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934A -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934A
KR20080004934A KR1020060063876A KR20060063876A KR20080004934A KR 20080004934 A KR20080004934 A KR 20080004934A KR 1020060063876 A KR1020060063876 A KR 1020060063876A KR 20060063876 A KR20060063876 A KR 20060063876A KR 20080004934 A KR20080004934 A KR 20080004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menu button
ke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880B1 (ko
Inventor
김경진
안정희
김주연
이정현
곽창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8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독립된 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방송 수신기 및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부화면의 크기가 동일한 트윈픽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부화면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바로 실행하도록 한다. 일 예로, 한번의 키나 메뉴 버튼 입력으로 주/부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동시화면, 트윈픽쳐, 메뉴버튼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도 1a,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PIP 기능 수행시 각 화면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a 내지 도 2l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윈픽쳐 기능 수행시 각 화면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1,112 : 튜너
113 : 외부 입력부 121 : 스위칭부
131 : 주화면 처리부 132 : 부화면 처리부
141 : 합성부 151 : OSD 처리부
161 : 디스플레이부 171 : 리모콘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에 복수 개 이상의 독립된 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수신기 예를 들면, 티브이에는 동시화면 기능이 있다. 즉, 하나의 화면을 주화면과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으로서, 일 예로 주 화면을 통해 특정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부 화면으로 다른 채널 또는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채널 탐색 기능으로 다른 채널의 방송 내용을 탐색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 기능으로는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트윈 픽쳐(또는 더블 윈도우) 등이 있다. 상기 PIP는 주화면 내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하고, POP는 주화면의 좌측(또는 우측)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트윈 픽쳐란 한 화면을 좌,우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좌화면에 주화면 영상을, 우화면에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좌,우화면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장치에는 주/부 절환키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주/부 절환키를 입력함에 의해 주화면의 영상과 부화면의 영상을 서로 바꿀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장치에는 주 화면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와 부화면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숫자키나 주화면용 채널 업/다운 키를 이용하고,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부화면용 채널 업/다운 키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에는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 등 각종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PC와 DVD등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하다.
이때 부화면으로 외부기기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미리 부화면 입력을 선택해주어야 한다.
상기 부화면 입력을 선택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TV 화면에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여러번의 단계를 통해 상기 부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 후, 원하는 부화면 입력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된 방법은 부화면 선택을 위한 서브 메뉴에 도달하기까지 사용자가 여러번 키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화면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화면을 위한 기능 선택을 한번의 키 입력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동시 화면이 선택되면 주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시 화면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동시 화면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버튼의 선택을 통해 동시 화면의 비율 조정, 부화면 입 력 선택, 주/부화면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활성화되어 있는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좌우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화면과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상하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좌우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 변경은 단일 채널 업/다운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 채널 업/다운키는 활성화된 화면의 채널 변경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 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리모콘과 같은 입력 장치에 할당되어 있는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PIP, POP, 트윈 픽쳐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즉, 상기 키를 누를때마다 PIP, POP, 트윈 픽쳐, 정상 화면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키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시화면 키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동시화면 키가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동시화면의 순서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어떤 순서로 디스플레이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입력 장치에는 하나의 채널 업/다운키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상기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되고,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즉, 종래에는 주화면용 채널 업/다운 키와 부화면용 채널 업/다운키가 각각 할당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 변경에 이용한다.
이것은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 변경에 하나의 채널 업/다운 키를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네방향 키 중 좌우키를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르면 부화면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면서 부화면이 활성화되고,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누르면 주화면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된다.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하키를 이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키를 토글식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기능 키를 공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 주화면이 활성화되었는지, 부화면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포커스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이나 OSD(On Screen Display)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고, 활성화되는 주화면 또는 부화면의 경계를 다른 색깔로 표현하거나 깜박거리게 하는 등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화면 키에 의해 동시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하나 이상의 메뉴 버튼을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동시화면 키에 의해 PIP 기능이 수행된 경우로서, 부화면이 포커싱됨과 동시에 복수개 이상의 메뉴 버튼이 부화면 하단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부화면이 포커싱 되었다는 것은 부화면이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현재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 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르면 부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를 때마다 기 설정된 화면 크기로 부화면이 순차적으로 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주화면의 크기는 원래 화면 크기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메뉴 버튼은 예를 들면, 위치 이동, 주부전환, 부화면 입력, 나가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버튼의 수 및 실행되는 기능은 설계자에 의해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메뉴 버튼의 수 및 기능을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뉴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도 하나의 실시예이며, 메뉴 버튼의 디스플레이 위치도 설계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화면과 메뉴 버튼과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상하키를 이용하고, 메뉴 버튼들끼리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하키와 좌우키를 바꾸어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방향키가 아닌 다른 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메뉴 버튼의 선택은 해당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을 위한 키(예를 들면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특정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포커싱 표시는 해당 메뉴 버튼의 하이라이트, 구분되는 다른 색깔, 밑줄 등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각 메뉴 버튼의 형태도 도 1a와 같이 네모 박스 형태로 할 수도 있지만 아이콘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뉴 버튼들 중 하나의 메뉴 버튼이 포커싱되어 있고, 이때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포커싱되어 있는 메뉴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이 바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부 전환 메뉴 버튼이 포커싱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바로 주화면과 부화면의 영상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을 선택할 때마다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1a와 같이 우하측에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부화면은 좌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부화면의 위치는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이 선택될 때마다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메뉴 버튼들은 부화면과 함께 이동할 수도 있고,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때마다 외부입력1, 외부입력2, S-VIDEO, TV 등으로 부화면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바뀌게 된다.
