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465A - 일체형 급수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수도전 조립체 - Google Patents

일체형 급수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수도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465A
KR20080004465A KR1020077021383A KR20077021383A KR20080004465A KR 20080004465 A KR20080004465 A KR 20080004465A KR 1020077021383 A KR1020077021383 A KR 1020077021383A KR 20077021383 A KR20077021383 A KR 20077021383A KR 20080004465 A KR20080004465 A KR 2008000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aucet
water
assemb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널드 지. 후버
스캇 브라운
Original Assignee
도널드 지. 후버
스캇 브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널드 지. 후버, 스캇 브라운 filed Critical 도널드 지. 후버
Publication of KR2008000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16K43/005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an auxiliary valve closing automatically when the main valve is being disassembl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6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using a socket for mounting of fauc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씽크대, 세면기 및 그와 유사한 설비에 설치하기 위한 수도전 장치는, 공급라인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필요없이 씽크대 또는 그와 유사한 설비 내에 설치되는 수도전 베이스상에서 수도전 헤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급수 차단밸브로 구성되어 개시된다. 수도전 헤드는 베이스로부터 제거가능하고, 설비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차단밸브는 정상 폐쇄밸브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수도전 헤드는 각 밸브 조립체를 결합하고 개방시키도록 대응하는 작동기를 구비하여, 베이스부 상에 설치됨에 따라 수도전 헤드에 물이 흐르도록 한다. 또한, 수도전 장치는 위생 설비 내의 베이스부에 설치되기 위한 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는, 자동 수도전 작동과 같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저전압 컨덕터와 전기접속부를 설치가능한 추가 통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를 가진다.
수도전, 헤드, 베이스부, 위생 설비, 차단밸브, 작동기, 밸브, 조립체, 급수

Description

일체형 급수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수도전 조립체{Faucet Assembly with Integral Water Supply Shut-Off Valve}
본 출원은, 2005.2.23자로 출원된 "일체형 급수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수도전 조립체"에 관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0/656,180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 주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씽크대, 세면기, 비데 또는 이와 유사한 설비와 같은 위생 설비용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가능한 수도전 헤드를 가지는 수도전 조립체와, 수동으로 공급라인을 차단 또는 연결할 필요없이 위생 설비 고정 베이스 상에 상기 수도전 헤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급수 차단밸브를 가지는 위생 설비 고정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도전은 상기 수도전이 적용되는 위생 설비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도전의 베이스부를 상기 관통공안에 삽입함으로써 각 위생 설비에 적용된다. 어떤 수도전은 위생 설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 끼워맞춰진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수도전의 베이스부와 맞물리는 2개 이상의 나사에 의해 위생 설비의 하부면에 조여진 후, 관통공 안에 삽입된다. 다른 종류의 수도전에 있어서, 상기 수도전의 베이스부는 상기 관통공 하부로 돌출되고, 나사산을 가져 링 너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 너트는 상기 관통공의 단부 부근에서 위생 설비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수도전을 위생 설비에 고정시킨다. 위생 설비에 대한 통상적인 수도전의 설치 작업은, 비좁고 설치에 필요한 부품에 접근하기 어려운 위생 설비 아래에서 작업을 해야하므로 번거롭다. 특히, 2개의 구획부를 가지는 씽크대인 경우에, 수도전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이 2개의 구획부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고, 수도전 설치용 구멍은 접근이 매우 어려운 2개의 구획부 사이의 후방측에 가까운 반면, 설치자는 씽크대의 정면에서 작업을 해야하므로, 수도전의 설치작업이 특히 어렵다. 게다가, 위생 설비는 일반적으로 벽에 기대어 놓여있고, 수도전이 고정되는 위치의 상기 관통공은, 수도전의 설치 작업을 방해하는 상기 벽 가까이에 있다. 특히, 수도전이 세면기 상에 설치될 때, 위생 설비가 기대어진 벽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 또는 기둥으로 인하여 수도전의 설치 작업이 복잡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수도전의 복잡한 설치에서는, 설치 또는 제거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수도전에 이송하는 급수 라인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상기 급수라인은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접근이 어려운 상태로, 수도전을 교체 또는 수리하기 위하여, 급수 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 및 재연결해야 한다. 특히, 벽에 붙박은 수도전의 설치에서는, 급수 라인 차단밸브가 벽의 다른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단 수도전이 설치되면, 상기 급수 라인 밸브는 사용할 수 있는 물의 흐름이 다시 개시되 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어쨌든, 위생 설비에 대한 수도전의 설치 작업은, 위생 설비 아래의 공간 자체에서 일을 해야하는 설치자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수도전을 적절히 설치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프로젝트 비용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본 출원에서의 종래기술에 있어서, 본 특허출원에 관련된 특허로 몇 가지 수도전 장치를 알 수 있는바, 즉, 몇가지 참고문헌 뿐만 아니라, 뮬러(Mueller), 쉬미트(Schmitt), 파렐(Farrell)외 나머지, 맥기(McGhee), 보트닉(Botnick), 쉬에흐(Shieh), 미콜(Mikol), 티쉴러(Tischler)외 나머지, 사우터(Sauter)외 나머지의 독일 특허 8805671, 8815235 및 유럽 0293655이다.
