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01U - 전선 보호용 커버 - Google Patents

전선 보호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01U
KR20080004801U KR2020070006352U KR20070006352U KR20080004801U KR 20080004801 U KR20080004801 U KR 20080004801U KR 2020070006352 U KR2020070006352 U KR 2020070006352U KR 20070006352 U KR20070006352 U KR 20070006352U KR 20080004801 U KR20080004801 U KR 200800048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plate
electric wire
wir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권
Original Assignee
고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권 filed Critical 고재권
Priority to KR2020070006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801U/ko
Publication of KR20080004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배선 설치상태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선 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판 저면의 폭 방향 양 측부에 일정 폭으로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요철부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시공 시 바닥과의 밀착력 강화를 유도하여 외력에 의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제품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선, 커버, 받침판, 측벽, 요철부.

Description

전선 보호용 커버{the cover for a electric wire}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4는 기존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전선보호용 커버
11:덮개
11A,11B:밀림억제용 돌기
12:삽지구
13:받침판
14:삽지홈
15,15':측벽
16:전선 수용부
20,20':요철부
본 고안은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배선 설치상태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선 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판 저면의 폭 방향 양 측부에 일정 폭으로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요철부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시공 시 바닥과의 밀착력 강화를 유도하여 외력에 의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제품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용 사무실의 실내에는 각종 컴퓨터나 전산기기 및 여러 회선의 전화 등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종 배선을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하게 되면 복잡한 배선으로 인하여 실내의 미관이 불량해지며, 특히 사람이 밟거나 사무용 가구 등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피복이 벗겨져 합선 또는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배선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실내의 미관을 깨끗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현재 덮개와 받침판으로 구성된 전선보호용 커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커버는 소형, 중형, 대형의 다양한 규격으로 구분 구성되며 주로 소 형과 중형의 커버는 2~ 5가닥 정도의 배선을 보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대형의 커버는 수십 가닥의 케이블을 동시에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며 주로 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거나 철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도4 는 기존의 전선보호용 커버(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양단에 삽지구(32)가 절곡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한 조의 밀림억제용 돌기(31A)를 일체로 구성하는 덮개(31)와, 전선 수용부(36)의 양측의 내/외 측벽(35)(35')의 외측으로 상기 삽지구(32)가 끼워져 체결되는 삽지홈(34)이 형성된 받침판(33)으로 구성되며 저면에는 커버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T)가 부착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종 배선작업을 할 때 배선이 지나가는 위치에 양면테이프(T)를 이용하여 전선보호용 커버의 받침판(33)을 고정시킨 후, 상기 받침판(33)상에 배선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덮개(31)를 덮게 되면 덮개(31)의 양측 삽지구(32)가 받침판(33)의 양측 삽지홈(34)에 끼워지면서 배선이 전선보호용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선보호용 커버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 전선보호용 커버는 받침판(33)의 저면부가 단순한 평판상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바닥면에 시공할 경우 오로지 양면테이프(T)의 접착력을 통해 바닥면에 결속 고정되는 것이어서 장기간 사용 시 양면테이프(T)의 접착층이 화학적 변질을 유발하는 경우 커버의 유동을 억제할 아무런 구조가 없어 횡 방향으로 불의 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커버의 이탈, 유동이 초래되어 실내미관의 저하와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킴은 물론 별도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재 부착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초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공 시 바닥과의 밀착력 강화를 유도하여 외력에 의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제품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전선보호용 커버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의 목적은 받침판 저면의 폭 방향 양 측부에 일정 폭으로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요철부를 구성토록 하여 시공시 바닥면과의 접촉 마찰력을 보강시켜 줄수 있도록 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로서,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단에 삽지구(12)가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한조의 이격된 상태의 밀림억제용 돌기(11A)를 일체로 구성하는 덮개(11)와, 전선 수용부(16)를 구성하는 내, 외 측벽(15)(15')의 외측으로 상기 삽지구(12)가 끼워져 체결되기 위한 삽지홈(14)이 형성되는 받침판(13)으로 결합 구성하여서 되는 공지의 전선보호용 커버(10)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3)저면의 폭 방향 양 측부에 일정 폭으로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요철부(20)(2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T)은 양면테이프이고, (W)는 전선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양면테이프(T)를 통해 받침판(13)을 바닥 면에 부착 고정 시킨 후 그 내부에 전선(W)을 넣어주고, 그 상측으로 덮개(11)를 덮어 눌러 줌으로써 덮개(11)의 삽지구(12)가 받침판(13)의 삽지홈(14)속으로 끼워져 체결되면서 덮개(11)와 받침판(13)이 서로 결합되어 내장된 전선(W)이 보호되도록 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덮개(11)와 받침판(13)이 결합된 이후에는 커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하고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양면테이프(T)를 통해 바닥면에 부착되는 받침판(13)은 양 측부의 요철부(20)(20')를 통하여 바닥면에 보다 입체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매끈한 평면으로 구성되는 기존의 받침판에 비해 보다 강한 마찰력을 발생하 게 되고 이로 인해 커버에 횡 방향으로 불의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밀림이 최대한 억제되어 커버의 이탈,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요철부(20)(20')를 구성함에 있어 도면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부가 직각으로 교차되는 격자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공 시 요철부를 이용하여 바닥과의 밀착력 강화를 유도하게 됨으로써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 부가하여 외력에 의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커버의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품질의 고급화와 제품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양단에 삽지구(12)가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한조의 이격된 상태의 밀림억제용 돌기(11A)를 일체로 구성하는 덮개(11)와, 전선 수용부(16)를 구성하는 내, 외 측벽(15)(15')의 외측으로 상기 삽지구(12)가 끼워져 체결되기 위한 삽지홈(14)이 형성되는 받침판(13)으로 결합 구성하여서 되는 공지의 전선보호용 커버(10)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3)저면의 폭 방향 양 측부에 일정 폭으로 길이방향으로 대향되게 구성되는 요철부(20)(2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커버.
KR2020070006352U 2007-04-18 2007-04-18 전선 보호용 커버 KR200800048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352U KR20080004801U (ko) 2007-04-18 2007-04-18 전선 보호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352U KR20080004801U (ko) 2007-04-18 2007-04-18 전선 보호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01U true KR20080004801U (ko) 2008-10-22

