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503U -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 Google Patents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03U
KR20080004503U KR2020070005658U KR20070005658U KR20080004503U KR 20080004503 U KR20080004503 U KR 20080004503U KR 2020070005658 U KR2020070005658 U KR 2020070005658U KR 20070005658 U KR20070005658 U KR 20070005658U KR 20080004503 U KR20080004503 U KR 200800045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shing
center
trigg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순
Original Assignee
박권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순 filed Critical 박권순
Priority to KR2020070005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503U/ko
Publication of KR20080004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01K91/065Jiggling devices, i.e. devices for moving the l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7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sound emis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구성이 상부 커버(10)와; 집어기 커버(20); 하부 커버(30); 집어기부(40); 챔질 작동부(50); 챔질 민감도 조절부(60);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 오작동 방지통(80);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민물낚시나 바다낚시에 있어서 종래의 부력 조정추(납) 대신에 구성하여 소정 주파수의 음향(유영포식음)과 소정 파장의 빛(광)을 발생시켜 물고기를 유인하여 집어하고; 물고기 입질시 낚싯바늘을 잡아채는 자동챔질 작용을 제공하며; 상기 챔질과 동시에 수면의 낚시찌를 수면 아래로 끌어당겨 어신을 증폭시키므로써 시원한 낚시찌 움직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에 관한 것이다.
어신 증폭, 챔질, 집어

Description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Atuo-Snatcher With a fish attract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
도 3은 상부 커버(10)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4는 집어기 커버(20)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5는 하부 커버(30)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6은 회전실패(52)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7은 방아쇠(54)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8은 노리쇠(55)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9는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오작동 방지통(80)의 구조 및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작동 절차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상부 커버
11 집어기 커버 체결 나사부 12 방수 돌출부
13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 14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수용홈
15 어신전달줄 구멍 16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
17 방수패킹(소) 18 방수패킹(대)
20 집어기 커버
21 상부커버 체결 나사부 22 어신전달줄 가이드
22a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 23 집어기 수용홈
24 회전실패 수용홈 25 단락 스위치 전극 고정구멍
26 하부 커버 체결부 27 회전방지 홈
30 하부 커버
31 회전실패 수용홈 32 집어기 커버 체결부
33 회전방지 돌출부 34 회전실패축 수용홈
35 방아쇠 가이드 구멍 36 코일스프링 고정구멍
37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 37a 방아쇠 회동축 고정구멍
38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체결구멍 39 회전방지 홈
40 집어기부 41 음향 발생부
42 빛(광) 발생부 43 마이크로 프로세서
44 단락 스위치 전극 45 기판전극
46 판스프링 전극 47 전지(버튼식)
50 챔질 작동부
51 어신전달줄 51a 상부도래
51b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51c 노리쇠 작동구슬
51d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 51e 하부도래
52회전실패
52a 회전실패축 52b 코일스프링 수용홈
52c 코일스프링 고정구멍 52d 회전실패 멈춤 돌기 수용홈
52e 회전 멈춤 걸림단 52f 어신전달줄 고정구멍
53 코일스프링 53a 고정 돌기
54 방아쇠 54a 노리쇠 수용구멍
54b 회전실패 멈춤 돌기 54c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 홈
54d 노리쇠 장전돌기 상부 걸림판 54e 방아쇠 격발턱
54f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 54g 방아쇠 회동축 구멍
55 노리쇠
55a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 55b 어신전달줄 구멍
55c 노리쇠 장전돌기 55d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단
56 방아쇠 회동축
60 챔질 민감도 조절부
61 민감도 조절 나사 62 민감도 조절 나사구멍
63 민감도 조절 스프링 64 민감도 조절 스프링 수용구멍
70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71 노리쇠 수용홈
72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 73 반원형 절개부
74 하부 커버 체결부 75 회전방지 돌출부
80 오작동 방지통 81 마찰저항 돌출부
82 몸체 수용 구멍 83 반원형 절개부 수용구멍
84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홈 85 마찰저항 감소 돌출부
86 흡배수 구멍 87 민감도 조절나사 조정구멍
본 고안은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구성이 상부 커버(10)와; 집어기 커버(20); 하부 커버(30); 집어기부(40); 챔질 작동부(50); 챔질 민감도 조절부(60);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 오작동 방지통(80);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민물낚시나 바다낚시에 있어서 종래의 부력 조정추(납) 대신에 구성하여 소정 주파수의 소리(음향)와 소정 파장의 빛(광)을 발생시켜 물고기를 유인하여 집어하고; 물고기 입질시 낚싯바늘을 순간적으로 잡아채는 자동챔질 작용을 제공하며; 상기 챔질과 동시에 수면의 낚시찌를 수면 아래로 끌어당겨 어신을 증폭시키므로써 시원한 낚시찌 움직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물고기 활성도에 따라 방아쇠(54)의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므로써 예민한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도 챔질이 이루어지며,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 파도 등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민물낚시나 바다낚시의 찌낚시에 있어서 낚시찌는 물고기 입질이 낚시원줄을 통해 수면의 낚시찌에 전달되어 상하로 움직임을 나타낸다. 낚시하는 사람은 낚시찌의 움직임을 보고 손으로 챔질을 한다. 물고기 입질이 낚시찌에 어신으로 나타나는 순간에 챔질을 하지 못하면 물고기를 낚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챔질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낚시찌를 주시하게 되므로 눈에 피로감을 느끼고, 무엇보다도 잠시도 자리를 비울 수 없어 여유로운 낚시를 즐길 수 없게 된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 챔질순간을 놓쳐 고기를 낚을 수 없으므로 낚시의 손맛, 눈 맛을 느끼지 못하고, 보다 여유로운 낚시의 즐거움을 즐길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기술에는 "자동챔질 판형 낚시추"(출원번호: 1020060051202, 2020060014306); "자동챔질 낚시추"(출원번호: 2020030000339, 2020060015272); "자동챔질 낚시찌"(출원번호: 1019990011930, 2020000028184, 2020000016617, 1020010020218, 2020020012733, 2020030002503); 본 출원인이 출원 제안한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출원번호: 1020030027919, 1020030028150, 2020030013642, 2020030013787); 등이 등록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하고, 어신의 형태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 챔질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의 챔질수단은 격발장치에 작용하는 물고기 입질의 세기(힘)가 격발장치의 접촉 마찰력보다 보다 커야만 챔질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어신형태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물고기 입질의 세기는 격발장치의 접촉 마찰력이나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 입수시 수면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에 비해 대단히 작다.
