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739A - Block toy kit - Google Patents

Block toy 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739A
KR20110101739A KR1020100020957A KR20100020957A KR20110101739A KR 20110101739 A KR20110101739 A KR 20110101739A KR 1020100020957 A KR1020100020957 A KR 1020100020957A KR 20100020957 A KR20100020957 A KR 20100020957A KR 20110101739 A KR20110101739 A KR 2011010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main frame
fram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현석
서종원
정의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씨티
Priority to KR102010002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739A/en
Publication of KR2011010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7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모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나사 등의 별도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용으로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블록완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평판형을 이루며, 다수의 결합공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의 메인 프레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평판형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비해서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면상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각 메인 프레임 간을 서로 연결하거나 혹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그리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다면체의 블록 형상을 이루며, 각 면 중 서로 대칭되는 두 면과 이 두 면에 수직되는 어느 한 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나 연결 프레임의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 면과 대칭되는 다른 한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나머지 두 면에는 모터의 축이나 나사 혹은, 여타의 다양한 종류의 축 등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oy for learning, more specifically, to form a model in a variety of shapes, as well as a fastening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screws can be omitted by a new type of block toys suitable for learning Relates to a ki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ing a flat plate, a plurality of the main fram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ing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 a flat plate and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main fram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main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main frame; And,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ing a block shape of a polyhedron, the coupling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frame or the connection frame to any one of the two surfaces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perpendicular to the two surfaces of each surface Protrudingly formed, the other surface symmetrical to the one surfac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other two surfaces through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or screw of the motor, or other various kinds of shafts, etc. There is provided a learning block toy kit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each formed.

Description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block toy kit}Block toy kit for learning {block toy kit}

본 발명은 학습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모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나사 등의 별도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용으로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블록완구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oy for learning, more specifically, to form a model in a variety of shapes, as well as a fastening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screws can be omitted by a new type of block toys suitable for learning Relates to a kit.

일반적으로 블록완구는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거나 혹은,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의 지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완구의 일종이다.In general, a block toy is a kind of toy that helps a child develop intelligence b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it into a desired shape by using various types of blocks.

상기한 블록완구는 크게 유아용 블록완구와 학습용 블록완구로 구분된다.The block toys are classified into block toys for children and block toys for learning.

여기서, 상기 유아용 블록완구는 단순히 일괄적으로 동일(혹은, 유사)한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쌓아 올리는 형상 혹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만 구성되고, 상기 학습용 블록완구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체의 제공을 통해 더욱 다양하면서도 동작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block toys for children are simply configured to b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shap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a plurality of block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collectively, the learning block toys By providing a frame body made of a variety of shapes is configured to enable a more diverse and operation.

즉, 일반적인 유아용 블록완구의 경우는 각 블록 간의 대향면에 서로 대응되는 요철 구조(돌기 및 요홈)를 형성하여 서로 조립하도록 구성되고, 학습용으로 제공되는 블록완구는 축이나 나사 등이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을 형성하여 서로 간을 체결 조립하도록 구성된다는 차이를 가지고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general block toy for children is formed to form a concave-convex structure (projections and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opposite surface between each block is assembled to each other, the block toys provided for learning so that the shaft or screw can pass through There is a difference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o be fasten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그러나, 전술한 학습용 블록완구는 각 프레임체의 두께가 유아용 블록완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금속성 소재로 사용되고 있고, 각 프레임 간의 결합은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거나 혹은, 납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조립 편리성이 낮을 뿐 아니라 추가적인 도구의 필요와 더불어 분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learning block toys are made of a relatively thin plate-like thickness of each frame compared to the block toys for infants and are mostly used as a metallic material except for some configurations,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frames is performed using screws. Fastening and assembling or fixing using soldering, adhesives, etc., not only has low assembly convenience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disassembling is difficult as well as the need for additional tools.