다른 예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의 포커싱과 함께 부화면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부화면의 영상을 선택된 영상으로 바뀌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뉴 버튼들 중 어느 것도 일정 시간이 지날때까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메뉴 버튼들을 화면상에서 자동으로 사라지게 할 수도 있고, 나가기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 등 각종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PC, DVD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는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하여 도 1b와 같이 주화면을 활성화시켜서, 상기 메뉴 버튼들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도 1b와 같이 PIP 기능이 수행 중이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이용하여 도 1a와 같이 부화면을 활성화시키면 상기 메뉴 버튼들도 함께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 경우,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동시화면 키에 의해 트윈 픽쳐 기능이 수행된 경우로서, 주화면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복수개 이상의 메뉴 버튼이 주/부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a에서는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트윈 픽쳐가 수행될 때 부화면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는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 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상기 메뉴 버튼은 예를 들면, 화면 비율, 주부전환, 부화면 입력, 나가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버튼의 수 및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PIP에서와 마찬가지로 설계자에 의해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메뉴 버튼의 수 및 기능을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뉴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도 하나의 실시예이며, 메뉴 버튼의 디스플레이 위치도 설계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도 2a에서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한다. 즉 상기 좌키를 이용하여 주화면을 활성시키거나 우키를 이용하여 부화면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주화면이 활성화되면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되고, 부화면이 활성화되면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누르면 주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누를 때마다 기 설정된 화면 크기로 주화면이 순차적으로 변한다. 이때 상기 주화면의 크기에 따라 부화면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주화면의 크기가 확대되면 상대적으로 부화면의 크기는 축소된다.
도 2b와 같이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선택하면 도 2c와 같이 포커스가 주화면에서 부화면으로 이동하면서 부화면이 활성화된다. 이때 주/부화면의 크기는 조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만일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선택하면 주/부화면의 크기는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포커스만 부화면으로 이동하여 부화면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b와 같이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르면 부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를 때마다 기 설정된 화면 크기로 부화면이 순차적으로 변한다. 이때 상기 부화면의 크기에 따라 주화면의 크기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부화면의 크기가 확대되면 상대적으로 주화면의 크기는 축소된다.
한편 트윈 픽쳐가 수행중 일 때 상기 메뉴 버튼으로의 포커스 이동은 주화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화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주화면 또는 부화면과 메뉴 버튼과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상하키를 이용하고, 메뉴 버튼들끼리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하키와 좌우키를 바꾸어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방향키가 아닌 다른 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메뉴 버튼의 선택은 해당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을 위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 트윈 픽쳐 화면에서 특정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포커싱 표시는 해당 메뉴 버튼의 하이라이트, 구분되는 다른 색깔, 밑줄 등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각 메뉴 버튼의 형태도 도 2a와 같이 네모 박스 형태로 할 수도 있지만 아이콘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 2d는 도 2c와 같이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하키를 선택하여 메뉴 버튼 예를 들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을 활성화시킨 예이다.
여기서 메뉴 버튼들끼리의 포커스 이동은 좌우 버튼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도 2d와 같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도 2e와 같이 주부 전환 메뉴 버튼이 포커스된다. 이때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e와 같이 부화면에서 주화면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된다.
도 2e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도 2f와 같이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된다. 그리고 상기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부화면의 입력 영상이 바뀐다. 일 예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도 2g에서와 같이 외부입력1, 외부입력2, S-VIDEO, TV 등으로 부화면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바뀌게 된다.
