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786U -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 Google Patents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786U
KR20080003786U KR2020070003668U KR20070003668U KR20080003786U KR 20080003786 U KR20080003786 U KR 20080003786U KR 2020070003668 U KR2020070003668 U KR 2020070003668U KR 20070003668 U KR20070003668 U KR 20070003668U KR 20080003786 U KR20080003786 U KR 200800037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block
protrusion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6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인슈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인슈타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인슈타인
Priority to KR2020070003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786U/en
Publication of KR20080003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8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상에 돌기부 또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 또는 오목부가 구비된 면으로부터 판재 형태로 연장된 투명판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투명창부와,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상에 상기 투명창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 또는 오목부에 대응되는 오목부 또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 또는 돌기부가 구비된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창부의 상기 투명판면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마주보는 형태의 슬라이딩 삽입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투명판면이 삽입된 후 접촉되는 면에는 양 면을 관통하는 관통창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한 수용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품 제조시 미세 구조로 인한 제품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고, 반복된 사용 등으로 미세 구조가 마모되거나 하여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품 기능 상실의 우려가 적으며, 완성물을 만들기 위한 조합의 경우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보다 다양한 응용이 가능해져 조립의 재미가 증가한다.Window-shaped block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nd provided with a projection or a recess on one surface, and a transparent window portion comprising a transparent plate surface extending in the form of a plate from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or recess, It is made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and provided with one or more recesses or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or recesses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and extends from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recesses or protrusions so that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is transparent. A sliding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facing the inner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plate surface can be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while a receiving block having a receiving portion having through-holes penetrating both surfaces is formed on the surface contacted after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is inser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greatly reduce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due to the fine structure in the manufacturing of the product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the loss of parts function that can be caused by wear and tear of microstructures due to high and repeated use, and the number of combinations to make a finished product is greatly increased and assemblability is improved to enable more various applications. The fun of assembly increases.

Description

창문형 블럭편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Window block piece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창문형 블럭편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ndow block piece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창문형 블럭편의 투명창부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window of the window block piece of FIG.

도 4 내지 도 5는 종래 창문형 블럭편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4 to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indow block piece.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Major Symbols>

10: 돌기부 20: 오목부10: protrusion 20: recess

30: 관통창 40: 투명 판재30: through window 40: transparent plate

41: 미세 돌기 42: 미세 돌기 수용홈41: fine protrusion 42: fine protrusion receiving groove

50: 투명판면 51: 고정돌기50: transparent plate 51: fixing protrusion

52: 안착홈 65: 슬라이딩 삽입홈52: seating groove 65: sliding insertion groove

100: 투명창부 200: 수용블럭100: transparent window 200: accommodating block

본 고안은 조립식 블럭완구의 블럭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럭 완구로 건물, 선박, 자동차 모형 등을 조립할 경우 창문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창문형 블럭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piece of a prefabricated block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type block piece configured to form a window portion when assembling buildings, ships, car models, etc. with the block toy.

일면상에 원기둥형 돌기부를 다수 구비하고, 타측면상에 상기 원기둥형 돌기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의 오목부를 구비한 블럭을 다수 갖추고, 이들의 돌기부와 오목부를 상호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특정한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블럭완구가 제공되어 왔다.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ylindrical projections on one surfac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concave portion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inserting the cylindrical projections on the other side, and assembled by fitting the projections and the recesses In particular, prefabricated block toys have been provided that can be configured to produce specific shapes.

이러한 블럭 완구는, 조금씩 다른 형태가 혼합된 단위 블럭편들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한 방식으로 조합함으로써 거의 무한에 가까운 다양한 형태들을 조립해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성에 따른 성취감, 조립 과정에서의 재미는 물론, 영, 유아의 손놀림 연습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These block toys can be assembled in a specific way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by combining the unit block pieces that are mixed slightly different shapes, thereby achiev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ccording to the completion, the fun in the assembly process Of course, the effect of the hand practice exercises of young and infants also provides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expected.