테스토리(Testori)와 브라운(Brown)의 미국특허 제 6,328,059호에는 위생 설비 상에 설치되는 수도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취수관 아래와 수도전 헤드 위에 연결되는 위생면 내의 구멍 안에 삽입되는 블럭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수도전 헤드가 제거 또는 재연결되기 전에, 급수라인은 우선, 물이 프리-플로우(free-flow) 되지 않도록 수동으로 차단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씽크대, 세면기, 비데 또는 그와 유사한 설비와 같이 위생 설비에 연결되는 수도전 조립체를 제공하므로써, 상기와 같은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자 또는 서비스 요원이 수도전 조립체에 이송하는 급수라인을 수동으로 차단하지 않고도 설치자가 수도전 헤드를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수도전 베이스로부터 수도전 헤드를 용이하게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차단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것은 위생 설비에 설치되어, 설치자가 위생 설비의 아래로부터 기어 올라오거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의 수도전과 레버 타입 모노-제어 믹싱밸브 모두에 설치가능하면서, 이것들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우 저렴하게 제조가능하여 시장에서 상당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면기, 비데 및 목욕통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위생 설비에 수도전 조립체를 결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시 위생 설비에 대한 설정 각도에서 수도전 물 혼합 조립체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 수도전 작동용 광학 센서와 같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저전압 권선 및 전기 접속상태를 가지는 수도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씽크대, 세면기 또는 그와 유사한 설비와 같은 위생 설비에 설치하기 위한 수도전 장치는, 수동으로 급수라인을 차단할 필요없이 수도전 헤드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수도전 헤드와 위생 설비에서 관통공 안으로 삽입되면서 위생 설비 상부의 한 부분에 갖추어지는 베이스부와 연결된 설비로 구성된다. 수도전 헤드는, 베이스로부터 제거가능하며, 위생 설비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 쌍의 통로 또는 도관은 베이스를 통해 연장되고, 급수라인에 위생 설비의 하부를 연결하는데 적합하며, 수도전 헤드를 제공하기 위해 위생 설비 상부에 위치한다. 더욱이, 수도전 장치는 베이스의 통로 안에 배치되는 자동 급수차단밸브와, 수동으로 공급라인을 개폐시킬 필요없이 위생 설비 고정 베이스 상에 수도전 헤드 조립체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설치 또는 제거 가능하도록 수도전 헤드 내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밸브 작동기로 구성된다. 차단밸브는 수도전 헤드가 없을 때, 공급라인으로부터의 수압 또는 스프링 텐션에 의하여 폐쇄 위치 상태로 있는 정상 폐쇄밸브 조립체로 각각 구성된다. 수도전 헤드 조립체는, 물 분배 설비과, 베이스의 통로 또는 도관으로 정렬되는 한 쌍의 통로와, 제1단부에서 수도전 헤드 통로와 결합되고, 제2단부에서 베이스 통로와 결합되는 연결 장치로 구성된다. 대응하는 밸브 작동기는 연결 장치의 제2단부에 위치된다. 연결 장치 상에 부착되는 복수의 오-링 밀봉재는 원치 않는 누수를 방지해준다. 수도전 헤드가 베이스 상에 설치되면, 연결 장치는 베이스 통로에 대하여 결합되어 밀봉되며, 수도전 조립체가 베이스 도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동기는 각 밸브 조립체에 결합되어서 개방되고, 수도전 헤드가 베이스 상에 완전히 안착됨으로써, 수도전 헤드에 물이 흐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수도전 조립체의 한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저전압 컨덕터를 설치할 수 있는 통로를 더 구비하고, 자동 수도전 작동과 같은 특징을 갖도록 하는 전기 접속부로 구성된다. 나아가, 수도전 장치는 위생 설비에 베이스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부착수단은, 베이스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위생 설비의 구멍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삽입위치에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구멍이 형성되는 위생 설비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위치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전 조립체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구성요소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수도전 조립체의 조립되는 과정에 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수도전 조립체의 도 1의 2-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전 조립체의 내부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로서, 수도전 헤드 조립체가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수도전 조립체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제 2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 수도전 조립체는 베이스부 위에 수도전 도관을 구비하는 볼 타입 밸브 구조체를 갖추고 있다.