상기 종래기술들의 챔질수단이 물고기 입질에 대해 챔질이 민감하게 이루어지도록 격발장치의 접촉 마찰력을 작게 설정하면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 충격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며, 반면에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격발장치의 접촉 마찰력을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충격보다 크게 설정하면 어신 형태로 나타나는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 챔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들의 챔질수단에 있어서 구조 역학적으로 상호관계를 가지고 동시에 발생하는 오작동 문제와 챔질 민감도 문제는 종래기술들의 실용화에 있어 핵심적인 장애 요소가 되고 있으며, 그의 개선이나 해결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민물낚시나 바다낚시에 있어서 종래의 부력조정추(납) 대신에 구성하여
첫째, 소정 주파수의 소리(음향-유영포식음)와 소정 파장의 빛(광)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는 "집어기능"을 구현하고;
둘째, 물고기 입질에 의해 챔질수단이 격발 작동하여 낚싯바늘을 잡아채는 "자동챔질 기능"을 구현하고;
셋째, 상기 챔질과 동시에 수면의 낚시찌를 수면 아래로 끌어당겨 시원한 낚시찌 움직임(어신 증폭)을 제공하는 "어신증폭" 기능을 구현하고;
넷째, 예민한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도 챔질이 민감하게 이루어지도록 "챔질 민감도 조절" 기능을 구현하고;
다섯째,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 파도, 바람, 낚시 숙련도 등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의 구성 및 특성,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함께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 및 결합상태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상부커버(10)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집어기 커버(20)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하부 커버(30)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실패(52)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방아쇠(54)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노리쇠(55)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오작동 방지통(80)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작동 절차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의 전체구성은 상부커버(10)와; 집어기 커버(20); 하부 커버(30); 집어기부(40); 챔질 작동부(50); 챔질 민감도 조절부(60);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 오작동 방지통(8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상부커버(10)는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집어기 커버 체결 나사부(11)와; 방수 돌출부(12);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수용홈(14); 어신전달줄 구멍(15);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16); 방수패킹(소)(17); 방수패킹(대)(18);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집어기의 빛(광) 발생부(42)에서 발생하는 빛(광)이 수중으로 투광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집어기 커버 체결 나사부(11)는 상부커버(10)를 집어기 커버(20)와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는 것으로서 상부커버(10)의 하부면 중앙에 소정 깊이로 형성한 구멍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며; 방수 돌출부(12)는 어신전달줄 가이드(22)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부커버(10)의 내측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하부면 중앙에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을 소정 깊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수용홈(14)은 도 11에 도시한 실시 예(4)와 같이 장전시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로 하여금 걸림 상태를 형성하게 하여 낚시투척시 관성충격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의 상부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의 구멍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며; 어신전달줄 구멍(15)은 어신전달줄(51)이 통과하는 통로로서 상부커버(10) 중심선을 기준으로 횡단면상 0도 방향으로 형성한 슬러트 형상을 상하 관통하여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16)은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커버(10) 중심선을 따라 상부 면에서 하방향으로 위치한 소정 지점에서 좌측면도상 315도 방향으로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하며; 방수패킹(소)(17)은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 상부 면에, 방수패킹(대)(18)은 집어기 커버 체결 나사부(11) 상부 면에 삽입 배설하여 상부커버(10)와 집어기 커버(20) 체결시 압착되어 집어기부(4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오링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집어기 커버(20)는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커버 체결 나사부(21)와; 어신전달줄 가이드(22);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22a); 집어기 수용홈(23); 회전실패 수용홈(24); 단락 스위치 전극 고정구멍(25); 하부 커버 체결부(26); 회전방지 홈(27);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커버 체결 나사부(21)는 상부커버(10)를 체결하는 것으로서 집어기 커버(20)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어신전달줄 가이드(22)는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에 삽입 체결시 방수패킹(소)(17)을 압착하는 것으로서 집어기 수용홈(23)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중앙에 상하를 관통하여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22a)을 형성하며; 집어기 수용홈(23)은 어신전달줄 가이드(32b) 외주면과 집어기 커버(20)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공간으로서 집어기(40)를 착설 내장하며; 회전실패 수용홈(24)은 회전실패(52)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집어기 커버(20) 하부면의 중앙에 원의 양측 원주가 직선으로 구성된 홈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고, 그 상부 면을 원뿔 형상으로 형성하며; 단락 스위치 전극 고정구멍(25)은 단락 스위치 전극(44)을 착설 고정하는 것으로서 집어기 커버(20)의 횡단면상 0도 방향의 내주면에 인접한 지점에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하며; 하부 커버 체결부(26)는 외주면을 집어기 커버 체결부(32) 내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회전방지 홈(27)은 조립시 기준으로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하부 커버 체결부(26)의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외주면상에 반원형 형상의 홈을 수직방향으로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하부 커버(30)는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회전실패 수용홈(31)과; 집어기 커버 체결부(32); 