한편, 통상적인 조립식 블럭완구는, 가장 최소가 되는 단위 블럭편을 기본으로, 이로부터 확장되는 형태를 가진 블럭편들을 구비함으로써 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조합으로 특정한 형태의 모형, 즉, 건축물, 자동차, 선박, 성곽 등 구체적 형상을 가진 모형을 조립하려는 경우, 보다 사실에 가까운 모형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블럭편들의 형상을 다소 변형하여 각 모형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형태의 블럭편들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prefabricated block toys are generally configured to be able to combine them in various ways by having block pieces having a form extending from there on the basis of the unit block pieces that are the smallest. In order to assemble a model having a specific shape such as a building, a car, a ship, or a castle, the shape of the block pieces described above is slightly modified to be applied to each model in order to be able to create a more realistic model. There are cases in which specific types of block pieces are provided.

이러한 예가, 자동차 모형에 적용되기 위한 바퀴 달린 블럭편, 선박 등에 적용되기 위한 선박의 선미, 선두 형상 블럭편, 그리고, 건축물, 승용차 등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구조물에 적용되기 위한 창문형 블럭편들이다.Such examples are wheeled block pieces for application to a car model, stern of a ship for application to a ship, head shape block pieces, and window block pieces for application to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nd cars.

이 중, 창문형 블럭편은 앞서 언급한 기본적인 블럭편들과 같이 돌기부와 오목부를 갖추는 것은 물론, 창문의 형상을 가지기 위해 상기 돌기부와 오목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면에 창문 형태의 구멍 등을 갖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Among these, the window block pieces have protrusions and recesses as in the aforementioned basic block pieces, and also have a window-shaped hole or the like on a plate locat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recesses to have a shape of a window. Will be done.

이러한 창문형 블럭편의 통상적인 형태가 종래의 창문형 블럭편의 일례를 도시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A typical form of such a window block piece is shown in Figs. 4 to 5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indow block piece.

도 4는 종래의 창문형 블럭편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상 상부쪽에 돌기부(10)가 형성된 면이 위치되고, 이 돌기부(10)는 다른 블럭편의 오목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f a conventional window block piece, in which the surface on which the projections 10 are forme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projections 10 are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ecesses of the other block pieces.

한편, 다른 블럭편의 돌기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0)는, 종래의 창문형 블럭편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0)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ssed part 20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part of another block piece is formed i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in which the said protrusion part 10 was formed, as shown in FIG. .

이때, 상기 돌기부(10)와 상기 오목부(20)의 사이에는 판 형태의 면이 개재되며, 해당 판면은 양 면을 관통하는 관통창(30)을 구비함으로써, 해당 블럭편은 창문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조립식 블럭완구의 사용자는 건축물, 선박 등의 조립시 창문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곳에 해당 블럭편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사실적인 모형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late-shaped surface is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 10 and the concave portion 20, the plate surface is provided with a through window 30 penetrating both sides, so that the block piece has a window shape. do. Therefore, the user of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can manufacture a more realistic model by applying the corresponding block pieces where the window is to be formed when assembling buildings, ships and the like.

보다 사실적인 창문 형상의 형성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형 블럭편은 블럭편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투명 판재(40)를 더욱 구비한다. 투명 판재(40)는 실제 창문의 유리판과 같은 구성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형 블럭편과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가장자리에 미세 돌기(41)를 갖추고, 투명 판재(40)가 끼워 맞춰지는 창문형 블럭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투명 판재(40) 가장자리의 미세 돌기(41)를 수용하는 미세 돌기 수용홈(42)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form a more realistic window shape, as shown in FIG. 5, the window block piece further includes a transparent plate 40 bonded to the inner side of the block piece. The transparent plate 40 is configured as a glass plate of a real window. As shown in FIG. 5, the transparent plate 40 is provided with a fine protrusion 41 at an edge thereof so as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indow block, and the transparent plate 40 is fitted.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block piece is generally formed with a fine projection receiving groove 42 for receiving the fine projection 41 of the edge of the transparent plate 40.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투명 판재(40)와 창문형 블럭편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인 미세돌기(41)와 미세 돌기 수용홈(42)은 일정한 작은 크기로 제한될 수밖에 없는데, 너무 커질 경우 착탈 자체가 불가능해지며, 너무 작을 경우 고정의 기능이 발휘될 수 없기 때문이다.When detachable, the micro-projection 41 and the micro-projection receiving groove 42, which is a means for coupling the transparent plate 40 and the window block piece, have to be limited to a certain small size. Detaching itself is impossible, because if too small can not be fixed function.

