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28U - 절첩식 욕조 - Google Patents

절첩식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28U
KR20080006528U KR2020070010200U KR20070010200U KR20080006528U KR 20080006528 U KR20080006528 U KR 20080006528U KR 2020070010200 U KR2020070010200 U KR 2020070010200U KR 20070010200 U KR20070010200 U KR 20070010200U KR 20080006528 U KR20080006528 U KR 200800065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ide plate
plate
bottom plat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훈섭
Original Assignee
윤훈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훈섭 filed Critical 윤훈섭
Priority to KR2020070010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528U/ko
Publication of KR200800065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 A47K3/162Collapsible stands or supports for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적은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비사용시 부피가 줄어들도록 절첩하여 화장실의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절첩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절첩가능하게 전후면판(12,14) 및 측면판(16)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판(12)과 측면판(16)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바닥절첩부(600)과 측판절첩부(65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절첩부(600)는 바닥판(12)에 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며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구획바닥판(601)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절첩부(610)와, 상기 구획바닥판(601)에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구획바닥판(601)을 다시 한 쌍의 전후삼각판(602) 및 좌우삼각판(603)으로 구획하는 ‘×’자 형상의 제2절첩부(620)와, 상기 한 쌍의 좌우삼각판(603)의 중앙부에 상기 제1절첩부(610)와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절첩부(6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절첩부(650)는 제1,3절첩부(610,630)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를 제공한다.
절첩식, 욕조, 절첩부

Description

절첩식 욕조{Fold type bathtub}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첩식 욕조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욕조 12. 바닥판
14. 전면판 15. 후면판
16. 측면판 140. 손잡이
200. 연결와이어 250. 고정와이어
300. 배수구 350. 배수캡
400. 지지고리 500. 지지바아
510. 물림홈
본 고안은 절첩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절첩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합성수지나 도기 등의 재질로 성형되어 가정 등의 화장실(욕실)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구비하거나 완전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목욕이나 세탁 등의 용도로 사용하게 되며, 빌라나 아파트 등의 주택시공시 화장실에 필수적으로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욕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빈도가 적음에 반해 불필요하게 화장실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으므로 화장실 내부의 공간활용을 충분히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비사용시 부피가 줄어들도록 절첩하여 화장실의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절첩식 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절첩가능하게 전후면판(12,14) 및 측면판(16)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판(12)과 측면판(16)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바닥절첩부(600)과 측판절첩부(65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절첩부(600)는 바닥판(12)에 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며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구획바닥판(601)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절첩부(610)와, 상기 구획바닥판(601)에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구획바닥판(601)을 다시 한 쌍의 전후삼각판(602) 및 좌우삼각판(603)으로 구획하는 ‘×’자 형상의 제2절첩부(620)와, 상기 한 쌍의 좌우삼각판(603)의 중앙부에 상기 제1절첩부(610)와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절첩부(6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절첩부(650)는 제1,3절첩부(610,630)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절첩가능하게 전후면판(12,14) 및 측면판(16)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판(12)에는 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절첩부(120,122)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6)에는 상기 제1절첩부(120)에 서로 팽행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제2절첩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첩부(160) 사이사이에는 측면판(16)에는 측면판(16)의 상단에서 측면판(16)의 중앙부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제2절첩부(160) 하단 및 측면판(16)의 하측 양단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된 제3절첩부(1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첩식 욕조(10)는 합성수지재로 사각 통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즉, 상부가 개방되며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 