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34U -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34U
KR20080006534U KR2020070010219U KR20070010219U KR20080006534U KR 20080006534 U KR20080006534 U KR 20080006534U KR 2020070010219 U KR2020070010219 U KR 2020070010219U KR 20070010219 U KR20070010219 U KR 20070010219U KR 20080006534 U KR20080006534 U KR 20080006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member
frame
wiper
horizontal extension
sp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232Y1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23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2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는 스포일러 부재 및 이 스포일러 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유리면에 접촉되어 이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어댑터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포일러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스포일러 부재는, 삼각형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중 바람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상부 돌출부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프레임, 와이퍼 스트립, 어댑터, 스포일러 부재, 절개 홈, 압출성형

Description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SPOILER MEMBER AND WIPER BLADE WITH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압출성형된 직후의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압출성형된 직후의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조립을 위한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상기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c)는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조립을 위한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 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상기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c)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20 : 와이퍼 스트립
30 : 어댑터 40, 50 : 스포일러 부재
41, 51 : 상부 돌출부 42, 52 : 수평 연장부
43, 53 : 절곡 연장부 44, 54 : 결합 홈
45, 55 : 절개 홈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는 스포일러 부재 및 이 스포일러 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대기 중의 먼지 또는 기상상태에 따라 유리면이 오염되면 시야가 흐려져 안전운행에 방해되므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시계 확보를 위해 유리면과 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하여 유리면을 닦아주는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다.
통상 와이퍼 장치는, 차체에 고정 장착된 모터에 의해 일정한 각도 내에서 왕복 선회하는 와이퍼 암과, 이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선회되면서 유리면을 닦아주는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통상 복수개의 링크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결합되어 자동차의 유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고무재질의 와이퍼 스트립과, 프레임에 형성된 브래킷에 결합되어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연결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링크 부재를 서로 조립하여야 하였으므로, 부품 개수가 많아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하나의 기다란 플레이트에 의해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감소시킨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안되어 있다.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에는 차량의 주행중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억제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스포일러 부재가 장착되기도 한다.
그런데, 스포일러 부재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형상은 중심부분의 폭이 양쪽 말단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프레임의 형상에 맞춰 스포일러 부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 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포일러 부재 및 이 스포일러 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유리면에 접촉되어 이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어댑터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포일러 부재; 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포일러 부재는, 삼각형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중 바람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상부 돌출부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 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포일러 부재는, 상기 상부 돌출부의 양쪽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절곡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절곡 연장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 홈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를 2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 홈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일부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는 2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 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스포일러 부재의 말단 부분의 폭은, 상기 프레임의 말단 부분의 폭에 상응하거나 좁아, 상기 스포일러 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그대로 끼워지거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포일러 부재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기 스포일러 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에는 압출성형된 직후의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b)에는 압출성형된 직후의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스포일러 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에는 조립을 위한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b)에는 상기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에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b)에 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c)에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하나의 기다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차량의 유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고무재질의 와이퍼 스트립(20)과,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차량 측의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되는 어댑터(30)와,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포일러 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와이퍼 스트립(20)이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되도록 일정한 탄성력으로 와이퍼 스트립(20)을 유리면에 대해 가압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은 만곡되어 있는 기다란 금속재 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양쪽 말단부분으로부터 어댑터(30)에 이르기 직전까지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와이퍼 스트립(20)이 끼워지는 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프레임과 와이퍼 스트립 사이의 결합구조는 종래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좋고 그로 인해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으로서는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과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어댑터(30)는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프레임(10)과는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되어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포일러 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압출성형되고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후 간단한 후가공을 거쳐 제작된다.
도 2에는 압출성형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 상태의 스포일러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일러 부재(40)의 단면형상은 대략 A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스포일러 부재(40)는, 삼각형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중 바람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41)와, 상부 돌출부(41)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장부(42)와, 상부 돌출부(41)의 양쪽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절곡 연장부(43)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부 돌출부(41)의 형상은 단면이 삼각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스포일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단면형상을 가지더라도 좋으며, 그 형상으로 인하여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연장부(42)와 절곡 연장부(43)는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결합 홈(44)을 형성하며, 이 결합 홈(44)에 프레임(10)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짐으로써 프레임(10)과 스포일러 부재(4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포일러 부재(40)가 결합되는 프레임(10)의 형상은 어댑터(30) 측의 폭이 양쪽 말단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일러 부재(40)가 일정한 폭을 가지는 상태로는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길이에 따라 폭이 변동되는 프레임(10)에 스포일러 부재(4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일러 부재(40)의 수평 연장부(42) 전체 길이에 걸쳐 절개 홈(45)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이 절개 홈(45)은 최초 압출성형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절개 홈(45)으로 인하여 수평 연장부(42)는 2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 부재(4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수평 연장부(42)에 절개 홈(45)을 형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일러 부재(40)의 폭이 프레임(10)을 따라서 자유롭게 넓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프레임(10)에 끼워져 변형된 상태의 스포일러 부재(40)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프레임(10)을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포일러 부재(40)는 탄성을 가지므로, 폭이 넓어질 경우에 복원력에 의해 스포일러 부재(40)는 프레임(10)에 더욱 밀착되어 고정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에는 조립을 위한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b)에는 상기 절개 홈이 형성된 상기 스포일러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바람 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에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b)에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c)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50)는, 수평 연장부(52) 전체 길이 중 일부에 걸쳐 절개 홈(55)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수평 연장부(42)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절개 홈(45)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실시예의 스포일러 부재(40)와 차이점을 가진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50)는, 제1 실시예의 스포일러 부재(50)와 마찬가지로, 대략 A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삼각형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중 바람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51)와, 상부 돌출부(51)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장부(52)와, 상부 돌출부(51)의 양쪽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절곡 연장부(53)로 이루어진다.
수평 연장부(52)와 절곡 연장부(53)는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결합 홈(54)을 형성하며, 이 결합 홈(54)에 프레임(10)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짐으로써 프레임(10)과 스포일러 부재(5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50)는, 수평 연장부(52) 전체 길이 중 일부에 걸쳐 절개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절개 홈(55)은 스포일러 부재(50)의 수평 연장부(52)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타측 말단에 도달되기 전에 끝난다. 결과적으로 절개 홈(55)은 수평 연장부(52)의 전체 길이 중 일부에만 걸쳐서 형성되며, 수평 연장부(52)는 2개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절개 홈(55)이 형성되지 않은 스포일러 부재(50)의 타측 말단 부분의 폭은 프레임(10)의 말단 부분의 폭에 상응하거나 약간 좁아, 그대로 끼워지거나 약간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40, 50)에 의하면, 압출성형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에 절개 홈(45, 55)을 형성하는 단순한 후가공만을 추가로 실시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사출성형 대신에 저렴한 압출성형 방식으로 스포일러 부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포일러 부재 및 이 스포일러 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Claims (6)