도 6은 베이스부 안에 삽입되는 수도전 도관을 구비하는 도 5에 도시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작용에 대하여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도 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고, 다른 도면 상의 대응하는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대응하는 부분을 참조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베이스부(2)를 포함하는데, 상기 베이스부(2)는 위생 설비(4)에 형성된 관통공(3)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생 설비(4)는 씽크대, 세면기, 비데 또는 그와 유사한 설비이다. 베이스부(2)의 상부는, 위생 설비(4)의 상부로 돌출되어 수도전 장치(5)의 하부 공동부(51)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2)는, 수직축에 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 관통공(3)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위생 설비(4)의 상부면(4a)에 수직한 상태로 결합된다.
베이스부(2)의 하부 베이스의 상대적으로 협소한 부분에 의해 경계부(8)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계부(8)는 관통공(3)의 가장자리에서 위생 설비(4)의 상부면(4a)과 결합된다.
다수의 도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도관(6,7)은, 베이스부(2)를 통해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위생 설비(4)의 하부에서 물 공급관에 연결될 수 있다. 취수관은 다수의 공급 장치(12, 13)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여, 위생 설비(4)에 설치된 수도전 장치(5)로 급수한다.
물 공급관(10, 11)은, 도관(6, 7)의 하부 입구에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이나 용접 또는 다른 공지의 결합기술을 통해 연결된다.
원통형 밀봉 가스켓(16, 17)은 공급 장치(12, 13)의 둘레에 단단히 설치된 다. 차례로, 원통형 밀봉 가스켓(16, 17)은 원통형 통로(6, 7)의 내부면에 마찰 결합된다.
공급 장치(12, 13)는 베이스부(2)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밀봉 가스켓(14, 15)이 삽입된 채로, 수도전 장치(5)의 분배부에 구비된 분배부 공동부(51)로 연결되는 공급 덕트(50)의 입구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베이스의 통로 안에 배치되는 자동 급수차단밸브(40, 41)와, 수동으로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할 필요없이 위생 설비 고정 베이스 상에 수도전 헤드 조립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수도전 헤드 내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밸브 작동기(42, 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차단밸브는, 각각 스톱부재로서 네오프렌 디스크(44, 45) 또는 볼 스톱(46, 47)을 구비한, 보통 상태에서 폐쇄되는 밸브 조립체("보통상태 폐쇄 밸브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보통상태 폐쇄 밸브 조립체는 수도전 헤드가 없을 경우,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수압 또는 스프링(48, 49)에 의해 상기 스톱부재가 밸브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폐쇄된다.
수도전 헤드 조립체는 물 분배 설비, 베이스의 통로와 정렬되는 한 쌍의 통로와, 제1단부에서 수도전 헤드 통로와 결합되고 제2단부에서 베이스 통로와 결합되는 연결 장치로 구성된다. 대응하는 밸브 작동기는 연결 장치의 제2단부에 위치한다. 연결 장치 상에 부착되는 다수의 오-링 밀봉재는 원치 않게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도전 헤드가 베이스 상에 설치될 때, 먼저 연결 장치를 연결하고, 베이스 통로 반대편을 밀봉한다. 밀봉재가 결합된 다음, 밸브 작동기가 결합 되고, 각 보통상태 폐쇄 밸브 조립체의 스톱부재를 밀어서 개방시킨다. 수도전 헤드가 베이스 상에 완전하게 안착됨으로써, 수도전 헤드로 물이 흐를 수 있게 된다.