회전방지 돌출부(33); 회전실패축 수용홈(34); 방아쇠 가이드 구멍(35); 코일스프링 고정구멍(36);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37); 방아쇠 회동축 고정구멍(37a);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체결구멍(38); 회전방지 홈(39);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실패 수용홈(31)은 회전실패(52)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하부 커버(40)의 상부면 중앙에 회전실패 수용홈(24)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하며; 집어기 커버 체결부(32)는 하부 커버(40)의 상부 외주면을 하부 커버 체결부(26) 내주면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회전방지 돌출부(33)는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집어기 커버 체결부(32)의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외주면상에 반원형 형상으로 돌출시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며; 회전실패축 수용홈(34)은 하부 커버(40) 상부면의 중심에서 반원형 형상의 홈을 횡단면상 90도 방향과 180도 방향의 집어기 커버 체결부(32)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며; 방아쇠 가이드 구멍(35)은 방아쇠(54)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하부 커버(40) 중심선을 기준으로 횡단면상 270도 방향으로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한 장방형 구멍으로서 하부 면이 하부 커버(4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며; 코일스프링 고정구멍(36)은 하부 커버(40)의 횡단면상 250도 방향의 상부면 지점에 형성하며;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37)은 하부 커버(40)의 횡단면상 90도 방향의 내측면상 지점에 장방형 돌출부를 대칭으로 형성하고, 측면 하부에 방아쇠 회동축 고정구멍(37a)을 관통하여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체결구멍(38)은 하부 커버(40)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하고,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원주 면상에 수직방향으로 반원형 형상의 회전방지 홈(39)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집어기부(40)는 음향 발생부(41)와; 빛(광) 발생부(42);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43); 단락 스위치 전극(44); 기판전극(45); 판스프링 전극(46); 전지(버튼식)(47); 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정 파장의 빛(광)과 소정 주파수의 음향을 발생시켜 물고기를 집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음향 발생부(41)는 음원으로 소정 주파수의 소리(음향)를 발산하는 진동소자를 사용하며; 빛(광) 발생부(42)는 광원으로 소정 파장의 빛(광)을 발광하는 LED를 사용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43)는 빛(광) 발생부(42)로 하여금 소정 파장의 빛(광)을 발산하고, 음향 발생부(41)로 하여금 소정 주파수의 음향을 발산하도록 비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 제어하는 것으로서 완만하게 점등되고 점멸되도록 형성하며; 단락 스위치 전극(44)은 회전실패 수용홈(24)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전극으로서 단락 스위치 전극 고정구멍(25)에 각각 착설하여 고정하고, 기판전극(45)에 연결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며; 기판전극(45)은 전지(버튼식)(47)의 -전극이, 판스프링 전극(46)은 +전극이 접속하여 전기적 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회로기판(41)에 고정하여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챔질작동부(50)는 어신전달줄(51)과; 회전실패(52); 코일스프링(53); 방아쇠(54); 노리쇠(55); 방아쇠 회동축(56);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물고기 입질에 의해 격발 작동하여 낚싯바늘과 낚시찌를 잡아채는 자동챔질 작용과 어신증폭 작용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어신전달줄(51)은 합사 줄에 상부도래(51a)와;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 노리쇠 작동구슬(51c);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51d); 하부도래(51e); 를 고정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물고기 입질을 챔질 작동부(50)에 전달하고, 챔질 작동부(50)의 챔질작용과 어신증폭 작용을 낚싯바늘과 낚시찌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도래(51a)는 낚시원줄과 연결하여 꼬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어신전달줄(51) 상부끝단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오작동 방지용 상부구슬(51b)은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부도래(51a) 하방향의 소정 지점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노리쇠 작동구슬(51c)은 물고기 입질을 노리쇠(55)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 하방향의 소정 지점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51d)은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노리쇠 작동구슬(51c) 하방향의 소정 지점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하부도래(51e)는 낚시목줄을 연결하여 꼬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어신전달줄(51) 하부끝단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회전실패(52)는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회전실패축(52a)과; 코일스프링 수용홈(52b); 코일스프링 고정구멍(52c); 회전실패 멈춤 돌기 수용홈(52d); 회전 멈춤 걸림단(52e); 어신전달줄 고정구멍(52f);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코일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으로 회전하면서 어신전달줄(51)을 감아 당기므로써 낚싯바늘과 낚시찌를 직선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챔질작용과 어신증폭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실패축(52a)은 회전실패(52) 양측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며; 코일스프링 수용홈(52b)은 코일스프링(53)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회전실패(52) 좌측면에 회전실패축(52a) 외주면을 내측면으로 원통형으로 형성하며; 코일스프링 고정구멍(52c)은 회전실패(52)의 좌측면 중심에서 0도 방향으로 코일스프링 수용홈(52b) 외주면에 인접한 지점을 관통하여 형성하며; 회전실패 멈춤 돌기 수용홈(52d)은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회전실패(52) 회전시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에 장애가 되는 회전실패(52) 외주면을 제거하여 형성하며; 회전 멈춤 걸림단(52e)은 방아쇠(54)의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에 맞물려 회전실패(52)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회전실패(52) 우측면과 상기 회전실패 멈춤 돌기 수용홈(52d)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를 조립시 방아쇠(54) 상부 면에 닿지 않는 높이로 형성하고, 회전실패 멈춤 돌기 수용홈(52d)과 접하는 모서리는 8-16도 모따기하여 형성하고, 회전실패(52)의 우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 180도 