통형상으로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의 바닥판(12)과, 상기 바닥판(12)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서로 절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후면판(14,15) 및 측면판(16)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이때, 후면판(15)의 외측면 양측에는 ‘┐’자 형상의 끼움편(155)이 서로 대칭되게 수직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욕조(10)가 설치되는 화장실 벽면에는 상기 끼움편(155)이 수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자 형상의 끼움브라켓(156)을 고정하여 상기 끼움편(155)을 상기 끼움브라켓(156)에 끼움 결합시켜 욕조(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12)과 측면판(16)에는 욕조(10)을 종방향으로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바닥철접부(600)와 측판절첩부(6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바닥절첩부(600)는 다수의 절첩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닥판(12)에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구획바닥판(601)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1절첩부(610)와, 상기 구획바닥판(601)에 서로 교차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 즉, 구획바닥판(601)의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구획바닥판(601)을 다시 한 쌍의 전후삼각판(602) 및 좌우삼각판(603)으로 구획하는 ‘×’자 형상의 제2절첩부(620)와, 상기 구획바닥판(601)의 중앙부에 즉, 상기 한 쌍의 좌우삼각판(603)의 중앙부에 상기 제1절첩부(610)와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삼각판(603)를 다시 2개로 구획하는 제3절첩부(6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2)은 상기 제1절첩부(610)에 의해 종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제1절첩부(610)에 의해 형성된 구획바닥판(601)은 상기 제2,3절첩부(620,530)에 의해 전방에서 보았을때 대략 정삼각형태로 절첩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절첩부(610)에 의해 바닥판(12)의 구획바닥 판(601)이 지그재그로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제2,3절첩부(620,530)에 의해 구획바닥판(601)의 정 중앙이 상향 돌출되면서 2개로 구획된 좌우삼각판(603)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전후삼각판(602)도 서로 마주보도록 절첩된다. 즉, 상기 바닥판(12)은 복수의 구획바닥판(601)이 정삼각형태로 절첩된다.
이때, 상기 측면판(16)과 이웃한 구획바닥판(601)의 양측은 즉, 측면판(16)과 이웃한 구획바닥판(601)의 좌우삼각판(603) 부분은 삼각형태의 연질부(604)로 이루어져 구획바닥판(601)이 원활하게 정삼각형태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판절첩부(650)는 측면판(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측면판(16)이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2)의 제1,3절첩부(610,630)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측면판(16)도 바닥판(12)과 동시에 절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3절첩부(630)의 측판절첩부(650)가 욕조(10)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절첩되어 상기 좌우삼각판(603) 사이로 측면판(16)이 절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판(14)의 전면에는 손잡이(140)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140)를 사용자가 잡고 욕조(10)를 용이하게 접첩시키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후면판(14,15)의 하단 일측에는 배수구(300)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300)에는 배수캡(350)이 구비되어, 상기 배수캡(350)을 개방하여 욕조(10)에 담겨진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구(300)를 전후면판(14,15)에 형성된다고 언급 및 도시하였으나, 바닥판(12)이나 측면판(16)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 론이다.
이때, 상기 측면판(16)의 상단에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되는 물림홈(지시하지 않음)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지지채널(700)이 측면판(16)의 상단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하여 측면판(16)이 펼쳐졌을때 임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16)과 전후면판(14,15) 상단에는 벨크로파스너로 고정부재(750)가 부착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750)에 벨크로파스너로 이루어진 고정밴드(760)를 부착하여 욕조(10)의 사이즈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줄여서 사용하거나 욕조(10)를 부피가 줄어들도록 완전히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욕조(1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팔을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부재(8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욕조(10)의 내부 일측에는 즉, 전후면판(14,15) 내측에는 등받이부재(85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부재(860)와 팔걸이부재(800)에 의해 사용자의 등을 기대고 팔을 걸을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판(16)이나 전후면판(14,16)에는 에어유입공(도시하지 않음)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에어유입공에 에어펌프(900)를 접속 연결하여 욕조(10)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욕조(10)는 합성수지재로 사각 통형상으로 성형하되, 바닥판(12) 및 측면판(16)에 바닥절첩부(600)와 측판절첩부(650)를 형성하여 부피가 줄어들도록 절접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정형화된 욕조를 가정의 화장실에 설치하는 것에 비해 공간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첩식 욕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상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첩식 욕조(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의 바닥판(12)과, 상기 