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530B1 - Block teaching aid - Google Patents

Block teaching a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530B1
KR101250530B1 KR1020100100522A KR20100100522A KR101250530B1 KR 101250530 B1 KR101250530 B1 KR 101250530B1 KR 1020100100522 A KR1020100100522 A KR 1020100100522A KR 20100100522 A KR20100100522 A KR 20100100522A KR 101250530 B1 KR101250530 B1 KR 101250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sition fixing
coupling bar
groove
b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8842A (en
Inventor
백남헌
백남구
Original Assignee
백남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헌 filed Critical 백남헌
Priority to KR102010010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530B1/en
Publication of KR2012003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3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wires, springs, suction cups, telescopic eleme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교구에 있어서,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정사각형 블록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의 형태로 조립 가능한 복수 개의 블록편;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편 중 어느 하나의 블록편을 다른 하나의 블록편과 연결시키도록 상기 블록편의 각 측면에 마련된 홈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바가 포함되는 블록교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precinct,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 pieces that can be assembled in the form of a right angle isosceles triangle block, a square block, or a parallelogram block; And it provides a block teaching aid comprising a coupling bar that is fitted to each other detachably coupled to the groov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lock piece to conn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with the other block piece.

Description

블록교구{BLOCK TEACHING AID}BLOCK TEACHING AID

본 발명은 블록교구(block teaching ai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합을 통해 여러 가지 최종 형상을 만들 수 있는 다각형의 블록편을 포함하는 블록교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lock teaching aids, and more particularly to block teaching aids comprising polygonal block pieces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final shapes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칠교놀이는 7개의 블록을 조합하여 특정 형상을 만드는 블록교구이다. 구체적으로 칠교놀이는 정사각형을 잘라 만든 7개의 블록을 새로이 조합하여 여러 가지 도형, 기호, 숫자, 사물의 형상 등을 만드는 완구로서, 특히 어린이의 창의력, 공간지각력을 개발하는데 효과가 큰 완구로 알려져 있으며, 현행 초등 교과 과정에도 소개되어 있다.Chilkyo Nori is a block parish that combines seven blocks to form a specific shape. Specifically, Chilkyo Nori is a toy that creates various shapes, symbols, numbers, and shapes by newly combining seven blocks made of squares, and is known as a toy that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spatial perception of children. It is also introduced in the current elementary curriculum.

일반적으로 칠교놀이는 목재, 플라스틱, 종이 등으로 만들어진 7개의 평면 또는 입체블록으로 구성된다. 이를 응용하여 7개 이상의 블록을 가진 세트도 주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10개 또는 12개의 블록을 가진 세트가 십교놀이 또는 십이교놀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the Tangram play consists of seven flat or solid blocks made of wood, plastic, paper, etc. In this application, a set having seven or more blocks is also known. For example, a set having ten or twelve blocks is known by the name of tens or twelve occults.

그런데 종래의 칠교놀이에서는 세트를 이루는 각 블록 자체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각 블록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에 한계가 있었다.
By the way, since the shape of each block which comprises a set is fixed in the conventional chisel play, the final shape which can be made by the combination of each block had a limi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각형의 블록편을 도입하여 블록편의 조합을 통해 보다 다양한 최종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블록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precinct to introduce a polygonal block piece to make a variety of final shape through a combination of block pie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록교구에 있어서,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정사각형 블록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의 형태로 조립 가능한 복수 개의 블록편;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편 중 어느 하나의 블록편을 다른 하나의 블록편과 연결시키도록 상기 블록편의 각 측면에 마련된 홈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바가 포함되는 블록교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ock teaching, a plurality of block pieces that can be assembled in the form of a right angle isosceles triangle block, a square block or a parallelogram block; And it provides a block teaching aid comprising a coupling bar that is fitted to each other detachably coupled to the groov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lock piece to conn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with the other block piece.