  1.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유리면에 접촉되어 이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어댑터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포일러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스포일러 부재는, 삼각형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중 바람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상부 돌출부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 부재는, 상기 상부 돌출부의 양쪽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절곡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절곡 연장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개 홈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를 2개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개 홈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일부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는 2개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개 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스포일러 부재의 말단 부분의 폭은, 상기 프레임의 말단 부분의 폭에 상응하거나 좁아, 상기 스포일러 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그대로 끼워지거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 부재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2020070010219U 2007-06-21 2007-06-21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KR200445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19U KR200445232Y1 (ko) 2007-06-21 2007-06-21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19U KR200445232Y1 (ko) 2007-06-21 2007-06-21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34U true KR20080006534U (ko) 2008-12-26
KR200445232Y1 KR200445232Y1 (ko) 2009-07-10

Family

ID=4135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219U KR200445232Y1 (ko) 2007-06-21 2007-06-21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2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97A2 (ko) * 2011-09-21 2013-03-28 (주)에이피아이코리아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CN117583889A (zh) * 2024-01-05 2024-02-23 上海越联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扰流翼的生产装置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928Y1 (ko) 2005-10-25 2006-02-07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KR100705663B1 (ko) 2006-02-28 2007-04-09 주식회사 캄코 와이퍼 블레이드
KR200418593Y1 (ko) 2006-03-27 2006-06-14 강동훈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76957B1 (ko) * 2006-04-05 2007-02-02 고려제강 주식회사 플랫형 와이퍼 블레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97A2 (ko) * 2011-09-21 2013-03-28 (주)에이피아이코리아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WO2013042997A3 (ko) * 2011-09-21 2013-07-04 (주)에이피아이코리아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CN117583889A (zh) * 2024-01-05 2024-02-23 上海越联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扰流翼的生产装置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232Y1 (ko) 200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975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CA2896733C (en) Wiper coupler adapto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EP2470402B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CA2818258C (en) Beam blade wiper assembly having self-locking end cap
US20150151718A1 (en) Wiper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CN104691506A (zh) 扁平雨刮器及其耦合方法
US20150013093A1 (en) Wiper coupler adapto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20140101884A1 (en) Beam blade wip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KR200445232Y1 (ko)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WO2015184095A1 (en) Wiper assembly having an end cap
EP3126197B1 (en) Winter wiper assembly
US10391980B2 (en) End cap for wiper assembly
KR10059901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20160167622A1 (en) Wiper blade
CN213413734U (zh) 橡胶元件、刮水条和刮水系统
EP1647459B1 (en) A windscreen wiper arm
US20140130285A1 (en) Airfoil for wiper assembly
KR200467053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