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047B1 - 귀걸이형 보청기 - Google Patents

귀걸이형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047B1
KR100875047B1 KR1020060118875A KR20060118875A KR100875047B1 KR 100875047 B1 KR100875047 B1 KR 100875047B1 KR 1020060118875 A KR1020060118875 A KR 1020060118875A KR 20060118875 A KR20060118875 A KR 20060118875A KR 100875047 B1 KR100875047 B1 KR 10087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receiver
sound signal
batter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853A (ko
Inventor
권유정
Original Assignee
권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유정 filed Critical 권유정
Priority to KR102006011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0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04R25/356Amplitude, e.g. amplitude shift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7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ear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9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9Reducing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noise on the functioning of hearing aids, by, e.g. shielding, signal processing adaptation, selective (de)activation of electronic parts in hearing a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 쉘 안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리시버만을 삽입하고 기타 마이크로폰과 음향처리수단의 증폭기로부터 전선이나 음향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음향 피드백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고,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인 귀걸이형 보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귀걸이형 보청기

Description

귀걸이형 보청기{EAR HOOKING TYPED HEARING AI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를 개략적으로 도시 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귀걸이형 보청기의 케이스 본체 내에 배터리, 보륨조절기, 메모리버튼 및 마이크로폰을 배설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의 구성 부품을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의 케이스 본체와 덮개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에 마이크로폰, 배터리 및 리시버가 접속된 음향처리수단의 회로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체결볼트 100:케이스
110:케이스 본체 111:제1 수용공간
112:제2 수용공간 113:제3 수용공간
114:제4 수용공간 115:제5 수용공간
116:제6 수용공간 117:인출구멍
118:나사공 119,120:덮개
120a:나사공 130:마이크로폰
140:인터페이스 소켓 150:메모리버튼
160:볼륨조절기 170:배터리
172:스위치 180:배터리 전극부
200:음향처리수단 202:전압레귤레이터
204:A/D변환기 206:증폭수단
208:EEPROM 210:이퀼라이저
212:D/A변환기 214:리이드 선
300:리시버 302:리시버튜브
400:보청기 쉘 500:페이스 플레이트
600:귀걸이용 후크
본 발명은 귀걸이형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향 피드백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소형의 귀걸이형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귀걸이형 보청기는 마이크로폰, 증폭부, 볼륨조절부, 리시버가 모두 같은 본체 케이스 안에 삽입되어 있어 자체 음향 피드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리시버에서 나오는 음향이 리시버 튜브를 통해 귀에 삽입하는 이어 몰드로 전달되므로 조금만 소리를 크게 증폭하여도 빈번하게 음향 피드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 피드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귀걸이형 보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이 용이한 귀걸이형 보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의 귀걸이형 보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귀걸이현 보청기는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 소켓, 음향처리수단, 메모리버튼,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전극부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음향처리수단으로부터 리이드 선을 통해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리시버튜브 내에 끼워진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를 수용하며, 상기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듣도록 귓속에 삽입되는 보청기쉘과, 상기 보청기쉘의 입구부를 덮는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멍에서 인출되는 상기 리이드 선의 외주면을 덮도록 일측이 상기 인출구멍의 외주면에 끼워짐과 동시에, 타측이 귀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둥굴게 라운드되어 있는 귀걸이용 후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보청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귀걸이형 보청기의 케이스 본체 내에 배터리, 보륨조절기, 메모리버튼 및 마이크로폰을 배설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의 구성 부품을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의 케이스 본체와 덮개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에 마이크로폰, 배터리 및 리시버가 접속된 음향처리수단의 회로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는 마이크로폰(130), 인터페이스 소켓(140), 음향처리수단(200), 메모리버튼(150), 배터리(170) 및 상기 배터리 전극부(180)를 수용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음향처리수단(200)으로부터 리이드 선(210)을 통해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리시버튜브(302) 내에 끼워진 리시버(300)와, 상기 리시버(300)를 수용하며, 상기 리시버(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듣도록 귓속에 삽입되는 보청기쉘(400)과, 상기 보청기쉘(400)의 입구부를 덮는 페이스 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인출구멍(117)에서 인출되는 상기 리이드 선(210)의 외주면을 덮도록 일측이 상기 인출구멍(117)의 외주면에 끼워짐과 동시에, 타측이 귀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둥굴게 라운드되어 있는 귀걸이용 후크(6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부를 체결볼트(90)에 의해 체결하여 덮도록 나사공(120a)이 형성된 덮개(1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상기 마이크로폰(130)을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111), 