상기 홈부와 상기 결합바의 상호 끼워맞춤 결합 후 상기 블록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comprise a position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block piece after the mutual fit coupling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coupling bar.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홈부 및 상기 결합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위치고정 요홈; 및 상기 홈부 및 상기 결합바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위치고정 요홈에 걸림되는 위치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means, the position fix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coupling bar; And a retractable protrusion provided elastically in any one of the groove and the coupling bar, and locked to the position fixing recess.

상기 위치고정 요홈은 상기 결합바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블록편과 상기 블록편을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상호 마주하며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recess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ar, and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ar to connect the block piece and the block piece.

상기 위치고정 돌기는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상기 위치고정 돌기를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extract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s.

상기 위치고정 요홈은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상기 위치고정 돌기는 상기 결합바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상호 마주하며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ar,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ar.

상기 블록편은 상기 블록편을 자력에 의해 외부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록편에 탈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lock piece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material detachable from the block piece so as to fix the block piece to an external object by magnetic forc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각형의 블록편을 도입함으로써 각 블록편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의 개수를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a polygonal block piece, the number of final shapes that can be made by combining each block piece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교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블록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위치고정수단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위치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ck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1.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piece according to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according to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of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교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블록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바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위치고정수단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위치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ck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piece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of FIG. 5.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교구(100)는,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정사각형 블록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의 형태로 조립 가능하게 복수 개 마련되는 블록편(110)과, 복수 개로 마련되는 블록편(11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블록편(110)을 다른 하나의 블록편(110)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블록편(110)에 마련된 홈부(111)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바(130)를 포함한다.1 to 6, the block teaching ai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lock pieces 110 are provided to be assembled in the form of a right angle isosceles triangle block, a square block or a parallelogram block, and a plurality of blocks. Coupling bar which is fitted with the groove portion 111 provided in the block piece 110 so as to connect any one of the block piece 110 is provided with the other block piece 110 among the block pieces 110 are provided 130.

그리고 어느 하나의 블록편(11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10)을 연결시키는 결합바(130)가 홈부(111)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면 결합바(130)가 홈부(111)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bar 130 connecting the one block piece 110 and the other block piece 110 is fitted with the groove 111, the coupling bar 130 is easily detached from the groove 111. 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means 150 that can be prevented.

먼저, 블록편(110)은 그 단면이 다각형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이등변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블록편(110)으로 마련되고, 복수 개로 마련되는 블록편(110)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First, the block piece 110 may have various shapes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polygonal.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block piece 110 is provided as a block piece 110 having a cross section of a right isosceles triangle shape. The block pieces 110 provided all have the same thickness.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 블록편(110)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하면 하나의 블록편(110)보다 큰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이나 정사각형 블록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조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전술한 도형 외에 여러 가지 도형, 기호, 숫자, 사물의 형상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110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the block pieces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ght angle isosceles triangle block, a square block, or a parallelogram block larger than one block piece 110. According to the method,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hapes, various shapes, symbols, numbers, and shapes of objects can be obtained.

블록편(110)에는 어느 하나의 블록편(11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10)이 연결될 때 접하는 면(110a)의 중앙 영역에 전술한 결합바(130)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는 홈부(111)가 형성되는데, 이 홈부(111)가 형성되는 접합면(110a)은 블록편(110)의 두께 방향에 해당하는 면 즉, 측면(110a)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블록편(110)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블록편(110)이므로 3개의 측면(110a)에 3개의 홈부(111)가 형성된다.The block piece 110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in which the above-described coupling bar 130 is fitted to each other in a central region of the surface 110a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of the block pieces 110 and the other block piece 110. 111 is formed, and the joining surface 110a in which the groove portion 111 is formed become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lock piece 110, that is, the side surface 110a. Therefore, since the block piece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lock piece 110 of a right angle isosceles triangle, three groove portions 111 are formed on three side surfaces 110a.

