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283B1 -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283B1
KR100634283B1 KR1020040035132A KR20040035132A KR100634283B1 KR 100634283 B1 KR100634283 B1 KR 100634283B1 KR 1020040035132 A KR1020040035132 A KR 1020040035132A KR 20040035132 A KR20040035132 A KR 20040035132A KR 100634283 B1 KR100634283 B1 KR 10063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ervice
user terminal
signal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194A (ko
Inventor
이황균
안희중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3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2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 서비스, 자동 응답 장치, 사용자 단말

Description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sound source of supplementary service using sound source of A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절차는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절차는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 명령 입력에 의해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제3자에게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선물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제3자에게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선물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사용자 단말(이동 단말기(101), 유선 전화기(107))
217 : 교환 장치(MSC(103), PSTN(105))
119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121 : 인증 센터(AuC) 또는 고객 센터(CS)
125 : 서비스 제공 장치
127 : 음원 공급 장치(MCP)
129 : 인터넷 접속 장치
131 : 다운로드 장치
본 발명은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접속 번호를 제공하는 본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음원을 이용하여 간단한 DTMF 키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여러 가지 서비스 음원, 즉 링백톤 대체음, 통화 배경음, 벨소리, 노래방, 뮤직 비디오 및 음악 앨범 등으로 설정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 응답 장치(ARS; Audio Response System)는 사용자가 서비스 음원에 따라 각기 다른 음원을 청취하게 되고 별도로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ARS 서비스는 한꺼번에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링백톤 대체음, 통화 배경음, 벨소리, 노래방 및 동영상 뮤직 비디오 등의 음원을 자신의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하나 의 ARS에 접속한 후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개별적으로 서비스 음원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ARS 장치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음원을 서비스 안내 절차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 또는 다운로드 받아야 하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ARS 서비스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은 불편하고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복잡하고 힘든 ARS 서비스를 단순하고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로 대체할 수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은 하나의 접속 번호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후 하나의 음원을 통하여 단순하고 쉽게 정의된 DTMF 서비스 단축키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서비스 음원을 설정할 수 있는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음원 공급 장치와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결과에 대한 확인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공급 장치가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한 후,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부터 음원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벨소리 서비스, 통화 배경음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뮤직 비디오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적어도 통신망을 구성하는 요소로 이동 단말기(101), 교환기(MSC; Mobile Switch Center, 103), 유선 단말기(107),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05),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11), 운용 지원부(11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19) 및 인증 센터(AuC; Authentication Center, 121) 또는 고객 센터(CS; Customer Care System, 1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운용 지원부(113)는 운용 관리 장치(OMS; Operation Management Center, 115) 및 과금 센터(Billing Center, 117)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서비스 제공 장치(125), 음원 공급 장치(MCP; Master Contents Provider, 127), 인터넷 접속 장치(129), 다운로드 장치(131) 및 서비스 제어기(SCP, 133)를 포함한다.
상기 교환기(103) 및 PSTN(105)는 사용자 단말(101, 107)의 유무선의 호를 서비스 제공 장치(125)에 라우팅(rout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111), OMS(115), 과금 센터(117),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19) 및 인증 센터(121)는 SS7망(109)을 통해 교환기(103)와 결합되어 있으며 기존 통신망의 기능을 그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 단말(101, 107) 또는 선물 수신 단말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설정 또는 서비스 설정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인증 센터(121)는 음원 공급 장치(127)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1, 107)에 대한 인증 역할을 수행한다. OMS(11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를 운용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금 센터(117)는 사용자 단말(101, 107)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처리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25)는 유무선 교환기(103, 105)와 결합하여 서비스 제공 음원을 가지고 사용자 단말(101, 107)로 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음원 공급 장치(127)는 사용자 단말(101, 107)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원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음원을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원 공급 장치(127)는 총괄 컨텐츠 제공 장치이며, 서비스 제공 장치(125) 연동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벨소리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뮤직 비디오 서비스 및 기타 음원 관련 서비스를 처리한다.