따라서, 이들 결합 수단의 미세한 크기 차이가 제품 불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제조시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며, 제대로 제조된 제품이라 할지라도,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미세 돌기(41) 등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투명 판재(40)가 창문형 블럭에 고정될 수 없게 되므로 창문의 유리판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해버리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Therefore, the fine size difference of these coupling means is very likely to lead to product defects, so precise work is required during manufacturing, and even if the product is properly manufactured, the fine protrusions 41 and the like are worn by repeated use.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plate 40 cannot be fixed to the window block, resulting in the loss of the window glass function.

더욱이,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 또는 의도와는 무관하게 투명 판재가 창문형 블럭편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다른 블럭편들과는 구분되는 특징 없는 형상 및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 투명 판재(40)는 분실의 위험이 높으며, 따라서 세트 물품으로서의 보관에도 어려움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the detachable structure is made so that, when the transparent sheet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block piece by the user's intention or irrelevant intention, the transparent plate material having a featureless shape and a relatively small size distinguished from other block pieces 40 has a high risk of loss, and thus has a disadvantage of causing difficulties in storage as a set article.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창문형 블럭편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 생산시 제품 불량률을 낮추고, 사용시 손상에 의한 기능 상실의 우 려가 없는 창문형 블럭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indow block piece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rate of product defects during production, and to provide a window block piece without fear of loss of function due to damage during use.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투명 판면 자체가 판재의 형태로만 존재하는 종래의 투명 판재와는 달리 돌기부 또는 오목부를 갖춘 블럭편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럭완구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해당 부분의 분실의 우려가 적고, 조립 조합의 경우의 수를 크게 확장할 수 있는 창문형 블럭편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of the block toys by configuring the transparent plate itself to be a part of the block piece having protrusions or recesses, unlike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plate that exists only in the form of a pl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ndow block piece which is less likely to be lost and can greatly expand the number of cases of the assembly assembly.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 및 재 분리등이 용이한 창문형 블럭편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block piec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re-separ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원기둥형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의 오목부를 구비함으로써, 수개의 돌기부와 오목부가 상호 끼워 맞춰져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블럭 완구의 블럭편에 있어서,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상에 상기 돌기부 또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 또는 오목부가 구비된 면으로부터 판재 형태로 연장된 투명판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투명창부와,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상에 상기 투명창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 또는 오목부에 대응되는 오목부 또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 또는 돌기부가 구비된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창부의 상기 투명판면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마주보는 형태의 슬라이딩 삽입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투명판면이 삽입된 후 접촉되는 면에는 양 면을 관통하는 관통창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한 수용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t least one or more cylindrical projections and a recess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inserting the projections, a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the recess is sandwiched A block piece of a prefabricated block toy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assembled, comprising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the projection having a projection or a recess on one side,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extending in the form of a plate from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or recess It comprises a transparent window configured to include, and an opaque plastic material, and provided with a recess or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r recess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on one surface, extending from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recess or protrusion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can be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Sliding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to face the inner surface so as to face, while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is inserted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surfac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block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window penetrating both surfaces.

이때, 슬라이딩 삽입된 후 상호 접촉되는 상기 투명판면과 상기 수용부 내측면 면상의 일지점에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이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and the receiving portion inner side surface contact each other after sliding insertion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moun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xing protrus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더욱이,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수용블럭은,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면취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and the accommodation block,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where the face meets the surface chamfered form.

이하,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의 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와 거의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is case, the components having func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은, 크게는 분리 가능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창부(100) 이며, 다른 하나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용블럭(200)이다. The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parts that are largely detachable, one is a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nd the other is an accommodation block 200 made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도 1은 투명창부(100)와 수용블럭(20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시된 형태는 도 4를 통하여 앞서 설명한 종래의 창문형 블럭편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window unit 100 and the accommodation block 200 are coupled, and the illustrated form may b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window block pie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즉,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은, 종래의 창문형 블럭편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식 블럭완구에 적용될 수 있게 된 다.That is, in this state, the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ssembled block toy in almost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window block piece.

한편, 도면상 하부면에는 도면상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10)에 대응되는 오목부(20)가 형성되나 이에 대한 구성 및 기능은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2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n the drawing, bu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thereof does not have a large difference from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Duplicate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2는 도 1의 창문형 블럭편이 투명창부(100)와 수용블럭(200)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block piece of FIG. 1 is separated into the transparent window part 100 and the accommodation block 200.