사이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형성하며; 어신전달줄 고정구멍(52f)은 회전실패(52)의 중심에서 우측면도상 315도 방향의 외주면과 135도 방향으로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코일 스프링(53)은 격발시 회전실패(52)의 회전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양끝단부에 고정 돌기(53a)를 각각 형성하여 일측은 회전실패(52)의 코일스프링 고정 구멍(52c)에, 다른 일측은 하부 커버(30)의 코일스프링 고정구멍(36)에 삽입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아쇠(54)는 도 7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 수용구멍(54a)과;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 홈(54c); 노리쇠 장전돌기 상부 걸림판(54d); 방아쇠 격발턱(54e);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54f); 방아쇠 회동축 구멍(54g);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회전실패(52)의 회전을 제동하여 장전상태를 형성하고, 물고기 입질시 회전실패(52)의 장전상태를 해제하여 챔질작용을 촉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노리쇠 수용구멍(54a)은 노리쇠(55)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방아쇠(54) 중앙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하고, 어신전달줄(51)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부 모서리를 45도 모따기하여 형성하며;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는 장전시 회전 멈춤 걸림단(52e)에 맞물려 회전실패(52)의 회전을 제동하고, 물고기 입질시 회전 멈춤 걸림단(52e)에서 이탈하여 회전실패(52)의 회전을 촉발하는 것으로서 도 7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 수용구멍(54a)의 상부면 중앙에 X, Y축을 설정하여 일측이 90도 방향의 원주면에 탄젠트로 접하고, 다른 일측이 X축과 접하도록 장방형 형상을 돌출시켜 형성하며;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홈(54c)은 노리쇠 장전돌기(55c)를 수용하여 상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노리쇠 수용구멍(54a) 상부면의 중심에서 방아쇠(54) 좌측면에 이르도록 소정 깊이의 슬러트 형상으로 형성하며; 노리쇠 장전돌기 상부 걸림판(54d)은 노리쇠 장전돌기(55c)가 방아쇠(54)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걸림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 홈(54c) 상부를 소정 두께로 막아 형성하며; 방아쇠 격발턱(54e)은 노리쇠 장전돌기(55c)가 작용하는 곳으로서 방아쇠(54) 좌측면의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홈(54c)을 소정 두께로 막아 소정 높이로 형성하며;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54f)은 방아쇠(54) 우측면의 중앙에 장방형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측면 중앙에 방아쇠 회동축 구멍(54g)을 관통하여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써 물고기 입질이 방아쇠 회동축 구멍(54g)을 받침점으로 방아쇠 격발턱(54e)에 모멘트(Moment)로 작용하도록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노리쇠(55)는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55a)과; 어신전달줄 구멍(55b); 노리쇠 장전돌기(55c);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단(55d);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방아쇠(54)를 들어 올려 장전을 유도하고, 방아쇠(54)에 물고기 입질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55a)은 노리쇠 작동구슬(51c)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노리쇠(55)의 상부면 중앙에 소정 깊이로 형성하며; 어신전달줄 구멍(55b)은 어신전달줄(51)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55a)의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하며; 노리쇠 장전돌기(54c)는 장전시 방아쇠(54)를 들어올리고, 물고기 입질시 물고기 입질을 방아쇠 격발턱(54e)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노리쇠(55) 상부면의 270도 방향의 외주면에 장방형 형상을 돌출시켜 형성하고, 돌출부의 하부면 외측 모서리를 계단형상으로 제거하여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단(55d)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아쇠 회동축(56)은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방아쇠 회동축 구멍(54g)에 삽입하여 방아쇠 회동축 고정구멍(37a)에 착설하여 방아쇠(54)의 원활한 회동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의 챔질 민감도 조절부(60)는 민감도 조절 나사(61)와; 민감도 조절 나사구멍(62); 민감도 조절 스프링(63); 민감도 조절 스프링 수용구멍(64);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예민한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도 챔질이 민감하게 이루어지도록 챔질작동부(50)의 챔질 민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민감도 조절 나사(61)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렌찌볼트 형상으로 형성하며; 민감도 조절 나사구멍(62)은 민감도 조절나사(61)를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는 구멍으로서 하부 커버(40) 중간부위의 중앙지점에서 횡단면상 90도 방향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암나사 형태로 형성하며; 민감도 조절 스프링(63)은 녹이 슬지 않는 금속재질을 사용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방아쇠(54)의 작동 민감도 조절에 필요한 탄성 힘을 제공하며; 민감도 조절 스프링 수용구멍(64)은 민감도 조절 스프링(63)을 수용하는 구멍으로서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54f) 우측면의 상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는 도 9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 수용홈(71)과;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72); 반원형 절개부(73); 하부 커버 체결부(74); 회전방지 돌출부(75)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노리쇠(55)와 오작동 방지통(80)의 작동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노리쇠 수용홈(71)은 노리쇠(55)를 수용하여 상하작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 상부면의 중앙에 소정 깊이로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72)은 오작동 방지통(80)이 하부로 빠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시켜 형성하며; 반원형 절개부(73)는 오작동 방지통(80)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의 하부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270도 방향의 몸체를 소정 길이만큼 제거하여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하며; 하부 커버 체결부(74)는 하부 커버(40)와 체결하는 부분으로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체결구멍(38)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회전방지 돌출부(75)는 조립시 기준으로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하부 커버 체결부(74)의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외주면상에 반원형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작동 