서비스 제어기(133)는 음원 공급 장치(127)와 연동하여 음원 등록/삭제/변경 및 가입자 등록/삭제 역할을 담당한다. 인터넷 접속 장치(129)는 사용자 단말(101, 107)이 서비스 제공 장치(125)를 통해 음원 관련 서비스를 설정한 후 서비스 확인 및 음원 다운로드 또는 서비스 음원에 대한 선물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가입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터넷 접속 장치(129)는 WEB, WAP 등과 결합한다. 다운로드 장치(131)는 부가 서비스로 설정된 음원을 사용자 단말 또는 선물을 수신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123)와 서비스 제공 장치(125)는 기능적으로 분리되더라도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장치(131) 및 인터넷 접속 장치(129)의 기능은 서비스 제공 장치(125)에서 통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25)는 E1/T1 처리 장치(201), 신호 처리 장치(203), 사용자 명령 수신 장치(205), 음성 처리 장치(207), IVR 기능 처리 장치(209), MCP 연동 장치(211), 음원 저장 장치(213) 및 서비스 운용 장치(215)를 포함한다.
E1/T1 처리 장치(201)는 교환 장치(217)와 물리적인 E1/T1으로 연결되어 있고 교환 장치(217)와 음성 및 신호를 연동한다. 여기서, 교환 장치(217)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MSC(Mobile Switch Center)를 의미하고 본 서비스 제공 장치(125)에 전화를 발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호를 라우팅하는(routing)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처리 장치(203)는 E1/T1 처리 장치(201)로 수신된 R2, PRI 또는 SS7과 같은 호 처리 신호를 처리하고, E1/T1 처리 장치(201)를 통해 호 처리 신호를 교환 장치(217)로 전송한다. 사용자 명령 수신 장치(205)는 서비스 음원 재생 도중이나 재생 전/후에 교환 장치(217)를 통해 수신되는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를 검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음성 처리 장치(207)는 IVR 기능 처리장치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서비스 음원을 E1/T1 처리 장치(201)를 통해 발신 가입자인 사용자 단말로 재생한다. IVR 기능 처리 장치(209)는 신호 처리 장치(203), 사용자 명령 수신 장치(205), 음성 처리 장치(207) 등과 연동 또는 제어하여 서비스 흐름을 원활하게 처리하는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 수신 장치(205)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명령 신호인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에 따라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음원을 선별한다. MCP 연동 장치(211)는 음원 공급 장치와 서비스 기능에 대하여 연동하여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음원 저장 장치(213)는 서비스 제공 장치(125)에서 제공할 서비스 음원을 저장한다. 한편 음원 저장 장치(213)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동될 수도 있다. 서비스 운용 장치(215)는 외부 장치(219)와 결합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25)의 내부 프로세스와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자에게 운용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운영자로 하여금 서비스 음원 변경이나 서비스 제공 장치(215)에 대한 장애 및 통계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절차는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특정 번호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다(단계 301).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700 ARS업체에서 제공하는 벨소리, 통화연결음 등을 제공하는 ARS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수 등 유명 연예인이 가상의 전화 번호를 부여 받은 후 자신을 홍보하거나, ARS 서비스를 통한 팬과의 만남, 자신의 노래 또는 앨범 등을 일반 고객에서 알리거나 컨텐츠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음원을 사용자 단말로 재생하여 송출한다(단계 303). 이후 사용자 단말의 고객은 재생되는 상기 음원을 벨소리, 링백톤 대체음, 노래방, 뮤직비디오, 통화배경음, OST 음원 등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305).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제3자에게 선물하기 위한 서비스인가를 판단한다(단계 307). 상기 판단 결과 선물 서비스인 경우 단계 309가 수행되며, 선물 서비스가 아닌 경우 단계 311이 수행된다.