밸브 작동기(42, 43)는, 원뿔형, 볼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순히 연결 장치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로 될 수 있는데, 밸브 작동기의 밸브 결합 팁 둘레를 따라 물이 흐르도록 하는 구멍이 구비된다. 밸브시트는, 통상적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다양한 인라인 체크 밸브일 수 있는데, 상기 밸브시트는 결합 및 밸브 스톱부재로 밀봉하기 위하여 대체로 평평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되고, 밸브 스톱부재로 밀봉된다. 네오프렌 디스크로 이루어진 스톱부재는 수명이 길고,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다양한 밸브용 스톱부재와 밸브시트재 및 결합방법이 동일한 기능을 달성한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기술 중의 하나로 분명해질 것이다. 만일, 완전히 안착된 수도전 헤드 조립체에서 밸브 작동기가 없게 되면, 밸브의 공급측으로부터의 수압이 밸브시트에 대하여 스톱부재를 밀게 되어, 수도전 헤드 조립체를 설치하기 전 또는 설치하는 도중에 물의 누수를 방지한다. 만일, 수압이 있지만, 그 자체로 밸브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밸브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편향 스프링은 밸브시트와 결합되는 스톱부재를 유지하도록 가압한다.
부착수단은, 위생 설비(4)에 베이스부(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나사로 구성된다. 나사는 베이스부(2)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공 안으로 삽입된다.
나사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는 베이스 유닛(4) 상에서 수도전(5)을 고정하 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나사공(55) 안으로 나사부재를 삽입하고 조여서 베이스(3)를 결합함으로써, 수도전(5)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단계로, 수도전 헤드는 베이스부(2)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베이스의 상단에서 통로와 수도전 헤드를 연결 장치로 결합하며, 이것에 의해 연결장치 단부에 부착된 밸브 작동기는 베이스 통로 쪽으로 배치되는 정상 폐쇄밸브 조립체와 연결된다. 수도전 장치(5)는 베이스(4)에 수도전(5)을 조이기 위해 나사공(55) 안에 삽입하는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수도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저전압 컨덕터의 설치와 자동 수도전 동작과 같은 형태를 가능케 하는 전기 접속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베이스를 통해 추가적인 통로(60, 61)를 더 구비한다.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는, 사용자의 손을 탐지하기 위하여 수도전 조립체 내부 또는 수도전 헤드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양손의 존재가 감지되면, 베이스내의 추가적인 통로를 통해 센서로부터 전력 공급원, 전자처리 설비 및 수도전 헤드로부터 물이 흐르도록 하는 수도전 작동 설비로 전기신호가 통과한다.
다른 실시예는 수도전 헤드에 전달되는 온수 및 냉수가 안전하게 또는 바람직하게 혼합되도록 제공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이 기술분야에서의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함께 해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도관 및 수도관 설비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고, 특히 씽크대, 세면기, 비데 또는 그와 유사한 설비와 같은 위생 설비에 대한 수도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규정에 의거, 본 발명은 수도전 및 관련 수도관 구조에 대하여 다소 구체적인 표현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하고 설명한 특정 수단 또는 형태에 국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하는데, 상기 도시 또는 설명된 수단 또는 형태는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바람직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도전 및 다른 수도관 설비에 관하여 사용되는 용어로 설명되는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서 유체 및 가스가 제어되는 다른 분야를 포함하는 다른 용도에 적합하게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도전으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등론에 의거 적절히 해석되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적법하고 유효한 범주 내에서 임의의 형태 또는 변형례로 청구된다.

Claims (13)

  1. 위생 설비의 관통공 안에 삽입되는 베이스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는 상부, 하부, 상기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베이스부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와,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통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취수관과 급수라인을 결합하기 위해 말단부에 부착되는 해체가능한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서 각 통로 안에 배치되는 정상 폐쇄밸브 조립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자동 차단밸브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분배통로를 구비하는 분배부를 가지는 수도전헤드 조립체와, 각 분배통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와, 각 연결 장치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실링 수단과, 각 밸브 조립체에 대응하면서 정렬되는 밸브 작동기를 가지며, 각 밸브 조립체와 결합하여 개방되는 연결 장치의 일단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이것을 통해 수도전 헤드가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물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수도전 헤드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시키는 부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세면기 및 유사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수도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수도전 헤드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여 고정 하기 위해 상기 수도전 헤드 조립체의 나사공 안으로 삽입가능한 나사 파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연결 장치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밀봉재는, 연결장치 주변에 부착되는 오-링과 같은 다수의 변형가능한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관통공과 동축으로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베이스부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도전 장치는 온수 및 냉수가 통하도록 하는 2개의 유체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에 대하여 선택된 다수의 각도로 분배부를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저전압 컨덕터와 전기접속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베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통로를 더 포함함으로써, 자동 수도전 작동과 같은 보조적인 특징을 가능케 하는 수도전 장치.
