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957U -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4957U KR20080004957U KR2020070006694U KR20070006694U KR20080004957U KR 20080004957 U KR20080004957 U KR 20080004957U KR 2020070006694 U KR2020070006694 U KR 2020070006694U KR 20070006694 U KR20070006694 U KR 20070006694U KR 20080004957 U KR20080004957 U KR 2008000495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elevator
- protrusion
- support protrusion
- c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층마다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홀 도어가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여 카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홀 도어가 충격에 의하여 승강로로 밀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승강로의 내측에서 홀 도어의 배면으로 문턱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게 받침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돌기는 문턱 높이로 함몰되게 하되 스프링에 탄지 되게 하며, 상기 받침돌기는 엘리베이터카의 바닥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함몰되게 하고, 엘리베이터카의 카 도어 열림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상시는 받침돌기가 돌출되어 있어 홀 도어가 밀릴 때 이를 받쳐주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면 자동으로 함몰되어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홀 도어, 밀림방지, 안전사고
Description
도 1은 기존 승강로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며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카 하부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홀도어 하부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돌기커버에서 받침돌기의 돌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로 20 : 엘리베이터카
21 : 카 도어 30 : 홀 도어
35 : 문턱 40 : 솔레노이드
41 : 끼움돌기 50 : 받침돌기
51 : 하강홈 60 : 돌기커버
61 : 스프링 70 : 센서
본 고안은 각 층마다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홀 도어가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여 카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홀 도어가 충격에 의하여 승강로로 밀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에는 승강로이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카가 상하 이동하며 승객과 화물을 승강시키게 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에는 카 도어가 설치되고, 건물의 각 층에는 승강로을 막아주는 홀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 도어는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카 도어가 열릴 때 연동하여 열리도록 함으로써 홀 도어는 반드시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여 카 도어가 열릴 때 같이 열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홀 도어(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슈(31)를 돌출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슈(shoe)(31)가 바닥(11)에 고정된 문턱(sill)(35)에 끼워진 상태로 개폐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을 한다든가 아니면 홀 도어(30)의 조립과정에서 슈(31)가 문턱(35)에 깊이 끼워진 상태로 홀 도어(30)가 개폐되지 못하고 얕게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가 이루어지거나, 슈(31)가 외부 충격이나 잘못된 조립에 의해 빠지거나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홀 도어(3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홀 도어(30)는 내측으로 엘리베이터카(20)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승강로(10)로 밀려버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즉 각 층에서 승강로(10)을 막아주는 홀 도어(30)의 전방에서 홀 도어(30)를 몸으로 민다든가 아니면 충격을 가할 경우 홀 도어(30)는 슈(31)가 문턱(35)을 이 탈하면서 승강로(10)로 밀려버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람이 승강로(10)로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이 같이 홀 도어(30)는 어떠한 경우라도 문턱(35)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개폐가 이루어져야 하나, 상기 된 이유로 인하여 홀 도어(30)가 승강로(10)로 밀리게 되는 경우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홀 도어가 충격에 의하여 승강로로 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으로, 홀 도어의 내측으로 홀 도어가 밀릴 경우 이를 받쳐주는 받침돌기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돌기는 엘리베이터카의 카 도어가 개방될 때 함몰되어 사람의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승강로의 내측에서 홀 도어의 배면으로 문턱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게 받침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돌기는 문턱 높이로 함몰되게 하되 스프링에 탄지 되게 하며, 상기 받침돌기는 엘리베이터카의 바닥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함몰되게 하고, 엘리베이터카의 카 도어 열림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상시는 받침돌기가 돌출되어 있어 홀 도어가 밀릴 때 이를 받쳐주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면 자동으로 함몰되어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각층에 설치되어 승강로을 막아주는 홀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는 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홀 도어가 승강로로 밀려 승강로로 사람이 추 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으로, 홀 도어의 배면에 받침돌기를 돌출시켜 홀 도어가 밀리는 경우 이를 받쳐주어 홀 도어가 승강로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돌기는 평상시 스프링에 탄지 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되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는 경우 상기 받침돌기를 함몰시켜 엘리베이터카의 승객이 받침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평상시 홀 도어의 배면 하부에서 받침돌기를 상부로 돌출시켜 홀 도어가 문턱을 이탈하는 경우에도 받침돌기가 홀 도어를 받쳐주어 홀 도어가 승강로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면 자동적으로 받침돌기를 문턱의 하부로 함몰시켜주어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리는 승객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승강로(10)의 각층 입구에 설치되는 홀 도어(30)의 하부에는 문턱(35)이 설치되고, 상기 문턱(35)에 하부가 끼워지고 홀 도어(30)에 결합되는 슈(31)를 구비하여 홀 도어(30)가 슈(31)에 의해 문턱(35)을 타고 개폐됨에 있어서, 상기 문턱(35)의 내측에서 승강로(10)로 받침돌기(50)가 문턱(35)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받침돌기(50)는 돌기커버(6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61)으로 탄지 되어 돌출되게 하고, 상기 받침돌기(50)는 엘리베이터카(20)의 하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40)에 의해 문턱(35)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기커버(60)는 승강로(10)의 내측 바닥(11)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 로, 상기 돌기커버(60)에서 돌출되는 받침돌기(50)가 문턱(35) 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침돌기(50)의 하부와 돌기커버(60)에는 각각 스프링(61)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상기 받침돌기(50)가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해 문턱(35)보다 위쪽에 돌출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돌기(50)에는 돌기커버(60)에서 노출되는 하강홈(51)을 형성시키고, 상기 하강홈(51)에는 솔레노이드(40)로 전후진 되는 끼움돌기(41)가 끼워지게 하되 상기 끼움돌기(41)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끼움돌기(41)가 하강홈(51)에 끼워지면 끼움돌기(41)가 하강홈(51)에 끼워지면서 받침돌기(50)를 하부로 밀어주게 되며, 받침돌기(50)는 스프링(61)을 압착시키며 문턱(35)보다 낮게 함몰된다.