즉, 상기한 종래의 학습용 블록완구는 초등학생 이하의 어린이나 유아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던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earning block toys were not suitable for use by children and young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ge or younger.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형의 모형에 대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구현이 가능함과 더불어 각 프레임 간의 결합이 간단하면서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나사 혹은, 접착제 등의 사용 없이도 안정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학습용 블록완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shapes for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the combination between each frame can be made simple and easy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new type of learning block toys that enable a stable assembly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screw or adhesi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에 따르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평판형을 이루며, 다수의 결합공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의 메인 프레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평판형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비해서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면상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각 메인 프레임 간을 서로 연결하거나 혹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그리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다면체의 블록 형상을 이루며, 각 면 중 서로 대칭되는 두 면과 이 두 면에 수직되는 어느 한 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나 연결 프레임의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 면과 대칭되는 다른 한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나머지 두 면에는 모터의 축이나 나사 혹은, 여타의 다양한 종류의 축 등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learning block toy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main fram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ing a flat plat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 a flat plate and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main fram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main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main frame; And,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ing a block shape of a polyhedron, the coupling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frame or the connection frame to any one of the two surfaces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perpendicular to the two surfaces of each surface Protrudingly formed, the other surface symmetrical to the one surfac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other two surfaces through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or screw of the motor, or other various kinds of shafts, etc.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each formed.

여기서, 상기 연결 블록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는 둘레면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메인 프레임, 연결 프레임 및 연결 블록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내주면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나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round circumference, and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main frame,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round inner circumference to rotate or incline with each other. The lugg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기울어짐이나 회전시 상대물과의 간섭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is formed to be rounde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with the counterpart during tilting or rotation.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및 연결 블록의 각 부위 중 결합공이 관통되는 측의 외표면은 상기 결합공의 형성 부위 및 테두리 부위를 제외하고는 단턱지도록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of the main frame,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connecting block of each portion of the connecting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is formed to be stepped except for the forming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또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어느 한 면에는 구동모터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고, 나머지의 면들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 혹은,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의 축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모터설치용 블록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and formed in the block shape of the polyhedron,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one side to accommodate the drive motor, the other side i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frame or the main frame on the other side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to protrude,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tor mounting block formed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penetrates.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단가의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무게의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chieve a reduction in weight as well as to reduce the overall unit cost by form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특히, 본 발명의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는 별도의 나사나 접착제 등의 보조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각 블록 간이나 각 프레임 간 혹은, 각 블록과 프레임 간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각 연결 부위의 회전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learning block toy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between each block or between each frame, or between each block and the frame, even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screw or adhesive, such as rotation of each connection site It has the effect of being possibl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구성하는 연결 블록은 그의 외벽면 중 3면에 결합돌기를 각각 돌출 형성함으로써 모든 구조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lock constituting the learning block toy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onnection of all the structure is possible by forming the engaging projections respectively on the three sides of the outer wall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의 각 구성간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의 각 구성 중 연결 프레임과 연결 블록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의 각 구성 중 연결 프레임과 연결 블록 간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형의 연결 프레임과 연결 블록간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형의 연결 프레임에 모터설치용 블록을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toy kit for learn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connection frame and a connection block among the components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connection block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del manufactured using a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connection frame and a connection block of a model manufactured by using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tor mounting block is coupled to a connection frame of a model manufactured using a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7 attache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이루는 각 구성물들 간의 연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는 크게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프레임(200)과 연결 블록(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1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ssociation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through this block learning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frame 100,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block 300 comprises a larg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가 모두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ll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모형의 가장 기본적인 몸체 부위를 이루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구성이다.First, the main frame 100 is a series of components used to form the most basic body portion of the model.

즉, 상기한 메인 프레임(100)은 모형의 몸체 부위나 지면에의 안착 부위 등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That is, the main frame 100 is used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body portion of the model or a seating portion on the ground.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면상에는 다수의 결합공(110)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결합공(11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에서 후술될 연결 블록(300)의 결합돌기(310)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0 are formed through the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he coupling hole 110 is formed to penetrate the main frame 100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10 of the connection block 300 to be described later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00 can be coupled at the same time.

특히, 상기한 메인 프레임(100)은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폭과 길이가 다양하게 설정되어 형성된다. 예컨대, 첨부된 도 5를 통해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이용하여 로봇 모형을 만든 상태의 예에서와 같이 로봇 모형의 몸통 부위를 이루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로봇 모형의 발바닥을 이루는데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100) 간의 폭과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with a variety of width and length i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r purpose of use. For example, the main frame 100 used to form the body portion of the robot model, as in the example of the state of making a robot model using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through FIG. Width and length between the main frame 100 used to form the sole of the robot model may be different.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둘레면 중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모서리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지만 해당 메인 프레임(100)이 동작 부위로 사용될 경우 여타의 상대물과 간섭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round. This is to preven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above-mentioned edge, but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other counterparts when the main frame 100 is used as an operation site.

