 링백톤을 구성하는 음원ID결합(이하 링백톤 식별번호라 한다)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발신고객별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가입 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출할 발신고객별 링백톤에 해당하는 링백톤 식별번호를 검색하고, 당해 링백톤 식별번호를 구성하는 음원ID에 매칭되는 음원을, 그 결합순서에 따라 상기 음원제공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음원송출부에 입력데이터로서 공급하는 송출제어부;
    지능망 시스템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담당하는 지능망 연결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의 송출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의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서비스에의 가입, 링백톤 송출할 음원데이터의 입력 및 발신자별 송출할 음원ID의 설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일련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포탈서비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가입자 정보에 따라 로그인 처리를 담당하는 로그인 처리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원송출부는,
    다중화 장치(Multiplexer)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 장치는,
    다수의 음원입력 라인 및 하나의 출력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음원입력 라인으로 입력되는 각각의 음원을 시분할 방식(TDM)으로 결합시켜 상기 출력라인을 통하여 출력시키며,
    상기 ARS 시스템은, 상기 출력라인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링백톤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음원송출부는,
    음성합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합성기는,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음성데이터로 변환된 출력은,
    상기 다중화 장치의 입력라인 중 일부로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고객별 링백톤 음원제공서버.
KR20060067192A 2006-07-19 2006-07-19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81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7192A KR100819700B1 (ko) 2006-07-19 2006-07-19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7192A KR100819700B1 (ko) 2006-07-19 2006-07-19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936A true KR20080007936A (ko) 2008-01-23
KR100819700B1 KR100819700B1 (ko) 2008-04-04

Family

ID=3922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67192A KR100819700B1 (ko) 2006-07-19 2006-07-19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67B1 (ko) * 2010-06-08 2012-01-17 홍동식 통화대기시간에 음성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성데이터 제공시스템
KR20150029824A (ko) * 2013-09-10 2015-03-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링백 모드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23538A (ko) 2019-04-22 2020-10-30 안상준 발신자별 링백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236B1 (ko) 2014-01-28 2015-11-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착신음 중 통화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97B1 (ko) * 2002-08-10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선물 방법 및 장치
KR100417636B1 (ko) * 2003-07-12 2004-02-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34283B1 (ko) * 2004-05-18 2006-10-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67B1 (ko) * 2010-06-08 2012-01-17 홍동식 통화대기시간에 음성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성데이터 제공시스템
KR20150029824A (ko) * 2013-09-10 2015-03-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링백 모드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23538A (ko) 2019-04-22 2020-10-30 안상준 발신자별 링백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700B1 (ko)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3325B1 (en) Calling party identification announcement service
EP0539102B1 (en) Use of incoming caller line indentification
KR100591993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송출방법 및그 장치
JPH02501968A (ja) 複数の呼出し宛先の内の1つの宛先を選択する自動音声認識
US105365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hannel augmented voice telephony systems
KR100819700B1 (ko)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2001539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hannel augmented voice telephony systems
KR20030036310A (ko) 통신시스템에서 통화 연결음(링백톤)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
US20070121862A1 (en)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KR100509103B1 (ko) 통화중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36307A (ko) 통화연결음이 송출되는 시점에서 발신자가 송출음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KR100445322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배경음 제공 방법
KR102445838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능동적 통화연결음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01164330B (zh) 设定个性化回铃信息的系统和方法
KR20070035883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연결음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9095A (ko)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여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 방법.
US20050195956A1 (en) Method and apparatus concerning toll free numbers
KR100520748B1 (ko) 통화 배경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068675A (ko) Id 링백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10173B1 (ko) 문자열 전송 방법
KR20020097040A (ko) 프로그래스 톤을 없앤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20024209A (ko) 사서함을 이용한 휴대폰의 착신음 수신 및 송출방법
KR20030075930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문형 벨소리 및 링백톤 설정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0352B1 (ko) 착신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6095A (ko) 가입자 맞춤형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