단계 309에서 상기 고객은 선물을 수신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단계 311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집된 정보들을 음원 공급 장치로 전송하여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설정한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고객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음원을 자신이 원하는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거나 제3자에게 선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절차는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특정 번호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다(단계 401).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본 사용 방법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한다(단계 403). 여기서 상기 메시지의 예로 "안녕하세요. 음원 설정 서비스입니다. 본 서비스는 이용시 30초당 정보이용료 100원이 부과됩니다. 서비스를 원하지 않으시면 전화를 끊어주시기 바랍니다. 이용도중 별표를 누르시면 이전단계로, 우물정자를 누르시면 처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오늘의 최신곡은 1번, 인기베스트는 2번, 뮤직링은 3번을 눌러주세요. 음원 청취중 통화 연결음 설정은 1+#, 벨소리 설정은 2+#, 통화 배경음 설정은 3+#, 뮤직 비디오 설정은 4+#, 통화 연결음 선물은 1+*, 벨소리 선물은 2+*, 노래방 선물은 3+*, 뮤직 비디오 선물은 4+*입니다. 음원 청취중 이전 곡은 0번, 다음 곡은 9번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를 들 수 있다.
상기 고객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안내 메시지에 따라 음원의 장르를 선택한다(단계 405).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의 선택에 따른 장르 별로 미리 설정 된 음원을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출한다(단계 407). 이후 상기 고객은 재생되는 상기 음원을 벨소리, 링백톤 대체음, 노래방, 뮤직비디오, 통화배경음, OST 음원 등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409).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제3자에게 선물하기 위한 서비스인가를 판단한다(단계 411). 상기 판단 결과 선물 서비스인 경우 단계 413이 수행되며, 선물 서비스가 아닌 경우 단계 415가 수행된다.
단계 413에서 상기 고객은 선물을 수신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단계 415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집된 정보들을 음원 공급 장치로 전송하여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설정한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고객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음원을 자신이 원하는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거나 제3자에게 선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사용자 단말(501)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교환 장치(217)를 통해 특정 접속 번호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125)로 접속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25)는 서비스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음원은 교환 장치(217)를 통하여 사용 자 단말(501)로 송출된다. 상기 고객은 서비스 음원을 청취 중 또는 청취한 후에 사용자 명령 신호를 입력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설정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25)는 사용자 명령 신호를 검출한 후 고객이 요구한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판단한 후, 음원 공급 장치(127)로 서비스 설정을 요구한다. 음원 공급 장치(127)는 인증 센터(121)에 사용자 단말이 해당 통신 사업자 고객인지를 인증한다. 또한 음원 공급 장치(127)는 서비스 제어기(133)에 사용자 단말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직접 고객 자신의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음원 공급 장치(127)는 바로 발신 고객이 선택한 음원을 서비스 제어기(133)로 음원 설정 요청을 한다. 음원 공급 장치는 음원 설정에 따른 과금 요청을 과금 센터(117)에 요청한 후, 음원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19)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501)로 전송한다. 만일 발신 고객이 청취한 음원을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기를 선택한 경우, 음원 공급 장치(127)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19)를 통해 선물 수신 단말(503)로 선물이 수신되었다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음원 공급 장치(127)는 서비스 제공 장치(125)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설정 또는 선물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125)로부터 호를 끊은 후, 수신된 단문 메시지내의 URL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25) 또는 인터넷 접속 장치(129)를 통하여 설정된 음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물 수신 단말도 수신된 단문 메시지내의 URL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25) 또는 인터넷 접속 장치(129)를 통하여 설정된 음원을 확인할 수 있 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사용자 단말(501)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교환 장치(217)를 통해 특정 접속 번호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125)로 접속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25)는 서비스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음원은 교환 장치(217)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501)로 송출된다. 상기 고객은 서비스 음원을 청취 중 또는 청취한 후에 사용자 명령 신호를 입력하여 부가 서비스를 위한 음원 다운로드 요청을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부가 서비스는 벨소리 서비스 , 노래방 서비스, 뮤직 비디오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25)는 사용자 명령 신호를 검출한 후 고객이 요구한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판단한 후, 음원 공급 장치(127)로 부가 서비스 설정을 요구한다. 음원 공급 장치(127)는 인증 센터(121)에 사용자 단말(501) 또는 선물 수신 단말(503)이 해당 통신 사업자 고객인지를 인증한다. 또한 음원 공급 장치(127)는 발신단말(501)로 다운로드를 위한 단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19)를 통해 전송한다. 만일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기인 경우 선물 수신 단말(503)로 선물이 수신되었다는 내용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단문 메시지는 상기 고객이 선택한 서비스 음원에 대한 정보 및 URL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501) 또는 선물 수신 단말(503)은 음원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 정보를 통하여 음원 공급 장치(127) 또는 인터넷 접속 장치(129)에 접속한 후 음원 다운로드 요구를 한다. 