이와 함께, 상기한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 및 저면은 상기 결합공(110)이 형성된 부위 및 테두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단턱지도록 요입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재료비의 절감 및 무게의 감량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to be concave to form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where the coupling hole 110 is formed can achieve the reduction of the overall material cost and weight loss It is desirable to.

물론, 상기 요입 형성되지 않은 부위 간은 서로 간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12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틀림이나 휨에 따른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Of cour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s are not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ribs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reinforcement of strength due to torsion or bending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200)은 상기한 각 메인 프레임(100) 간을 서로 연결하거나 혹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특정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Next, the connection frame 200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to connect the respective main frame 100 to each other, or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main frame 100 to form a specific shape.

상기한 연결 프레임(200) 역시 평판형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비해서는 그 폭이 좁은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된다.The connecting frame 200 is also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but is formed in a rectangular flat plate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at of the main frame 100.

또한, 상기한 연결 프레임(200)의 면상에는 다수의 결합공(210)이 형성되며, 상기한 결합공(210)은 상기 연결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0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the coupling holes 210 are formed to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frame 200.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200)의 결합공(21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공(110)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210 of the connection frame 200 is formed in the same size and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hole 110 of the main frame 100.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200)의 둘레면 중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모서리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지만 해당 연결 프레임(200)이 동작 부위로 사용될 경우 이 동작 부위가 여타의 상대물(예컨대, 메인 프레임)과 간섭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2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round. This is also intended to preven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above edges, but when the connection frame 200 is used as an operation part, the operation part can be minimized to interfere with other counterparts (eg, the main frame). To make it work.

이와 함께, 상기한 연결 프레임(200)의 상면 및 저면은 상기 결합공(210)이 형성된 부위 및 테두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단턱지도록 요입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재료비의 절감 및 무게의 감량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long with th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frame 200 may be formed so that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where the coupling hole 210 is formed are recessed so as to reduce the overall material cost and reduce weight. It is desirable to.

물론, 상기 요입 형성되지 않은 부위 간은 서로 간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22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틀림이나 휨에 따른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된 메인 프레임(100)의 구조와 동일하다.Of cour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s are not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ribs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reinforcement of strength due to torsion or bending is achieved. This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main frame 100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상기 연결 블록(300)은 복수의 메인 프레임(100) 간, 복수의 연결 프레임(200) 간 혹은, 연결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 간을 서로 결합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물론, 상기 연결 블록(300)은 또 다른 연결 블록(300)과도 상호 결합 가능하다.Next, the connection block 300 is a series of components that couple the plurality of main frames 100, the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200, or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the main frame 100. Of course, the connection block 300 may be mutually coupled with another connection block 300.

상기한 연결 블록(300)은 다면체의 블록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면체는 정육면체나 삼각기둥 혹은, 다각 기둥 등이 이에 포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결 블록(300)이 정육면체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The connection block 300 is formed to form a block shape of a polyhedron. In this case, the polyhedron includes a cube, a triangular prism, a polygonal pillar, or the lik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lock 300 is formed of a cube.

또한, 상기 연결 블록(300)의 각 면 중 서로 대칭되는 두 면(예컨대, 좌측면 및 우측면) 및 이 두 면에 수직되는 어느 한 면(예컨대, 상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이나 연결 프레임(200)의 결합공(110,21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310)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 면과 대칭되는 다른 한 면(예컨대, 저면)에는 또 다른 연결 블록(30))의 결합돌기(31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320)이 형성됨과 더불어 나머지 두 면(예컨대, 전면 및 배면)에는 모터의 축이나 나사 혹은, 여타의 다양한 종류의 축 등이 관통되는 관통공(330)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frame 100 or the connection frame may be provided on two surfaces (eg, left and right)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mong the surfaces of the connection block 300 and one surface (eg, an upper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two surfaces. Coupling protrusions 31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110 and 210 of the 200 are protruded, respectively, and the coupling of another connection block 30 to the other surface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symmetrical with the one surface. The coupling groove 320 is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310 is coupled to the other two surfaces (for example, the front and the rear surface) and the through hole 330 through which the shaft, the screw, or other various kinds of shafts of the motor penetrates. Each is formed.