홈부(111)는 블록편(110)의 상/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결합바(130)가 두 개의 블록편(110)을 연결시킴에 따라 홈부(111)의 깊이는 결합바(130)의 길이의 1/2에 해당하는 만큼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이 형성되면 블록편(110)들의 조립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The groove 111 is form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op / bottom of the block piece 110, the depth of the groove 111 is the coupling bar 130 as one coupling bar 130 connects the two block pieces 110 It is common to form as much as 1/2 of the length of the 130, if formed in this way can also be improved the ease of assembly of the block pieces (110).

그리고 홈부(111)는 결합바(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바(130)가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홈부(111)도 역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되, 결합바(130)와 홈부(11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groove 1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ar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upling bar 13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groove 111 is also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coupling bar 130 and the groove 111 is not limited thereto. can be changed.

또한 결합바(130)와 홈부(111)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될 때 헐겁게 끼워맞춤 되거나 빡빡하게 끼워맞춤 되지 않도록 결합바(130)와 홈부(111)를 제작 시 각각의 치수에 적당한 공차를 부여한다.Also, when the coupling bar 130 and the groove 111 are fitt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bar 130 and the groove 111 are provided with appropriate tolerances so as not to be loosely fitted or tightly fitted. .

한편, 상호 끼워맞춤 결합된 홈부(111)와 결합바(130)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150)은, 홈부(111) 및 결합바(1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위치고정 요홈(151)과, 홈부(111) 및 결합바(130)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술한 위치고정 요홈(151)에 걸림되는 위치고정 돌기(15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fixing means 150 for fixing the groove portion 111 and the coupling bar 130 are fitt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sition fixing formed in any one of the groove portion 111 and the coupling bar 130 The recess 151 and any one of the groove 111 and the coupling bar 130 are provided to be elastically withdrawn and includes a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that is locked to the position fixing recess 151 described above.

위치고정 요홈(151)이 결합바(130)에 형성되면 위치고정 돌기(153)는 홈부(111)에 구비되고, 위치고정 요홈(151)이 홈부(111)에 형성되면 위치고정 돌기(153)는 결합바(130)에 구비된다.When the fixing groove 151 is formed in the coupling bar 130,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3 is provided in the groove 111, and the positioning fixing groove 151 is formed in the groove 111,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3 Is provided on the coupling bar 130.

도 5는 위치고정 요홈(151)이 결합바(130)에 형성되고, 위치고정 돌기(153)가 블록편(110)의 홈부(111)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5을 참조하면 위치고정 요홈(151)은 결합바(130)의 외주면(131)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결합바(130)가 하나의 블록편(11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10)을 연결시키므로 결합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바(130)의 양측에 상호 마주하며 형성된다.5 shows that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1 is formed in the coupling bar 130, and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is provided in the groove 111 of the block piece 110. Referring to FIG. The groove 15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 of the coupling bar 130, and the coupling bar 130 connects one block piece 110 to another block piece 110. It is formed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bar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130).

위치고정 요홈(151)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결합바(1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단면이 凹자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위치고정 요홈(151)의 형상이 꼭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ositioning recess 151 has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upling bar 130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凹, but the shape of the positioning recess 15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이와 같은 위치고정 요홈(151)에 걸림 결합되는 위치고정 돌기(153)는 결합바(130)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는 블록편(110)의 홈부(111)에 구비되는데, 홈부(111)의 내주면(111a)에 내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 돌기(153)가 구비된다.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engaged with the position fixing recess 151 is provided in the groove 111 of the block piece 110 to which the coupling bar 130 is fitted to each oth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111 is At least on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111a.

위치고정 돌기(153)는 홈부(111)의 내주면(111a)에 돌기홈(111b)이 형성되어 있어 이 돌기홈(111b)에 위치고정 돌기(153)의 일부 영역이 돌기홈(111b)의 외부로 노출되게 내장되는데, 돌기홈(111b)에 삽입된 위치고정 돌기(153)가 돌기홈(111b)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아야 하므로 돌기홈(111b)의 개구된 영역이 위치고정 돌기(153)보다 작아야 한다.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3 has a protrusion groove 111b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1a of the groove 111 so that a part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3 is outside the protrusion groove 111b in the protrusion groove 111b. Since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groove 111b should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groove 111b, the opened area of the protrusion groove 111b should be smaller than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do.