음원 공급 장치(127)는 해당 서비스 음원 정보를 다운로드 장치(131)에 알려준다. 사용자 단말(501) 또는 선물 수신 단말(503)은 다운로드 장치(131)로부터 발신 고객이 선택한 음원 또는 수신된 선물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음원 공급 장치(127)는 과금 센터(117)에 과금 정보를 통보한다. 만일 사용자 단말에서 선물 수신 단말로 선물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고객에게 과금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 명령 입력에 의해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고객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교환 장치로 전화 발신을 시도한다(단계 701). 교환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사이에 호 셋업 과정이 수행되어 통화로가 형성되면(단계 703),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안내 메시지 및 서비스 제공 음원을 송출한다(단계 705). 만일 이때 사용자 단말에서 아무런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서비스 제공 음원과 안내 메시지 송출한다. 고객이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명령 신호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707).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명령 정보를 토대로 음원 공급 장치로 서비스 요청을 한다(단계 709). 음원 공급 장치는 발신 정보와 사용자 명령 정보를 바탕으로 가입자 인증을 한 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벨소리 다운로드, 노래방, 뮤직비디오 등의 정해진 음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711). 음원 공급 장치는 가입 인증 결과 및 서비스 제공 결과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713).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신한 가입 인증 결과 및 서비스 제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새로운 서비스 제공 안내 메시지 또는 결과를 전송한다(단계 715). 모든 서비스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호를 종료한다(단계 717).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 고객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다(단계 801).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발신 정보를 교환 장치로부터 얻고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제공 음원을 송출한다(단계 803).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 음원은 음악 자체, 안내 메시지, 음악 및 안내 메시지, 음악과 안내 메시지의 합성 등이 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무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유도하는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송출한다. 발신 고객이 음원 청취 중 DTMF 단축키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한다(단계 805). 사용자 명령을 검출한 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 등과 연동하여 서비스 확인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807). 모든 서비스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사이의 호와 자원은 해제된다(단계 809).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결과를 통보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을 하고(단계 81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 단말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811). 만일 발신 고객이 음원을 다른 사람에게 선물한 경우에는 선물을 수신할 단말로 선물이 도착했다는 단문 메시지가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 또는 선물 수신 단말은 WEB 또는 WAP(ME) 등의 인터넷 접속장치를 통하여 서비스 공급자에 접속한다(단계 813). 사용자 단말 또는 선물 수신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한 서비스 또는 선물받은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다운로드나 여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단계 815). 사용자 단말 또는 선물 수신 다말의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작업이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 또는 선물 수신 단말은 접속을 종료하여 서비스를 마친다(단계 817).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접속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 장치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 계 901). 여기서 연예인 등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번호는 연예인의 가상 접속 번호가 될 수 있다. 교환 장치는 인입된 호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라우팅한다(단계 903).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출한다(단계 905).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원을 자신의 링백톤 대체음으로 직접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907).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하고 분석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요청임을 판단한다(단계 909).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로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및 서비스 종류를 포함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911). 여기서 상기 서비스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될 것이다.
음원 공급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통신 사업자 가입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하여 인증 센터로 가입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913). 음원 공급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어기로 서비스 가입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915). 이때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 고객인 경우 선택된 음원을 서비스 제어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한다(단계 917). 음원 공급 장치는 과금 센터에 정보 이용료 과금 처리를 위하여 과금 정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919).
음원 공급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문자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92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923). 이후 음원 공급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음원 설정 완료 신호를 전송하여 음원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단계 925). 상기 음원 설정 완료 신호는 사용자 단말까지 전송될 것이다. 서비스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호를 해제한다(단계 927).
