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914A - 낚시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낚시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914A
KR20080007914A KR1020060067143A KR20060067143A KR20080007914A KR 20080007914 A KR20080007914 A KR 20080007914A KR 1020060067143 A KR1020060067143 A KR 1020060067143A KR 20060067143 A KR20060067143 A KR 20060067143A KR 20080007914 A KR20080007914 A KR 20080007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finder
fishing
camera
functional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제
Original Assignee
김용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제 filed Critical 김용제
Priority to KR102006006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7914A/ko
Publication of KR2008000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낚시의 장면을 촬영하면서 근처의 수중 어군의 움직임을 관찰과 동시에 녹화를 할 수 있어 낚시의 입체적인 장면으로 녹화 후 편집할 수 있다.
HMD, 어군 탐지기, 수중 카메라

Description

낚시용 카메라{fishing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대의 부착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뷰파인더 전후 회전도
도 4는 본 발명의 뷰파인더 상하 회전도
도 5는 본 발명의 렌즈 상하좌우 조절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 이음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생 화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00: 뷰파인더
200: 카메라 센서 하우징
250: 렌즈
270: 어군 탐지기 센서
280: 수중카메라 센서
9: 고휘도 LED
11: 뷰파인더 전후 회전축
3: 전후 간격 조절 및 연결 이음대
5: 좌우 간격 조절 및 연결 이음대
2: 뷰파인더 상하 회전축
800: 머리 테
902: 머리 테 하우징
300: 이어폰
350: 소형 마이크
500: 기능장치
7: 연결 데이타 케이블
700: 선글라스
707: 선글라스 지지대
본 발명은 두부장착 디지털 카메라로서 뷰파인더로 화상 카메라 센서의 입력을 뷰파인더로 확인을 하면서 촬영도 하지만 UWB로 송신된 어군탐지기 센서의 입력과 수중카메라의 센서의 입력을 뷰파인더로 확인 관찰하면서 녹화를 하는 장치로서
낚시대의 연결된 유선으로 수중 카메라 센서의 입력으로 관찰하면서 녹화하는 장치가 있으나 실제 활동 모습과 수중의 어군의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관찰과 동시에 녹화하는 장치는 없다.
두부에 장착된 화상 카메라 센서(200)의 입력을, 뷰파인더(100)로 표시하는 동시에 녹화하면서 UWB로 송신된 어군 탐지기 센서(270)와 수중 카메라 센서(280)의 입력을 뷰파인더로(100)로 표시하면서 녹화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사람의 두부에 착용하며 눈앞에 위치할 수 있는 뷰파인더(100) 장치와; 가시광선과 적외선 겸용 카메라 센서가 내장된 카메라 센서 하우징(200)과; 렌즈(250)가 일체형이고; UWB로 수신된 어군 탐지기 센서(270)의 입력과; 수중 카메라 센서(280)의 입력을; 기능장치(500)에서 화상 정보로 변환하여 뷰파인더(100)로 표시하고 녹화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뷰파인더(100) 장치는 접안 디스플레이로서 눈과의 간격 조절 및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의 모델로 뷰파인더(100)의 위치조정의 예를 보면 뷰파인더(100)는 머리 테 하우징(902)에 부착되어 회동하는 뷰파인더 상하 회전축(2)에 의해 뷰파인더가 눈의 기준으로 상하 조절이 되고(도 4 참조) 전후 간결 조절 및 연결 이음대(3)과 좌우 간결 조절 및 연결 이음대(5)은 안테나 접이식 형태(도 6 참조)로서 전후 좌우 조절이 되며 뷰파인더는 뷰파인더 회전축(11)에 의해 전후 조절(도 3 참조)이 된다.
렌즈(250)는 뷰파인더(100)와 카메라 센서 하우징(200) 사이에 설치된 상하좌우 조절 기구에 의해 상하좌우 조절(도 5 참조)이 된다.
상기의 도 1의 모델만 한정되지 않고 안경테에 부착형태와 머리 밴드에 부착형태도 있다.
상기 기능장치(500) 보통의 상태에서는 카메라 센서(200)의 가시광선 입력(영상)이 뷰파인더(100)로 표시되며 녹화상태에서는 카메라 센서(200)의 입력을 뷰파인더(100)에 표시하는 동시에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연결 데이타 케이블(7)을 통하여 기능장치(500)에 녹화되고 가시광선으로 뷰파인더(100)에 영상이 표시되기 어려울 경우, 육안으로 가시광선이 없는 밤이나 환경에서 카메라 센서(200)의 입력을 적외선으로 전환하여 녹화하거나 뷰파인더(10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뷰파인더(100)는 카메라 센서(200)의 입력 외 UWB로 송신할 수 있는 어군탐지기 센서(270)와 수중 카메라 센서(280)의 입력을 기능장치(500)에서 UWB로 수신하여 화상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뷰파인더(100)로 확인하고자 선택할 경우 뷰파인더(100)로 표시하고 녹화할 경우 기능장치(500)에 녹화된다.
녹화 형태는 카메라 센서(200); 어군 탐지기 센서(270); 수중 카메라 센서(280)의 입력을 합체한 형태이고 어군 탐지기 센서(270); 수중 카메라 센서(280)의 녹화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둘 다 녹화할 수 있고 둘 중 하나만 녹화할 수 있다.
재생 형태는 세 가지 화상을 동시에 한 화면에 분리 표시할 수 있고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7 참조)
녹화된 화상 정보를 기능장치(500)에 의해서 뷰파인더(100)에 표시할 수 있다.
외부의 동영상 및 정지화상 입력을 받아 연결 데이타 케이블(7)를 통하여 뷰 파인더(100)에 표시하는 기능이 기능장치(500)에 있고 또한 외부와 영상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이 기능장치(500)에 있다.
기능장치(500)는 무선으로 영상과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음성을 블루투스 또는 UWB 송신하면 착용 중에 블루투스 또는 UWB로 수신하여 이어폰(300)로 듣고 음성 마이크(351)로 UWB 또는 블루투스로 송신할 수 있다.
기능장치(500)에서 연결 데이타 케이블(7)을 통하여서 줌 렌즈(250)를 조절한다.
연결 데이타 케이블(7)은 기능장치(50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고휘도 LED(9)는 뷰파인더 뒷면에 부착되어 있어 조명이 필요할 시 기능장치(500)에서 ON 위치로 S/W를 작동하면 된다.
고휘도 LED(9)는 기능장치 ON/OFF에 관계없는 단독적인 ON/OFF S/W로 작동된다.
소형 마이크(350)로 녹음이 가능하며 좌,우의 이어폰(300)으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선글라스(700)과 선글라스 지지대(707)은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할 경우 사용될 부가적인 장치이다.
촬영하고자 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눈앞에 위치한 뷰파인더(100)로 확인할 수 있으며 두 손이 자유로게 행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고 주 위의 시각이 확보되므로 자연스런 행동이 가능하다.
또한 낮에는 가시광선의 화상을 밤에는 적외선으로 촬영이 가능하며, 어두운 곳에서 적외선 카메라 센서의 입력으로 뷰파인더의 화상을 보면서 작업과 촬영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낚시활동 모습과 수중의 어군의 움직임을 동시에 녹화할 수 있고 관찰할 수 있어 낚시의 또 다른 재미를 얻을 수 있다.
고휘도 LED로 어두운 환경에서는 헤드 램프의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녹화된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입체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좌.우 뷰파인더(100)로 볼 수 있고, 녹화된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유무선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사람의 머리에 착용 되어;
    눈앞에 위치되는 뷰파인더(100)와;
    뷰파인더(100) 앞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카메라 센서가 내장된 카메라 센서 하우징(200)과;
    렌즈(250)와;
    기능장치(500)와 탈부착 가능한 연결 데이타 케이블(7)과;
    카메라 센서(200)에서 입력된 영상을 뷰파인더(100)로 표시하고 녹화와 동시 마이크의 소리도 저장할 수 있고;
    UWB로 수신된 어군 탐지기 센서의 입력을 기능장치(500)에서 영상정보로 변환하여 뷰파인더(500)로 표시할 수 있고 녹화하고;
    UWB로 수신된 수중 카메라 센서의 입력을 기능장치(500)에서 영상정보로 변환하여 뷰파인더(500)로 표시할 수 있고 녹화하고;
    기능장치(500)에 녹화된 영상 및 소리를 영상 및 소리로 재생하고;
    외부의 동영상을 받아 재생할 수 있고;
    외부와 영상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장치(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도 1 형태의 낚시용 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안경테 및 머리 밴드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카메라.
  4. 제 1항에 있어서, 줌 렌즈를 포함하는 낚시용 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장치(500)에 영상 및 소리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낚시용 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장치(500)에 음성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낚시용 카메라.
  7. 제 1항에 있어서, 눈과 뷰파인더의 위치를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하는 기구를 포함한 낚시용 카메라.
  8. 제 1항에 있어서, 렌즈의 초점을 상하 좌우로 변경할 수 있는 기구를 포함한 낚시용 카메라.
  9. 제 1항에 있어서, 휴대폰과 음성을 블루투스 또는 UWB로 송수신하는 기능장치(500)를 포함한 낚시용 카메라.
  10. 제 1항에 있어서, 가시광선과 적외선 겸용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 낚시용 카메라.
  11. 제 1항에 있어서, 고휘도 LED(9)를 헤드 램프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카메라
KR1020060067143A 2006-07-19 2006-07-19 낚시용 카메라 KR20080007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43A KR20080007914A (ko) 2006-07-19 2006-07-19 낚시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43A KR20080007914A (ko) 2006-07-19 2006-07-19 낚시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914A true KR20080007914A (ko) 2008-01-23