이때, 상기 관통공(330)의 크기는 학습용 블록완구용으로 규격화되어 사용되는 축(모터의 축 등)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서로 간은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축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through-hole 33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haft (motor shaft, etc.) used to be standardized for the learning block toys,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o.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결 블록(3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0)가 그 둘레면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각 결합공(110,210)과 연결 블록(300)에 형성되는 결합홈(320)은 내주면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로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나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connection block 300 is formed in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200 as well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in a round shape. The coupling grooves 320 formed in the balls 110 and 210 and the connection block 300 suggest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 a round shape so that rotation or inclination is possible in a state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한 연결 블록(300)의 각 부위 중 결합홈(320)이 형성되는 측의 외표면은 상기 결합홈(320)의 형성 부위 및 테두리 부위를 제외하고는 단턱지도록 요입 형성되며, 이는 전술된 메인 프레임(100) 및 연결 프레임(200)의 외표면 구조와 동일하다. 물론, 관통공(330)이 형성되는 측의 벽면도 상기 관통공(330)의 형성 부위 및 테두리 부위를 제외하고는 단턱지도록 요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320 is formed among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connection block 300 is formed so as to be stepped except for the forming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320, which is described above It is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structure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ng frame 200.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in which the through hole 330 is formed is formed to be stepped except for the forming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33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에는 구동모터(410)의 설치를 위한 모터설치용 블록(4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uggests that the motor installation block 400 for the installation of the drive motor 410 is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모터설치용 블록(4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어느 한 면에는 구동모터(410)가 수용되도록 수용홈(420)이 요입 형성되고, 나머지의 면들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 혹은, 연결 프레임(100)에 형성된 결합공(110,210)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43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2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410)의 모터축(411)이 관통되도록 관통공(도시는 생략됨)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motor installation block 40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formed in a block shape of a polyhedron, the receiving groove 420 is formed in one side so that the driving motor 410 is accommodated on one surface, the remaining surfaces A coupling protrusion 43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ain frame 100 or the coupling holes 110 and 210 formed in the connection frame 100, and the motor shaft of the driving motor 410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420. A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to penetrate 411.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의 각 구성 중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프레임(200)의 두께는 상기 연결 블록(300) 및 모터설치용 블록(4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0,430)의 돌출 길이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프레임(200)의 두께를 상기 결합돌기(310,430)의 돌출 길이에 비해 2배 이상 정도의 두꺼운 두께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200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300 and the motor installation block 40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s 310 and 430 is thick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s.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200 is about twice or more than the protrusion lengths of the coupling protrusions 310 and 430. Most preferably, it is formed in a thick thickness.

이러한 구성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이나 연결 프레임(200)의 양측에서 상기 연결 블록(300)이나 모터설치용 블록(400)의 동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configuration is to enable simultaneous assembly of the connection block 300 or the motor installation block 400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00 or the connection frame 200.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중 메인 프레임(100)은 구현하고자 하는 모형의 몸체를 이루는데 사용된다.First, the main frame 100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orm the body of the model to be implemented.

예컨대, 첨부된 도 5와 같이 강아지 형상의 로봇 모형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메인 프레임(100)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각각 로봇 모형의 몸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implementing the dog-shaped robot model as shown in FIG. 5, the main frame 100 is provided in plural to form a body of the robot model.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중 연결 프레임(200)은 구현하고자 하는 모형의 각 연결 부위나 연장 부위를 이루는데 사용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rame 200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orm each connection portion or extension portion of the model to be implemented.

예컨대, 첨부된 도 5와 같이 강아지 형상의 로봇 모형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연결 프레임(200)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각각 로봇 모형의 다리와 귀 및 꼬리 부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dog-shaped robot model is to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frame 200 is provided in plural and forms legs, ears, and tail portions of the robot model, respectivel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중 연결 블록(300)은 상기한 각 메인 프레임(100) 간의 연결 부위 및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프레임(200) 간의 연결 부위를 이루는데 사용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lock 300 of the learning block to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nnection between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200. Used.