상기 음향처리수단(200)를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112), 상기 메모리버튼(150)을 수용하는 제3 수용공간(113), 상기 볼륨조절기(160)를 수용하는 제4 수용공간(114), 상기 배터리(170)를 수용하는 제5 수용공간(115)과, 상기 배터리(170)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접촉하는 배터리 전극부(180)를 수용하는 제6 수용공간(116)과, 상기 음향처리수단(200)으로부터 리시버(200)에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리이드 선(210)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구멍(117)과, 상기 케이스본체(110)와 상기 덮개(120)를 결합하도록 체결볼트(90)용 나사공(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향처리수단(200)은 스위치(17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배터리(17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받아 일정 직류전압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압레귤레이터(202)와, 상기 전압레귤레이터(202)에서 일정 직류전압으로 조정된 직류전압에 포함된 하이레벨의 노이즈를 필터링해서 상기 마이크로폰(130)에 공급하는 제1 캐패시터(C1)와, 상기 마이크로폰(130)에 의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받아 음향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 레벨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2 캐패시터(C2)와, 상기 제2 캐패시터(C2)에서 하이 레벨의 노이즈가 필터링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04)와, 상기 A/D변환기(20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수단(206)과,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컴퓨터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소켓(140)을 통해 뉴스청취 파라미터(M1), 음악청취 파라미터(M2), 대화청취 파라미터(M3) 및 소음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 파라미터(M4)를 받아 인터페이스된 모드신호를 저장하는 EEPROM(208)과, 상기 메모리버튼(150)을 1회 내지 4회 눌렀을 경우 상기 뉴스청취 파라미터(M1), 음악청취 파라미터(M2), 대화청취 파라미터(M3) 및 소음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 파라미터(M4) 중 해당하는 모드신호를 EEPROM(208)으로부터 받음과 동시에, 상기 증폭수단(206)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받아서 증폭하여 합산하는 이퀄라이저(210)와, 상기 이퀄라이저(210)에서 증폭되고 합성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212)와, 상기 D/A변환기(21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볼륨조절기(160)와, 상기 리시버(300)에 하이레벨의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도록 상기 배터리(170)에서 리시버(300)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포함된 하이레벨의 노이즈를 필터링는 제3 캐패시터(C3)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304는 상기 리시버튜브(302)의 선단부에 워져서 귀지가 상기 리시버튜브(302)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귀지인입 방지부재이고, 504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00)의 외측에 연결되어 귓구멍에 삽입된 보청기 쉘(400)을 외부로 끌어낼 때 잡아당기는 줄이고, 이 줄(504)의 외측 끝에는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둥그런 형상의 매듭(504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19는 배터리를 덮는 덮개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보청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의 케이스 본체(110)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111) 내에 마이크로폰(130)을 배설하고, 상기 제2 수용공간(112) 내에 음향처리수단(200)을 배설하고, 상기 제3 수용공간(113) 내에 메모리버튼(150)을 배설하고, 상기 제4 수용공간(114) 내에 볼륨조절기(160)를 배설하고, 상기 제5 수용공간(115) 내에 배터리(170) 배설하고, 상기 제6 수용공간(116) 내에 배터리(170)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접촉하는 배터리 전극부(180)를 배설하고, 상기 덮개(120)에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되어 뉴스청취 파라미터(M1), 음악청취 파라미터(M2), 대화청취 파라미터(M3) 및 소음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 파라미터(M4)를 받아 EEPROM(208)에 인터페이스된 모드신호를 저장하도록 인터페이스 소켓(14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부를 덮개(120)로 씌우고 나서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형성된 나사공(118)과 상기 덮개(120)에 형성된 나사공(120a)을 대응되게 덮고, 체결볼트(90)에 의해 체결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덮개(1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인출구멍(117)을 통해서 인출되는 리이드 선(210)의 외주면과 상기 인출구멍(117)을 귀걸이용 후크(600)로 외감시키고, 상기 리이드 선(210)의 타측을 페이스 플레이트(500)에 형성된 관통구멍(502)에 끼우고, 리시버(30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튜브(302)에 상기 리시버(300)를 삽입하고, 상기 리시버튜브(302)를 보청기쉘(400)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보청기쉘(400)의 개구부(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00)를 접착제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귀걸이형 보청기를 조립한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귀걸이형 보청기를 귀에 걸면서 귀걸이용 후크(600)를 귀에 걸면 상기 케이스(100)가 귀의 뒤쪽에 위치하며, 이때 보청기쉘(400)을 귀구멍에 삽입하고 나서, 스위치(172)를 스위칭 온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17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포함된 하이레벨의 노이즈를 제3 캐패시터(C3)에서 필터링하여 리시버(300)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터리(17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전압레귤레이터(202)에서 받아 일정 직류전압으로 조정하여 이퀄라이저(210)에 동작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전압레귤레이터(202)에서 일정 직류전압으로 조정된 직류전압에 포함된 하이레벨의 노이즈를 제1 캐패시터(C1)에서 필터링하여 상기 마이크로폰(130)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폰(130)에 의해 수신된 음향신호는 제2 캐패시터(C2)에서 받아 음향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 레벨의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A/D변환기(204)에 출력하면, 상기 A/D변환기(204)에서 하이 레벨의 노이즈가 필터링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A/D변환기(20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증폭수단(206)에서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컴퓨터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소켓(140)을 