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515U -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 Google Patents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15U
KR20080004515U KR2020070005694U KR20070005694U KR20080004515U KR 20080004515 U KR20080004515 U KR 20080004515U KR 2020070005694 U KR2020070005694 U KR 2020070005694U KR 20070005694 U KR20070005694 U KR 20070005694U KR 20080004515 U KR20080004515 U KR 200800045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gripper
disposable
disposable pa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오형
Original Assignee
문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오형 filed Critical 문오형
Priority to KR2020070005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515U/ko
Publication of KR20080004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종이컵의 외면에 별도의 파지체를 원통 형상으로 결합 형성하되, 그 원통 형상의 파지체 선단은 종이컵 선단의 테두리부와 함께 밴딩 결합되게 하고, 파지체의 하단은 종이컵의 외면에 접착 형성하며, 그 파지체의 중간부에는 절취 및 밴딩선에 의한 지지절곡부를 형성하여 그 지지절곡부에 의해 종이컵의 외면과 파지체의 내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한 파지체에 의한 공간부를 통해 종이컵 외면의 고온이 파지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뜨거운 내용물을 갖는 종이컵을 파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파지체를 잡고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한 원통 형상으로 된 파지체는 그 종이컵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여 그 종이컵을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일회용 종이컵이다.
일회용, 종이컵, 동체, 파지체, 절곡부, 지지절곡부

Description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Disposable paper cup having insulating gri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두리부 2 : 동체
3 : 바닥지 4 : 단열공간부
10 : 파제체 11 : 절곡부
12 : 절취선 13 : 밴딩선
14,14' : 지지절곡부
본 고안은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적인 종이컵의 외면에 이격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 별도의 파지체를 결합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파지체에 의한 이격 공간부를 통해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뜨거운 음료가 담긴 종이컵을 보다 편안하게 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종이컵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킨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종이컵은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원통형의 동체(옆지)와 그 동체의 하단이 바닥지(밑지)에 의해 막힌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자동판매기에서의 음료용기로 사용되거나, 가정이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일회용 컵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은 미리 재단되어 적층된 동체 성형지를 순차적으로 인출 공급하여 원통상으로 밴딩시킨 후 그 양단을 히팅 부착하며, 상기한 원통체상의 동체 하단에 별도의 바닥지를 삽입 부착하여 완성하는 것으로서, 자동화된 기계장치에 의해 매우 고속으로 대량 생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회용 종이컵은 일반 가정이나 대중업소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이며, 패스트 푸드점이나 테이크 아웃 전문점 등에서도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하여 음료나 쉐이크, 콘 샐러드 등을 담아 제공하므로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은 물론 그 사용량이 실로 방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회용 종이컵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특성상 비 교적 얇은 종이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일회용 종이컵의 내부에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놓을 경우에는 그 온도가 그대로 외표면으로 전달되어 종이컵을 오랫동안 들고 있는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이 일회용 종이컵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합성수지 홀더 또는 골판지로 된 깔대기 형상의 홀더 등을 이용하여 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합성수지 홀더의 경우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여 종이컵을 그 내측에 끼워 일반 손잡이 컵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깔대기 형태로 된 홀더의 경우에는 골판지를 원통형으로 접어 그 골판지 사이 사이의 공간부에 의해 단열 효과를 갖게 하므로 뜨거운 종이컵을 파지하는데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합성수지 홀더의 경우 야외에서의 휴대성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며, 골판지로 된 홀더의 경우에는 과도하게 비싼 재료비와 더불어 음료 제공자 또는 음료 섭취자가 매번 일일이 그 종이컵에 홀더를 끼워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종이컵의 외면에 별도의 파지체를 원통 형상으로 결합 형성하되, 그 원통 형상의 파지체 선단은 종이컵 선단의 테두리부와 함께 밴딩 결합되게 하고, 파지체의 하단은 종이컵의 외면에 접착 형성하며, 그 파지체의 중간부에는 절취 및 밴딩선에 의한 지지절곡부를 형성하여 그 지지절곡부에 의해 종이컵의 외면과 파지체의 내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한 파지체에 의한 공간부를 통해 종이컵 외면의 고온이 파지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뜨거운 내용물을 갖는 종이컵을 파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파지체를 잡고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한 원통 형상으로 된 파지체는 그 종이컵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여 그 종이컵을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일회용 종이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선단에 단면상 원형의 테두리부(1)를 갖는 동체(2)의 하단에는 바닥지(3)가 부착 형성된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한 동체(2)의 외면에는 원통형의 파지체(10)를 형성하되,
그 파지체(10)의 선단은 상기 테두리부(1)와 함께 밴딩 결합되게 하고, 파지체(10)의 하단은 그 동체(2)를 향하는 절곡부(11)를 형성하여 동체(2)의 외면에 부착 형성하며,
파지체(10)의 중간부에는 상,하 절취선(12)과 양측 밴딩선(13)에 의한 지지 절곡부(14)(14')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그 지지절곡부(14)(14')에 의해 동체(2)의 외면과 파지체(10)의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부(4)가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일회용 종이컵은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외측에 별도의 파지체를 결합 형성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종이컵은 선단에 단면상 원형의 테두리부(1)를 갖는 동체(2)를 갖고 그 동체(2)의 하부 개방부에는 바닥지(3)를 부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은 그 동체(2)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된 별도의 파지체(10)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파지체(1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선단이 상기한 동체(2)의 선단에 형성된 테두리부(1)와 함께 밴딩 결합되는 것이며, 그 파지체(10)의 하단은 동체(2)의 외면을 향하여 접힌 상태의 절곡부(11)를 갖고 있어 그 절곡부(11)와 동체(2)의 외면을 접착하여 부착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파지체(10)의 중간부에는 방사상의 지지절곡부(14)(14')가 상,하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그 지지절곡부(14)(14')는 상,하의 절취선(12)과 좌,우의 밴딩선(13)에 의해 동체(2)를 향하여 절곡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지지절곡부(14)(14')에 해당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한 동체(2)의 외면과 파지체(10)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단열공간부(4)가 형성되는 것인데, 그 단열공간부(4)는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진 동체(2)의 발열이 그 파지 체(1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결국 파지체(10)는 보다 낮은 상태의 온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동체(2) 내에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한 파지체(10) 부분을 잡고 그 내용물을 섭취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외표면의 온도는 그다지 뜨겁지 않은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파지체(10)는 그 일회용 종이컵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도 겸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은 사용목적 및 원가 등을 고려하여 컵 형태에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로 된 종이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일회용 종이컵을 동일인이 반복 사용할 경우에는 쉽게 구겨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단점을 갖고 있는바, 상기한 파지체(10)는 그 일회용 종이컵 자체의 두께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을 하더라도 그 컵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지지절곡부(14)(14')는 절취선(12)과 밴딩선(13)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기재하였으나, 동체(2)의 외면과 파지체(10)의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부(4)가 형성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 즉, 별도의 지지대를 내면에 부착 형성하거나 코킹에 의한 돌출 형태 또는 절단 밴딩에 의한 돌출 형태 등 일반적인 방법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은, 별도의 파지체에 의한 공간부를 통해 종이컵 외면의 고온이 파지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뜨거운 내용물을 갖는 종이컵을 파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파지체를 잡고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한 원통 형상으로 된 파지체는 그 종이컵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여 그 종이컵을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단에 단면상 원형의 테두리부(1)를 갖는 동체(2)의 하단에는 바닥지(3)가 부착 형성된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한 동체(2)의 외면에는 원통형의 파지체(10)를 결합 형성하되,
    그 파지체(10)의 선단은 상기 테두리부(1)와 함께 밴딩 결합되게 하고, 파지체(10)의 하단은 그 동체(2)를 향하는 절곡부(11)를 형성하여 이를 동체(2)의 외면에 부착 형성하며,
    파지체(10)의 중간부에는 상,하 절취선(12)과 양측 밴딩선(13)에 의한 지지절곡부(14)(14')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그 지지절곡부(14)(14')에 의해 동체(2)의 외면과 파지체(10)의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부(4)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KR2020070005694U 2007-04-06 2007-04-06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KR200800045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94U KR20080004515U (ko) 2007-04-06 2007-04-06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94U KR20080004515U (ko) 2007-04-06 2007-04-06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15U true KR20080004515U (ko) 2008-10-09

