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477A - 오프너 - Google Patents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477A
KR20080003477A KR1020060061759A KR20060061759A KR20080003477A KR 20080003477 A KR20080003477 A KR 20080003477A KR 1020060061759 A KR1020060061759 A KR 1020060061759A KR 20060061759 A KR20060061759 A KR 20060061759A KR 20080003477 A KR20080003477 A KR 2008000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pener
tone
microphone
bo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인
Original Assignee
이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인 filed Critical 이동인
Priority to KR102006006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477A/ko
Publication of KR2008000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09F2025/005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의 뚜껑을 개방할 때 발생하는 오픈음을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일체화시켜서 청각적인 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음성 메모리를 적용하여 녹음된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몸체 하부에 병의 마개를 오픈할 수 있는 병 따개부가 구비된 통상의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몸체의 내부에 회로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가지며, 몸체의 외측으로 조작버튼, 스피커가 노출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회로부가 설치되며, 이 회로부는, 상기 병 따개부의 근처에 고정 설치된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병 마개 오픈음을 인가받아 일정 크기로 증폭하거나 또는 음색을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처리부; 조작버튼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음처리부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오프너{Opene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병따개의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회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오프너 110 : 몸체
111 : 손잡이 120 : 병 따개부
121 : 수용부 122 : 편철
130 : 공간부 140 : 배터리
150 : 조작 버튼부 160 : 컨트롤러
170 : 음처리부 171 : 음색 변환부
172 : 증폭부 174 : 마이크로폰
180 : 음성 메모리 190 : 스피커
200 : 병
본 발명은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의 뚜껑을 개방할 때 발생하는 오픈음을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일체화시켜서 청각적인 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음성 메모리를 적용하여 녹음된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너는 음료수 등이 수용된 병을 따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러한 일반적인 오프너는 병 마개의 오픈 시에 발생하는 음을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청각적인 효과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즉, 병 마개의 오픈 시에 발생하는 병 따개 음이 매우 미약하고, 또한 어떠한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현실감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병 마개의 오픈 시에 발생하는 음을 증폭시키고, 또한 이 음을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오프너를 제공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음을 녹음하여 병 마개 오픈 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너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 하부에 병의 마개를 오픈할 수 있는 병 따개부가 구비된 통상의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몸체의 내부에 회로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가지며, 몸체의 외측으로 조작버튼, 스피커가 노출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회로부가 설치되며, 이 회로부는,
상기 병 따개부의 근처에 고정 설치된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병 마개 오픈음을 인가받아 일정 크기로 증폭하거나 또는 음색을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처리부;
조작버튼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음처리부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프너 구조를 보인 도로서, 통상의 오프너와 같이 본발명의 오프너(100)는 병 따개부(120)가 하부에 구비된 몸체(110)와 몸체(110)로부터 연장된 손잡이(111)를 가진다.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병의 마개를 오픈하기 위한 병 따개부(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병 따개부(120)는 내측으로 병(200)의 뚜껑(210)의 일측이 수용되도록 한 수용부(121)를 가지며, 그 수용부(121)의 측면부에는 편철(122)이 구비 되어 뚜껑(210)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여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병의 뚜껑(210)을 오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21)의 내측으로는 마이크로폰(174)이 고정 설치되어 뚜껑(210)의 오픈시에 발생하는 오픈음을 획득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하부 전방부에는 스피커(190)가 구비되어 마이크로폰(174)으로부터 획득된 오픈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110)의 하부 후방부에는 조작버튼부(15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내측으로는 공간부(130)가 구비되어 그 공간부(130)에 회로부와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40)가 수용되는데, 이 회로부의 구성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마이크로폰(174)으로부터 획득된 오픈음은 A/D 컨버터(161)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 음처리부(170)의 음색 변환부(171)로 입력되는데, 상기 음색 변환부(171)는 오픈음의 음색을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며, 일예를 들어 청량감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에코 처리를 하거나, 기 설정된 음색에 따라 이를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마이크로폰(174)을 통해 오픈음을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음조작버튼부(150)의 음크기 조절 버튼(151)을 조절한 상태에서 병을 오픈하게 되면, 컨트롤러(160)는 이에 따라 마이크로폰(174)을 구동시켜 음을 획득하도록 한다.
음크기 조절 버튼(151)은 출력 소리의 강약을 조절함과 아울러 오프너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버튼부가 된다.
음색 변환부(171)로 입력되어 처리된 오픈음은 증폭부(172)로 입력되어 컨트롤러(160)의 제어를 받아 일정 크기의 음으로 증폭되고, D/A 컨버터(173)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다음 스피커(19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음색 변환부(171)가 구비되지 않고, 마이크로폰(174)으로부터 획득된 오픈음은 증폭부(172)로 곧바로 입력되어 증폭되어 스피커(190)를 총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오픈음 처리과정은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져서 병 뚜껑을 오픈함과 동시에 스피커(190) 로 출력된다.
