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332U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332U
KR20080005332U KR2020070007603U KR20070007603U KR20080005332U KR 20080005332 U KR20080005332 U KR 20080005332U KR 2020070007603 U KR2020070007603 U KR 2020070007603U KR 20070007603 U KR20070007603 U KR 20070007603U KR 20080005332 U KR20080005332 U KR 20080005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refabricated
center
hinge plate
hi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한성
Original Assignee
염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한성 filed Critical 염한성
Priority to KR2020070007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332U/ko
Publication of KR20080005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4Auxiliary removable stacking elements other than 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CD의 표면을 보호.보관하기위해 사용되는 케이스는들은 거의 대개가 독립적인 낱장의 형태이다.
이에 본 고안은 간단한 조립식경첩을 사용하여 언제든지 쉽게 독립적인 CD 케이스들을 원하는 대로 연결 결합하여 일반 앨범이나 책처럼 보관시키는 편리한 경첩에 관한 것이다.
경첩, 힌지.

Description

경첩 {hinge}
도 1은 디스크 케이스 및 조립식 경첩의 확대 사시도.
도 2는 결합부 및 조립식 경첩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결합부 및 조립식 경첩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각 조립식 경첩의 동작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 경첩, 조립식 경첩
11', 21', 31' : 우측 경첩판 11", 21", 31" : 우측 경첩판
12, 22, 32 : 연결부, 회동부
13, 23, 33 : 걸림부
14, 24, 34 : 걸림 철부
15, 25, 35 : 탄성부
16, 26, 36 : 경첩수용부
17, 27, 37 : 걸림접촉부
18, 28, 38 : 걸림요부
100 : CD 케이스.
서로 다른 2개의 물체를 연결 고정시킨후 중앙의 핀을 중심으로 회동토록하는 경첩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두께가 있는 물체에만 못이나 나사로 고정되어야 했으며 그로인해 얇은 물체에는 경첩을 사용할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기타의 방법(접착제 등)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한번 고정된 경첩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못이나 나사 또는 접착제를 제거 해야 하는 불편한 동작이 필요했다.
이에 본고안은 경첩을 사용하기 어려운 두께의 물체에도 쉽게 경첩을 장착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경첩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로 인해 못이나 나사가 필요없이 단순히 경첩을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서로 다른 2개의 물체를 회동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첫번째 실시예로써 사용될 수 있는 물체로서 플라스틱케이스(100)와 그 안에 포함된 경첩결합부(16)와 조립식 경첩(10)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통상의 플라스틱 케이스는 무척이나 얇은 두께이기에 경첩을 사용할 수도 없었으며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결합해체시에는 못이나 나사등의 부가적인 부속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거의 사용이 불가능 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경첩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경첩(10)의 각 경첩판(11', 11")은 크게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지며 하부는 상부보다 길거나 넓은 구조로서 물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역할을 하며, 상부는 결합시 그 일부가 물체에 접촉되어 고정되면서 동시에 양 경첩판을 연결하면서 그 중심이 회동되는 연결부(회동부)를 포함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조립식 경첩(10)은 일반 경첩과 같은 기능과 구조로서 같은 모양의 경첩판(11', 11")과 그 중심에 회동부(12)로 이루어져 있는데 있어서, 경첩판의 하부는 상부보다 좌우의 폭이 더 넓은 구조로서 걸림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양 외곽쪽으로 뻗친 그 끝이 아랫쪽으로 구부러진 갈쿠리 모양의 걸림철부(14)의 구조이다.
이같은 조립식경첩(10)의 각 경첩판(11', 11")을 물체(디스크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된 경첩수용부(16)에 각각 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때 경첩수용부(16)의 내부구조는 경첩판의 외형과 같은 구조로서 양옆에 걸림접촉부(17)와 중앙의 끝에는 직각삼각형 형태로 돌출된 걸림요부(18)가 형성된 구조로서,
일부가 개구된 상태이므로 경첩판(11', 11")의 걸림부(13)는 자연스럽게 걸림접촉부(17)와 접촉 되며, 걸림철부(14)는 걸림요부(18)와 수평적으로 같은 위치 이지만 그 상부가 개구된 상태이므로 걸림철부(14)는 플라스틱 특성상 약간의 탄성적인 성질로 인하여 약간 휘어진 후 쉽게 걸림요부(18)에 접촉 결착된다.