그리고 전술하였듯이 위치고정 돌기(153)가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돌기홈(111b) 내부에 탄성체(155)가 구비되고 탄성체(155)와 위치고정 돌기(153)가 접하며 내장되어 있어 위치고정 돌기(153)가 탄성체(155)의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must be elastically withdrawable, the elastic body 155 is provided inside the protrusion groove 111b, and the elastic body 155 and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are buil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the position. The protrusion 153 may be elastically pulled out by the force of the elastic body 155.

한편, 도 6은 위치고정수단(150')이 전술한 도 5와의 실시 형태와 반대로 실시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위치고정 요홈(151')은 블록편(110)의 홈부(111)에 형성되고 위치고정 돌기(153')는 결합바(130)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means 150 'is the rever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 5. Referring to FIG. 6, the position fixing recess 151 ′ is a block piece 110. Is formed in the groove 111 of the position fixing projections 153 ′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upling bar 130 is provided.

위치고정 요홈(151)은 블록편(110)의 홈부(111) 내주면(111b)에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홈부(111)의 내측 단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전술된 실시 형태에서 위치고정 요홈(151)이 결합바(130)의 양측에 형성되며 하나의 결합바(130)에 2개의 위치고정 요홈(151)이 형성되어 있던 것과 달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홈부(111)에 하나의 위치고정 요홈(151')만 형성된다. 그리고 위치고정 요홈(151')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recess 15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1b of the groove portion 111 of the block piece 1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nd of the groove portion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osition fixing recesses 151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upling bar 130 and two position fixing recesses 151 are formed in one coupling bar 130. Only one position fixing recess 151 ′ is formed in the groove 111.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osition fixing recess 151 ′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이와 같은 위치고정 요홈(151')에 걸림 결합되는 위치고정 돌기(153')는 전술된 실시 형태와 반대로 결합바(130)에 구비되는데, 결합바(130)의 외주면(131)에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 돌기(153')가 구비된다.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 engaged with the position fixing recess 151 ′ is provided on the coupling bar 130 as oppos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 of the coupling bar 130 is provided. At least one positioning protrusion 153 'is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여기에서도 결합바(130)의 외주면(131)에 위치고정 돌기(153')가 구비될 수 있는 돌기홈(1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홈(133)의 내부에는 위치고정 돌기(153')를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탄성체(155')가 구비되어 있으며 위치고정 돌기(153')가 탄성체(155')와 접하며 위치고정 돌기(153')의 일부 영역이 돌기홈(133)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노출되게 내장되어 있다.Here too, a projection groove 13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 of the coupling bar 130, and the projection fixing groove 133 ′ may be provided, and the positioning projection 153 ′ is formed inside the projection groove 133. )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155 ′ capable of elastically withdrawing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155 ′, and a part of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 is a protrusion groove 133. It is embedded to be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of).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고정수단(150)의 작동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복수 개의 블록편(11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블록편(11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10)을 연결시키기 위해 결합바(130)가 블록편(110)의 측면(110a)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111)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기 위해 홈부(111)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며 들어갈 때 결합바(130)의 단부가 홈부(111)의 내부에 구비된 위치고정 돌기(153)와 접하여 걸리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150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coupling to connect any one block piece 110 and the other block piece 110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110) When the bar 130 slides into the groove 111 to be mutually fitted with the groove 111 formed on the side surface 110a of the block piece 110, an end portion of the coupling bar 130 moves into the groove portion. It is caught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fixing projection 153 provided inside the (111).