방지통(80)은 도 10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마찰저항 돌출부(81)와; 몸체 수용 구멍(82); 반원형 절개부 수용구멍(83);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홈(84); 마찰저항 감소 돌출부(85); 흡배수 구멍(86); 민감도 조절나사 조정구멍(87);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장전시 노리쇠(55)를 상부로 들어 올려 장전상태를 유도하고,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마찰저항 돌출부(81)는 입수시나 수중 하강시에 물의 마찰저항이 작용하는 것으로서 오작동 방지통(80)의 상부 모서리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시켜 형성하며; 몸체 수용 구멍(82)은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를 수용하는 구멍으로서 오작동 방지부(50)의 상부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하며; 반원형 절개부 수용구멍(83)은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를 삽입하는 구멍으로서 오작동 방지통(80) 중앙에 반원형 절개부(73)와 같은 반원형 형상으로 관통하여 구멍을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홈(84)은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72)을 수용하는 홈으로서 오작동 방지통(80) 하부 바닥면의 중앙에 반달형상의 홈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며; 마찰저항 감소 돌출부(85)는 오작동 방지통(80) 상하 작동시 접촉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으로서 오작동 방지통(80)의 내주면을 따라 반원형의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며; 흡배수 구멍(86)은 챔질수단 내부로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하는 구멍으로서 오작동 방지통(80)의 횡단면상 0도, 90도, 180도, 270도 방향의 소정 지점에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하며; 민감도 조절나사 조정구멍(87)은 민감도를 조절하는 렌찌를 삽입하는 구멍으로서 오작동 방지통(80)의 중심선상 지점에서 횡단면상 90도 방향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각각의 단위부품들이 결합하여 구성한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의 작용 및 특성, 효과를 도 11에 도시한 실시 예와 함께 절차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격발이 완료된 상태로서 도 11에 도시한 실시 예(1)와 같이 회전실패(52)가 어신전달줄(51)을 감고 있는 상태를 형성한다.
2.어신전달줄(51)을 상하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한 실시 예(2)와 같이 회전실패(52)는 반대방향의 모멘트(Moment)가 작용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53)은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수축상태를 형성하고, 어신전달줄(51)은 회전실패(52)에서 풀려 상하가 일직선 상태를 형성한다.
3.상부의 어신전달줄(51)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오작동 방지통(8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한 실시 예(3)와 같이 오작동 방지통(80)의 내측 바닥면이 노리쇠(55) 바닥면을 들어 올려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노리쇠 장전돌기(55c)가 노리쇠 장전돌기 상부 걸림판(54d)을 들어 올려 방아쇠(54)로 하여금 방아쇠 회동축(56)을 받침점으로 회전을 하면서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가 회전 멈춤 걸림단(52e)에 맞물려 걸림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잡아당기고 있던 상부쪽 어신전달줄(51)을 놓는다. 그러면 회전실패(52)는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회전이 제동된 상태(장전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4.오작동 방지통(80)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51d)을 노리쇠 수용홈(71)에 하부공간에 집어넣은 다음, 오작동 방지통(80)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한 실시 예(4)와 같이 오작동 방지통(80)의 내측 바닥면이 노리쇠 수용홈(71)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간격이 형성된다. 이 간격을 통해 어신전달줄(51)은 움직일 수 있지만,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51d)은 걸려 하부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낚시 투척시 어신전달줄(51) 하부쪽에서 발생하는 관성충격이 차단되므로 오작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5.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을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16)으로 삽입하여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수용홈(14)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도 11의 실시 예(4)와 같이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은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수용홈(14) 상부 면에 걸려 걸림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낚시 투척시 어신전달줄(51) 상부쪽에서 발생하는 관성충격이 차단되므로 오작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6.입수시 오작동 방지통(80)은 수면과 충돌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한 실시 예(5)와 같이 노리쇠 수용홈(71)에 하부공간에 갇혀 걸림 상태로 있던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51d)이 노리쇠 수용홈(71)을 이탈하여 수중에 위치하게 되며; 오작동 방지통(80)의 내측 바닥면은 수면과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과 같은 힘으로 노리쇠(55) 하부 바닥면을 들어 올려 받치는 상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노리쇠 장전돌기(55c) 역시 노리쇠 장전돌기 상부 걸림판(54d)을 들어 올려 받치는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방아쇠(54)는 입수시 수면과의 충돌 충격에 대해 장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오작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7.수중 하강시 오작동 방지통(80)은 마찰저항 돌출부(81)에 작용하는 물의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6.항의 입수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방아쇠(54)는 수중하강시에도 오작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8.수중에서 하강을 완료하고 정지상태가 되면
-> 도 11의 실시 예(6)와 같이 오작동 방지통(80)은 자체 무게로 하강하여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72)에 걸림 상태를 형성하며; 노리쇠(55) 역시 자체 무게로 하강하면서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단(55d)이 방아쇠 격발턱(54e)에 얹히는 상태를 형성하며; 노리쇠 작동구슬(51c)은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55a) 바닥면에 자연스럽게 얹혀 있는 걸림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물고기 입질시 물고기의 입질이 어신전달줄(51)을 통해 곧바로 방아쇠(54)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한다.
-> 챔질수단 내부로 물 또는 바닷물이 유입되어 단락 스위치 전극(44)의 위치까지 차오르면 전원공급이 시작되면서 집어기부(40)는 소정 주파수의 음향(유영포식음)과 소정 파장의 빛(광)을 발산하여 물고기를 유인하여 집어한다.