본 고안에 따른 투명창부(100)가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투명판재(40)와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투명창부(100)가 유리판의 기능을 하는 투명판면(50)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독립된 블럭 조립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원기둥형 돌기부(30)(혹은 오목부)가 투명판면(50)과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ransparent window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plate 40 shown in FIG. 5 is that the transparent window 100 is not made of only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that functions as a glass plate. The cylindrical projection 30 (or the recessed part) which can express the function of independent block assembly is comprised in the form integrated with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As shown in FIG.

이로 인해, 투명창부(100)는 단지 창문형 블럭편의 유리판으로서만 기능하는 소적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블럭편과 적극적으로 직접 조합될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을 크게 확장시킨다.Due to this,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can be combined directly with a wider variety of block pieces, thereby releasing the droplet role of merely serving as a glass plate of the window block piece, thereby greatly expanding the assemblability.

한편, 수용블럭(200)은 상기 투명창부(100)의 투명판면(50) 부분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삽입홈(65)을 갖추게 되는데,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삽입홈(65)을 갖추기만 하면 상기 투명창부(100)와의 착탈이 가능해지므로, 슬라이딩 삽입홈(65)을 제외한 부분의 형상을 다양화 함으로써, 하나의 세트 내에서 투명창부(100)와의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창문형 블럭편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해지며, 이 또한 조합의 경우의 수를 크게 확장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commodation block 200 is provided with a sliding insertion groove 65 to accommodate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of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in a sliding manner, having a sliding insertion groove 65 of the same structure. Since it is possible to attach or detach from the transparent window part 100 only, by diversifying the shape of the portion except the sliding insertion groove 65, various types of window type block piece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transparent window part 100 in one se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which also results in greatly expanding the number of combination cases.

이때, 상기 수용블럭(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투명창부(100)가 삽입된 경우 투명판면(50)과 맞닿는 면에 양 면을 관통하는 관통창(30)이 형성됨으로써 창문의 형태를 이루게 하는 것은 물론, 삽입된 투명창부(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인 안착홈(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block 200, when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is inserted in the form as shown in the form of the window through the through window 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transparent plate 50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groove 52 that i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inserted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more stably.

상기 안착홈(52)은, 투명창부(100)만을 도시한 사시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면(5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51)와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정돌기(51)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원활한 삽입을 위해 순방향의 사면을 구비하는 한편, 투명창부(100)의 이탈 방향에 대해서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형태가 됨으로써, 일단 고정돌기(51)가 안착홈(52) 내에 수용된 후에는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ting groove 52 is, as shown in Figure 3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is formed in a position to interlock with the fixing projections 51 protruding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as In the case of the fixing protrusion 51, as shown in the inserting direction, a slant in the forward direction is provided for smooth insertion, while a locking step is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parent window part 100, so that once After the fixing protrusion 51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52,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mounting state stably.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모서리가 각진 블럭편과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른 블럭편의 경우 모서리 부분이 면취된 형태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날카로운 각진 모서리로 인해 사용자나 인접물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있으나, 조립된 블럭편들의 재 분리시에 손톱 등을 사용하여 이들 면취된 부분으로의 접근이 용이해지므로 보다 원활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기능을 부여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as seen through Figures 1 to 3, unlike the angled block piece shown in Figures 4, 5, etc., in the case of the block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rner portion is chamfered form, which is The sharp angled edge prevents damage to the user or neighbors.However, it is easier to access the chamfered parts by using nails when reassembling the assembled block pieces. It can also give you an advantageous function.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 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llustrated and described embodiment.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창문형 블럭편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제품 제조시 미세 구조로 인한 제품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First, the product defect rate due to the microstructure in the product manufacturing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둘째, 반복된 사용 등으로 미세 구조가 마모되거나 하여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품 기능 상실의 우려가 적다.Second,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the loss of part function which may be caused by wear of the microstructure due to repeated use or the like.

셋째, 창문형 블럭편을 구성하는 투명창부와 수용블럭이 각각 독립적으로도 다른 블럭편들과 조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호 조합되는 투명창부와 수용블럭의 형태도 다양화하여 제공될 수 있으므로, 완성물을 만들기 위한 조합의 경우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보다 다양한 응용이 가능해져 조립의 재미가 증가한다.Third,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block constituting the window block piece can be combined with other block piec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block can be provided in a variety of forms. The number of combinations for making water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assembly is improved to enable more various applications, thereby increasing the fun of assembly.