이후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 직접 접속하거나 수신한 음원 설정 완료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설정된 서비스 음원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929, 단계 931).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제3자에게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선물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접속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 장치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001). 교환 장치는 인입된 호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라우팅한다(단계 1003).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출한다(단계 1005).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원을 다른 사람에게 링백톤 대체음으로 선물하기 위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1007).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선물을 수신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하고 분석하여 링백톤 대체음 선물하기 서비스 요청임을 판단한다(단계 1009).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로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 계 1011).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선물을 수신할 단말의 식별자 및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링백톤 대체음 선물하기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 및 음원 정보를 포함한다. 음원 공급 장치는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문자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01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링백톤 대체음 음원이 선물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1015). 음원 공급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서비스 설정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017).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설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호를 해제한다(단계 1019).
선물 수신 단말은 선물받은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음원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한다(단계 1021). 여기서 단계 1021은 단계 1017 및 단계 1019보다 앞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터넷 접속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에 접속 정보를 알린다. 여기서 선물 수신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 또는 음원 공급 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을 설정할 수 있다. 인터넷 접속 장치와 연동된 음원 공급 장치는 선물 수신 단말이 자신의 통신 사업자 고객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입자 인증 요청 신호를 인증 센터로 전송한다(단계 1023). 또한 음원 공급 장치는 선물 수신 단말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 가입 인증 요청 신호를 서비스 제어기로 전송한다(단계 1025). 선물 수신 단말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따라 선물받 은 링백톤 대체음을 자신의 환경에 따라 음원을 설정한다. 상기 환경은 기본 음원, 발신자 그룹별, 시간대별 등을 포함한다. 음원 공급 장치는 선물 수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음원 설정에 따라 서비스 음원 설정 요청 신호를 서비스 제어기로 전송한다(단계 1027). 서비스 설정이 완료되면 음원 공급 장치는 정보 이용료 과금 처리를 위하여 과금 센터로 과금 정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029).
음원 공급 장치는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문자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03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 완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1033).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접속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 장치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01). 교환 장치는 인입된 호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라우팅한다(단계 1103).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출한다(단계 1105).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원을 자신의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기위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1107).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1109).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11).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및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음원 공급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통신 사업자 가입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하여 가입자 인증 요청 신호를 인증 센터로 전송한다(단계 1113). 음원 공급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문자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1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1117). 음원 공급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서비스 설정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19). 서비스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호를 해제한다(단계 1121).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음원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 음원을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한다(단계 1123). 인터넷 접속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인지 인증한다(단계 1125).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 접속 장치로 부가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27). 인터넷 접속 정치는 음원 공급 장치로 부가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29). 음원 공급 장치는 부가 서비스 음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장치로 전송하고(단계 1131),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장치는 부가 서비스 음원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1133).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음원 공급 장치는 과금 센터로 과금 정산을 위하여 과금 정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35).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제3자에게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선물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접속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 장치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201). 교환 장치는 인입된 호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라우팅한다(단계 1203).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출한다(단계 1205).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원을 다른 사람에게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선물하기 위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1207). 이때 사용자 단말은 선물을 수신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1209).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211).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선물 수신 단말의 식별자 및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음원 공급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가입자 인증 요청 신호를 인증 센터로 전송한다(단계 1213). 음원 공급 장치는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문자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21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1217). 음원 공급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서비스 설정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219). 서비스 설정이 완료되 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호를 해제한다(단계 1221).