예컨대, 첨부된 도 5와 같이 강아지 형상의 로봇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연결 블록(300)은 각 관절 부위를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 및 상기 연결 프레임(200)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implement a dog-shaped robot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on block 300 is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200 while forming respective joint portion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블록(300)에 의한 메인 프레임(100)과 메인 프레임(100) 간의 결합,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프레임(200) 간의 결합 혹은, 연결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200) 간의 결합은 상기 연결 블록(300)의 외벽면에 형성된 각 결합돌기(310)에 의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frame 100 and the main frame 100 by the connection block 30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200, or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Coupling between the (200) is made by each coupling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300).

즉, 상기 연결 블록(300)의 외벽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0)는 상기 연결 블록(300)의 양측 둘레면 및 이 양측 둘레면과는 수직한 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연결 블록(300)의 양측 둘레면에 형성된 두 결합돌기(310)에는 연결 프레임(200)의 결합공(210)을 각각 결합하고, 나머지 한 결합돌기(3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공(110)에 결합함으로써 연결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도 6 및 도 7과 같다.That is, when the coupling protrusions 310 form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300 are formed to protrude on both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onnection block 300 and wall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both circumferential surfaces, respectively, the connection block. Two coupling protrusions 310 formed on both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30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210 of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the other coupling protrusion 310 is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frame 100.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the main frame 100 is to be made by the 110. This is the same as Figures 1 to 4, 6 and 7 attached.

만일, 메인 프레임(100)과 메인 프레임(100) 간을 결합하고자 한다면 상기 연결 블록(300)의 외벽면 중 서로 대칭되는 벽면에 결합돌기(310)가 형성된 벽면을 상기 두 메인 프레임(100)과 대향되도록 배치하면 된다.If the main frame 100 and the main frame 100 ar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two main frames 100 and the wall surfaces o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310 are formed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mong the outer wall surfaces of the connection block 300. It may arrange so that it may face.

한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터설치용 블록(400)을 추가적으로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하는 동작 부위에 상기 모터설치용 블록(4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 부위(예컨대, 메인 프레임, 연결 프레임 혹은, 연결 블록 중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된 결합공(110,210) 및 결합홈(320)에 상기 모터설치용 블록(400)의 결합돌기(430)를 대응시켜 결합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assemble the motor mounting block 400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in the state in which the motor mounting block 400 is located in the desired operation site (for example, main frame, connecting frame or connection block) Any combination of the coupling projections 430 of the motor installation block 400 to the coupling hole (110,210) and the coupling groove 320 formed in any one of them.

이때, 상기 모터설치용 블록(400)에 구비된 구동모터(410)의 모터축(411)은 상기 모터설치용 블록(400)의 관통공(도시는 생략됨)을 관통하여 이 모터설치용 블록(400)이 설치되는 부위(예컨대, 메인 프레임, 연결 프레임 혹은, 연결 블록 중 어느 한 부위)의 결합공(110,210)이나 결합홈(320) 혹은, 관통공(33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첨부된 도 7과 같다.At this time, the motor shaft 411 of the drive motor 410 provided in the motor mounting block 4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motor mounting block 400 to block the motor mounting block 400.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coupling hole (110, 210), the coupling groove 320 or the through hole 330 of the site (for example, the main frame, connection frame, or any one of the connection block) to be installed. This is as shown in Figure 7 attached.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는 별도의 나사나 접착제 등의 보조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각 블록(300,400) 간이나 각 프레임(100,200) 간 혹은, 각 블록(300,400)과 프레임(100,200) 간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learning block toy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ithout using a separate screw or adhesive, such as between each block (300,400) or between each frame (100,200), or each block (300,400) and the frame (100,200) ) Can be easily assembled.

특히, 본 발명의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를 구성하는 연결 블록(300)은 그의 외벽면 중 3면에 결합돌기(310)를 각각 돌출 형성함으로써 모든 구조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 특징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connection block 300 constituting the learning block toy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all the structures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310 on each of the three outer wall surface.