Family

ID=4132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694U KR20080004515U (ko) 2007-04-06 2007-04-06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51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63A1 (ko) * 2017-02-21 2018-08-30 강경욱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63A1 (ko) * 2017-02-21 2018-08-30 강경욱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CN110267887A (zh) * 2017-02-21 2019-09-20 姜璟郁 设置有防热板的纸杯
US20190357710A1 (en) * 2017-02-21 2019-11-28 Kyung Wook KANG Paper cup provided with heat conduction prevention plate
JP2020508731A (ja) * 2017-02-21 2020-03-26 カン, キョン ウクKANG, Kyung Wook 熱伝導防止板が備えられた紙コップ
US10893764B2 (en) 2017-02-21 2021-01-19 Kyung Wook KANG Paper cup provided with heat conduction prevention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ja) コップ
JP2012515052A (ja) 保護スリーブ
USD600504S1 (en) Partitioned food tray with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
JP3202643U (ja) 飲料用の支持部を備えた食品コンテナ
US20090114661A1 (en) Holder
US10542845B2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US20200140186A1 (en) Ground coffee drip bag
US8939349B2 (en) Disposable cup
US20110042451A1 (en) Paper Cup With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20080004515U (ko) 단열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컵
US20120097571A1 (en) Food Packaging System with Separable Food Utensils
KR20080096738A (ko) 스트로우를 내장한 음료용 팩
JP3163173U (ja) 飲料容器保持具用サポート用具
KR20110003713U (ko) 컵 홀더
RU2708954C1 (ru) Одноразовый ярлык-конверт для упаковки, хранения, заваривания и употребления чая, кофе, какао и других напитков
JP3195580U (ja) 厚紙製外被を備えた包装用容器の構造
KR20070000281U (ko)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KR20110097105A (ko) 홀더가 있는 일회용 컵
KR200451943Y1 (ko) 더블 캔 결합장치
JP2008155971A (ja)
KR20120102970A (ko) 컵홀더
KR200474336Y1 (ko) 음료 용기 캐리어
CN216003641U (zh) 一种饮料包装袋
CN106395113B (zh) 饮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