선물 수신 단말은 수신된 음원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선물받은 부가 서비스 음원을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한다(단계 1223). 인터넷 접속 장치는 음원 공급 장치와 연동하여 선물 수신 단말에 대하여 정당한 선물 수신 단말인지 인증한다(단계 1225). 인증이 완료되면 선물 수신 단말은 인터넷 접속 장치로 부가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227). 인터넷 접속 정치는 음원 공급 장치로 부가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229). 음원 공급 장치는 부가 서비스 음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장치로 전송하고(단계 1231), 서비스 음원 다운로드 장치는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선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1233). 선물 수신 단말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음원 공급 장치는 과금 센터로 과금 정산을 위하여 과금 정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35). 이때 과금은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부과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RS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음원을 자신의 링백톤 대체음, 벨소리, 통화 배경음, 뮤직 비디오 등의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단축키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ARS 음원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는 ARS 음원을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 로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 '1#'와, 벨소리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 '2#'와, 통화 배경음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 '3#'와, 뮤직 비디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 '4#'와, 링백톤 대체음 음원 선물을 위한 단축키 '1*'와, 벨소리 음원 선물을 위한 단축키 '2*'와, 노래방 음원 선물을 위한 단축키 '3*'와, 뮤직 비디오 음원 선물을 위한 단축키 '4*'를 사용할 수 있다.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 음원 설정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화하면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송출하는 음원을 수신하는 중에 특정 DTMF 단축키를 이용하여 듣고 있는 광고 음원을 자신의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그 즉시 설정,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복잡하고 힘든 ARS 서비스를 단순하고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로 대체할 수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거나 선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은 하나의 접속 번호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 후 하나의 음원을 통하여 단순하고 쉽게 정의된 DTMF 서비스 단축키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거나 선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서비스중인 벨소리 또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ARS 업체에서 별도 홍보용 접속 번호를 부여해서 인기 있는 곡만을 계속 들려주면서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 받을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음원을 선택하여 청취 중 하나의 음원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별적 또는 한꺼번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수는 자신의 새로운 음악을 쉽게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의 최신 음악을 듣고,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으며 쉽게 친구에게 선물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사업자에게는 하나의 음원을 통하여 다양한 음원 서비스 변경의 편의성과 비가입자에게는 용이한 신규 가입을 제공함으로써 월정액, 통화료, 변경 회수 증대에 따른 정보이용료 수익 증대 등 고부가 수익 창출의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음원 공급 장치와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결과에 대한 확인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공급 장치가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한 후,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부터 음원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9.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벨소리 서비스, 통화 배경음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뮤직 비디오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1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12.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을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3.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4.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을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5.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을 포함하되,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6.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7.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8.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및 인터넷 접속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9.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음원 공급 장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선물 수신 단말과 결합하여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선물 수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음원을 설정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를 통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형성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자동 응답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는 DTMF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공급 장치로 상기 판단된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되-여기서,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음원 공급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설정 요구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선물 수신 단말로 음원 설정을 위한 콜백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물 수신 단말은 상기 콜백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을 부가 서비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40035132A 2004-05-18 2004-05-18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3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132A KR100634283B1 (ko) 2004-05-18 2004-05-18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132A KR100634283B1 (ko) 2004-05-18 2004-05-18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194A KR20050110194A (ko) 2005-11-23
KR100634283B1 true KR100634283B1 (ko) 2006-10-16

Family

ID=3728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132A KR100634283B1 (ko) 2004-05-18 2004-05-18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00B1 (ko) * 2006-07-19 2008-04-04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고객별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194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2892B1 (en) Method for setting substitute ringback tone of calling party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873148B2 (en) Handset originated programmable ringback replacement system
JP4700607B2 (ja) 電話発信中リングバックトーン代替音を利用して付加サービスの音源を変更およびプッシュ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769155B2 (en) Ringback/ringtone synchronization system
CN101305589B (zh) 帮助选择回铃音的回铃音偏好信息
US200401147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able personalized ring back tone service
KR20080066850A (ko) 전화통신을 위한 서비스 인터페이싱
US7920689B2 (en) Ringback replacement insertion system
EP19149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CN100525351C (zh) 实现彩铃业务的系统和方法
KR100634283B1 (ko) 자동 응답 장치의 음원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음원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78335B1 (ko) 개인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4075A (ko) 이동전화에서 통화 중 배경음악을 낮게 처리하여 삽입하는방법
RU2343647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овторяющихся тон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возврата вызо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0703013B1 (ko) Wcdma 망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링백톤으로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93166B1 (ko) 멀티미디어컨텐츠의 편집과 업로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736764B1 (ko) 국제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704401B1 (ko) 통화 중 단축키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JP2003348239A (ja) 電話交換接続システムおよび電話交換接続方法
KR20030036296A (ko) 국설망에서의 통화중대기 및 통화중전환 또는 호보류시 통화 대기자에게 들려주는 톤에 대한 대체음 발생 방법 및 장치
KR100577919B1 (ko)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36843B1 (ko) 단음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6166013A (ja) 音データ提供システム、その方法、交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110214A (ko)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65916B1 (ko) 무선 통신망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합 채널의구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