그러나 사용자가 결합바(130)를 홈부(111)의 내부로 좀 더 강하게 밀어 넣으면 위치고정 돌기(153)는 돌기홈(111b) 내부의 탄성체(155)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체(155)가 수축되며 위치고정 돌기(153)가 돌기홈(111b)의 내부로 삽입되며 결합바(130)가 홈부(111)의 내부로 좀 더 삽입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pushes the coupling bar 130 more strongly into the groove 111,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155 inside the protrusion groove 111b, so that the elastic body 155 is contracted.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groove 111b and the coupling bar 130 may be further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11.

그리고 결합바(130)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 요홈(151)이 홈부(111)의 위치고정 돌기(153)와 동일한 위치가 되면 위치고정 돌기(153)는 탄성체(155)의 인장되려는 힘에 의해서 위치고정 돌기(153)의 일부 영역이 돌기홈(111b)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되고 이때 위치고정 돌기(153)가 위치고정 요홈(151)에 걸림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결합바(130)가 홈부(111)와 상호 끼워맞춤 되면 결합바(130)가 홈부(111)로부터 재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nd when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1 formed in the coupling bar 130 is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of the groove 111,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153 is due to the tension to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155 A portion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3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area of the protrusion groove 111b,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3 is caught by the positioning recess 151. In this operation, when the coupling bar 130 is fitted with the groove 111, the coupling bar 13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oove 111.

그리고 위치고정 요홈(151)은 결합바(130)의 외주면(131) 또는 홈부(111)의 내주면(111a)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위치고정 돌기(153)가 위치고정 요홈(151)을 따라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블록편(11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10)을 결합바(130)를 이용하여 연결시킨 후 조립된 블록의 모양을 변경하고자 할 때 다른 하나의 블록편(110)의 상/하를 뒤집는 회전 동작만으로도 블록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 of the coupling bar 130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1a of the groove 111, the positioning projection 153 is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1 Since it can rotate along, when one of the block piece 110 and the other block piece 110 is connected by using the coupling bar 130, when you want to change the shape of the assembled block of the other The shape of the block can be changed only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invert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block piece 110.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교구(100)를 유치원 또는 학교에서 아이들의 학습용 완구로 사용할 경우 외부 물체, 예를 들어 칠판과 같은 곳에 자력을 이용해 부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편(110)에 장착되는 자성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using the block teaching aid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learning toy for children in kindergarten or school, each block piece to be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blackboard using magnetic force Magnetic material (not shown) mounted on the 110 may be further included.