통해 뉴스를 청취하는 뉴스청취 파라미터(M1), 음악을 청취하는 음악청취 파라미터(M2), 대화를 청취하는 대화청취 파라미터(M3) 및 소음이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하는 소음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 파라미터(M4)를 받아 인터페이스된 모드신호가 EEPROM(208)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모리버튼(150)을 눌러서 주위 환경에 따라 상기 메모리버튼(150)을 1회 내지 4회중 어느 하나의 눌러서 본 발명의 귀걸이형 보청기를 착용한 착용자가 위치하는 환경에 맞는 파라미터를 선택하면 상기 EEPROM(208)에서 상기 메모리버튼(150)에 의해 선택된 M1 내지 M4파라미터중 선택된 파라미터를 이퀄라이저(21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퀄라이저(210)에서는 상기 증폭수단(206)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버튼(150)에 의해 설정된 뉴스청취 파라미터(M1), 음악청취 파라미터(M2), 대화청취 파라미터(M3) 또는 소음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 파라미터(M4)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상기 EEPROM(208)으로부터 받아서 증폭하고 합산한다.
그리고, 상기 이퀄라이저(210)에서 증폭되고 합성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D/A변환기(212)에서 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D/A변환기(21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볼륨조절기(160)에서 볼륨을 조절하여 상기 리시버(300)에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리 음압을 발생시키는 리시버를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케이스 본체에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사람마다 제각기 다른 외이 귓구멍 형태에 따라 맞춤식 귓속형 보청기쉘(400), 구체적으로는 페이스 플레이트(500)의 크기를 달리 제작하여 보청기쉘(400) 안에 리시버만을 삽입함으로써 페이스 플레이트(500)가 귓구멍을 완전히 막아서 귓구멍으로부터 마이크로 폰(130)으로 음향의 피드백이 전혀 없는 귀걸이형 보청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귀걸이형 보청기에 의하면, 이어 쉘 안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리시버만을 삽입하고 기타 마이크로폰과 음향처리수단의 증폭기로부터 전선이나 음향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음향 피드백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고,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이라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마이크로폰(130), 인터페이스 소켓(140), 음향처리수단(200), 메모리버튼(150), 배터리(170) 및 상기 배터리 전극부(180)를 수용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음향처리수단(200)으로부터 리이드 선(210)을 통해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리시버튜브(302) 내에 끼워진 리시버(300)와, 상기 리시버(300)를 수용하며, 상기 리시버(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듣도록 귓속에 삽입되는 보청기쉘(400)과, 상기 보청기쉘(400)의 입구부를 덮는 페이스 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인출구멍(117)에서 인출되는 상기 리이드 선(210)의 외주면을 덮도록 일측이 상기 인출구멍(117)의 외주면에 끼워짐과 동시에, 타측이 귀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둥굴게 라운드되어 있는 귀걸이용 후크(6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보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부를 체결볼트(90)에 의해 체결하여 덮도록 나사공(120a)이 형성된 덮개(1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상기 마이크로폰(130)을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111), 상기 음향처리수단(200)를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112), 상기 메모리버튼(150)을 수용하는 제3 수용공간(113), 볼륨조절기(160)를 수용하는 제4 수용공간(114), 상기 배터리(170)를 수용하는 제5 수용공간(115)과, 상기 배터리(170)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접촉하는 배터리 전극부(180)를 수용하는 제6 수용공간(116)과, 상기 음향처리수단(200)으로부터 리시버(200)에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리이드 선(210)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구멍(117)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덮개(120)를 결합하도록 체결볼트(90)용 나사공(1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보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처리수단(200)은 스위치(17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배터리(17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받아 일정 직류전압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압레귤레이터(202)와, 상기 전압레귤레이터(202)에서 일정 직류전압으로 조정된 직류전압에 포함된 하이레벨의 노이즈를 필터링해서 상기 마이크로폰(130)에 공급하는 제1 캐패시터(C1)와, 상기 마이크로폰(130)에 의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받아 음향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 레벨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2 캐패시터(C2)와, 상기 제2 캐패시터(C2)에서 하이 레벨의 노이즈가 필터링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04)와, 상기 A/D변환기(20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음향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수단(206)과, 퍼스널컴퓨터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소켓(140)을 통해 뉴스청취 파라미터(M1), 음악청취 파라미터(M2), 대화청취 파라미터(M3) 및 소음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 파라미터(M4)를 받아 인터페이스된 모드신호를 저장하는 EEPROM(208)과, 상기 메모리버튼(150)을 1회 내지 4회 눌렀을 경우 상기 뉴스청취 파라미터(M1), 음악청취 파라미터(M2), 대화청취 파라미터(M3) 및 소음 큰 장소에서의 대화청취 파라미터(M4) 중 해당하는 모드신호를 상기 EEPROM(208)로부터 받음과 동시에, 상기 증폭수단(206)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받아서 증폭하여 합산하는 이퀄라이저(210)와, 상기 이퀄라이저(210)에서 증폭되고 합성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212)와, 상기 D/A변환기(21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볼륨조절기(160)와, 상기 리시버(300)에 하이레벨의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도록 상기 배터리(170)에서 리시버(300)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포함된 하이레벨의 노이즈를 필터링는 제3 캐패시터(C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보청기.