100. 메인 프레임 110,210. 결합공
120,220. 연결리브 200. 연결 프레임
300. 연결 블록 310,430. 결합돌기
320. 결합홈 330. 관통공
400. 모터설치용 블록 410. 구동모터
411. 모터축 420. 수용홈
100.Main frame 110,210. Joiner
120,220. Connecting rib 200. Connecting frame
300. Connection blocks 310,430. Engaging projection
320. Coupling groove 330. Through hole
400. Block for motor installation 410. Drive motor
411. Motor shaft 420. Receiving groove

Claims (5)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평판형을 이루며, 다수의 결합공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의 메인 프레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평판형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비해서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면상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각 메인 프레임 간을 서로 연결하거나 혹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그리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다면체의 블록 형상을 이루며, 각 면 중 서로 대칭되는 두 면과 이 두 면에 수직되는 어느 한 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나 연결 프레임의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 면과 대칭되는 다른 한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나머지 두 면에는 모터의 축이나 나사 혹은, 여타의 다양한 종류의 축 등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A plurality of main frame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ing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 a flat plate and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main fram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main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main frame; And,
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s a block shape of a polyhedron, and two of the surfac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one of the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two surfaces are formed in the projec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frame or connecting frame is formed The other surface symmetrical to the one surfac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projection is coupled to the other two surfaces through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or screw of the motor, or other various types of shafts are formed, respectively. Compri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learning block toy ki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는 둘레면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메인 프레임, 연결 프레임 및 연결 블록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내주면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나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nection block has a rounded circumference, and the coupling hole formed on the main frame,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connection block has a round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rotated or inclined whil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Learning block toy kit, characterized in that possible config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기울어짐이나 회전시 상대물과의 간섭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Corn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is formed rounded learning block toy k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with the opponent during tilting or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및 연결 블록의 각 부위 중 결합공이 관통되는 측의 외표면은 상기 결합공의 형성 부위 및 테두리 부위를 제외하고는 단턱지도록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urface of each side of the main frame and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connecting block through the coupling hole is a block toy kit for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 is formed so as to step except the forming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어느 한 면에는 구동모터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고, 나머지의 면들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 혹은,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의 축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모터설치용 블록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 addition to being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ormed in the block shape of the polyhedron,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one side to accommodate the drive motor, the other side is the coupling projection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frame or the main frame Is formed to protrud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learning block toy kit further comprises a motor installation block formed by the through-hole is formed so that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penetrates.
KR1020100020957A 2010-03-09 2010-03-09 Block toy kit KR201101017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57A KR20110101739A (en) 2010-03-09 2010-03-09 Block toy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57A KR20110101739A (en) 2010-03-09 2010-03-09 Block toy k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739A true KR20110101739A (en) 2011-09-16

Family

ID=4495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957A KR20110101739A (en) 2010-03-09 2010-03-09 Block toy k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73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848B1 (en) * 2011-11-24 2013-04-17 박남영 Motor block assembly for robot
CN103180889A (en) * 2011-06-09 2013-06-26 姆泰 Material for education
KR102054074B1 (en) 2018-06-27 2019-12-09 이재희 3-dimension puzzle block integrating internet of things
KR20200069071A (en) 2018-12-06 2020-06-16 이동섭 A method for controlling a kit by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kit on the kit control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0889A (en) * 2011-06-09 2013-06-26 姆泰 Material for education
KR101255848B1 (en) * 2011-11-24 2013-04-17 박남영 Motor block assembly for robot
KR102054074B1 (en) 2018-06-27 2019-12-09 이재희 3-dimension puzzle block integrating internet of things
KR20200069071A (en) 2018-12-06 2020-06-16 이동섭 A method for controlling a kit by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kit on the kit control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145B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with Rotating Coupling
KR100785119B1 (en) A toy building set
US10617968B2 (en) Building blocks
US20160263489A1 (en) Multidimensional alignment spacing for toy building elements
US110206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agnetic building tiles
KR101447679B1 (en) Assembling block toy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KR20110101739A (en) Block toy kit
US5938498A (en) Toy construction block system with interblock connectors for extended support structures
JP2016154769A (en) Jungle gym
US4585422A (en) Toy construction kit
KR101808964B1 (en) Assembly Teaching Aids for Education
US10286332B2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KR20170065212A (en) Diorama assembling blcok compris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elastic wall
US5791964A (en) Ratchet drive for construction toy set
KR200485228Y1 (en) Block assembly toy having connecting block
KR20170035184A (en) Block assembly toy having connecting block
JP6466909B2 (en) Assembly kit
KR200469966Y1 (en) Assembly Type Block Toy
KR101250530B1 (en) Block teaching aid
KR20170028770A (en) Block having elastic fastener
CA3056012A1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CN210751288U (en) Magnet assembly and magnet mechanism
KR101223453B1 (en) Bracket having detachable mount
US11684867B2 (en) 3D 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