바닥판(12)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전후면판(14,15) 및 측면판(16)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사각 통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2)에는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평행하도록 횡방향을 따라 제1절첩부(120,122)가 복수개 즉, 5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절첩부(120,122)에 의해 욕조(10)를 절첩 접으면 바닥판(12)이 상하 지그재그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절첩부(120,122)의 개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5개 형성된다고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홀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판(16)에도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평행하도 록 수직방향을 따라 제2절첩부(160)가 복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절첩부(160)는 상기 다수의 제1절첩부(120,122)중 짝수위치의 제1절첩부(122)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절첩부(160) 사이사이에는 측면판(16)에도 즉, 측면판(16) 양단과 제2절첩부(160) 사이 및 제2절첩부(160) 사이의 측면판(16)에는 이 측면판(16)의 상단에서 측면판(16)의 중앙부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제2절첩부(160) 하단 및 측면판(16)의 하측 양단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된 눕힌 영문자 ‘Y’형상의 제3절첩부(16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3절첩부(160,162)에 의해 욕조(10)를 절첩 접으면 측면판(16) 욕조(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상기 바닥판(12) 및 측면판(16)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절첩부(120,122,160,162)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가 줄어들도록 절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측면판(16)의 상단에는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측면판(16)을 연결하는 연결와이어(200)가 구비되어, 욕조(10)내에 물을 담수시키면 측면판(16)이 수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와이어(200)를 측면판(16)에 연결시키는 구성은 측면판(16)에 고정고리(지시하지 않음)를 고정시키고 연결와이어(200)의 양단에 걸림고리(지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연결와이어(200)의 걸림고리를 측면판(16)의 고정고리에 걸어서 연결와이어어(200)를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후면판(15)에는 종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공(150)이 다수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50)을 통해 화장실의 벽체에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하여 욕조(10)를 화장실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4)의 전면 양단에는 단부에 걸림고리(지시하지 않음)가 구비된 고정와이어(250)가 연결 접속되고, 상기 욕조(10)가 고정되는 화장실 벽면 양측에는 고정고리(지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와이어(250)를 화장실 벽면에 구비된 고정고리에 걸어서 욕조(10)를 접첩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욕조(10)는 합성수지재로 사각 통형상으로 성형하되, 바닥판(12) 및 측면판(16)에 제1,2,3절첩부(120,122,160,162)를 형성하여 부피가 줄어들도록 절접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정형화된 욕조를 가정의 화장실에 설치하는 것에 비해 공간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욕조를 도시한 것으로,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4)과 측면판(16)의 외측면에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하 복수열로 상부 및 측방향이 개방된 ‘└’자 형상의 지지고리(400)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리(400)에는 전면판(14)과 측면판(16)의 둘레부를 따라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지지바아(500)가 안착 구비된다. 이때, 상기 측면판(16) 지지고리(400)에 안착되는 지지바아(500)의 화장실 벽체측 단부는 화장실 벽체에 도시하지 않은 걸림수단에 의해 걸려져 욕조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판(14)의 지지고리(400)에 안착되는 지지바아(500)의 양단과 측면판(16)의 지지고리(400)에 안착되는 지지바아(500)의 일단부에는 즉, 서로 이웃하는 지지바아(500)의 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물림홈(510)이 형성되어 지지바아(500)들끼리 상기 물림홈(510)에 의해 맞물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연결와이어(200)에 의해 측면판(16)이 수압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상기 지지고리(400) 및 지지바아(500)에 의해 전면판(14)은 물론 측면판(16)이 수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욕조를 합성수지재로 상부가 개방되도록 사각 통형상으로 성형하되, 바닥판 및 측면판에 제1,2,3절첩부를 형성하여 부피가 줄어들도록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욕조 비사용시 절첩시켜서 보관하여 화장실의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 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절첩가능하게 전후면판(12,14) 및 측면판(16)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판(12)과 측면판(16)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바닥절첩부(600)과 측판절첩부(6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절첩부(600)는 바닥판(12)에 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며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구획바닥판(601)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절첩부(610)와, 상기 구획바닥판(601)에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구획바닥판(601)을 다시 한 쌍의 전후삼각판(602) 및 좌우삼각판(603)으로 구획하는 ‘×’자 형상의 제2절첩부(620)와, 상기 한 쌍의 좌우삼각판(603)의 중앙부에 상기 제1절첩부(610)와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절첩부(6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절첩부(650)는 제1,3절첩부(610,630)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16)과 이웃한 좌우삼각판(603)측은 삼각형태의 연질부(6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4.