KR1020060118875A 2006-11-29 2006-11-29 귀걸이형 보청기 KR100875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875A KR100875047B1 (ko) 2006-11-29 2006-11-29 귀걸이형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875A KR100875047B1 (ko) 2006-11-29 2006-11-29 귀걸이형 보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853A KR20070001853A (ko) 2007-01-04
KR100875047B1 true KR100875047B1 (ko) 2008-12-19

Family

ID=3786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875A KR100875047B1 (ko) 2006-11-29 2006-11-29 귀걸이형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6069B4 (de) * 2006-07-18 2008-09-04 Cerbomed Gmbh Audiologisches Übertragungssystem
WO2016098972A1 (ko) * 2014-12-15 2016-06-23 박민우 다양한 귀속 형태에 자동으로 변형되어 피팅되는 소프트쉘 보청기
KR102023456B1 (ko) * 2018-07-04 2019-11-04 장동수 Rit를 사용한 귀걸이형 보청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1100A (ja) 1985-12-25 1987-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補聴器
JPH1023599A (ja) 1996-07-03 1998-01-23 Piolax Inc 耳かけ式補聴器
JP2004229179A (ja) 2003-01-27 2004-08-12 Rion Co Ltd 補聴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1100A (ja) 1985-12-25 1987-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補聴器
JPH1023599A (ja) 1996-07-03 1998-01-23 Piolax Inc 耳かけ式補聴器
JP2004229179A (ja) 2003-01-27 2004-08-12 Rion Co Ltd 補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853A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633B2 (ja) イヤーカナルマイクを内蔵するブルートゥースイヤーセットとその制御方法
KR101899005B1 (ko) 외부 마이크 및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외부 소음환경 적응형 블루투스 이어셋 및 이의 제어방법
US11265660B2 (en) Speech intelligibility enhancing system
EP2023664A1 (en) Active noise cancellation in hearing devices
KR102023456B1 (ko) Rit를 사용한 귀걸이형 보청기
US9900708B2 (en) Hearing instrument with switchable power supply voltage
KR101744507B1 (ko)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블루투스 이어셋
KR20170030366A (ko)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블루투스 이어셋
US20150163606A1 (en) Visual indicators for a hearing aid
EP2890155B1 (en) Hearing instrument with switchable power supply voltage
CN109814833B (zh) 一种实时控制频响输出装置及其应用方法
US10993055B2 (en) Elastomeric wax barrier for hearing aid acoustic port
US9467765B2 (en) Hearing instrument with interruptable microphone power supply
KR100875047B1 (ko) 귀걸이형 보청기
JP2015097385A (ja) 中断可能なマイクロフォン電源を有する聴覚機器
US8811622B2 (en) Dual setting method for a hearing system
US8831258B2 (en) Method for restricting the output level in hearing apparatuses
KR101169885B1 (ko) 귀속형 보청기
EP2866471B1 (en) Hearing instrument with interruptable microphone power supply
US9301064B2 (en) Hearing aid removal handle
EP3057341B1 (en) Parallel power switch for hearing aid
JP2020124444A (ja) 発声補助装置および発声補助システム
JPWO2018074005A1 (ja) 聴覚補助装置
KR0163387B1 (ko) 다 기능을 구비한 보청기
US8433086B2 (en) Hearing apparatus with passive input level-dependent nois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