Family

ID=4150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352U KR20080004801U (ko) 2007-04-18 2007-04-18 전선 보호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80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79Y1 (ko) * 2007-12-24 2009-11-20 창 주 이 어린이 놀이터용 경계부재
US20200358270A1 (en) * 2017-11-21 2020-11-12 Furukawa Electric Co., Ltd. Outer cover body for electrical wires and outer-cover-body-attached wire harn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79Y1 (ko) * 2007-12-24 2009-11-20 창 주 이 어린이 놀이터용 경계부재
US20200358270A1 (en) * 2017-11-21 2020-11-12 Furukawa Electric Co., Ltd. Outer cover body for electrical wires and outer-cover-body-attached wire harness
US11837855B2 (en) * 2017-11-21 2023-12-05 Furukawa Electric Co., Ltd. Outer cover body for electrical wires and outer-cover-body-attached wire harn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1050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power center, and cabl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WO2009046068A1 (en) Grommet for cables and the like
US6244193B1 (en) Electrical raceway assembly
KR20080004801U (ko) 전선 보호용 커버
US20110130031A1 (en) Cord organizer device and method of use
USRE38709E1 (en) Electrical raceway assembly
KR10125916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20080112043A (ko) 배선보호용 덕트
KR200306566Y1 (ko) 전선 보호용 커버
KR100701792B1 (ko) 전기설비 누전방지 닥트 설치구조
US20160149382A1 (en) A bendable flat cable
US6348658B1 (en) Electrical raceway assembly
KR100314885B1 (ko) 배선 보호용 커버
KR200282491Y1 (ko) 분할판을 갖는 배선덕트
US20100282352A1 (en) Integrated graphical containment structure
KR200208554Y1 (ko) 전선보호덮개
KR200381735Y1 (ko) 코너 선반
KR101185077B1 (ko) 코너용 가림장치
KR200236119Y1 (ko) 배선 보호용 커버
KR200210145Y1 (ko) 배선 보호용 커버
KR200198579Y1 (ko) 배선덕트
KR20110110411A (ko)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의 절연체구조
CN204741141U (zh) 排插组件
JP3575530B2 (ja) キャビネットとパネル装置との組み合わせ
KR19990001958U (ko)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