상기 끼움돌기(41)를 전후진시키는 솔레노이드(40)는 엘리베이터카(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40)에서 끼움돌기(41)를 전진시키면 끼움돌기(41)는 받침돌기(50)의 하강홈(51)에 끼워지면서 받침돌기(50)를 하강시키도록 하고, 솔레노이드(40)에서 끼움돌기(41)를 후퇴시키면 끼움돌기(41)는 하강홈(51)에서 빠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받침돌기(50)는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엘리베이터카(20)의 하부에는 카 도어(21)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70)를 설치하되 상기 센서(70)의 누름볼(71)이 카 도어(21)의 하부에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카(20)의 카 도어(21)가 닫히면 누름볼(71)이 눌려져 센서(70)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카(20)의 카 도어(21)가 열리면 누름볼(71)이 눌려지지 않아 센서(70)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센서(70)는 카 도어(21)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볼(71)의 눌림 여부 즉 카 도어(21)의 개폐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센서(70)의 감지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40)의 구동이 선택되게 한다.
여기서 센서(70)는 카 도어(21)가 열리기 시작하면 카 도어(21)의 개방으로 감지하게 하고, 카 도어(21)가 거의 다 닫히면 카 도어(20)의 닫힘으로 감지하게 하며, 카 도어(21)의 열림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40)에서 끼움돌기(41)를 전진시켜 받침돌기(50)를 하강시키고, 카 도어(21)의 닫힘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40)에서 끼움돌기(41)를 후퇴시켜 받침돌기(50)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먼저 돌기커버(60)를 승강로(10)의 내측에 설치하되 상기 돌기커버(60)에서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돌기(50)가 홀 도어(30)를 이동시키는 문턱(35)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고정시킨다.
홀 도어(30)는 슈(31)가 문턱(35)에 끼워진 채로 개폐되게 되나,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이상이 발생하면 홀 도어(30)가 문턱(35)에서 이탈하여 승강로(10)로 밀리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받침돌기(50)가 문턱(35)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어 혹시라도 홀 도어(30)가 밀리는 경우 홀 도어(30)의 하부가 받침돌기(50)에 받쳐지게 되어 홀 도어(30)가 승강로(10)로 밀리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여기서 받침돌기(50)는 스프링(61)에 탄지되어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강제로 받침돌기(50)를 하강시키지 않는 한 받침돌기(50)는 문턱(35)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게 된다.
즉 홀 도어(30)는 엘리베이터카(20)가 도착하기 전까지 닫혀져 있고, 승강 로(10)로 밀리지 않아야 하므로, 평상시 받침돌기(50)를 문턱(35)보다 위쪽에 돌출시켜 놓도록 한다.
이때 받침돌기(50)가 돌출되어 있더라도 이때는 엘리베이터카(20)가 도착하지 않아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받침돌기(50)가 돌출되어 있어도 하등 문제가 없다.
한편 엘리베이터카(20)가 도착하게 되면 카 도어(21)와 함께 홀 도어(30)가 열리게 되고, 이때 받침돌기(50)가 돌출되어 있으면 승객의 발에 걸리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카(20)가 도착하여 카 도어(21)가 열리면 받침돌기(50)를 함몰시켜야 한다.