9.물고기 입질시 격발 및 챔질
물고기 입질은 어신전달줄(51)을 당기는 작용을 한다. 물고기 입질에 의해 당겨지는 어신전달줄(51)은 노리쇠 작동구슬(51c)로 하여금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55a) 바닥면을 누르게 하여 노리쇠(55)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단(55d)이 방아쇠 격발턱(54e)을 누름으로써 방아쇠(54)는 방아쇠 회동축(56)을 받침점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로 하여금 도 11의 실시 예(7)와 같이 회전 멈춤 걸림단(52e)에서 이탈하게 한다. 이에 따라, 회전실패(52)는 코일스프링(53)의 탄성힘으로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 그러면, 도 11의 실시 예(1)와 같이 어신전달줄(51)은 회전실패(52)에 감기면서 하부쪽 어신전달줄(51)을 끌어당겨 낚싯바늘에 대해 챔질을 제공하고, 상부쪽 어신전달줄(51)을 끌어당기므로써 수면위의 낚시찌를 수면 아래로 끌어당겨 어신증폭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는 민물낚시나 바다낚시에 있어서 종래의 부력 조정추(납) 대신에 구성하여 소정 주파수의 소리(음향)와 소정 파장의 빛(광)을 발생시켜 물고기를 유인하여 집어하고; 물고기 입질시 낚싯바늘을 잡아채는 자동챔질을 제공하고, 상기 챔질과 동시에 수면의 낚시찌를 수면 아래로 끌어당겨 어신을 증폭시키므로써 시원한 낚시찌 움직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물고기 활성도에 따라 방아쇠(54)의 작동 민감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예민한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도 챔질이 민감하게 이루어지며,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 충격, 파도 등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12)

  1. 종래의 부력 조정추(납) 대신에 구성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에 있어서
    전체구성이 상부커버(10)와; 집어기 커버(20); 하부 커버(30); 집어기부(40); 챔질작동부(50); 챔질 민감도 조절부(60);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 오작동 방지통(80);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리(음향)와 빛(광)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유인하여 집어하고; 물고기 입질시 낚싯바늘을 잡아채는 챔질을 제공하고; 상기 챔질과 동시에 수면의 낚시찌를 수면 아래로 끌어당겨 시원한 낚시찌 움직임(어신 증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부커버(10)는
    집어기 커버 체결나사부(11)와; 방수 돌출부(12);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수용홈(14); 어신전달줄 구멍(15);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16); 방수패킹(소)(17); 방수패킹(대)(18);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집어기 커버 체결 나사부(11)는 상부커버(10) 하부면 중앙의 원형 홈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를 형성하고; 방수 돌출부(12)는 상부커버(10)의 내측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하부면 중앙에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을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수용홈(14)은 어신전달줄 가이드 수용홈(13)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하며; 어신전달줄 구멍(15)은 상부커버(10) 중심선을 기준으로 횡단면상 0도 방향으로 형성한 슬러트 형상을 상하 관통하여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16)은 상부커버(10) 상부면에서 중심을 따라 하방향에 위치한 지점에서 좌측면도상 315도 방향으로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집어기 커버(20)는
    상부커버 체결 나사부(21)와; 어신전달줄 가이드(22);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22a); 집어기 수용홈(23); 회전실패 수용홈(24); 단락 스위치 전극 고정구멍(25); 하부 커버 체결부(26); 회전방지 홈(27);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상부커버 체결 나사부(21)는 집어기 커버(20)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어신전달줄 가이드(22)는 집어기 수용홈(23)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중앙에 상하를 관통하여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 구멍(22a)을 형성하며; 집어기 수용홈(23)은 어신전달줄 가이드(32b) 외주면과 집어기 커버(20)의 상부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집어기부(40)를 착설하여 내장하며; 회전실패 수용홈(24)은 집어기 커버(20)의 하부면 중앙에 원의 양측 원주가 직선으로 구성된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상부면을 원뿔 형상으로 형성하며; 단락 스위치 전극 고정구멍(25)은 집어기 커버(20) 중심에서 횡단면상 0도 방향의 외주면에 인접한 지점에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하며; 하부커버 체결부(26)는 집어기 커버(20) 하부의 원통 형상의 돌출부로서 외주면을 집어기 커버 체결부(32) 내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회전방지 홈(27)은 하부커버 체결부(26)의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외주면상에 반원형 형상의 홈을 수직방향으로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4. 청구항 1. 에 있어서, 하부 커버(30)는
    회전실패 수용홈(31)과; 집어기 커버 체결부(32); 회전방지 돌출부(33); 회전실패축 수용홈(34); 방아쇠 가이드 구멍(35); 코일스프링 고정구멍(36);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37); 방아쇠 회동축 고정구멍(37a);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체결구멍(38); 회전방지 홈(39); 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회전실패 수용홈(31)은 하부 커버(40)의 상부면 중앙에 원의 양측 원주가 직선으로 구성된 홈을 형성하며; 집어기 커버 체결부(32)는 하부 커버(40)의 상부 외주면을 하부커버 체결부(26)의 내주면 지름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회전방지 돌출부(33)는 집어기 커버 체결부(32)의 횡단면상 0도,180도 방향의 외주면상에 반원형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며; 회전실패축 수용홈(34)은 하부커버(40)의 상부면 중앙에서 반원형 형상의 홈을 횡단면상 90도 방향과 180도 방향으로 집어기 커버 체결부(32) 내주면에 이르도록 형성하며; 방아쇠 가이드 구멍(35)은 하부커버(40) 중심을 기준으로 횡단면상 270도 방향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한 장방형 구멍으로서 하부면을 하부커버(40)의 내측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하며; 코일스프링 고정구멍(36)은 하부 커버(40)의 횡단면상 250도 방향의 상부면상 지점에 형성하며;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37)은 하부커버(40)의 횡단면상 90도 방향의 내측면상 지점에 장방형 돌출부를 대칭으로 형성하고, 측면 상부에 방아쇠 회동축 고정구멍(37a)을 관통하여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체결구멍(38)은 하부 커버(40)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하고,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원주면상에 반원형 형상의 회전방지 홈(39)을 수직방향으로 형성;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챔질 작동부(50)는