한편, 오픈음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별도로 녹음한 음을 병 뚜껑의 오픈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자가 조작 버튼부(150)의 녹음버튼(152)을 누른 상태에서 마이크로폰(174)을 통하여 음을 입력하게 되면, 컨트롤러(160)는 음성 메모리(180)를 제어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메모리(180)에 저장된 음은 예를 들어 "OOO님의 생일을 축하합니다." 등의 음성 또는 광고 음성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음성 메모리(180)에 저장된 음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버튼부(150)의 음출력버튼(153)을 누르게 되면, 이 음성 데이터는 음처리신호부(170)를 거쳐 스피커(19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상기의 각 회로부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원칩화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병의 뚜껑을 개방할 때 발생하는 오픈음을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오프너에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음성 메모리를 적용하여 병 뚜껑의 오픈시에 효과음을 녹음하고 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각적인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몸체 하부에 병의 마개를 오픈할 수 있는 병 따개부가 구비된 통상의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몸체의 내부에 회로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가지며, 몸체의 외측으로 조작버튼, 스피커가 노출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회로부가 설치되며, 이 회로부는,
    상기 병 따개부의 근처에 고정 설치된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병 마개 오픈음을 인가받아 일정 크기로 증폭하거나 또는 음색을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처리부;
    조작버튼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음처리부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음처리부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병 마개 오픈음의 음색을 변환하는 음색 변환부;
    상기 음색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음색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 버튼은 녹음 버튼과 음출력 버튼이 구비되고, 음성 메모리가 더 구비되어, 녹음 버튼이 입력되면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을 음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음출력 버튼이 입력되면 음성 메모리에 저장된 음을 음처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
KR1020060061759A 2006-07-03 2006-07-03 오프너 KR20080003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759A KR20080003477A (ko) 2006-07-03 2006-07-03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759A KR20080003477A (ko) 2006-07-03 2006-07-03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77A true KR20080003477A (ko) 2008-01-08

Family

ID=3921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759A KR20080003477A (ko) 2006-07-03 2006-07-03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47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487U (ja) * 1996-04-23 1996-11-01 株式会社エフティービー 栓抜き
KR20000008271A (ko) * 1998-07-11 2000-02-07 구자홍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200272134Y1 (ko) * 2002-01-05 2002-04-13 김점수 음악 송출형 병따개
KR200294450Y1 (ko) * 2002-07-26 2002-11-13 (주)진성전자 광고음 재생기능을 갖는 음성 오프너
KR200375842Y1 (ko) * 2004-11-23 2005-03-08 김미희 오프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487U (ja) * 1996-04-23 1996-11-01 株式会社エフティービー 栓抜き
KR20000008271A (ko) * 1998-07-11 2000-02-07 구자홍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200272134Y1 (ko) * 2002-01-05 2002-04-13 김점수 음악 송출형 병따개
KR200294450Y1 (ko) * 2002-07-26 2002-11-13 (주)진성전자 광고음 재생기능을 갖는 음성 오프너
KR200375842Y1 (ko) * 2004-11-23 2005-03-08 김미희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413B2 (en) Remote controller having echo function
US20160110349A1 (en) Language Translating Device
KR20080003477A (ko) 오프너
US20220070593A1 (en) Hearing aid comprising a record and replay function
US7412288B2 (en) Text to speech conversion in hearing systems
DE10004284A1 (de) Tragbares Datenaufnahme- und/oder Datenwiedergabegerät
KR100875047B1 (ko) 귀걸이형 보청기
US20080101627A1 (en) Noise in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noise
CN211319717U (zh) 用于语言交互的配件、移动终端及交互系统
KR101971608B1 (ko) 웨어러블 음향 장치
KR20020011610A (ko) 상자의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
US20060161277A1 (en) Portable personal pocket-sized audio sound equalizer to be used in-line with headphones or speakers
CN214544759U (zh) 一种usb音箱
KR0122953Y1 (ko) 음성인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합성 음량 자동 조절장치
JP7423093B1 (ja) 折り畳み式イヤーセット及びハウリング防止回路を備えたモバイル補聴器
KR20090022863A (ko) 화장품/화장용구 케이스의 음성 저장/출력장치
KR200213741Y1 (ko) 대화 시스템을 이용한 거울
KR200164215Y1 (ko) 핸드 확성기
KR20080094227A (ko) 어학용 재생기
JPS58142479A (ja) 電子翻訳装置
KR0163387B1 (ko) 다 기능을 구비한 보청기
KR200190876Y1 (ko) 말하는 거울
JP2002247477A5 (ko)
TW200629042A (en) Sound player with a separable memory
KR200208249Y1 (ko) 보청 기능을 부가한 디지털 보이스 레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