넷째, 기존의 특징없는 형태와 작은 크기를 가진 투명판재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창부는 독립적인 돌기부 또는 오목부를 가진 형태를 가지므로, 다른 블럭편과의 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며 분실의 우려가 적어져 세트 물품으로서의 보관이 용이해진다.Fourth, since the transparen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having independent protrusions or recesses, compared to the existing transparent sheet having a small shape and small size, it is easy to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with other block pieces, There is little concern, and storage as a set article becomes easy.

Claims (3)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원기둥형 돌기부(10)와, 상기 돌기부(1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의 오목부(20)를 구비함으로써, 수개의 돌기부(10)와 오목부(20)가 상호 끼워 맞춰져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블럭 완구의 블럭편에 있어서,By having at least one cylindrical protrusion 10 and a recess 2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10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several protrusions 10 and the recess 20 are fitted together. In the block pieces of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assembled,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상에 상기 돌기부(10) 또는 오목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10) 또는 오목부(20)가 구비된 면으로부터 판재 형태로 연장된 투명판면(50)을 포함하여 구성된 투명창부(100)와;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is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nd includes the protrusion 10 or the concave portion 20 on one surface thereof, and extends in the form of a plate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protrusion 10 or the concave portion 20 is provided.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configured to include;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상에 상기 투명창부(100)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10) 또는 오목부(20)에 대응되는 오목부(20) 또는 돌기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20) 또는 돌기부(10)가 구비된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창부(100)의 상기 투명판면(5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마주보는 형태의 슬라이딩 삽입홈(65)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투명판면(50)이 삽입된 후 접촉되는 면에는 양 면을 관통하는 관통창(30)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한 수용블럭(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블럭편.It is made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and provided with a recess 20 or a protrusion 1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0 or the recess 20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on one surface, the recess 20 or a sliding insertion groove 65 extending from a surface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10 so as to face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of the transparent window 100 can be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is inserted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surface 200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winding window 30 penetrating both sides; window typ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Block ed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삽입된 후 상호 접촉되는 상기 투명판면(50)과 상기 수용부 내측면 면상의 일지점에는, 고정돌기(51)와 상기 고정돌기(51)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52)이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블럭편.According to claim 1, At one poi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50 and the receiv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fter sliding is inserted, the se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protrusion 51 and the fixing protrusion 51 ( 52),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respectively in the interlocking position, the window block pie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부(100)와 상기 수용블럭(200)은,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면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블럭편.The window block pie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parent window portion (100) and the accommodation block (200) have a shape where edges where a face meets a face are chamfered.
KR2020070003668U 2007-03-06 2007-03-06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KR2008000378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668U KR20080003786U (en) 2007-03-06 2007-03-06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668U KR20080003786U (en) 2007-03-06 2007-03-06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86U true KR20080003786U (en) 2008-09-10

Family

ID=4133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668U KR20080003786U (en) 2007-03-06 2007-03-06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78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5379B1 (en) Knockdown block
KR200404644Y1 (en) Soccer ball type puzzle
JP6346960B2 (en) Free toy orbit
KR20130047377A (en) Assembling block toy
KR20170065212A (en) Diorama assembling blcok compris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elastic wall
JP4348551B2 (en) Frame connector
KR20080003786U (en) A window shaped piece of block-toy
KR101250530B1 (en) Block teaching aid
KR101385989B1 (en) Assembling block toy
KR200440386Y1 (en) Fabricatable block
KR20110101739A (en) Block toy kit
KR20130003194U (en) Assembly Type Block Toy
KR200404640Y1 (en) a cube for assembly
JP5433853B2 (en) Assembly toy
KR200380938Y1 (en) A solid panel of toy
JP2005058437A (en) Block toy for assembly
JP3153111U (en) Combination block toy
KR20170028770A (en) Block having elastic fastener
KR200469542Y1 (en) Magentic block toy with joint module
WO2021052378A1 (en) Building block toy
KR100797450B1 (en) A puzzle picture frame
JP2017006605A (en) Joint for assembly block toy
KR101898337B1 (en) Assembling block
KR20160029424A (en) Paper toy
KR200368839Y1 (en) A wheel of a chain assemble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