    어신전달줄(51); 회전실패(52); 코일스프링(53); 방아쇠(54); 노리쇠(55); 방아쇠 회동축(56);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물고기 입질에 의해 격발, 작동하여 낚싯바늘과 낚시찌를 잡아채는 자동챔질 작용과 어신증폭 작용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어신전달줄(51)은
    합사 줄에 상부도래(51a)와;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 노리쇠 작동구슬(51c);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51d); 하부도래(51e); 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상부도래(51a)는 챔질수단을 낚시 원줄에 연결하여 꼬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어신전달줄(51) 상부 끝단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은 중앙에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한 구슬로서 상부도래(51a)의 하방향에 위치한 지점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노리쇠 작동구슬(51c)은 중앙에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한 구슬로서 오작동 방지 상부구슬(51b)의 하방향에 위치한 지점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오작동 방지 하부구슬(51d)은 중앙에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한 구슬로서 노리쇠 작동구슬(51c)의 하방향에 위치한 지점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하부도래(51e)는 어신전달줄(51) 하부 끝단에 고정하여;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 물고기 입질을 방아쇠(54)에 전달하고, 챔질 작동부(50)의 챔질작용을 낚싯바늘과 낚시찌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7. 청구항 5. 에 있어서, 회전실패(52)는
    회전실패축(52a)과; 코일스프링 수용홈(52b); 코일스프링 고정 구멍(52c); 회전실패 멈춤돌기 수용홈(52d); 회전멈춤 걸림단(52e); 어신전달줄 고정구멍(52f);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회전실패축(52a)은 회전실패(52)의 양측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며; 코일스프링 수용홈(52b)은 회전실패(52) 좌측면에 회전실패축(52a)이 원주면을 내측면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코일스프링 고정구멍(52c)은 회전실패(52) 좌측면의 중심에서 0도 방향으로 코일스프링 수용홈(52b) 외주면에 인접한 지점에 관통하여 형성하며; 회전실패 멈춤 돌기 수용홈(52d)은 회전실패(52) 회전시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에 장애가 되는 회전실패(52)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
    Figure 112007026509216-UTM00001
    ) 형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며; 회전 멈춤 걸림단(52e)은 회전실패 멈춤 돌기 수용홈(52d)의 우측면 모서리를 8-13도 각도로 모따기하고, 회전실패(52)의 우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 180도 사이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형성하며; 어신전달줄 고정구멍(52f)은 회전실패(52) 중심에서 우측면도상 315도 방향의 외주면과 135도 방향의 외주면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 코일스프링(53)에 의해 회전하면서 어신전달줄(51)을 감음으로써 낚싯바늘과 낚시찌를 직선방향으로 끌어당겨 챔질작용과 어신증폭 작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8. 청구항 5. 에 있어서, 방아쇠(54)는
    노리쇠 수용구멍(54a)과;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 홈(54c); 노리쇠 장전돌기 상부 걸림판(54d); 방아쇠 격발턱(54e);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54f); 방아쇠 회동축 구멍(54g);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고기 입질이 방아쇠 회동축 구멍(54g)을 받침점으로 하여 방아쇠 격발턱(54e)에 모멘트(Moment)로 작용하도록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노리쇠 수용구멍(54a)은 방아쇠(54) 중앙에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부 모서리는 모따기를 하여 형성하며; 회전실패 멈춤 돌기(54b)는 노리쇠 수용구멍(54a)의 상부면 중앙을 기준으로 X, Y축을 설정하여 일측면이 90도 방향의 원주에 탄젠트로 접하고, 다른 일측면은 X축과 접하도록 장방형 돌출부를 형성하며;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 홈(54c)은 노리쇠 수용구멍(54a) 상부면의 중심에서 방아쇠(54) 좌측면에 접하는 슬러트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노리쇠 장전돌기 상부 걸림판(54d)은 상기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 홈(54c)의 상부를 소정 두께로 막아 형성하며; 방아쇠 격발턱(54e)은 방아쇠(54) 좌측면의 노리쇠 장전돌기 가이드 홈(54c)을 막아 형성하며;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54f)은 방아쇠(54) 우측면의 중앙에 장방형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돌출부 측면의 하부에 방아쇠 회동축 구멍(54g)을 관통하여 형성;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 회전실패(52)의 회전을 제동하여 장전상태를 형성 유지하고, 물고기 입질시 회전실패(52)의 제동상태를 해제하여 챔질작용을 촉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9. 청구항 5. 에 있어서, 노리쇠(55)는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55a)과; 어신전달줄 구멍(55b); 노리쇠 장전돌기(55c);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단(55d);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노리쇠 작동구슬 수용홈(55a)은 노리쇠(55)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하고, 바닥면의 중앙에 어신전달줄 구멍(55b)을 관통하여 형성하며; 노리쇠 장전돌기(54c)는 노리쇠(55) 상부면의 270도 방향의 외주면에 장방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하부면의 외측 모서리를 계단형상으로 제거하여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단(55d)을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 방아쇠(54)를 들어 올려 장전을 유도하고, 방아쇠(54)에 물고기 입질을 전달하여 격발을 촉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챔질 민감도 조절부(60)는