엘리베이터카(20)가 도착하여 카 도어(21)가 열리기 시작하면 센서(70)는 카 도어(21)에 밀려있는 누름볼(71)을 이용하여 카 도어(21)가 개방되기 시작함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센서(70)의 인식신호는 솔레노이드(40)를 구동시켜 끼움돌기(41)를 전진시키게 되며, 상기 끼움돌기(41)는 받침돌기(50)에 형성된 하강홈(51)에 끼워지면서 경사면에 의해 받침돌기(50)를 하강시키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카(20)가 도착하여 카 도어(21)가 열리기 시작하면 센서(70)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40)에서 끼움돌기(41)를 전진시킴으로써 끼움돌기(41)가 하강홈(51)에 끼워지면서 받침돌기(50)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받침돌기(50)는 문턱(35)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여 엘리베이터카(20)를 이용하는 승객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받침돌기(50)는 스프링(61)을 압착시키며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카 도어(21)가 열리면서 연동하여 홀 도어(30)를 열어주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카(20)를 이용하는 승객은 받침돌기(50)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카 도어(21)가 닫히게 되면 홀 도어(30)도 닫히게 되는 것으로, 카 도어(21)가 거의 닫히면 누름볼(71)이 눌리게 되어 센서(70)에서 카 도어(21)의 닫힘을 인식하게 되고, 그러면 솔레노이드(40)를 복귀시켜 끼움돌기(41)를 후퇴시키도록 한다.
끼움돌기(41)가 후퇴하면 하강홈(51)에서 끼움돌기(41)가 빠지게 되고, 그러면 받침돌기(50)가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 같이 받침돌기(50)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 후 엘리베이터카(20)는 다음 층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카(20)가 도착하여 카 도어(21)가 열리기 시작하면 받침돌기(50)를 하강시키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카(20)의 카 도어(21)가 거의 닫히면 받침돌기(50)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 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 홀 도어(30)의 내측 하부에 받침돌기(50)가 돌출되어 있어 홀 도어(30)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슈(31)가 문턱(35)은 이탈할 수 있으나, 홀 도어(30)가 받침돌기(50)를 밀고 승강로(10)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가 충격이나 마모에 의하여 승강로로 밀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해주게 되는 것으로, 홀 도어가 밀리지 않아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 승강로(10)의 내측으로 고정되고, 홀 도어(30)가 끼워져 이동하는 문턱(35)의 하측으로 고정되는 돌기커버(60)와;상기 돌기커버(60)에 끼워진 채로 상하 이동하며 문턱(35)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돌기(50)와;상기 받침돌기(50)의 하부와 돌기커버(60) 사이에 결합되고, 받침돌기(50)를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1)과;상기 받침돌기(50)를 하강시키고, 엘리베이터카(20)의 바닥에서 솔레노이드(40)의 구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끼움돌기(41)와;상기 엘리베이터카(20)의 바닥에 설치되고, 카 도어(21)의 개폐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40)를 구동시키는 센서(7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돌기커버(60)에 내장된 받침돌기(50)는 하부에 돌기커버(60) 사이로 스프링(61)이 끼워져 상부로 탄성력을 받게 하고, 상기 받침돌기(50)에는 하강홈(51)을 형성시켜 솔레노이드(40)로 전후진 하는 끼움돌기(41)가 끼워지게 하되 상기 끼움돌기(41)에는 경사면을 형성시켜 끼움돌기(41)가 하강홈(51)에 끼워질 때 받침돌기(50)가 스프링(61)을 압착시키며 하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받침돌기(50)는 문턱(35)의 후방에서 문턱(35)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고, 받침돌기(50)가 하강하면 문턱(35)보다 낮게 하강하되 상기 받침돌기(50)의 상승과 하강은 엘리베이터카(20)의 카 도어(21)가 열리고 닫힘을 센서(70)로 감지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6694U KR200443530Y1 (ko) | 2007-04-23 | 2007-04-23 |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6694U KR200443530Y1 (ko) | 2007-04-23 | 2007-04-23 |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4957U true KR20080004957U (ko) | 2008-10-28 |
KR200443530Y1 KR200443530Y1 (ko) | 2009-02-20 |
Family
ID=4134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6694U KR200443530Y1 (ko) | 2007-04-23 | 2007-04-23 |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3530Y1 (ko) |
-
2007
- 2007-04-23 KR KR2020070006694U patent/KR20044353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3530Y1 (ko) | 2009-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2315B1 (ko) |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 |
JP2018095457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4644721B2 (ja) |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 |
KR101937698B1 (ko) |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 |
KR101564880B1 (ko) |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유지장치 | |
JP3920528B2 (ja) |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 |
TW200427617A (en) | Sea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 |
KR200443530Y1 (ko) |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 잠금장치 | |
EP1730068B1 (en) | Elevator toe guard | |
KR200493995Y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 |
KR200457792Y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
KR100926956B1 (ko) |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 |
JP543668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5311783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の扉ガイドレール | |
KR100813911B1 (ko) |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 |
KR101285591B1 (ko) | 승강 도어 | |
JP5001864B2 (ja) | エレベータかごへの緊急駆動スイッチ及び通信手段の取付け構造 | |
JP2005145610A (ja) |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 |
US11136222B2 (en) | Elevator car apron | |
KR20090122740A (ko) |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
KR101708668B1 (ko) |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장치 | |
KR102050864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개폐식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
KR20110083986A (ko) |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
KR100946678B1 (ko) |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
KR102390651B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