상기 설명에서처럼 걸림부(13)가 걸림접촉부(17)와 걸림철부(14)가 걸림요부(18)와 접촉 결합된 후에는 상하좌우전후의 어느방향으로의 이탈도 방지되므로 완벽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나머지 경첩판(1' 또는 1")도 다른 물체의 경첩수용부(16)에 결합하면은 두 물체는 일반의 경첩으로 고정된 것과 마찬가지로 회동이 가능해 진것이다.
해체.분해시에는 단순히 걸림철부(14)만 살짝 상부로 힘을 가해 들어 올린후 경첩을 결합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도 2는 또 다른 구조의 조립식경첩(20)과 경첩수용부(26)의 확대 사시도로서 그 기본구조는 도1과 같으나 조립식경첩(20)의 하부의 걸림철부(14)가 경첩판(21', 21")의 중앙에 위치하며 그 일부가 상부 높이 만큼 위로 경사지게 솟아난 형상의 걸림철부(14)의 형태이며 상부와 하부의 각면이 걸림부(23)의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경첩수용부(26)의 형상 엮시 중간에 수평적인 홈이 형성 되어 있고 상부의 입구에는 경첩판(21', 21")의 상부의 걸림부(23)의 크기만큼의 공간으로서 걸림접촉부(27)와 중간에 수직적으로 개방된 사각형 형태의 걸림요부(28)가 형성된 구조이며 추가적으로 걸림부(23)의 양끝에 수평적으로 비스듬히 약간 튀어나온 탄성부(25)가 돌출된 구조이다.
이엮시 결합방법은 단순히 경첩판(21', 21")을 경첩수용부(26)안에 수평적으 로 밀어 넣기만 하면 걸림철부(24)는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들어가며, 들어간 후에는 휘어진 걸림철부가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므로 이때 걸림요부의 일측에 접촉되면서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물론 이때 동시에 각 걸림부(23)의 각면은 걸림접촉부(26)에 접촉된다.
해체시에는 단순히 걸림철부(24)를 눌러준후 당기면은 쉽게 해체가 되며, 또는 각 탄성부(25)의 탄성적인 성질로 인해 해체가 쉬워진다.
도 3은 또다른 변형된 구조로서, 그 기본구조는 앞의 도 1과 도 2와 같으며, 하부가 횡적인 탄성이 좀더 쉽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그 양쪽을 나누어 길다랗게 뻗친 형태로 그 양끝에 좌우방향으로 구부로진 형태의 걸림 철부(34)를 형성하고 그 양끝에 해체가 용이하도록 탄성부를 돌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첩(30)에 대응되도록 경첩수용부(36)의 구조는 당연히 그 끝에서 좌우로 직각적으로 확산된 형태의 걸림요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는 개방된 형태이다.
이때 경첩판(31', 31")의 .하부는 좌우로 수평적으로 돌출된 걸림철부(34)로 인해 경첩수용부(36)의 입구보다 크지만 탄성적인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 두가지 사용예 처럼 쉽게 삽입되며 삽입후에는 양 걸림요부(38)에 수평적으로 결속되어 온전한 결합이 가능해 진다.
해체방법 엮시 상기 설명된 예처럼 걸림철부(34)만 수평적으로 모아주면 되므로 간단하다.
도 4는 각각의 경첩이 회동되는 움직임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그 외에 본 고안의 각 조립식경첩(10, 20, 30)은 회동부(12, 22, 32)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일반의 경첩판을 사용하고 반대쪽에만 조립식 경첩(10, 20, 30)을 사용 할 시에도 편리성을 도모 할수도 있음은 물론,
같은 방법이지만 물체 자체의 일측에 형성시킨 회동부(12, 22, 32)에 본고안의 경첩판을 사용시에도 엮시 같은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의 설명중 경첩의 회동부는 단순히 일반의 유연한 플라스틱을 단순히 얇게 하여 전후로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단순히 설명의 편리를 위할뿐 실제로는 일반의 중심핀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에 설명된 조립식 경첩으로 인해 지금까지는 어느정도의 두께에만 경첩을 사용해야 했으나 일반적인 경첩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얇은 판형의 물체에도 쉽게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그로인해 지금까지는 분해 결합식으로 제조가 불가능했던 CD케이스를 책자형으로 만들수 있음은 물론. 일반 상자의 뚜껑등에도 쉽게 장착이 가능하므로 뚜껑이 필요없거나 번거러운 경우에는 뚜껑만 분리하고 몸통인 상자만 다른 용도로 사용하다는 등등의 여러곳에의 활용성과 편리성 등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좌우에 같은 모양의 경첩판(11', 11"); 그 중심에 얇게 형성 연결되어 전후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한 유연한 회동부(12); 경첩판의 하부는 상부보다 길거나 넓게 형성된 걸림부(13); 상부에는 양 외곽쪽으로 뻗친, 그 끝이 아랫쪽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진 갈쿠리 모양의 걸림철부(14)의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 경첩(10).