    민감도 조절 나사(61)와; 민감도 조절 나사구멍(62); 민감도 조절 스프링(63); 민감도 조절 스프링 수용구멍(64);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민감도 조절 나사(61)는 렌찌볼트 형상으로 형성하며; 민감도 조절 나사구멍(62)은 하부 커버(40) 중심선상의 지점에서 횡단면상 90도 방향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암나사를 형성하며; 민감도 조절 스프링(63)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민감도 조절 스프링 수용구멍(64)에 내삽하여 배설하고; 민감도 조절 스프링 수용구멍(64)은 방아쇠 회동축 브래킷(54f)의 우측면 상부에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 예민한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도 챔질이 이루어지도록 챔질 민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11. 청구항 1. 에 있어서,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는
    노리쇠 수용홈(71)과;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72); 반원형 절개부(73); 하부 커버 체결부(74); 회전방지 돌출부(75)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노리쇠 수용홈(71)은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72)은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의 하부면 모서리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시켜 형성하며; 반원형 절개부(73)는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70)의 하부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270도 방향의 몸체를 8-15mm 길이로 제거하여 반원형으로 형성하며; 하부 커버 체결부(74)는 오작동 방지통 가이드 체결구멍(38)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회전방지 돌출부(75)는 하부 커버 체결부(74)의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외주면에 반원형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 노리쇠(55)와 오작동 방지통(80)의 상하 작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능을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12. 청구항 1. 에 있어서, 오작동 방지통(80)은
    마찰저항 돌출부(81)와; 몸체 수용 구멍(82); 반원형 절개부 수용구멍(83);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홈(84); 마찰저항 감소 돌출부(85); 흡배수 구멍(86); 민감도 조절나사 조정구멍(87);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마찰저항 돌출부(81)는 오작동 방지통(80) 상부의 모서리 외주면을 따라 돌출시켜 형성하며; 몸체 수용 구멍(82)은 원기둥 형상의 구멍으로서 오작동 방지부(5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하며; 반원형 절개부 수용구멍(83)은 오작동 방지통(80) 중앙에 반원형 형상의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하며;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홈(84)은 오작동 방지통(80) 하부 바닥면의 중앙에 오작동 방지통 빠짐 방지턱(72)을 수용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하며; 마찰저항 감소 돌출부(85)는 오작동 방지통(8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원형의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며; 흡배수 구멍(86)은 물을 챔질수단 내부로 유입하여 수중하강 속도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오작동 방지통(80) 하부 바닥면의 횡단면상 0도, 90도, 180도, 270도 방향의 지점에 관통하여 형성하며; 민감도 조절나사 조정구멍(87)은 오작동 방지통(80)의 중심선상 지점에서 횡단면상 90도 방향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 장전시 노리쇠(55)를 들어 올려 장전을 유도하고, 낚시 투척시 관성충격이나 수면과의 충돌 충격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증폭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KR2020070005658U 2007-04-06 2007-04-06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KR200800045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58U KR20080004503U (ko) 2007-04-06 2007-04-06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58U KR20080004503U (ko) 2007-04-06 2007-04-06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03U true KR20080004503U (ko) 2008-10-09

Family

ID=4132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658U KR20080004503U (ko) 2007-04-06 2007-04-06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5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2319A (zh) * 2019-10-11 2020-01-10 大连海事大学 基于吸引子的大型船舶轴系校中安全状态评估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2319A (zh) * 2019-10-11 2020-01-10 大连海事大学 基于吸引子的大型船舶轴系校中安全状态评估方法
CN110672319B (zh) * 2019-10-11 2021-04-23 大连海事大学 基于吸引子的大型船舶轴系校中安全状态评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0778B2 (ja) 漁獲装置
US7849629B1 (en) Automatic fish hook setter apparatus and method
US3823501A (en) Hook setter apparatus
US3658037A (en) Ground-stake animal tether
US8485856B2 (en) Decoy anchor assembly
US20140223798A1 (en) Decoy Anchor Assembly
US8028466B1 (en) Thwartable bottom link for vertical line
KR101526237B1 (ko) 자동 챔질 및 어신 감지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KR20080004503U (ko) 집어기를 구비한 어신 증폭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KR20210122604A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2275532B1 (ko) 자동 포획 낚시장치
US4068400A (en) Fishing device
US6341576B1 (en) Squirrel repellent bird feeder
KR102191301B1 (ko) 낚시용 자동챔질기
CA2529054A1 (en) Device for detaching a fish hook from an artificial bait
CN206061907U (zh) 全自动、高灵敏度、高可靠性的底钓装置
KR100294273B1 (ko)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
KR20080004504U (ko) 집어기를 구비한 자동챔질 낚시 기구(100)
JP2017209092A (ja) 蛸釣り仕掛け。
CN206061910U (zh) 全自动高灵敏度高可靠性的底钓、浮钓通用装置
KR200253276Y1 (ko) 스피닝릴의 낚시줄 로터 감김방지구
JP2003164243A (ja) 中通し浮き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KR102301865B1 (ko) 밑 걸림 방지 채비
KR200345104Y1 (ko) 압축용 및 인장용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낚시추발사장치
WO2002030186A1 (en) Fishing tackle for detecting b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