  8. 베이스에 가압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수도전 조립체를 접근 가능한 터미널 도관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수도전 조립체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도록 상기 수도전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는 접근 가능한 터미널 도관 내에 정상 폐쇄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수도전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터미널 도관과 축방형으로 결합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크기의 접근 가능한 수도전 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접근 가능한 수도전 도관은 상기 접근가능한 터미널 도관과 결합되고 밀봉될 때, 상기 정상 폐쇄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밸브 작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에 수도전을 해체가능하게 조립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도전 도관은 상기 접근 가능한 터미널 도관 안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수도전 도관이 상기 터미널 도관 안에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 도관과 상기 수도전 도관 사이에서 유체가 새지 않도록 긴밀하게 오-링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조립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한 쌍의 접근 가능한 터미널 도관은 베이스 안에 제공되고, 한 쌍의 수도전 도관은 상기 수도전 조립체에 제공되며, 각각 대응하는 베이스 유닛 터미널 도관과 결합되고 밀봉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조립 방법.
  11. 위생 설비의 관통공 안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와 수도전 헤드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수도전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 하부 및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장되는 온수 및 냉수 베이스 통로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가압급수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서 각 통로 안에 배치되는 정상 폐쇄밸브 조립체로 구성된 차단밸브로 이루어지고,
    상 수도전 헤드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 통로를 구비하는 분배부를 가지며,
    상기 분배 통로와 연통되는 온수 및 냉수 연결 장치와,
    각 연결 장치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밀봉재와,
    각 밸브 조립체와 대응되면서 정렬되는 밸브 작동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장치가 상기 베이스 통로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밀봉될 때, 각 밸브 조립체를 결합하고 개방하는 연결 장치의 일단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수도전 헤드가 베이스부 상에 설치됨으로써 물이 흐르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를 위생 설비에 고정하는 부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세면기 및 유사한 설비를 설치하기에 적합하면서 온수 및 냉수를 분배하는 수도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 연결 장치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실링수단은, 연결 장치에 부착되는 오-링과 같은 다수의 변형가능한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관통공과 동축으로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는 베이스부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장치.
KR1020077021383A 2005-02-23 2006-02-23 일체형 급수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수도전 조립체 KR20080004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618005P 2005-02-23 2005-02-23
US60/656,180 2005-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65A true KR20080004465A (ko) 2008-01-09

Family

ID=3692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383A KR20080004465A (ko) 2005-02-23 2006-02-23 일체형 급수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수도전 조립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60185076A1 (ko)
EP (1) EP1856337A4 (ko)
JP (1) JP2008531882A (ko)
KR (1) KR20080004465A (ko)
CN (1) CN101160437A (ko)
AR (1) AR058001A1 (ko)
BR (1) BRPI0608307A2 (ko)
CA (1) CA2598710A1 (ko)
IL (1) IL185451A0 (ko)
MX (1) MX2007010323A (ko)
RU (1) RU2007135285A (ko)
TW (1) TW200630526A (ko)
WO (1) WO20060917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0381A2 (en) 2008-03-28 2009-10-01 Faucet Impressions, A Division Of Faucet Vision, Inc. Faucet system and advertising method
TWM441758U (en) * 2012-05-07 2012-11-21 ming-hong Chen Mounting structure of countertop faucet
CN103972747B (zh) * 2013-01-26 2016-09-14 陈宗仁 一种带单向阀装置的连接器
US20140325752A1 (en) * 2013-05-01 2014-11-06 Stefan Tuineag Plumbing Fixtures for Shower and Bathtub
CN105155632B (zh) * 2015-10-10 2017-02-01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一种快速拆卸更换龙头主体的方法及其龙头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309A (en) * 1904-08-11 1905-12-12 Bashlin Company Faucet.
US930387A (en) * 1906-03-09 1909-08-10 Karl Kiefer Liquid-valve.