  2. 중앙의 유연한 회동부(22)를 중심으로 좌우에 같은 형상의 하부가 상부보다 길게 형성된 경첩판(21', 21")의 상부에 반듯한 걸림부(23)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중앙 일부가 회동부(22) 쪽으로 일부 절개되어 올라온 형태로서 걸림철부(24)로 이루어진 조립식 경첩(20).
  3. 중앙의 유연한 회동부(32)를 중심으로 좌우에 같은 형상의 하부가 상부보다 길게 형성된 경첩판(31', 31)의 상부에 반듯한 걸림부(33)가 형성되고 그하부는 양끝에서 2개의 가지 형태로 길게 뻗친 형태로서 그 끝이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좌우로 직각으로 구부려진 걸림철부(34)와 양 끝에 수평적으로 비스듬이 돌출된 탄성부(25)로 이루어진 조립식 경첩(30).
  4. 제2항, 제3항에 있어서 경첩판의 양 끝에 수평적으로 비스듬이 돌출된 탄성부(25, 35)가 형성된 조립식 경첩(20, 30)
  5. 제1항, 2항, 3항, 4항에 있어서 회동부(12, 22, 32)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조립식 경첩판이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일반의 경첩 또는 물체와 하나로 이루어진 조립식 경첩판.
KR2020070007603U 2007-05-09 2007-05-09 경첩 KR200800053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03U KR20080005332U (ko) 2007-05-09 2007-05-09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03U KR20080005332U (ko) 2007-05-09 2007-05-09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32U true KR20080005332U (ko) 2008-11-13

Family

ID=4132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603U KR20080005332U (ko) 2007-05-09 2007-05-09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33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294A1 (de) * 2018-06-28 2020-01-01 Schoeller Allibert GmbH Stapelbarer behälter mit verbindungsmechanismus
EP3981701A1 (de) * 2020-10-07 2022-04-13 FRIES PLANUNGS- UND MARKETINGGESELLSCHAFT m.b.H. Anordnung mit zumindest zwei aufeinander stapelbaren körb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294A1 (de) * 2018-06-28 2020-01-01 Schoeller Allibert GmbH Stapelbarer behälter mit verbindungsmechanismus
EP3981701A1 (de) * 2020-10-07 2022-04-13 FRIES PLANUNGS- UND MARKETINGGESELLSCHAFT m.b.H. Anordnung mit zumindest zwei aufeinander stapelbaren körb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507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ivotable arm
TWI293239B (en) Computer case retention assembly
JP6068358B2 (ja) 玩具構築システム
US8118377B2 (en) Computer enclosure
US8699217B2 (en) Fixing device for use with expansion cards in a computer
TWM288871U (en) Special connector for car wiper arm
US20200078929A1 (en) Stackable Toolbox
TW201339805A (zh) 記憶體卡扣裝置
US20100320221A1 (en) Cover assembly
TWI405529B (zh) 硬碟固定架
KR20080005332U (ko) 경첩
TWI455417B (zh) 用來連接連接線接頭之連接器機構
US20130301209A1 (en) Pci card securing mechanism
AU748380B2 (en) Ring binder mechanism
TWM313293U (en) Rotating door for data storage device
US20120067620A1 (en) Cable clip with open and close mechanism
GB2307899A (en) A compact disc case
KR200408639Y1 (ko) 신분증 고정구
KR200208981Y1 (ko) 등커버 결착구
JP3174149U (ja) 綴じ金具
US20070231057A1 (en) Loose-leaf ring
TWM313407U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20040066726A1 (en) Enclosure for a flash memory hard disk
KR200451388Y1 (ko) 원터치 고정식 버클
JP3561509B2 (ja) 綴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