이러한 자성체는 블록편(1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복수 개의 블록편(110)을 조합하여 다양한 모양의 블록을 조립 시 각각의 블록편(110)의 상/하면을 뒤집어 조립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립 후 최종 형상이 완성된 후 자성체를 부착하거나 재 조립시에는 블록편(110)으로부터 자성체를 분리시킨 후 재조립하여 완성되었을 때 블록편(110)에 자성체를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Such a magnetic body is generally provided to be detachable on any on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lock piece 110, which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block pieces 110 when assembling a block of various shapes of each block piece 110 Sin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may be assembled upside down, when the final shape is completed after assembly,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attached or reassembled when the magnetic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block piece 110 and then reassembled and completed on the block piece 110. This is to allow the magnetic material to be mount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교구(100)를 이용하면, 복수 개로 마련되는 다각형의 블록편을 도입하게 됨으로써 블록편들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의 개수를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특히 블록교구(100)를 학교와 같은 곳에서 아이들의 학습용 완구로 사용하면 블록편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By using the block teaching tool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troducing a plurality of polygonal block piece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increase the number of the final shape that can be made of a combination of block pieces, in particular block When the precinct 100 is used as a learning toy for children in a place such as a school, the block pieces can be combined to create blocks of various shapes, thereby obtaining an effect that can help children's creativity be improv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블록교구 110: 블록편
111: 홈부 111b, 133: 돌기홈
130: 결합바 150: 위치고정수단
151, 151': 위치고정 요홈 153, 153': 위치고정 돌기
100: block parish 110: block edition
111: groove 111b, 133: projection groove
130: coupling bar 150: position fixing means
151, 151 ': Position fixing recess 153, 153': Position fixing protrusion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블록교구에 있어서,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정사각형 블록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의 형태로 조립 가능한 복수 개의 블록편;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편 중 어느 하나의 블록편을 다른 하나의 블록편과 연결시키도록 상기 블록편의 각 측면에 마련된 홈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바가 포함되는 블록교구로서,
상기 홈부와 상기 결합바의 상호 끼워맞춤 결합 후 상기 블록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홈부 및 상기 결합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위치고정 요홈; 및
상기 홈부 및 상기 결합바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위치고정 요홈에 걸림되는 위치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블록교구.
In the block parish,
A plurality of block pieces assembleable in the form of a right angle isosceles triangle block, a square block, or a parallelogram block; And
A block teaching aid comprising a coupling bar which is fit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groov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lock piece to conn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with the other block piece,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block piece after the mutual fit coupling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coupling bar,
The position fixing means,
Position fix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coupling bar; And
Is provided in one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coupling bar to be elastically withdrawn, block teaching aids comprising a position fixing projection that is locked 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요홈은 상기 결합바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블록편과 상기 블록편을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상호 마주하며 형성되는 블록교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a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lock teaching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along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ar to connect the block piece and the block pie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돌기는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블록교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position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돌기를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블록교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lock teaching aid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to enable elastically withdraw the position fixing projec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요홈은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블록교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fixing groove is a block precinc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돌기는 상기 결합바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상호 마주하며 형성되는 블록교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ar, the block precinct form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ar.
삭제delete
KR1020100100522A 2010-10-14 2010-10-14 Block teaching aid KR101250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22A KR101250530B1 (en) 2010-10-14 2010-10-14 Block teaching a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22A KR101250530B1 (en) 2010-10-14 2010-10-14 Block teaching a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42A KR20120038842A (en) 2012-04-24
KR101250530B1 true KR101250530B1 (en) 2013-04-04

Family

ID=4613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522A KR101250530B1 (en) 2010-10-14 2010-10-14 Block teaching a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5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93B1 (en) 2014-05-30 2014-11-17 김영순 Block studying tool for infant
KR101923582B1 (en) * 2017-01-03 2018-11-29 주식회사 이창의스쿨 Block connectors for toys
KR200490973Y1 (en) 2019-04-04 2020-01-30 김수만 block teaching aid use magnetic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796B1 (en) * 2009-06-24 2010-06-01 백남헌 Tangram s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796B1 (en) * 2009-06-24 2010-06-01 백남헌 Tangram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42A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4317A (en) Toy assembly element
US20120270464A1 (en) Toy blocks for children
KR101447679B1 (en) Assembling block toy
JP2019130237A (en) Magnetic plate toy
KR101245060B1 (en) a block toy used child
KR101250530B1 (en) Block teaching aid
KR101896144B1 (en) assembling toy block
KR200478274Y1 (en) The blocks for toy
KR101722677B1 (en) Junction Member of Assembly Toys
US20170151506A1 (en) Large assembly block for toys
KR102018601B1 (en) Teaching block enable to assemble
KR101721961B1 (en) Assembly type three dimensional puzzle sculptures
KR20170065212A (en) Diorama assembling blcok compris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elastic wall
KR101336672B1 (en) Geometrical plaything and the connecting method thereof
KR101385989B1 (en) Assembling block toy
KR20140100714A (en) Toy block
KR200441034Y1 (en) Fabricatable block
KR200495487Y1 (en) block for A play
KR101540866B1 (en) Magnetic cap for magnetic toy
CN112272582B (en) Cube element for construction type toy
JP3153111U (en) Combination block toy
KR20120019811A (en) A magnetic block used education of children
KR101825271B1 (en) A block toy
KR101410674B1 (en) Self-assembly intergrated toy block set
KR102174925B1 (en) Infant Learn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