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절첩가능하게 전후면판(12,14) 및 측면판(16)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판(12)에는 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절첩부(120,122)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6)에는 상기 제1절첩부(120)에 서로 팽행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제2절첩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첩부(160) 사이사이에는 측면판(16)에는 측면판(16)의 상단에서 측면판(16)의 중앙부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제2절첩부(160) 하단 및 측면판(16)의 하측 양단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된 제3절첩부(1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5.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15)에는 욕조를 화장실 벽체에 체결구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150)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6.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15)의 외측면 양측과 욕조가 설치되는 벽면에는 욕조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자 형상의 끼움편(155)과 ‘└’자 형상의 끼움브라켓(15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7.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16)의 상단에는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측면판(16)을 연결하는 연결와이어(200)나 측면판(160)의 상단을 커버하는 ‘ㄷ’자 지지채널(70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2)이나 전면판(14) 또는 측면판(16)의 일측에는 배수구(300)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300)에는 배수캡(3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4)과 측면판(16)의 외측면에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자 형상의 지지고리(400)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리(400)에는 전면판(14)과 측면판(16)의 둘레부를 따라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지지바아(500)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판(14,15)과 측면판(16)의 상단에는 벨크로파스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750)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부재(750)에 벨크로파스너로 이루어진 고정밴드(760)를 부착하여 욕조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1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2)이나 전후면판(14,15), 측면 판(16) 중 어느 한 곳에는 에어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공에는 에어펌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욕조.
KR2020070010200U 2007-06-21 2007-06-21 절첩식 욕조 KR200800065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00U KR20080006528U (ko) 2007-06-21 2007-06-21 절첩식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00U KR20080006528U (ko) 2007-06-21 2007-06-21 절첩식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28U true KR20080006528U (ko) 2008-12-26

Family

ID=4929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200U KR20080006528U (ko) 2007-06-21 2007-06-21 절첩식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52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104A1 (ko) * 2009-08-14 2011-02-17 주식회사 샤웬비 폴더형 슬림욕조
CN104414531A (zh) * 2013-08-27 2015-03-18 徐昭俐 多样组合式拉伸缩提放折叠盛器皿
CN106725012A (zh) * 2016-12-19 2017-05-31 杜中文 节水折叠浴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104A1 (ko) * 2009-08-14 2011-02-17 주식회사 샤웬비 폴더형 슬림욕조
CN104414531A (zh) * 2013-08-27 2015-03-18 徐昭俐 多样组合式拉伸缩提放折叠盛器皿
CN104414531B (zh) * 2013-08-27 2017-07-28 徐昭俐 多样组合式拉伸缩提放折叠盛器皿
CN106725012A (zh) * 2016-12-19 2017-05-31 杜中文 节水折叠浴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983B1 (en) Changing curtain apparatus
KR20080006528U (ko) 절첩식 욕조
US4975991A (en) Bathtub seat apparatus
US6663176B1 (en) Seating device
JP2008029430A (ja) カウンター兼椅子部材を備えた浴室の構造
CN209203063U (zh) 一种具有稳定性好强度高的洗澡盆
JP2009261626A (ja) 浴室構造
JP2013006014A (ja) 浴室用椅子、浴室用椅子と洗面器の組み合わせ、及び、それに用いる洗面器
CN105167683A (zh) 多功能浴桶
CN214258720U (zh) 一种桌体结构及儿童玩具桌
JP7186551B2 (ja) 浴室カウンター収納構造及び浴室ユニット
CN205215093U (zh) 多功能浴桶
JP7186550B2 (ja) 浴室カウンター及び浴室ユニット
CN218355921U (zh) 一种折叠浴盆
KR200286619Y1 (ko) 유아용 욕조 세트
KR102006130B1 (ko)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CN218355644U (zh) 一种便于拆洗的淋浴遮挡帘面料
JP5371455B2 (ja) 置き台、及び浴室構造
JP3121805U7 (ko)
JP2987588B1 (ja) 担架型折りたたみ式浴槽
JP2000166788A (ja) 浴 槽
JP6751920B2 (ja) 浴室用カウンター
JP2024021991A (ja) 浴室、及び浴槽
US20120278988A1 (en) Bilaterally collapsible bathing receptacle
JP6748913B2 (ja) 浴室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