Family

ID=3922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143A KR20080007914A (ko) 2006-07-19 2006-07-19 낚시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79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076A3 (en) * 2009-09-14 2011-07-14 Anson Sims System and method for fis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076A3 (en) * 2009-09-14 2011-07-14 Anson Sims System and method for fi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3873B (zh) 照相机以及佩戴型图像显示装置
JP609419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20150119106A1 (en) Eyeglass-attached video display based on wireless transmission from a cell phone
WO2015125626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270685A1 (en) Personal recording, illuminating, and data transmitting apparatus
WO2019153650A1 (zh) 显示设备
JPH0263379A (ja) 小型画像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ための頭部装着式ディスプレイ
JPH11164186A (ja) 画像記録装置
JP2010516186A (ja) 単眼式の表示装置
US20160344918A1 (en) Mobile reverse video capture and display system
US10075624B2 (en) Wearable portable camera
KR20070113067A (ko) 휴대용 입체 카메라
JP5020553B2 (ja) 顔面装着型画像視認装置
JP2011101300A (ja) 撮影装置および遠隔作業支援システム
JP5199156B2 (ja) カメラ及び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2008070551A (ja)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KR20080007914A (ko) 낚시용 카메라
JP6262890B1 (ja) 視聴装置、水中空間視聴システム及び水中空間視聴方法
JP2011109462A (ja) 映像送信装置、撮影装置および遠隔作業支援システム
KR20080104098A (ko) 무선조정과 무선카메라
JP2010193287A (ja) カメラ
JP2013174729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JP2017183857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070110181A (ko) 수술용 자동항법의 양안 카메라
CN211123484U (zh) 一种新型混合现实头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