다른 예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의 포커싱과 함께 부화면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부화면의 영상을 선택된 영상으로 바뀌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나가기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고, 다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도 2h와 같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된다.
상기 도 2h와 같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가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도 2h 내지 도 2k와 같이 주/부화면의 화면 크기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2g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의 화면 비율이 다른 상태에서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을 포커스시키고, 이어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h와 같이 4:3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돌아온다. 다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i와 같이 풀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전환되고, 다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j와 같이 16:9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전환된다. 다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k와 같이 4:3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돌아온다.
상기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크기의 순서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어떤 순서로 디스플레이되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상기 화면 비율 메뉴 버튼에 의한 화면 크기 조정과 주화면 또는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한 화면 크기 조정 방법은 다르다. 전자의 방법은 주/부화면의 크기가 동시에 같은 크기로 변하는 것이고, 후자의 방법은 하나의 화면이 확대되면 다른 하나의 화면은 축소된다.
그리고 메뉴 버튼들 중 하나가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상키를 선택하면 도 2l과 같이 포커스가 메뉴 버튼에서 주화면으로 이동하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도 2a 내지 도 2l와 같은 트윈 픽쳐 화면에서도 상기 메뉴 버튼들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라지게 할 수도 있고, 나가기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트윈 픽쳐 화면에서는 상기 메뉴 버튼들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버튼을 동시화면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메뉴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바로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메뉴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과 기능 동작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후 여러번의 서브 메뉴 선택 과정을 거쳐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한번의 키 입력이나 메뉴 버튼의 선택에 의해 주/부화면의 화면 비율을 조정하거나, 주/부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만을 확대하거나 축소시킴으로써,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접근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제어부(100), 제1,제2 튜너(111,112), 외부 입력부(113), 스위칭부(121), 주화면 처리부(131), 부화면 처리부(132), 합성부(141), OSD 처리부(151), 화면 표시부(161), 및 입력 장치로서 리모콘(1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1, 제2 튜너(111,112)는 각각 아날로그 튜너와 디지털 튜너일 수도 있고, 둘 다 아날로그 튜너이거나 둘 다 디지털 튜너일 수도 있으며, 아날로그/디지탈 겸용 튜너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튜너(111,112)는 서로 다른 채널을 수신 하거나 같은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제2 튜너(111,112)는 튜닝 및 복조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튜너(111,112)에서 튜닝되어 복조된 채널의 신호는 스위칭부(121)로 출력된다. 이때 제1 튜너(111)로 주화면 영상의 채널을, 제2 튜너(112)로 부화면 영상의 채널을 선국 및 복조하여 스위칭부(121)로 출력할 수도 있고, 반대로 제1 튜너(111)로 부화면 영상의 채널을, 제2 튜너(112)로 주화면 영상의 채널을 선국 및 복조하여 스위칭부(121)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입력부(113)는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 등의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입력받아 스위칭부(121)로 출력한다.
즉, 상기 스위칭부(121)는 동시 화면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1,제2 튜너(111,112), 및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복수개 이상의 영상을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부(121)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주화면용 영상을 선택하여 주화면 처리부(131)로 출력하고, 부화면용 영상을 선택하여 부화면 처리부(13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화면 영상으로 채널 11을 선택하고, 부화면 영상으로 DVD 입력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1 튜너(111)는 채널 11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선국하여 복조한 후 스위칭부(121)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121)는 제1 튜너(111)의 출력을 주화면 처리부(13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121)는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DVD 영상을 선택하여 부화면 처리부(132)로 출력한다.
상기 주화면 처리부(131)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주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 하여 합성부(141)로 출력하고, 부화면 처리부(13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부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합성부(141)로 출력한다. 만일 선택된 동시화면 기능이 PIP라면 주화면은 크게, 부화면은 작게 포맷 변환되고, 트윈 픽쳐라면 주/부화면의 크기가 같게 포맷 변환된다.