US1832228A (en) * 1927-01-22 1931-11-17 William J Mattson Faucet or valve
US1884207A (en) * 1931-12-04 1932-10-25 Republic Brass Company Faucet
US2230323A (en) * 1940-02-15 1941-02-04 Jackson Turner Faucet
US2796881A (en) * 1952-10-09 1957-06-25 Albert T Scheiwer Faucets with removable plungers
US3103944A (en) * 1961-01-18 1963-09-17 Crest Mfg Company Inc Emergency stopper
US3789870A (en) * 1971-11-11 1974-02-05 Kel Win Mfg Co Disposable valv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eals
US3807453A (en) * 1972-08-15 1974-04-30 Rockwell Mfg Co Single lever mixing faucet
US3847181A (en) * 1973-07-09 1974-11-12 A Scheiwer Faucet
US4203464A (en) * 1975-11-19 1980-05-20 Elkay Manufacturing Company Diaphragm valve for faucets
JPH02144427A (ja) * 1988-11-25 1990-06-04 Toto Ltd ワンタッチ水栓
US5257824A (en) * 1991-12-30 1993-11-02 Eggen Harald I Extender for a plumbing mount with spring loaded sealing piston
US5203365A (en) * 1992-10-08 1993-04-20 Mallard Products, Inc. Excess flow check valve capsule
DE29516157U1 (de) * 1995-10-12 1997-02-20 Fischer Ag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Sanitärarmatur
IT1283068B1 (it) * 1996-05-23 1998-04-07 Real S R L Dispositivo per la connessione di componenti di rubinetteria a sanitari quali lavelli,lavabi,bidet,vasche e simili.
US5927557A (en) * 1996-06-11 1999-07-27 Busick; Louis M. Reservoir and faucet assembly for a water cooler
US6006764A (en) * 1997-01-28 1999-12-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stripping photoresist from Al bonding pads that prevents corrosion
US5749393A (en) * 1997-06-05 1998-05-12 Yang; Tsai Chen Valve sealing mechanism for faucet
FI103480B1 (fi) * 1998-01-09 1999-07-15 Goeran Sundholm Pidin suihkutuspään asentamiseksi
JPH11336143A (ja) * 1998-05-22 1999-12-07 Uro Denshi Kogyo Kk 自動水栓
US6328059B1 (en) * 2000-03-22 2001-12-11 Alessandro Testori Top mounted faucet assembly
US6360770B1 (en) * 2000-05-23 2002-03-26 Moen Incorporated Modular lavatory faucet spout mounting
US7269864B2 (en) * 2002-04-17 2007-09-18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ounting system for a faucet
JP3955495B2 (ja) * 2002-05-01 2007-08-08 Uro電子工業株式会社 ワンタッチ取付形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1748A3 (en) 2007-12-06
EP1856337A2 (en) 2007-11-21
WO2006091748A2 (en) 2006-08-31
CN101160437A (zh) 2008-04-09
US20060185076A1 (en) 2006-08-24
RU2007135285A (ru) 2009-03-27
CA2598710A1 (en) 2006-08-31
AR058001A1 (es) 2008-01-23
IL185451A0 (en) 2008-01-06
EP1856337A4 (en) 2008-05-14
MX2007010323A (es) 2008-02-21
JP2008531882A (ja) 2008-08-14
TW200630526A (en) 2006-09-01
BRPI0608307A2 (pt)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8059B1 (en) Top mounted faucet assembly
US7681596B2 (en) Isolation valve with valve in drain
US7644730B2 (en) Method for isolating an appliance in a plumbing system
CA2805719C (en) Waterway adapter
US8459301B2 (en) Connecting unit for sanitary fittings
KR20080004465A (ko) 일체형 급수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수도전 조립체
US5029606A (en) Wall-mounted hook-up assemblies for washing machine and lavatory
CA2652608C (en) Bridge faucet
US20180372242A1 (en) Fluid Control
GB2454506A (en) Mounting means for tap
AU2007225510B2 (en) Plumbing fitting
US3431938A (en) Surface mount mixing valve
AU2017100675B4 (en) Improved Tap
NZ545900A (en) Plumbing fitting
US20130206262A1 (en) Plumbing Fitting
GB2516897A (en) A Thermostatic Mixing Valve
JP2003207074A (ja) 通水管と継手部材の接続構造
AU2017203872A1 (en) Improved Tap
GB2592837A (en) Tap fitting
JP2004068514A (ja) 水栓金具
JP2000213020A (ja) 水栓装置
WO2000008366A1 (en) Auxiliary valve member
JP2003171956A (ja) 通水管と継手部材の接続構造
GB2480667A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