상기 합성부(141)는 디스플레이부(161)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주화면 영상 신호와 부화면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 장치 예를 들어, 리모콘(171)의 키 입력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는데, 제어 라인의 일부는 생략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콘(171)에 의해 동시 화면이 선택되면 제1,제2 튜너(111,112)의 선국을 제어하고, 주화면 영상과 부화면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스위칭부(12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동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리모콘(171)의 방향키 및 선택키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즉, 동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좌우키가 입력되면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부화면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하키가 입력되면 부화면과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하고, 좌우키가 입력되면 메뉴 버튼간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특정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그 메뉴 버튼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PIP 기능이 수행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기 설정된 다음 위치로 부화면을 이동시킨다. 또 다른 예로, 트윈 픽쳐 기능이 수행된 상태에서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다음 화면 비율 예컨대, 4:3, 풀 화면, 16:9 화면비 중 어느 하나로 주/부화면의 비율이 조정된다.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은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OSD 처리부(151)는 활성화된 주화면 또는 부화면의 표시, 활성화된 메뉴 버튼의 표시, 선택된 메뉴 버튼에 따른 선택 화면 표시 등을 OSD 형태로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해당 그래픽이나 OSD 문자를 합성부(141)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화면의 위치 이동, 주/부화면의 크기나 화면 비율 조정과 같은 기능 선택 및 실행이 한번의 키 입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입력 횟수를 줄임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 및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단일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주화면 및 부화면의 채널 변경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리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동시 화면이 선택되면 주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시 화면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동시 화면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버튼의 선택을 통해 동시 화면의 비율 조정, 부화면 입력 선택, 주/부화면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동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활성화되어 있는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동시 화면이 트윈 픽쳐이면 상기 입력 장치의 방향키에 의해 조정되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되지 않은 화면 크기가 반대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동시 화면이 PIP이면 상기 입력 장치의 방향키에 의해 활성화된 부화면의 크기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동시 화면이 PIP이면 상기 메뉴 버튼의 선택을 통해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동시 화면이 PIP이면 상기 메뉴 버튼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동시 화면이 트윈 픽쳐이고, 선택된 메뉴 버튼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면 4:3 화면비, 풀 화면비, 16:9 화면비 중 어느 하나로 주/부화면의 화면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좌우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과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상하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좌우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 변경은 단일 채널 업/다운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
    채널 업/다운키는 활성화된 화면의 채널 변경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KR1020060063876A 2006-07-07 2006-07-07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KR10086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76A KR100866880B1 (ko) 2006-07-07 2006-07-07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76A KR100866880B1 (ko) 2006-07-07 2006-07-07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34A true KR20080004934A (ko) 2008-01-10
KR100866880B1 KR100866880B1 (ko) 2008-11-04

Family

ID=3921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876A KR100866880B1 (ko) 2006-07-07 2006-07-07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8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802B1 (ko) * 2011-06-28 2012-04-18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Pip 제어 가능한 iptv용 셋톱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837B1 (ko) * 2013-11-29 2015-05-06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스마트 tv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76232A (ko) * 2013-08-30 2015-07-06 시아오미 아이엔씨.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리모트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50120646A (ko) * 2014-04-18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315B1 (ko) * 1995-12-11 1999-05-01 배순훈 두화면 동시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기능조정시 메뉴화면표시장치와 메뉴화면표시방법
US6753928B1 (en) 1999-11-17 2004-06-22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during programming of a television apparatus
KR20020068134A (ko) * 2001-02-20 2002-08-27 엘지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pip 표시방법
KR20060031959A (ko) * 2004-10-11 2006-04-1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채널 전환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802B1 (ko) * 2011-06-28 2012-04-18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Pip 제어 가능한 iptv용 셋톱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6232A (ko) * 2013-08-30 2015-07-06 시아오미 아이엔씨.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리모트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517837B1 (ko) * 2013-11-29 2015-05-06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스마트 tv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120646A (ko) * 2014-04-18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880B1 (ko)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4934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H08275076A (ja) テレビジョン機能選択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リモートコマンダ
KR100457516B1 (ko)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920004854B1 (ko) 멀티채널시스템의 페이지 업/다운 모드 수행방법
KR100661649B1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100866880B1 (ko)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KR20070022892A (ko) 피아이피를 이용한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방법
JP2007158792A (ja) 表示ガイドシステム及び表示ガイド方法
KR100752853B1 (ko)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4473739B2 (ja) 映像装置、及びそのメニュー操作方法
KR200700075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07783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265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US74569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rol signals in a television apparatus supporting multi-window capabilities
JPH105170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686176B1 (ko) 방송 수신기 및 화면 제어 방법
US20090031349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of main screen/sub-scree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9440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EP1709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rol signals in a television apparatus supporting multi-window capabilities
KR200600319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채널 전환 방법
KR100665058B1 (ko) 텔레비젼의 채널선국방법
KR100456018B1 (ko) 피아이피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및 그의 채널선국방법
JP4508837B2 (ja) 二画面又は子画面機能を持つ画像表示装置
KR20070038811A (ko) 부화면 채널 변경 방법
KR20000074837A (ko) 티브이의 퍼즐게임 구현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